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967Y1 -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8967Y1 KR200338967Y1 KR20-2003-0033605U KR20030033605U KR200338967Y1 KR 200338967 Y1 KR200338967 Y1 KR 200338967Y1 KR 20030033605 U KR20030033605 U KR 20030033605U KR 200338967 Y1 KR200338967 Y1 KR 2003389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charger
- terminal
- support
- side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폰 충전기가 개시된다.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이 재치되는 충전기 하우징, 휴대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 지지부, 휴대폰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저면 지지부, 휴대폰의 측면 및 저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세팅된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 고정부재 및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휴대폰의 형상에 대응하여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가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으며, 지지부 고정부재에 의해서 세팅을 유지할 수 있어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의 휴대폰을 안착시켜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휴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며, 배터리의 효율성 및 반복적이 사용을 감안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로 일반적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러한 휴대폰용 배터리는 휴대폰 내부에 삽입되거나 휴대폰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휴대폰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제조업체는 휴대폰 거치대 겸 충전기를 같이 제공하며, 휴대폰 충전기에 휴대폰을 꽂음으로써 휴대폰을 거치하는 동시에 휴대폰의 배터리를 외부 전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및 휴대폰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10)은 휴대폰 본체(12) 및 배터리(14)를 포함한다. 휴대폰 본체(12)의 후면에는 배터리(14)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에 배터리(14)가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고정되어 본체(12)에 장착된다.
배터리(14)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14)를 착탈하기가 간편하여 배터리(14)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본체(12)로부터 배터리(14)를 분리하여 배터리(14)만 충전할 수도 있다.
배터리(14)의 후면에는 연결 단자(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단자(16)를 통해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20)는 거치대 겸 충전기로서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휴대폰 충전기(20)는 휴대폰(1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2)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22)의 저면부에는 전원 단자(24)가 형성되어 휴대폰(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폰(10) 또는 배터리(14) 자체가 수용홈(22)에 삽입됨으로써, 배터리(14)의 연결 단자(16)와 휴대폰 충전기(20)의 전원 단자(24)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외부 전원이 휴대폰(10)의 배터리(14)로 인가되며, 그에 따라 배터리(14) 충전이 수행된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20)는 대응하는 한 종류의 휴대폰(10)에만 맞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형상이 다른 타 종류의 휴대폰을 거치할 수 없으며 충전시킬 수도 없다.
이는 휴대폰이 삽입될 수 있는 종래의 수용홈은 오직 대응하는 휴대폰의 외형에만 맞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기인한다. 특히, 근래 들어 휴대폰의 기능뿐만아니라 디자인도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각 휴대폰마다 독창적인 외형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휴대폰 충전기의 수용홈은 더욱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한 기종에만 맞게 설계된 종래의 충전기는 다른 휴대폰을 수용할 수 없으며, 설령 수용할 수 있더라도 휴대폰을 적절하게 고정할 수 없어 전기적 접속이 불량해지기 쉽다.
그리고, 배터리에 형성된 연결 단자가 표준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충전기의 호환성은 더욱 떨어진다. 외형뿐만 아니라 배터리에 형성된 연결 단자도 제조 업체마다 다르며, 각각 다른 폭, 다른 간격 또는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른 기종의 휴대폰은 연결 단자 및 전원 단자가 서로 접촉할 수 없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는 다른 기종의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가 없다.
게다가,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에서는 휴대폰을 충전하면서 동시에 통화를 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충전기에 휴대폰을 꽂아 충전하다가 전화가 오거나 전화를 걸 때,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충전을 중단하고 휴대폰을 뽑아 사용한다. 하지만, 충전 상태가 아직 양호하지 못해 한 통화도 할 수 없는 경우라면 통화 도중에 통화가 중단될 수도 있어 불편하다. 또한, 휴대폰을 분리한 후 다시 충전 상태로 되돌리지 못해 방전된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휴대폰용 이어폰 등을 사용하여 휴대폰의 충전과 함께 통화를 수행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항상 이어폰을 장착하고 있는 것도 아니며 매번 이어폰을 찾아 휴대폰에 장착하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폰의 형상과 무관하게 다양한 형상의 휴대폰을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연결 단자의 폭 및 높이가 달라도 각 배터리에 맞게 용이하게 세팅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을 충전하는 동안에도 자유롭게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및 휴대폰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에서 거치 케이스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휴대폰 거치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지지부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터미널 부재 및 터미널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휴대폰 충전기 110:충전기 하우징
120:거치 케이스 125:확장 케이스
130:측면 지지부 140:저면 지지부
150:지지부 고정부재 160:터미널 부재
170:터미널 고정부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기 하우징, 측면 지지부, 저면 지지부, 지지부 고정부재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충전기 하우징 상에는 휴대폰이 재치되며,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에 의해서 어떠한 형상의 휴대폰이라도 충전기 하우징 상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가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휴대폰 형상에 맞게 위치한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가 지지부 고정부재에 의해서 고정된다. 일단 휴대폰 형상에 맞게 세팅된 후, 휴대폰은 반복적으로 충전기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다른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지지부 고정부재로부터 양 지지부를 해제하여 다른 휴대폰의 형상에 맞게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전원과 휴대폰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방전을 대비하여 휴대폰이 작동하기 위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부는 휴대폰 몸체에서 외부로 노출된 연결 단자를 이용하거나 휴대폰 하단부에 형성된 입출력 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원 연결선 및 다접점 플러그를 포함하는 터미널 부재를 휴대폰의 입출력 단자에 꽂아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충전기의 전원 단자 간의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터미널 부재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연결 단자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지지부는 충전기 하우징에 제1 힌지로 고정된 측면 지지링크를 포함한다. 측면 지지링크가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휴대폰의 측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밀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저면 지지부는 충전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제3 힌지로 고정된다. 저면 지지부 역시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휴대폰의 저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기 하우징, 측면 지지부, 저면 지지부, 지지부 고정부재, 전원 공급부 및 송수화기를 포함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충전기 하우징 상에는 휴대폰이 재치되며,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에 의해서 어떠한 형상의 휴대폰이라도 충전기 하우징 상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가 휴대폰의 형상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휴대폰 형상에 맞게 위치한 측면 지지부 및 저면 지지부가 지지부 고정부재에 의해서 고정된다.
전원 공급부는 전원과 휴대폰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휴대폰 방전을 대비하여 휴대폰이 작동하기 위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기 하우징에는 송수화기가 연결되며, 일반 전화기와 같이 송수화기를 충전기 하우징 상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가 있다. 휴대폰 및 충전기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휴대폰에 전화가 오면 휴대폰 단독으로 또는 휴대폰 및 충전기가 함께 전화벨을 생성하고, 사용자는 송수화기를 들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을 하는 도중에도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할 수가 있다. 즉, 충전을 하는 도중에도 휴대폰으로 전화가 오면 사용자는 충전기 하우징에 장착된 송수화기를 들어 전화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에서 휴대폰 거치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휴대폰 거치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100)는 충전기 하우징(110), 측면 지지부(130), 저면 지지부(140), 지지부 고정부재(150), 터미널 부재(160), 터미널 고정부재(170) 및 전원 공급 선(180)을 포함한다.
충전기 하우징(110)은 휴대폰 충전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 케이스(120) 및 통화 기능과 같이 충전기(100)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케이스(1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케이스(120) 및 확장 케이스(12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케이스 및 확장 케이스는 상호 물리적 및 기능적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거치 케이스(120)에는 측면 지지부(130), 저면 지지부(140), 지지부 고정부재(150), 터미널 부재(160) 및 터미널 고정부재(170)가 장착된다. 휴대폰이 거치 케이스(120)의 상면에 재치되고, 측면 지지부(130) 및 저면 지지부(140)가 각각 휴대폰의 측면 및 저면을 지지하여 휴대폰을 거치 케이스(120) 상에 고정시킨다.
이때, 터미널 부재(160)의 접속구(166, 168)는 휴대폰의 배면에 위치한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거치 케이스(120)의 저단부에는 터미널 부재(160)의 접속구(166, 168)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접속구(166, 168)는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거치 케이스(120)의 측면에는 확장 케이스(125)가 배치된다. 확장 케이스(125)는 거치 케이스(120)와 물리적 및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충전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00)의 확장 케이스(125)에는 송수화기(126)가 장착된다. 송수화기(126)는 확장 케이스(125)에 장착된 이어폰 선(127)을 통해서 휴대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휴대폰을 거치 케이스(120)에서 분리하지 않더라도 휴대폰의 통화 기능을 확장 할 수 있다.
송수화기(126)의 수신부에 대응하여 레버 스위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송수화기(126)의 초기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이 거치 케이스(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송수화기(126)를 들면, 레버 스위치를 통해 제어부(미도시)가 송수화기(126)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휴대폰으로 통화 신호를 송출하여 휴대폰의 통화 모드를 작동시키고, 그와 동시에 제어부는 송수화기(126)로 음성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확장 케이스(125)에는 키패드(128) 및 충전/통화 표시등(129)가 장착될 수 있다. 키 패드(128)는 통화 버튼, 종료 버튼 및 숫자 입력 버튼 등을 포함하며, 키 패드(128)를 통해서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기능 설정 및 정보 입력 등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충전/통화 표시등(129)은 충전 중 또는 충전 완료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통화 상태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지지부(130)는 제1 측면 지지링크(side supporting link)(132), 제1 측면 지지바(side supporting bar)(136), 제2 측면 지지링크(134) 및 제2 측면 지지바(138)를 포함한다.
제1 측면 지지링크(132)는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거치 케이스(120)의 대략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타단이 거치 케이스(12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측면 지지링크(132)는 굴곡점에 인접하게 거치 케이스(120)에 제1 힌지(132a)로 연결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한다.
상기 거치 케이스(120)의 측면에 위치한 상기 제1 측면 지지링크의 타단에제1 측면 지지바(136)가 제2 힌지(136a)로 연결된다. 제1 측면 지지바(136)의 내측을 향해 돌출부(137)가 형성된다. 돌출부(137)는 제1 측면 지지바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제1 측면 지지링크(132)가 휴대폰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1 측면 지지바(136)의 돌출부(137)가 휴대폰의 측면에 직접 접하고, 휴대폰 형상에 맞도록 제1 측면 지지바(136)는 제2 힌지(136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돌출부(137)를 휴대폰에 밀착시킨다.
상기 제1 측면 지지링크(132), 제1 측면 지지바(136) 및 돌출부(137)에 대향하여 제2 측면 지지링크(134), 제2 측면 지지바(138) 및 돌출부(139)가 거치 케이스(12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지지링크(134)도 역시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거치 케이스(120)의 대략 중심선 상에 위치하고 타단이 거치 케이스(12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 측면 지지링크(132)와 대칭을 형성한다. 또한, 제2 측면 지지링크(134)는 굴곡점에 인접하게 거치 케이스(120)에 제1 힌지(134a)로 연결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한다.
상기 거치 케이스(120)의 측면에 위치한 상기 제2 측면 지지링크의 타단에 제2 측면 지지바(138)가 제2 힌지(138a)로 연결된다. 제2 측면 지지바(138)의 내측을 향해 돌출부(139)가 형성된다. 돌출부(139)도 역시 제2 측면 지지바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제2 측면 지지링크(134)가 휴대폰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2 측면 지지바(138)의 돌출부(139)가 휴대폰의 측면에 직접 접하고, 휴대폰 형상에 맞도록 제2 측면 지지바(138)는 제2 힌지(138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돌출부(139)를 휴대폰에 밀착시킨다.
제1 및 제2 측면 지지링크(132, 134)에서 거치 케이스(120)의 대략 중심 상에 위치한 일단들은 연결 링크(133)에 의해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측면 지지링크(132, 134)가 각각 제1 힌지(132a, 134a)를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심 상에 위치한 일단들은 상호 겹치거나 이격될 수가 있다. 제1 및 제2 측면 지지링크(132, 134)가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 링크(133)는 이들 측면 지지링크 단부들의 간격 차이를 보정할 수가 있다.
또한, 연결 링크(133)에 의해서 연결된 부위에 대응하여 거치 케이스(120)의 후면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링크(133)의 연결 부위에서 제1 및 제2 측면 지지링크(132, 134) 중 어느 하나가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거치 케이스(120)의 후면에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의해서 측면 조절구(133a)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측면 지지바(136, 138), 돌출부(137, 139)는 각각 거치 케이스(120) 상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케이스(122) 내에 위치하며, 돌출부(137, 139)는 가이드 케이스(122)에서 내측을 향하면 형성된 홈(122a)을 통해 돌출된다. 제1 및 제2 측면 지지바(136, 138)의 움직임에 따라 돌출부(137, 139)도 각각 홈(122a)을 경계로 노출되는 길이를 달리 하면서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한다.
상기 측면 지지부(130)이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저면 지지부(140)는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저면 지지부(140)는 제1 저면 지지바(142) 및 제2 저면 지지바(14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저면 지지바(142, 144)는 거치 케이스(120)의 저면부 양측에 배치되고, 제2 힌지(142a, 144a)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저면 지지바(142, 144)가 제2 힌지(142a, 144a)를 중심으로 회동하되, 제2 힌지(142a, 144a)에는 각각 토션 스프링(143, 145)이 장착되어 거치 케이스(120) 상에 재치된 휴대폰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43, 145)은 제1 및 제2 저면 지지바(142, 144)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휴대폰의 저면에 밀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큰 힘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제1 및 제2 저면 지지바(142, 144)의 제2 힌지(142a, 144a)는 제1 및 제2 측면 지지바(136, 138)의 하단에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좌우로 배치된 측면 지지바(136, 138) 및 저면 지지바(142, 144) 사이에는 지지부 고정부재(150)의 고정구(152, 154)가 각각 제공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지지부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터미널 부재 및 터미널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 고정부재(150)는 제1 측면 지지바(136) 및 제1 저면 지지바(142) 사이에 배치된 제1 고정구(152) 및 제2 측면 지지바(138) 및 제2 저면 지지바(144) 사이에 배치된 제2 고정구(15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구(152, 154)는 각각 나사부(152a, 154a), 고정 플랜지(152b, 154b) 및 헤드(152c, 154c)를 각각 포함한다.
제1 고정구(152)에서 나사부(152a)는 거치 케이스(120)에 나사 결합을 형성하며, 헤드(152c)는 거치 케이스(120)의 후면에 노출된다. 따라서 헤드(152c)를 돌려 나사부(152a)를 축방향으로 전후진 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1 고정구(152)의 주변에 형성된 고정 플랜지(152b)가 나사부(152a)와 함께 이동하면서 제1 측면 지지바(136) 및 제1 저면 지지바(142)에 선택적으로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다. 고정 플랜지(152b)가 제1 측면 지지바(136) 및 제1 저면 지지바(142)와 접하면서 제1 측면 지지바(136) 및 제1 저면 지지바(142)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에 맞게 세팅된 돌출부(137) 및 제1 저면 지지바(14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구(152)에 대응하여 제2 고정구(154)도 나사부(154a), 고정 플랜지(154b) 및 헤드(154c)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며, 제2 측면 지지바(138) 및 제2 저면 지지바(144)의 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터미널 부재(160)는 제1 터미널 바(162) 및 제2 터미널 바(16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는 각각 접속구(166, 168)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는 거치 케이스(1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접속구(166, 168)가 거치 케이스(120)의 저면에 노출되어 거치 케이스(120) 상에 재치되는 휴대폰의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는 슬릿 형상의 홀(163, 165)을 포함한다. 슬릿 형상의 홀(163, 165)은 각각 가이드 바(163a, 165a)에 고정되며, 가이드 바(163a, 165a)를 따라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는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또는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슬릿 형상의 홀(163, 165)에 대향하여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에는접속구(166, 168)가 각각 형성되며, 접속구(166, 168)는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어 거치 케이스(120) 상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접속구(166, 168)은 스프링을 내장할 수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서 접속구(166, 168)의 단부는 부분적으로 만입될 수 있다.
터미널 부재(160)의 후면에는 터미널 고정부재(170)가 배치된다. 터미널 고정부재(170)는 고정 플레이트(172) 및 터미널 고정구(174)를 포함한다.
터미널 고정구(174)는 나사부(174a) 및 헤드(174b)를 포함한다. 터미널 고정구(174)에서 나사부(174a)는 거치 케이스(120)에 나사 결합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 사이에 배치된다. 헤드(174c)도 역시 거치 케이스(120)의 후면에 노출되며, 헤드(174c)를 돌려 나사부(174a)를 축방향으로 전후진 시킬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72)는 헤드(174c) 상에 배치되어 터미널 고정구(174)의 이동과 함께 이동한다. 고정 플레이트(172)가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와 접하면서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의 연결 단자에 맞게 세팅된 접속구(166, 168)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휴대폰을 거치 케이스(120) 상에 재치한 후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휴대폰을 위치시킨다. 이때, 저면 지지부(140)의 제1 및 제2 저면 지지바(142, 144)는 토션 스프링(143, 145)의 탄성에 의해서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 다음 거치 케이스(120) 후면의 측면 조절구(133a)를 상하로 이동하면서제1 및 제2 측면 지지링크(132, 134)를 휴대폰에 접근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측면 지지바(136, 138)도 측면 지지링크(132, 134)와 함께 같이 휴대폰에 접근하고 제2 힌지(136a, 138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휴대폰의 측면에 밀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측면 지지부(130) 및 지면 지지부(140)가 휴대폰 형상에 맞게 이동하여 휴대폰의 측면 및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폰에 대한 지지를 유지하면서 지지부 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세팅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고정구(152, 154)를 조여주면서 고정 플랜지(152a, 154b)를 측면 지지바(136, 138) 및 저면 지지바(142, 144)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일단, 제1 및 제2 측면 지지바(136, 138)가 고정되고 제1 및 제2 저면 지지바(142, 144)가 고정됨으로써, 이후에는 별도로 세팅할 필요 없이 동일한 휴대폰을 반복적으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물론, 다른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의 방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 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위치를 고정한 후, 터미널 부재(160)를 휴대폰의 연결 단자에 맞게 조정한다.
우선, 터미널 고정구(174)를 풀어 터미널 바(162, 164) 및 고정 플레이트(172) 간의 결속을 해제한다. 그 다음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를 이동하여 접속구(166, 168)가 휴대폰의 연결단자에 각각 접하도록 이동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는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및 직선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의 위치를 결정한 후, 터미널 고정구(174)를 돌려 고정 플레이트(172)를 제1 및 제2 터미널 바(172, 174)에 밀착 고정한다. 고정 플레이트(172)는 한번에 제1 및 제2 터미널 바(162, 164)를 고정시킬 수 있다.
터미널 부재(160) 역시 일단 고정되면 사용자가 결속을 해제할 때까지 위치가 고정되며, 반복적으로 휴대폰을 충전할 수가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100)는 다양한 형상의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연결 단자의 간격 및 높이에 따라 접속구 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거의 모든 기종의 휴대폰을 거치 및 충전할 수가 있다.
게다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100)는 충전과 동시에 휴대폰을 충전기(100)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통화를 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휴대폰 충전기(100)는 충전시 휴대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케이스(125)를 포함하며, 확장 케이스(125)에는 송수화기(126), 이어폰 선(127) 등이 장착되어 있다.
통화를 하지 않는 경우, 송수화기(126)는 확장 케이스(125)의 수용부 상에 놓여 있다. 수용부에는 송수화기(126)의 수신부에 대응하여 레버 스위치(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으며, 레버 스위치는 송수화기(126)가 수용부에 놓여 있는지 이탈되어 있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충전 중에도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 휴대폰이 거치 케이스(120)에 장착하고 이어폰 선(127)의 플러그를 휴대폰의 이어폰 잭에 꽂아 연결한다.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확장 케이스(125) 상의 키패드(128)를 사용한다.
그리고,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송수화기(126)를 들기만 하면 된다. 송수화기(126)를 들면, 레버 스위치를 통해 제어부(미도시)는 송수화기(126)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휴대폰으로 통화 신호를 송출하여 휴대폰의 통화 모드를 작동시키고, 그와 동시에 제어부(미도시)는 송수화기(126)로 음성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화가 끝나 송수화기(126)가 원위치에 놓여진 경우에도, 제어부는 송수화기(126)의 복귀를 감지하여 휴대폰으로 통화 종료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통화 모드를 중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케이스(125)에는 키패드(128) 및 충전/통화 표시등(129)가 장착된다. 키 패드(128)는 통화 버튼, 종료 버튼 및 숫자 입력 버튼 등을 포함하며, 키 패드(128)를 통해서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기능 설정 및 정보 입력 등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충전/통화 표시등(129)은 충전 중 또는 충전 완료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통화 상태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의 입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는 터미널부재(260)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부재(260)는 연결 플러그(262) 및 연결선(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미널 부재(260)를 제외한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100)의 구성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확장 케이스(125)에는 거치 케이스(120)에 인접하게 터미널 연결부(266)가 형성되고, 터미널 연결부(266)로부터 연결선(264) 및 연결 플러그(262)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플러그(262)가 휴대폰 하부의 입출력 단자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여기서 연결 플러그(262)는 기본 구성이 동일하며, 구체적인 휴대폰 제조업체에 따라 일부 형상 및 방식이 달리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제1 실시예와 같은 터미널 부재(160) 외에도 휴대폰과 같이 제공되거나 별도로 구입이 가능한 부품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측면 지지부, 저면 지지부, 지지부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을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휴대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송수화기(126)를 이용하여 충전 중에도 통화를 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정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200)는 제1 실시예의 거치 케이스(120) 및 그에 장착된 구성요소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의 거치 케이스(120), 측면 지지부(130), 저면 지지부(140), 지지부 고정부재(150), 터미널 부재(160) 및 터미널 고정부재(170)를 거의 동일하게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 역시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200)는 충전기 하우징(220), 측면 지지부(230), 저면 지지부(240), 지지부 고정부재(250), 터미널 부재(260), 터미널 고정부재(270) 및 전원 공급 부(280)을 포함한다.
충전기 하우징(220)에는 측면 지지부(230), 저면 지지부(240), 지지부 고정부재(250), 터미널 부재(260) 및 터미널 고정부재(270)가 장착된다. 휴대폰이 충전기 하우징(220)의 상면에 재치되고, 측면 지지부(230) 및 저면 지지부(240)가 각각 휴대폰의 측면 및 저면을 지지하여 휴대폰을 충전기 하우징(220) 상에 고정시킨다.
이때, 터미널 부재(260)의 접속구(266, 268)는 휴대폰의 배면에 위치한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충전기 하우징(220)의 저단부에는 터미널 부재(260)의 접속구(266, 268)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접속구(266, 268)는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230)는 제1 측면 지지링크(side supporting link)(232), 제1 측면 지지바(side supporting bar)(236), 제2 측면 지지링크(234) 및 제2 측면 지지바(238)를 포함한다.
제1 측면 지지링크(232)는 굴곡점에 인접하게 충전기 하우징(220)에 제1 힌지(232a)로 연결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고, 충전기 하우징(220)의 측면에 위치한 제1 측면 지지링크의 단부에는 제1 측면 지지바(236)가 제2 힌지(236a)로 연결된다. 돌출부(237)는 제1 측면 지지바(236)의 상/하단에서 내측을 향해 각각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 측면 지지링크(232), 제1 측면 지지바(236) 및 돌출부(237)에 대향하여 제2 측면 지지링크(234), 제2 측면 지지바(238) 및 돌출부(239)가 충전기 하우징(220)에 장착된다.
저면 지지부(240)는 제1 저면 지지바(242) 및 제2 저면 지지바(24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저면 지지바(242, 244)는 충전기 하우징(220)의 저면부 양측에 배치되고, 제2 힌지(242a, 244a)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부 고정부재(250)는 제1 측면 지지바(236) 및 제1 저면 지지바(242) 사이에 배치된 제1 고정구(252) 및 제2 측면 지지바(238) 및 제2 저면 지지바(244) 사이에 배치된 제2 고정구(25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고정구(252, 254)를 이용하여 제1 측면 지지바(236) 및 제1 저면 지지바(242)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에 맞게 세팅된 돌출부(237, 239) 및 저면 지지바(242, 24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터미널 부재(260)는 제1 터미널 바(262) 및 제2 터미널 바(26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터미널 바(262, 264)는 각각 접속구(266, 268)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터미널 바(262, 264)는 충전기 하우징(2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접속구(266, 268)가 충전기 하우징(220)의 저면에 노출되어 충전기 하우징(220) 상에 재치되는 휴대폰의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터미널 부재(260)의 후면에는 터미널 고정부재(270)가 배치된다. 터미널 고정부재(270)는 고정 플레이트(272) 및 터미널 고정구(27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의 형상과 무관하게 다양한 형상의 휴대폰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에 따라 배터리 연결 단자의 폭 및 위치가 달라도 각 배터리에 맞게 접속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세팅할 수가 있다.
또한, 송수화기를 별도로 장착함으로써 휴대폰을 충전하는 동안에도 자유롭게 통화를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 휴대폰이 재치되는 충전기 하우징;상기 휴대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 지지부;상기 휴대폰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저면 지지부;상기 휴대폰의 측면 및 저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세팅된 상기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저면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 고정부재; 및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제1 힌지로 고정된 측면 지지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링크가 상기 휴대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측면 지지링크의 단부에 제2 힌지로 연결된 측면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바의 양단에는 상기 휴대폰을 향하여 돌출부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링크가 상기 휴대폰을 향해 접근하고 상기 측면 지지바가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여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휴대폰의 측면에 각각 밀착하도록 세팅되고, 상기 지지부 고정부재가 상기 측면 지지바의 세팅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면 지지부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하단부에서 제3 힌지로 고정된 저면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저면 지지바는 상기 휴대폰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저면 지지부는 상기 제3 힌지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저면 지지바는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제3 힌지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면 지지부는 상기 휴대폰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 고정부재는 상기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저면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 고정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홀에 대응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저면 지지부를 부분적으로 밀착 및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저면 지지부의 세팅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으로부터 전원을 인출하는 연결선 및 상기 연결선의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휴대폰 하부의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접속구를 갖는 터미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구는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 연결 단자에 대응하도록 이동 및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터미널 부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접속구가 단부에 장착된 터미널 바를 포함하며,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터미널 바의 세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터미널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터미널 바에는 슬릿 형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 가이드 바를 수용하며, 상기 터미널 바는 상기 가이드 바에 의해서 일정 영역 내에서 회동 및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터미널 고정구 및 상기 터미널 고정구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 바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접속구에 인접하게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휴대폰의 연결 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상기 휴대폰이 재치되는 충전기 하우징;상기 휴대폰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폰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 지지부;상기 휴대폰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저면 지지부;상기 휴대폰의 측면 및 저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세팅된 상기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저면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 고정부재;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기 하우징 상에 거치되는 상기 휴대폰과 기능적으로 연결 가능한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 케이스 및 상기 송수화기가 장착 및 거치되는 확장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케이스에 상기 측면 지지부, 상기 저면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고정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제1 힌지로 고정된 측면 지지링크 및 상기 측면 지지링크의 단부에 제2 힌지로 연결되고 상/하단에서 돌출부가 내측을 향해 형성된 측면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링크가 상기 휴대폰을 향해 접근하고 상기 측면 지지바가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움직여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휴대폰의 측면에 각각 밀착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저면 지지부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하단부에서 제3 힌지로 고정된 저면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저면 지지바는 상기 휴대폰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 고정부재는 상기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저면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 고정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홀에 대응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저면 지지부를 부분적으로 밀착 및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측면 지지부 및상기 저면 지지부의 세팅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으로부터 전원을 인출하는 연결선 및 상기 연결선의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휴대폰 하부의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접속구를 갖는 터미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구는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 연결 단자에 대응하도록 이동 및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터미널 부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접속구가 단부에 장착된 터미널 바를 포함하며,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터미널 바의 세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터미널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터미널 고정구 및 상기 터미널 고정구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 바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충전기 하우징에는 상기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충전 표시등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충전기 하우징에는 통화키, 종료키 및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3605U KR200338967Y1 (ko) | 2003-10-27 | 2003-10-27 | 휴대폰 충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3605U KR200338967Y1 (ko) | 2003-10-27 | 2003-10-27 | 휴대폰 충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8967Y1 true KR200338967Y1 (ko) | 2004-01-16 |
Family
ID=4942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3605U KR200338967Y1 (ko) | 2003-10-27 | 2003-10-27 | 휴대폰 충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8967Y1 (ko) |
-
2003
- 2003-10-27 KR KR20-2003-0033605U patent/KR2003389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63980B2 (ja) | 携帯用電子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 |
US20020176571A1 (en) | Multi-function car phone holder | |
CN101529671B (zh) | 用于对便携式电子设备进行充电的适配器装置 | |
US5697070A (en) | Battery pack for portable transceiver | |
JP2000349875A (ja) |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 |
KR200338967Y1 (ko) | 휴대폰 충전기 | |
JP2951833B2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H07315138A (ja) | 携帯電話機ホルダー | |
KR19990039777U (ko) |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 |
CN109687542B (zh) | 蓝牙耳机的充电装置 | |
KR200201081Y1 (ko) |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 |
JP2001077899A (ja) | 携帯電話機用ホルダー装置 | |
CN209675556U (zh) | 插排设备 | |
JP2002170643A (ja) | 携帯電話機用コネクタ | |
US6619982B2 (en) | Charge adapter for charging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s | |
JP2003051875A (ja) |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 |
JP2002254355A (ja) | コードレス工具 | |
CN219419741U (zh) | 兼具手机支架功能的插线板 | |
JPH0997599A (ja) | 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電子機器 | |
CN109659754A (zh) | 插排设备 | |
JP2003100354A (ja) | 充電器 | |
CN219393945U (zh) | 多功能拖线板 | |
CN220108172U (zh) | 一种无线蓝牙耳机充电仓 | |
JPH0744113Y2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3276827B2 (ja) | 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