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473Y1 -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473Y1
KR200284473Y1 KR2020020014397U KR20020014397U KR200284473Y1 KR 200284473 Y1 KR200284473 Y1 KR 200284473Y1 KR 2020020014397 U KR2020020014397 U KR 2020020014397U KR 20020014397 U KR20020014397 U KR 20020014397U KR 200284473 Y1 KR200284473 Y1 KR 200284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drying
rod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이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화 filed Critical 이종화
Priority to KR2020020014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473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각종 빨래를 널어서 건조시키는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판의 상측으로 연결봉 조립구를 형성하고 중앙연결봉의 내부에 고정부재를 인서트 조립하여 외측에서의 고정나사 조립으로 양측에서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결판(4, 4')의 상측 중앙으로 형성된 연결봉 조립구(60, 60')에 중앙연결봉(62)이 삽입되며, 중앙연결봉(62)의 양선단에 나사공(61')이 형성된 고정부재(61)가 조립되어 연결봉 조립구(60)의 외측에서 고정나사(63)로 고정되어 벌어짐을 방지하고 이동이 간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omitted}
본 고안은 가정에서 각종 빨래를 널어서 건조시키는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판의 상측으로 연결봉 조립구를 형성하고 중앙연결봉의 내부에 고정부재를 인서트 조립하여 외측에서의 고정나사 조립으로 양측에서 벌어 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건조대는 상측의 고정봉(3)에 건조봉(3')을 용접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연결하고 각도조절장치(2)에서 받침기둥(15)으로 지면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금속으로 성형되는 빨래건조대는 금속재료를 이용하므로 중량이 무겁고 페인트된 부분이 쉽게 벗겨져서 녹이 발생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최근에 와서는 상기의 이러한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스테인레스재질을 이용하므로 중량이 가벼워 사용 및 이동이 편리하고, 녹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봉(3)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건조봉(3')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고정봉(3)이 조립되는 연결구(5)가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건조봉(3')에 젖어있는 빨래를 고정시키게 되어 중량에 의하여 건조봉이 늘어지는 경우 고정봉에서 건조봉이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또한 각도조절봉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어서 고정봉의 각도조절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20-0201899호(2000. 8. 24등록)의 빨래건조대의 이탈바지장치는 연결구(5)에 조립되는 건조봉(3')의 내부에 나사축을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시켜 양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양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빨래건조대의 사용시에 접었을 때 이동하기 위하여 잡을 위치가 마땅치 않아 옮기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연결판의 상측으로 연결봉 조립구를 형성하여 이곳에 중앙연결봉을 삽입하고 중앙연결봉의 내부 양측선단에 고정부재를 인서트시켜 외측에서 고정나사를 조립하여 건조대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봉 조립구의 내부에 중앙연결봉을 조립하여 중앙연결봉으로 빨래건조대를 간편하게 들어 이동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판의 상측 중앙으로 형성된 연결봉 조립구에 중앙연결봉이 삽입되며, 중앙연결봉의 양선단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조립되어 연결봉 조립구의 외측에서 고정나사로 고정되어 떨어짐을 방지하고 이동이 간편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대 2 : 각도조절장치
3 : 고정봉 3' : 건조봉
4, 4' : 연결판 5, 5' : 연결구
6 : 연결장치 10 : 각도조절대
11 : 걸림홈 60, 60' : 연결봉 조립구
61 : 고정부재 61' : 나사공
62 : 중앙연결봉 63 : 고정나사
64 : 고정스크류 65 : 연결축
65' : 고정축 67 : 가이드대
본 고안은 ⊂형과 ⊃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봉(3)의 내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적어도 6개 이상의 건조봉(3')을 삽입하여 조립하고, 연결구(5, 5')에 형성된 삽입공(14)에 고정봉(3)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연결구(5, 5')는 연결판(4, 4')의 양측에서 고정축(65')과 연결축(65)의 조립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연결판(4, 4')에는 하측으로 ∧형의 각도조절대(10)가 조립된다.
각도조절대(10)는 하측으로 받침기둥(15)이 조립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의 걸림홈(1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11)중 하측에서 3개정도에 걸림날개(12)를 형성하여 각도조절봉(13)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각도조절봉(13)은 상측이 연결구(5, 5')의 봉삽입구(13')에 조립되어 있어서 고정봉(3)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연결판(4, 4')은 대칭되게 형성되어 고정축(65')과 연결축(65)이 조립되고 고정스크류(64)로 고정되며, 상측으로 덮개판(66, 66')이 조립되는 것이다.
덮개판(66, 66')의 상측에는 연결봉 조립구(60, 60')가 조립되며, 원형의 중앙연결봉(62)이 삽입되고 중앙연결봉(62)의 양선단에 나사공(61')이 형성된 고정부재(61)를 인서트 고정시키고 연결봉 조립구(60)의 외측에서 고정나사(63)로 고정시키는 연결장치(6)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결판(4, 4')의 내부에는 아치형의 가이드대(67)가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구(5, 5')와 각도조절대(10)의 회전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건조대(1)는 각도조절장치(2)에 의하여 고정봉(3)과 연결구(5, 5')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각도조절봉(13)을 각도조절대(10)의 가장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11)에 조립하면 고정봉(3)이 수평을 이루며 설치된다.
건조봉(3')에는 세탁된 빨래를 널어 건조시키게 되며, 고정봉(3)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도조절봉(13)을 여러 개의 걸림홈(11)에서 그 고정위치를 변경시킴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는 것이다.
걸림홈(11)의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날개(12)는 걸림홈(11)에 걸리는 각도조절봉(13)의 이탈을 방지하며, 각도조절대(10)에서 하측으로부터 3곳 정도에만 설치하면 고정봉(3)을 너무 큰 각도로 유지하지 않는 한 여러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걸림날개(12)를 통하여 각도조절봉(13)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앙연결봉(62)이 연결봉 조립구(60, 60')에 삽입되어 고정나사(63)로 고정부재(61)의 나사공(6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봉(3)이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봉(3')의 이탈을 방지하고 중량 물인 빨래가 건조봉(3')에 널려지는 경우에도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연결봉(62)은 건조대(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건조대(1)를 펼친 상태 또는 접은 상태로 옮기는 경우에는 중앙연결봉(62)을 한 손으로 잡아서 간편하게 옮길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건조봉이 조립되는 고정봉이 연결구에 삽입되고 연결판의 상측에 형성된 연결봉 조립구에 중앙연결봉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고정봉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건조대를 더욱 튼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연결봉이 건조대의 중앙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건조대를 옮기는 경우 간편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연결판(4, 4')의 양측으로 연결구(5, 5')가 조립되어 건조봉(3')이 삽입되는 고정봉(3)이 설치되며, 연결판(4, 4')의 하측으로 각도조절대(10)가 연결되어 고정봉(3)의 각도를 조절하는 건조대(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4, 4')의 상측 중앙으로 형성된 연결봉 조립구(60, 60')에 중앙연결봉(62)이 삽입되며, 중앙연결봉(62)의 양선단에 나사공(61')이 형성된 고정부재(61)가 조립되어 연결봉 조립구(60)의 외측에서 고정나사(63)로 고정되어 벌어짐을 방지하고 이동이 간편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20020014397U 2002-05-08 2002-05-08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0284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397U KR200284473Y1 (ko) 2002-05-08 2002-05-08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397U KR200284473Y1 (ko) 2002-05-08 2002-05-08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549A Division KR100479131B1 (ko) 2003-02-24 2003-02-24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473Y1 true KR200284473Y1 (ko) 2002-08-03

Family

ID=7312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397U KR200284473Y1 (ko) 2002-05-08 2002-05-08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4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61B1 (ko) * 2009-02-17 2012-01-25 이안제 장식 무늬로 이루어진 빨래 건조대
KR101107068B1 (ko) * 2009-02-17 2012-01-30 이안제 장식 무늬로 이루어진 빨래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61B1 (ko) * 2009-02-17 2012-01-25 이안제 장식 무늬로 이루어진 빨래 건조대
KR101107068B1 (ko) * 2009-02-17 2012-01-30 이안제 장식 무늬로 이루어진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157B1 (ko) 회전식 빨래 건조대
KR100479132B1 (ko)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130136894A (ko)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100539653B1 (ko) 건축물의 확장형 베란다 구조
KR200284473Y1 (ko)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US20060138061A1 (en) Spinning clothes-hanger
KR200284474Y1 (ko)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100479131B1 (ko)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1689523B1 (ko) 빨래 건조대의 건조봉 간격과 각도 조절용 건조장치
KR20110026892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슬라이드 빨래 건조대
KR200307537Y1 (ko) 벽면 부착형 행거의 걸이대 각도 조절구조
KR200201899Y1 (ko)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100882242B1 (ko)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0243033Y1 (ko) 빨래거치대가 설치된 빨래건조대
KR200456736Y1 (ko) 빨래 건조대
KR20110007989U (ko)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100084756A (ko)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을 갖는 선반형 빨래 건조대
JP4592621B2 (ja) 物干し具
KR101252352B1 (ko) 회전식 건조대
KR101118208B1 (ko) 빨래 건조대
KR200390317Y1 (ko) 빨래건조대의 빨래걸이봉과 지지판의 고정구조
KR200345247Y1 (ko) 빨래 걸이장치 고정용 앵커
KR200307501Y1 (ko) 벽에 설치되는 접이형 빨래건조대
KR19990035802U (ko)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