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352B1 - 회전식 건조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352B1
KR101252352B1 KR1020100116011A KR20100116011A KR101252352B1 KR 101252352 B1 KR101252352 B1 KR 101252352B1 KR 1020100116011 A KR1020100116011 A KR 1020100116011A KR 20100116011 A KR20100116011 A KR 20100116011A KR 101252352 B1 KR101252352 B1 KR 10125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ting part
drying
buil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744A (ko
Inventor
서광호
Original Assignee
서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호 filed Critical 서광호
Priority to KR102010011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3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85Collapsible clothes racks, e.g. swingable, foldable, extend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베란다 난간을 중심으로 외부에 대상물을 노출시켜 건조 및 소독이 용이한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건조대{A revolving rack for desiccation}
본 발명은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식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건조대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거나 태양광에 소독하기 위하여, 또는 대상물에 붙어 있는 먼지 및 다양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공간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접철식, 접이식 스탠드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건조대는 대상물을 장착한 공간에 고정되는 것에 그쳐, 건조가 끝나고 건조대 및 건조대를 제거하기 전에는 대상물이 설치된 공간만큼 다른 활용이 불가하였다. 또한 사람의 통행이 잦은 실내 공간에 설치할 때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어린아이들이 통행을 할 경우 부딪혀 다치거나 또는 건조대가 쓰러지는 위험성이 있었다. 나아가, 특히 고층 건물과 같은 곳에서 태양광 등에 노출시키려고 할 때, 외부 공간의 활용이 불가하여 그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베란다를 확장하여 실내처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빨래를 실내에서 건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실내에서 건조하는 세탁물에서는 악취가 자주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실내에 널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045863호에서 공동주택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회전식 빨래건조대가 고안되었으나 베란다 난간의 수직 축 사이에 복잡한 건조통을 설치하여, 상기 건조통 자체를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기존 난간 축을 일부 제거해야 하는 한편, 전원 및 모터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비용적 부담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이불과 같은 부피 및 무게가 비교적 많이 나가는 대상물에 대해서는 해당사항이 없어, 실질적으로 건조 및 소독에 필요한 대상물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7-0001725호 역시 베란다 난간에 설치 가능한 형태의 건조대를 기재하고 있으나, 해당 건조대는 여전히 사람이 대상물을 실외로 펼쳐 걸도록 고안되어 있어, 대상물을 건조대에 장착하는데 위험 요소가 존재하고, 대상물의 다른 면을 노출시키기 위하여는, 대상물을 다시 수거하여 뒤집는 등의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목적 회전식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층 건물에서 건조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다목적 회전식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회전식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는 회전식 건조대의 체결부(300)가 설치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1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체결부 경계의 내부 및 외부로 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제1회전부의 일측 말단(이하, 일측단)에 형성된 제2회전부(200)에 의해 제1회전부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건조 대상물을 별도의 추가 구조 없이 건조 및 회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건조대'란 건조 대상물을 장착한 후, 태양광, 온도,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의 물리적 상태 및/또는 화학적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대는 태양광 및 바람을 이용하여 건조될 수 있는 대상물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먼지를 날리거나, 소독을 목적하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대상물'이란 사용자가 건조대에 장착하여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는 유형물로써 그 크기, 무게, 종류와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조 대상물은 사용자가 건조를 목적하는 모든 유형물을 의미하고, 경우에 따라 소독과 같은 목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대상물의 예로는 양말, 셔츠, 바지와 같은 의류, 이불, 매트 커버, 담요와 같은 이불류 및 건조 및 소독을 위한 건어물과 같은 식품류 등이 있다. 다만, 상기 예에 의해 건조 대상물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건조 및/또는 소독하고자 의도하는 모든 다른 유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회전식'이란 용어는 소정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한 형태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회전식은 난간을 중심으로 한 내부에서 외부로 회전 및 외부에서 내부로 회전하는 형태, 및 제1회전부(1)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한 360도 회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는 건조대를 외부에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본원 발명의 건조대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물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건조대를 사용하는 경우,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고층 건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층 건물의 베란다 외부에 건조대를 설치할 수 있다.
셋째, 건조 대상물을 실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어렵거나 실내에서보다 실외에 노출시키는 경우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의 건조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는 빨래줄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장소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외부로의 직접 이동이 불가한 건물의 외부로 대상물을 노출시키는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의 형태, 및 지지대와의 분리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회전식 건조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동작 모습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동작 모습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를 건물 외부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회전식 건조대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는 건조대를 실내에서 실외로, 또는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회전부(100), 제1회전부(100)의 일측 말단에 구비되고 건조 대상물을 장착하기 위한 제2회전부(200); 제1회전부(100)의 타측 말단에 위치하여 제1회전부(100)와 고정부를 연결하고 제1회전부를 실내 및 실외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부(410); 및 건조대를 소정의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부(200)는 제1회전부(100)의 말단부에 소정의 축으로 고정되고,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건조대는 상기 제1회전부(100)를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500)는 제1회전부(100)와 고정부(400) 사이에 구비되어 제 1회전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회전부 및 제2회전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회전부(100)는 일측 말단은 제2회전부(200)와 결합되고, 타측 말단은 체결부(410)와 연결되어 체결부(410)를 중심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물을 나타낸다.
제1회전부(100)는 제1회전부의 일측 말단에 결합되는 제2회전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2회전축(130)을 포함한다. 이때, 제2회전축은 제2회전부(200)를 제1회전부(100)에 고정하고, 제2회전부(200)를 제2회전축(13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축(130)은 제2회전부(200)의 중심 부분 또는 일측 말단부에서 제1회전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부(100)는 체결부(410)와 결합하고 체결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제1회전축(110)을 포함한다. 즉, 제1회전축(110)은 체결부(410)의 열린 구조에 삽입되거나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회전부(100) 및 제2회전부(200)를 구성하는 재료는 건조 대상물을 지탱할 수 있는 재료이면 충분하다.
제1회전부의 제1회전축(110)은 체결부(41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회전부(100) 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대는 제1회전부의 제1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안(내부, inner space)과 밖(외부, outer space)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대상물의 장착이 가능한 내부 공간에서 장착이 불가능한 외부 공간으로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서 제2회전부(200)는, 체결부(410)와 연결된 제1회전부(100)의 타측 말단에 형성된 구조물로서, 바람직하게 건조 및/또는 소독을 위한 건조 대상물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제2회전부(20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데, 이러한 회전은 제1회전부(100)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별개로 가능하며, 연속적으로 또는 단발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제2회전부(200)의 회전은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한 수동 조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부의 전자동적 회전에 필요한 추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원격조정으로 제2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부(200)의 회전은 대상물의 특징, 형태 및 무게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당업자가 회전 방법, 회전 간격과 같은 요소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부(200)에 고정되는 건조 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2회전부(200)에 고정클립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고정클립은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그 종류나 형태에 제한이 없으며, 제2회전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정클립은, 건조 대상물의 종류, 크기, 무게, 부피 및 형태 등이 다양한 바, 다양한 건조 대상물을 제2회전부에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클립은 회전부의 골격과 평행할 수 있고, 회전축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클립은 건조 대상물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축과 평행으로 탈착될 수 있다.
고정클립은 고정클립 자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임이 바람직하고, 탄성이 크고, 무거운 무게의 대상물을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클립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대상물 또는 목적에 적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평면도로서 제1회전부는 제2회전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동작 모습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는 2 단계의 회전을 수행함으로써 건조 대상물을 건물 외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해의 도움을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를 고층 건물, 바람직하게는 아파트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첫째로, 아파트의 난간을 중심으로 한 내부 및 외부로의 회전은 본 발명의 제1회전부(100) 일측단에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부(4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행된다. 둘째로, 제2회전부(200)의 회전은 또한 제1회전부의 일측단에서 제2회전부가 회전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고 있는 제1회전부의 일측단이 제2회전부의 회전 중심축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제2회전부는 360도 자유회전이 가능하다.
회전식 건조대는 고정부(400)를 통해 건물의 난간 및 베란다의 난간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회전식 건조대가 건물의 난간에 고정된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에서 체결부(410)를 중심으로 내부와 외부를 나눌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제1회전부(100) 및 제2회전부(200)는 내부에 위치해 있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해 외부로 제1회전부(100) 및 제2회전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는 체결부(410)를 중심축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는 제1회전부(100)가 체결부(300)를 중심으로 건물 외부로 이동한 후의 최종 상태를 나타낸다. 다만, 도 4(b)의 경우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부(500)를 조작하여 제1회전부를 고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4(c)의 경우는 제1회전부를 180도 회전한 이후의 최종 상태를 나타낸다. 지지부는 제1회전부가 회전을 마친 이후에 제1회전부와 고정부 사이에서 제1회전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부(500)는 0도 내지 90도의 각도로 제1회전부(10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15도, 30도, 45도 및 75도 등의 고정된 각도를 갖는 형태로 고정부(4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4와 같은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건물 내부에서 제2회전부에 건조대상물을 고정하고, 제1회전부를 회전시켜 건물 외부로 건조대상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제2회전부를 회전하여 건조 대상물의 건조 부위를 바꿔줄 수 있다.
또는, 제1회전부를 조작하여 외부에 놓여진 건조 대상물을 건물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부를 회전하여 건조 대상물의 건조 위치를 변경한 후, 다시 제1회전부를 조작하여 건물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건조 대상물에 대한 건조가 완료된 경우 제1회전부를 조작하여 건물 내부로 건조 대상물을 가져온 후, 건조 대상물을 제2회전부에서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체결부(410)는 제1회전부(100)와 제1회전축(110)을 중심으로 결합하여 제1회전부를 지지하고, 제1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410)는 고정부(400)와 함께 난간 등 건조대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구조물에 건조대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체결부(410)는 고정부(400)와 함께 건조대를 난간 등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체결부(410)는 제1회전부(100), 제1회전부의 타측 말단에 연결된 제2회전부(200) 및 제2회전부 상에 장착되는 건조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이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지지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 체결부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체결부는 건조대를 난간에 고정하는 동시에, 제1회전부의 제2회전축을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건조대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제1회전부(100)의 회전 각도를 조절 또는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제1회전부(100)의 회전각을 조절하거나, 목적하는 회전각을 이루고 있는 제1회전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회전부(100)를 조작하여 건물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를 건물의 외부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500)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체결부(410)와 고정부(400) 만으로도 제1회전부(100)를 건물의 외부에 회전시킨 후 목적된 부분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건조 대상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제1회전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500)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통상적인 각도로 고정된 형태일 수도 있고, 목적에 따라 회전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00)는 체결부(300) 및 고정부(400)와 분리형일 수도 있고, 일체형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동작 모습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체결부(410)의 구성이 도 3의 체결부와 다른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에는 체결부가 제1회전부(100)를 수직방향으로 90도 이상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건조 대상물을 건물 외부로 이동시키는데 반하여, 도 5의 경우는 체결부(410)가 제1회전부를 수평방향으로 180도 이상 270도 회전시킴으로써 건조 대상물을 건물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a)는 건조대의 최초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회전부에 건조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b)와 같이 제2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제1회전부를 회전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물 외부로 위치할 수 있다. 도 5(c)는 제1회전부를 회전하여 건물 외부에 위치시킨 최종 모습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건물 외부에 제1회전부를 위치한 이후에 제2회전부를 조작하여 건조 대상물의 건조 부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도 5(b)의 과정을 반복하여 건물 내부로 건조 대상물을 가져온 후, 제2회전부를 조작하여 건조 부위를 변경한 후 다시 건물 외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조대를 건물 외부(예를 들어, 난간 등)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고정부(400)는 본 발명의 건조대를 난간, 발코니 및 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 목적에 적합하도록 당업자가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고정부(400)는 베란다의 최말단에 설치되어 있는 난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의 결착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부(400)는 난간에 본 발명의 건조대를 장착한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갈고리 형태 중 열린 부분을 나사와 같은 통상적인 수단으로 고정 가능하도록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는 체결부(300) 및 지지부(500)와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부 및 지지부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재료, 강도 등은 건조대의 사용목적, 건조대의 설치 조건 또는 대상물의 특징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당업자가 임의적으로 선택 및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가 포함된 본 발명의 회전식 건조대의 구조는 도 5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Claims (4)

  1. 회전식 건조대에 있어서,
    건조 대상물을 장착하는 제2회전부와 제2회전축을 매개로 결합하고, 상기 제2회전부를 사용자가 목적하는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1회전부;
    상기 제1회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부를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건물 외부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식 건조대를 상기 건물의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식 건조대는 상기 제1회전부를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회전부를 상기 건물의 외부로 위치시키고,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의 건조 부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의 회전각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건조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에 상기 건조 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건조대.
KR1020100116011A 2010-11-22 2010-11-22 회전식 건조대 KR10125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011A KR101252352B1 (ko) 2010-11-22 2010-11-22 회전식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011A KR101252352B1 (ko) 2010-11-22 2010-11-22 회전식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744A KR20120054744A (ko) 2012-05-31
KR101252352B1 true KR101252352B1 (ko) 2013-04-08

Family

ID=4627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011A KR101252352B1 (ko) 2010-11-22 2010-11-22 회전식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4139B2 (en) * 2017-07-25 2021-02-16 Guand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adio frequency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38B1 (ko) * 2017-06-15 2019-04-09 김재현 베란다 거치형 햇볕 건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255A (en) 1985-04-18 1986-12-30 Kennedy William D Foldable clothes hanger
JPH11192184A (ja) 1997-12-26 1999-07-21 Minoru Tagami 掛け具
JP2002065502A (ja) 2000-09-01 2002-03-05 Ooe:Kk タオル等の掛け具
JP2005230205A (ja) 2004-02-19 2005-09-02 Takara Sangyo Kk 物干金物の竿保持アーム延長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255A (en) 1985-04-18 1986-12-30 Kennedy William D Foldable clothes hanger
JPH11192184A (ja) 1997-12-26 1999-07-21 Minoru Tagami 掛け具
JP2002065502A (ja) 2000-09-01 2002-03-05 Ooe:Kk タオル等の掛け具
JP2005230205A (ja) 2004-02-19 2005-09-02 Takara Sangyo Kk 物干金物の竿保持アーム延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4139B2 (en) * 2017-07-25 2021-02-16 Guand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adio frequency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744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157B1 (ko) 회전식 빨래 건조대
US20120137534A1 (en) Apparatus for drying clothes
KR101252352B1 (ko) 회전식 건조대
CN108589201B (zh) 一种户外可伸缩晾衣杆装置
KR101862627B1 (ko) 베란다 난간용 빨래 건조대
KR200434609Y1 (ko) 태양광 건조대
KR101345916B1 (ko) 베란다용 이불 및 세탁물건조대
KR20150083579A (ko) 수직형 회전날개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KR101930173B1 (ko) 베란다 난간설치용 건조대
KR101063101B1 (ko) 이부자리 건조대
JP2006192205A (ja) 風力回転式物干し具
KR20130005317U (ko) 빨래건조대용 선풍기 및 이의 부착방법
JP2006280872A (ja) 物干し具
KR20100008206U (ko) 베란다용 옥외이불 건조대
KR101118208B1 (ko) 빨래 건조대
CN110924094A (zh) 电动晾衣架部件
KR101239285B1 (ko) 빨래건조대
JP3168864U (ja) オーニング
KR19990014283U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1898719B1 (ko) 휴대용 건조대
CN209039814U (zh) 一种有利于衣物晾晒的阳台
JP3159380U (ja) 和室内用物干し竿取り付け器
KR20130002074U (ko) 건조대
KR880000297Y1 (ko) 세탁물 건조대
CN208717594U (zh) 一种便于拆装的挂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