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019Y1 - 벽설치형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벽설치형 빨래건조대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0019Y1 KR0120019Y1 KR2019940024109U KR19940024109U KR0120019Y1 KR 0120019 Y1 KR0120019 Y1 KR 0120019Y1 KR 2019940024109 U KR2019940024109 U KR 2019940024109U KR 19940024109 U KR19940024109 U KR 19940024109U KR 0120019 Y1 KR0120019 Y1 KR 01200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pin
- wall
- angle
- rail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목적]
벽설치형 절첩식으로서 옷걸이봉의 양단을 지지하는 아암의 전개각도를 조정하기가 자유로와 피건조물의 길이에 맞춰 피건조물의 끝자락이 땅에 닿지 않도록 안전하게 걸어 말릴 수 있는 편리함과,접었을 때 벽으로 부터의 돌출정도가 미약하여 건조대곁을 지나다닐적에 돌출장애물이 되지 않는 벽설치형 절첩식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상하단 부근에 앵커공(11,12)을 둔 벽 부착대(1)에서 앞면의 좌우측에 옆막이(13)을 돌출시키고 이들 옆막이(13) 사이의 안쪽에는 위 아래로 적당히 단차를 두고서 복수의 걸림턱(14,15)을 형성하는 한편 걸림턱(14,15)의 앞쪽 적소에는 핀공(17)을 천공하여 핀(4)을 끼우고 옆막이(13)의 선단부 내면에는 레일홈(16)을 형성하며, 옷걸이봉지지지용 아암(2)의 이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6)에 안내되는 종돌출부(24)를 형성하되 선단에 멈춤턱(25)을 부여하며 또한 이면의 하단부에는 아암(2)의 전개각도에 따라 상기 핀(4)에 무소위적으로 걸리고 수직으로 세워내리면 핀(4)을 빠져나갈 수 있는 걸이(22)를 형성하며 동시에 아암(2)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14,15)에 선택적으로 밑걸림시킬 뿔(23)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벽 부착대의 사시도.
제2도는 벽 부착대의 종단측면.
제3도는 벽 부착대의 평면도.
제4도는 아암의 사시도.
제5도는 아암의 각도조정 및 접은 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벽 부착대 2 : 아암
4 : 핀 12,12 : 앵커공
13 : 옆막이 14,15 : 걸림턱
16 : 레일홈 17 : 핀공
22 : 걸이 23 : 뿔
24 : 종돌출부 25 : 멈춤턱
본 고안은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벽설치형 절첩식으로 옷걸이봉의 양단을 지지하는 아암의 전개각도를 조정하기가 자유로와 피건조물의 길이에 맞춰 피건조물의 끝자락이 땅에 닿지 않도록 안전하게 걸어 말릴 수 있는 편리함과, 접었을 때 벽으로 부터의 돌출정도가 미약하여 건조대 곁을 지나다닐 적에 돌출장애물이 되지 않는 벽설치형 절첩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설치식 빨래건조대로서는 빨래한 옷가지를 직접 또는 빨래가지가 걸린 옷걸이를 걸어두는 옷걸이봉이 종축을 중심으로 선회시켜서 접든가 혹은 윗쪽으로 완전히 접을 수 있게 한 것이 있다.
이러한 벽설치형 절첩식 빨래건조대는 그러나 옷걸이봉이 약하기 때문에 한 두가지 가벼운 옷 이외에 보다 많은 옷을 걸어둘 수가 없어 건조할 빨래감이 많을 때 불편하다.
또 굵은 철봉으로 된 옷걸이봉의 양단을 한쌍으로 이뤄지는 아암에 끼운 선반형 빨래건조대도 있는데, 이건 구조의 빨래건조대는 빨래감의 길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여기에 건 긴 빨래의 하단이 땅에 닿는 수가 있어 애써 세탁한 빨래감을 다시 더럽히는 사례가 있었다. 즉, 옷걸이봉의 높낮이조정이 불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암의 고정단은 피봇으로 벽부착대에 지지시킨 것이기 때문에 위로 접었더라도 강풍이나 외력을 받든지 혹은 오랜 사용으로 피봇점이 헐거워진 경우 약간의 외력에도 쉽게 되펴져 접힌 상태가 온전하게 지탱되지 못하고마는 문제도 돌출되기 쉬운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건조물의 길이에 따라 용이하게 옷걸이봉의 높낮이에 변화를 줄 수 있고, 접었을 때의 안정감을 높여 사용상 안전한 벽설치형 절첩식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여러 단에서 아암의 각도를 잠정 고정할 수 있는 턱을 형성한 벽부착대와 무고정식 아암으로 주어진 각도범위내에서 벽부착대에 대하여 직각, 예각으로 손쉽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벽부착대와 나란히 접어서 손을 대지 않는 한 그대로 머물러 있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각기 한쌍의 벽부착대(1)와 아암(2) 및 옷걸이봉(3)으로 이뤄진다.
벽부착대(1)는 상하단 부근에 벽의 앵커에 걸어둘 수 있는 앵커공(11,12)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앵커공(11,12)사이에는 서로 나란하고 또한 규모가 동일한 옆막이(13)가 돌출되어 있다.
옆막이(13)의 사이에는 아암(2)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이리로 아암(2)을 헐겁게 끼운다.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양쪽 옆막이(13) 사이에 2개의 걸림턱(14,15)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수를 늘릴 수도 있으며, 걸림턱(14,15)의 위치에 따라 아암(2)의 전개각도가 달라진다.
이를 테면, 상위의 걸림턱(14)은 벽부착대(1) 상에서 아암(2)이 그것과 직각, 즉 수평으로 전개되어 지탱할 수 있는 위치이고, 하위 걸림턱(15)은 수직과 수평사이의 예각에서 아암(2)을 펼쳐서 지탱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암(2)의 전개각도가 상기와 같을 경우 예각용 걸림턱(15)은 대략 30~45°전후에서 결정하는 것이 피건조물의 높낮이변화폭이 적당하다.
옆막이(13)의 선단 내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레일홈(16)이 있다.
이 레일홈(16)에는 아암(2)의 양측면 뒤쪽에서 돌출시킨 종돌출부를 레일끼움하는 것으로, 벽면에 나란히 접을 때에 이용한다.
또 옆막이(13)의 적소에는 핀공(4)을 뚫고 핀(4)을 꽂는다. 이 핀(4)은 벽부착대(1)에 무고정점식으로 조립되는 아암(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일종의 스토퍼로 기능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선단과 중간 또는 후단 등에 옷걸이봉(5)을 끼워서 지지할 봉공(21)을 가진 아암(2)의 이면에서 그 하단부 근처에는 걸이(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이(22)는 아암(2)이 뻗은 방향으로 나란하고, 상당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은 열려있으나 하단은 아암(2)에 연결되는 부분에의하여 막혀 있다.
그리고, 아암(2)의 이면과 걸이(22)와의 사이는 상기 핀(4)의 굵기보다도 약간 넓게 띄어서 아암(2)을 접고 펼칠 때 또는 전개각도를 변경할 때에 핀(4)을 비껴 다니기 용이하게 한다.
아암(2)의 후단에는 윗쪽을 향하여 초생달을 닮은 뿔(23)을 형성한다. 이 뿔(23)은 상기 걸림턱(14,15)밑으로 기어들어가서 걸리는 부분이다. 뿔(23)이 아암(2)의 후단 지지를 위한 점이라고 볼 때 상기 핀(4)은 그 앞쪽을 지지하는 받침점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아암(2)의 이면 양측에는 그 길이 전반에 걸쳐 종돌출부(24)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홈(16)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이 종돌출부(24)의 선단에는 멈춤턱(25)을 둔다.
상기와 같은 벽부착대(1)와 아암(2), 옷걸이봉(3) 및 핀(4)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아암(2)을 직각되게 전개하면 제 5도와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때, 뿔(23)은 상위 걸림턱(14)밑에 걸리고 걸이(22)는 하단부 근처 안쪽이 핀(4)에 걸려진다.
이 상태에서, 아암(2)의 선단을 잡고서 반시계방향으로 틀면 상위 걸림턱(14)에서 뿔(23)이 빠진다. 그러나 아직 걸이(22)가 핀(4)에 걸려있으므로 분리되지는 않는다. 그대로 아암(2)을 앞쪽으로 당긴 다음에 하위 걸림턱(15)에 뿔(23)을 걸친다. 이때는 수평으로 예각으로 아암(2)의 자세가 바뀐다.
이 처럼 아암(2)이 예각을 취하면 옷걸이봉(3)이 보다 높이 올라간다. 그래서 수평자세를 취했을 때보다도 더 긴 피건조물을 땅에 닿지않게 걸어서 말릴 수가 있다.
아암(2)의 예각자세에서 이번에도 아암(2)의 선단을 잡고 상기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틀면 뿔(23)이 하위 걸림턱(15)에서 빠진다. 이대로 아암(2)을 잡아당겨서 핀(4)에 걸이(22)의 하단이 걸리게 한 후 아암(2)을 꼿꼿이 세우고 그 종돌출부(24)의 하단을 레일홈(16)의 상단언저리에 맞추고 살며시 내린다. 그러면 아암(2)은 벽부착대(1)와 나란한 자세로, 또한 아암(2)에서 손을 떼더라도 자기무게가 있어서 그대로 내려간다.
레일홈(16)은 애당초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암(2)이 내려진 상태도 역시 수직이다. 이는 아암(2)이 수평으로 전개된 때에 비하면 아암(2)의 돌출정도는 미미하여 인근을 지날 때에 걸리적거리는 일이 거의 없을 정도다. 아암(2)이 완전히 내려가면 멈춤턱(25)이 상기 레일홈(16)의 상면 언저리에 닿아 걸린다. 이후에는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한다. 접힌 아암(2)을 전개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머물게 하려면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간단히 이뤄진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의 벽부착형 절첩식 빨래건조대는 옷걸이봉의 양단을 지지하는 아암의 전개각도를 조정하기가 자유로와 피건조물의 길이에 맞춰 피건조물의 끝자락이 땅에 닿지 않도록 안전하게 걸어 말릴 수 있는 편리함과, 접었을 때 벽으로 부터의 돌출정도가 미약하여 빨래건조대곁을 지나다닐 적에 돌출장애물이 되지 않는 잇점이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 상하단 부근에 앵커공(11,12)을 둔 벽부착대(1)에서 앞면의 좌우측에 옆막이(13)을 돌출시키고 이들 옆막이(13)사이의 안쪽에는 위 아래로 적당히 단차를 두고서 복수의 걸림턱(14,15)을 형성하는 한편 걸림턱(14,15)의 앞쪽 적소에는 핀공(17)을 천공하여 핀(4)을 끼우고 옆막이(13)의 선단부 내면에는 레일홈(16)을 형성하며, 옷걸이봉지지용 아암(2)의 이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6)에 안내되는 종돌출부(24)를 형성하되 선단에 멈춤턱(25)을 부여하며 또한 이면의 하단부에는 아암(2)의 전개각도에 따라 상기 핀(4)에 무소위적으로 걸리고 수직으로 세워내리면 핀(4)을 빠져나갈 수 있는 걸이(22)를 형성하며 동시에 아암(2)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14,15)에 선택적으로 밑걸림시킬 뿔(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설치형 빨래건조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4109U KR0120019Y1 (ko) | 1994-09-16 | 1994-09-16 | 벽설치형 빨래건조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4109U KR0120019Y1 (ko) | 1994-09-16 | 1994-09-16 | 벽설치형 빨래건조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1245U KR960011245U (ko) | 1996-04-15 |
KR0120019Y1 true KR0120019Y1 (ko) | 1998-08-17 |
Family
ID=1939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24109U KR0120019Y1 (ko) | 1994-09-16 | 1994-09-16 | 벽설치형 빨래건조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0019Y1 (ko) |
-
1994
- 1994-09-16 KR KR2019940024109U patent/KR012001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1245U (ko) | 1996-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8088B1 (ko) | 빨래 건조대 | |
KR0120019Y1 (ko) | 벽설치형 빨래건조대 | |
KR20100010036U (ko) | 접이식 빨래건조대 | |
KR100452187B1 (ko) | 빨래건조대 | |
KR200307501Y1 (ko) | 벽에 설치되는 접이형 빨래건조대 | |
KR20130071940A (ko) | 접철식 빨래건조대 | |
JP3165325B2 (ja) | 物干し装置 | |
KR200222652Y1 (ko) | 다방향 접이식 빨래 건조대 | |
KR102091545B1 (ko) | 빨래 건조대 | |
KR200449512Y1 (ko) | 천장부착형 세탁물 건조대 | |
KR200311034Y1 (ko) | 접이식 세탁물 건조대 | |
JPS5920880Y2 (ja) | 物干杆付き洗濯物篭 | |
KR101967138B1 (ko) | 베란다 거치형 햇볕 건조대 | |
KR200332561Y1 (ko) | 세탁물 건조대용 걸이대 고정구 | |
KR200403290Y1 (ko) | 접철식 빨래 건조대 | |
KR920006187Y1 (ko) | 절첩식 의류 건조장치 | |
KR960003977Y1 (ko) | 조립식 빨래 건조대 | |
KR200176598Y1 (ko) | 세탁물용 건조대 | |
KR200264783Y1 (ko) | 이단 빨래 건조대 | |
JP2001129299A (ja) | 携帯用物干し具 | |
KR200332503Y1 (ko) | 절첩식 보조 걸이봉을 구비한 빨래 건조대 | |
JPH02174899A (ja) | 物干し竿支承装置 | |
JP2762339B2 (ja) | 物干し具 | |
KR200360691Y1 (ko) | 접이식 빨래 건조대 | |
KR200176600Y1 (ko) | 세탁물의 간이 건조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