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853Y1 - 건조기구 - Google Patents

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853Y1
KR200338853Y1 KR20-2003-0030691U KR20030030691U KR200338853Y1 KR 200338853 Y1 KR200338853 Y1 KR 200338853Y1 KR 20030030691 U KR20030030691 U KR 20030030691U KR 200338853 Y1 KR200338853 Y1 KR 200338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upport plate
cover plate
crop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환
Original Assignee
고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세환 filed Critical 고세환
Priority to KR20-2003-0030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8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컨대 고추와 같은 작물을 자연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 건조기구(10)는 직각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핀부재(2)를 갖춘 격자형 받침판(1)과, 이 받침판(1)과 힌지부(5)로 연결되고서 상기 다수의 핀부재(2)의 위치와 상응한 위치에 다수의 구멍(4)이 형성된 덮개판(3)을 구비하여서, 수직하게 입체공간을 활용하여 작물을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작업에 필요한 면적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구 {Drying device}
본 고안은 예컨대 고추와 같은 작물을 자연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하게 설치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작물을 자연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고추와 같은 작물을 건조시킬 때에는 수평한 넓은 공간에 작물을 펼쳐 놓고서 태양열 및 자연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바, 이 방법은 상당히 넓은 면적의 수평공간을 필요로 하고, 일조시간 후에는 작물을 일일이 거두고 다음 날 다시 하나하나씩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며, 절반만 건조되기 때문에 작물을 뒤집어서 다시 한번 건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자연건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인공건조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열에 의해 쉽게 건조됨으로써 작물이 갖고 있는 독특한 향과 맛을 잃어버려서, 자연건조방법으로 얻어진 건조작물보다는 품질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는 자연풍을 이용하되, 수직하게 입체공간을 활용하여 작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된 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조시간 이후에는 작물을 집단적으로 수거할 수 있거나 비가림이 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완전 건조까지 수거할 필요가 없음과 더불어 작물이 놓인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서, 건조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될 수 있는 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건조기구를 이용하는 작물건조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건조기구(10)는 플라스틱재로 되고서 직각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핀부재(2)를 갖춘 격자형상의 받침판(1)과, 이 받침판(1)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재로 되어 힌지부(5)로 연결되고서 상기 다수의 핀부재(2)의 위치와 상응한 위치에 다수의 구멍(4)이 형성된 덮개판(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건조기구(10)는 임의의 걸이대(11:도 6 참조) 또는 다른 건조기구의 받침판(1)에 걸어 둘 수 있게 하는 선회가능한 고리부재(6)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받침판(1)의 양측면으로 난간형태의 측벽(1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5)는 받침판(1)과 덮개판(3)과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고서, 덮개판(3)이 받침판(1) 위에 덮어씌워질 수 있게 접혀지게 되어 있는 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기능을 하는 임의의 부재가 받침판(1)과 덮개판(3) 사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구(10)의 상기 핀부재(2)는 핀본체(21)상에 구형상부(22)를 갖추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구멍(4)은 이 구형상부(22)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되어 있어, 상기 바닥판(1)에 덮개판(3)을 덮어씌우며 가압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핀부재(2)의 구형상부(22)가 구멍들(4)에 억지끼움되어 관통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건조기구(1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바, 예컨대 고추와 같은 다수의 작물(7:도 3 참조)을 상기 받침판(1)의핀부재(2)들 사이에 배열하고서 상기 덮개판(3)을 덮어씌우되, 상기 다수의 구형상부(22)가 구멍들(4)을 관통하여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과 덮개판(3) 사이에 작물(7)이 안정되게 위치되고, 난간형태의 측벽(12)에 의해 작물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격자형상의 받침판(1)과 덮개판(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자연풍이 통과하면서 작물(7)이 자연건조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4에 도시된 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받침판(1)의 핀부재(2)와 덮개판(3)의 구멍(4)의 형태가 상이할 뿐, 다른 부재들의 구조는 동일하다.
즉,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구(20)의 상기 핀부재(2)는 핀본체(21)상에 걸림부(22')를 갖추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구멍(4)은 이 걸림부(22')의 형상과 상응하게 슬릿의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바닥판(1)에 덮개판(3)을 덮어씌우면 상기 핀부재(2)의 다수의 걸림부(22')가 구멍들(4)을 관통하되, 바닥판(1)이 그 무게로 인해 다소 아래로 쳐지게 되면서 상기 걸림부(22')가 구멍(4)에 걸림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건조기구(20)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고추와 같은 다수의 작물(7)을 상기 받침판(1)의 핀부재(2)들 사이에 배열하고서 상기 덮개판(3)을 덮어씌우되, 걸림부(22')가 구멍(4)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과 덮개판(3) 사이에 작물(7)이 안정되게 위치되고, 난간형태의 측벽(12)에 의해 작물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격자형상의 받침판(1)과 덮개판(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자연풍이 통과하면서 작물(7)이 자연건조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건조기구를 이용하는 작물건조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건조기구(10 또는 20)내에 다수의 작물을 위치시키고서 임의의 걸이대(11)에다 또는 다른 건조기구에다 고리부재(6)를 매개로 하여 걸어두면, 많은 작물을 동시에 자연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건물의 높은 벽을 이용하여 건조한다면 둘 이상의 건조기구를 직렬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당해분야의 숙련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조속히 건조하기 위해 선풍기나 열풍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하게 입체공간을 활용하여 작물을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작업에 필요한 면적을 절감할 수 있고 좁은 면적에서도 대량으로 건조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일조시간 이후에는 작물을 집단적으로 수거할 수 있거나 비가림이 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완전 건조까지 수거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작물이 놓인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아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궁극적으로 자연건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물이 갖고 있는 독특한 향과 맛을 유지하여 건조작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다수의 핀부재(2)를 갖춘 격자형 받침판(1)과, 이 받침판(1)과 힌지부(5)로 연결되고서 상기 다수의 핀부재(2)의 위치와 상응한 위치에 다수의 구멍(4)이 형성된 덮개판(3) 및, 임의의 걸이대(11)에 걸어 둘 수 있게 하는 고리부재(6)를 구비하는 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의 핀부재(2)는 핀본체(21)상에 구형상부(22)를 갖추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덮개판(3)의 구멍(4)은 상기 구형상부(22)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의 핀부재(2)는 핀본체(21)상에 걸림부(22')를 갖추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덮개판(3)의 구멍(4)은 이 걸림부(22')의 형상과 상응하게 슬릿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구.
KR20-2003-0030691U 2003-09-29 2003-09-29 건조기구 KR200338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691U KR200338853Y1 (ko) 2003-09-29 2003-09-29 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691U KR200338853Y1 (ko) 2003-09-29 2003-09-29 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853Y1 true KR200338853Y1 (ko) 2004-01-16

Family

ID=4934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691U KR200338853Y1 (ko) 2003-09-29 2003-09-29 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8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39B1 (ko) 2007-05-28 2008-01-03 안동시(농업기술센터)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39B1 (ko) 2007-05-28 2008-01-03 안동시(농업기술센터)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8853Y1 (ko) 건조기구
US6301800B1 (en) Method of use for inverted bonnet hair dryer
KR20110007989U (ko)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2264484B1 (ko) 송풍성이 개선된 빨래 건조대
KR100814286B1 (ko) 이동식 분리형 빨래 건조대
KR200264783Y1 (ko) 이단 빨래 건조대
WO2017217784A1 (ko) 송풍성이 개선된 빨래 건조대
KR20100070655A (ko) 절첩식 고추 건조대
KR20090005820U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JPH0354715Y2 (ko)
EP2145994A1 (en) Rotary washing line
JP3193257U (ja) 物干しスタンド構造
KR19990035802U (ko)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KR200284473Y1 (ko)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0297631Y1 (ko) 드라이 기 걸이대
JPS6127585Y2 (ko)
KR200254714Y1 (ko) 옥내용 간이 세탁물 건조기
KR0120019Y1 (ko) 벽설치형 빨래건조대
JPH0713674Y2 (ja) 衣類乾燥機
JPH077910Y2 (ja) 枕干し具
JP3013468U (ja) 洗濯物干し具
JPS6335755Y2 (ko)
KR900008024Y1 (ko) 휴대용 의류 건조팩(pack)
JPH0335278Y2 (ko)
JP2004344235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