KR200339609Y1 - 콘크리트 전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609Y1
KR200339609Y1 KR20-2003-0032221U KR20030032221U KR200339609Y1 KR 200339609 Y1 KR200339609 Y1 KR 200339609Y1 KR 20030032221 U KR20030032221 U KR 20030032221U KR 200339609 Y1 KR200339609 Y1 KR 200339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 wire
resistance measuring
coupling terminal
concret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규
박종래
문광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3-0032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접지저항 측정구가 설치된 콘크리트 전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며 접지선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 상기 접지선을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한 접지선 결합단자;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를 상기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단자 체결구; 상기 접지선을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에 부착되는 접지선 보호 커버;로 구성된 접지저항 측정구가 소정 높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 탑승하지 않고도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전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전주{A concrete electric pole}
본 고안은 접지저항 측정구가 설치된 콘크리트 전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주에 승주하지 않고도 지상에서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전주의 소정 높이에 접지저항 측정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22,000[V] 또는 그 이하의 전압에서 전력을 배전하기 위한 배전선과 각종 배전 전력설비 및 그에 따른 부대설비들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물로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전주가 사용된다.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세로 중앙에는 파이프 형태로 빈 공간을 두게 되는데, 이 공간에 접지설비의 일부분인 접지선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접지설비는 사람과 전기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의 접지저항 값을 항상 유지해야 한다.
콘크리트 전주에 접지선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접지선 인입구와 접지선 인출구가 필요하고, 지상 5.0m~6.5m 에 위치한 접지선 인입구 부근에서 접지저항 값을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 상에서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전주에 탑승해야만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있어, 승주가 가능한 배전전공 2인 이상 또는 승주용 장치(승주용 버켓차량)가 동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 전주에 탑승하지 않고도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 상에 접지저항 측정구가 설치된 콘크리트 전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접지저항 측정구가 설치된 콘크리트 전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접지저항 측정구의 사시도,
도 3은 접지선 결합단자의 미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접지선 결합단자의 미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의 단면도,
도 5는 접지선 결합단자의 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접지선 결합단자의 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의 단면도,
도 7은 접지저항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배전공용 계측기와 접지극 및 보조 접지봉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접지선 인입구 10: 접지선 인출구
15: 접지극 20: 콘크리트 전주
30: 접지선 40: 접지저항 측정구
50: 접지선 결합단자 60: 결합단자 체결구
70: 접지선 보호 커버 80: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
90: 보조 접지봉 100: 접지극 연결단자
110, 120: 보조 접지봉 연결단자 130: 다이얼
140: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150: 시험 선택 스위치 160: 검류계
H: 설치홈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 전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 탑승하지 않고도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소정 높이 상에 접지저항 측정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주된 구성요소인 접지저항 측정구는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며 접지선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 상기 접지선을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한 접지선 결합단자;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를 상기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단자 체결구; 및 상기 접지선을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에 부착되는 접지선 보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예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된 구성요소인 접지저항 측정구(40)는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80), 접지선 결합단자(50), 결합단자 체결구(60), 접지선 보호 커버(70)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주된 구성요소인 접지저항 측정구가 콘크리트 전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접지저항 측정구(40)는 작업자가 전주에 탑승할 필요가 없도록 콘크리트 전주(20)의 소정 높이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접지저항 측정구가 상기 콘크리트 전주(20) 상에 설치되는 높이는 제작되는 콘크리트 전주(20)의 규격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1.4m~2.5m 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저항 측정구는 작업자의 작업 용이성을 고려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80)는 설치홈(H, 도4 또는 도6 참조)에 삽입, 설치되며, 접지선(30)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50)는 접지선(30)을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으로 분리한다.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50)는 구리 또는 이와 유사한 전기적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단자 체결구(60)는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50)를 상기 측정구 몸체(80)에 고정시킨다.
첨부도면 도 3은 접지선 결합단자(50)의 미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40)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접지선 결합단자(50)의 미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40)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선 결합단자(50)를 사용하지 않고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훅크 온-식 접지저항 측정법'을 이용한다.
상기 '훅크-온 식 접지저항 측정법'은 일반적으로 접지저항 측정에 있어 소정의 오차가 생긴다. 그러나, 상기 훅크 온-식 접지저항 측정법은 도심 포장도로와 같이 보조전극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유리한 점이 있어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5는 접지선 결합단자(50)의 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40)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6은 접지선 결합단자(50)의 사용시 접지저항 측정구(40)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선 결합단자(50)를 사용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작업자는 접지선(30)을 절단한다.
상기 절단된 접지선 중 접지선 인입구(5)와 연결된 접지선(30)은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50)의 후면에 연결하고, 접지선 인출구(15)와 연결된 접지선(30)은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50)의 전면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접지선(30) 별로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접지선 결합단자(50)를 사용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며, 이 때 '임펄스식 접지저항 측정법'을 이용한다.
상기 접지선 보호 커버(70)는 접지선을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80)에 부착된다. 상기 접지선 보호 커버(70)는 전기적 절연이 가능하고,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7은 접지저항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배전공용 계측기(170)와 접지극(15) 및 보조 접지봉(90)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작업자는 계측기를 수평으로 놓는다. 그 후, 보조 접지봉(90)을 습기가 있는 곳에 직선으로 10m 이상의 간격을 두고 지중에 설치한다.
상기 작업자는 접지봉 연결단자(100)의 리드선을 접지극(15)에 접속한다. 또한, 작업자는 보조 접지봉 연결단자(110, 120)의 리드선을 각각 보조접지봉(90)에 접속한다.
그 후, 작업자는 시험 선택 스위치(150)를 [Ω]점에 맞춘다. 상기 작업자는 푸쉬 버튼 스위치(140)를 누르면서 다이얼(130)을 돌려 검류계(160)의 지침이 0점을 지시할 때, 다이얼(130)의 값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다이얼(130)의 값이 접지저항의 값이다. 이 때 접지전압이 있으면 지침이 움직여서 정확한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원인을 제거한 후 측정에 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주에 탑승하지 않고도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승주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승주가 불가능한 배전인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승주 장비 없이도 접지저항의 측정이 가능하여 유연한 인력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부가설비만으로 전주에 탑승하지 않고도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지저항시 소요되는 측정경비를 대폭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며 접지선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
    상기 접지선을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한 접지선 결합단자;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를 상기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단자 체결구; 및
    상기 접지선을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접지저항 측정구 몸체에 부착되는 접지선 보호 커버;로 구성된 접지저항 측정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 탑승하지 않고도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소정 높이 상에 접지저항 측정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결합단자의 재질은,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높이는
    1.4m ~ 2.5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전주.
KR20-2003-0032221U 2003-10-14 2003-10-14 콘크리트 전주 KR200339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221U KR200339609Y1 (ko) 2003-10-14 2003-10-14 콘크리트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221U KR200339609Y1 (ko) 2003-10-14 2003-10-14 콘크리트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609Y1 true KR200339609Y1 (ko) 2004-01-24

Family

ID=4934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221U KR200339609Y1 (ko) 2003-10-14 2003-10-14 콘크리트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6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88B1 (ko) 2007-02-26 2007-09-03 주식회사 세니온 접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지방법
KR101828073B1 (ko) * 2017-04-26 2018-02-09 제룡산업 주식회사 접지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신주
WO2024019526A1 (ko) * 2022-07-20 2024-01-25 (주)옴니엘피에스 낙뢰보호형 스마트 폴 및 이의 접지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88B1 (ko) 2007-02-26 2007-09-03 주식회사 세니온 접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접지방법
KR101828073B1 (ko) * 2017-04-26 2018-02-09 제룡산업 주식회사 접지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신주
WO2024019526A1 (ko) * 2022-07-20 2024-01-25 (주)옴니엘피에스 낙뢰보호형 스마트 폴 및 이의 접지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2503B2 (en) Grounding device having a grounding plate and an insulated connecting wire
CN203385761U (zh) 用于回路电阻测量及耐压试验的接线钳
KR100918515B1 (ko) 단독접지의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KR200339609Y1 (ko) 콘크리트 전주
CN106356758A (zh) 10kv线路绝缘杆间接旁路带电更换柱上开关作业方法
KR200169790Y1 (ko) 콘크리트 전주용 접지저항 측정기
EP2804272A1 (en) Mobile unit for high- and medium-voltage electrical interconnection
CN109613341A (zh) 一种接地材料与土壤接触电阻的测量装置
CN209043936U (zh) 一种快速连接式电力系统接地测量接线装置
JP3249988B2 (ja) 接地端子装置
CN107561387B (zh) 一种配网线损异常定位装置
KR101358025B1 (ko) 전기적 연속성 평가 장치
CN110470949A (zh) 输电线路故障测距方法
CN210166426U (zh) 一种结构改良的万用表
CN210166418U (zh) 一种结构改良的万用表表头
CN104767093A (zh) 一种矿井直流电测深数据采集电缆及方法
CN205353346U (zh) 一种三相智能电能表现场检测用辅助压接装置
US9804204B2 (en) Method of implementation of peak hold in a phasing voltmeter
JP6765459B2 (ja) プローブ
JP2000171508A (ja) 配電線の断線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CN219179436U (zh) 一种绝缘电阻测试线
CN211318522U (zh) Gis断路器回路电阻多功能测试接头
JPH1187008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短絡及び連結状態検出装置
JP5465761B2 (ja) 接地抵抗測定用端子台
CN207994112U (zh) 一种无损的ecu电气信号测量用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