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139B1 -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139B1
KR100791139B1 KR1020070051253A KR20070051253A KR100791139B1 KR 100791139 B1 KR100791139 B1 KR 100791139B1 KR 1020070051253 A KR1020070051253 A KR 1020070051253A KR 20070051253 A KR20070051253 A KR 20070051253A KR 100791139 B1 KR100791139 B1 KR 10079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arm
crop
stem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근
엄태영
Original Assignee
안동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시(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안동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07005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00Stationary apparatus or hand tools for forming or binding straw, hay or the like into bundles
    • A01F1/04Fastening or ty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농작물을 신속하고 안정되게 단 형태로 묶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통해 결박된 농작물을 안정되고 손쉽게 거치하여 건조하는 농작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일단에 힌지 브라켓이 마련되고 타단에 고정 결속부가 형성된 고정암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암의 고정 결속부에 고정되어, 링형의 링 구조를 형성하는 회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호 대향하는 고정암의 내벽, 회동암의 내벽, 또는 이들 양자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암과 회동암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가 탄지부재에 의해 균일하게 탄지하여 고정되어서, 농작물의 안정된 결박상태가 구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제공하고 있다.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 농작물용 건조장치, 힌지, 탄지부재, 판 스프링, 건조, 탈곡, 결박

Description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Binder for farm product, and apparatus for drying farm product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통한 농작물의 결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건조 및 탈곡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건조장치를 통한 농작물의 건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
10. 고정암 11. 힌지 브라켓
12. 견착턱
20. 회동암 21. 힌지
22. 미늘형 탄성 걸림편
30, 탄지부재 31. 핀
32. 판부재 33. 스프링
34. 견착핀
100. 농작물용 건조장치
110. 지지 프레임 111. 고정공
112. 고정핀
120. 보조 프레임
130. 견착 가이드 141,142. 스크린
본 발명은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 및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농작물을 신속하고 안정되게 단 형태로 묶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통해 결박된 농작물을 안정되고 손쉽게 거치하여 건조하는 농작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참깨나 들깨 또는 콩 등의 농작물 등은, 노지에서 낫 등으로 절취되어 단형태로 결박된 다음, 열매가 상부에 형성되도록 세워 자연 건조하게 된다.
그런데, 작업자가 절취된 농작물을 일일이 노끈 등을 이용하여 결박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고 또 어렵다.
특히나, 안정된 결박을 위해 노끈의 단부를 강하게 당겨야 하는데, 최근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농촌의 실정을 감안할 때, 노인이 상기 노끈을 강하게 당겨 결박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이와 같이 단의 안정된 결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농작물의 결박상태가 해체되므로, 단의 형성을 작업자가 재시도 하여야 하는 번거러움 및 시간적 투자가 요구된다.
한편, 이와 같이 참깨나 들깨 또는 콩 등의 농작물을 단 형태로 묶어 자연 건조하면 열매를 감싸고 있는 껍질이 벌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단을 해체하여 막대기 등으로 타격하여서,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열매를 수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농작물을 건조 및 탈곡할 수 있는 전용의 장치가 강구되지 아니하여, 작업자가 상기 단 형태로 결박된 농작물을 비닐이나 멍석 등을 깔고 세워서 자연 건조시키는 한편, 이를 작업장으로 옮겨서 일일이 막대기 등으로 때려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열매를 수확하고 있는 관계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건조과정 중에 우기가 도래할 경우, 농작물의 열매가 썩어 상품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농작물의 줄기를 신속하고 안정되게 단 형태로 묶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 와, 이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통해 결박된 농작물을 안정되고 손쉽게 거치하여 건조하는 농작물용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는,
일단에 힌지 브라켓이 마련되고 타단에 고정 결속부가 형성된 고정암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암의 고정 결속부에 고정되어, 링형의 링 구조를 형성하는 회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호 대향하는 고정암의 내벽, 회동암의 내벽, 또는 이들 양자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암과 회동암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가 탄지부재에 의해 균일하게 탄지하여 고정되어서, 농작물의 안정된 결박상태가 구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지부재는 고정암 내벽 또는 회동암의 내벽 또는 이들 양자에 복수 배설된 핀과; 상기 핀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를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판부재가 고정암과 회동암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를 균일하게 탄지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동암의 타단과 고정암의 타단에는 고정 결속부로 미늘형의 탄성 걸림편과 미늘형의 탄성 걸림편이 견착되는 견착턱이 택일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고정암 내벽 또는 회동암의 내벽 및 이들 양자에, 견착핀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암과 회동암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들이 견착핀에 의해 물리적으로 견착되어 외부 이탈이 예방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용 건조장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개방형의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배설되며 상기한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견착하는 견착 가이드;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농작물 줄기 결박구가 견착 가이드에 농작물의 줄기를 결박하여 견착되어 농작물이 거꾸로 매달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자연 건조되면, 작업자는 농작물을 때려 열매를 스크린에 자중 낙하시켜 수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착 가이드가 직교하여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에는 복수의 고정공이 수직 이격되게 형성되어, 작업자는 견착 가이드의 설치 위치를 택일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통한 농작물의 결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1)는,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농작물의 줄기를 가압하여 단 형태로 일괄 묶는 기능을 도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에 힌지 브라켓(11)이 마련되고 타단에 고정 결속부가 형성된 고정암(10)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10)의 일단에 힌지(21)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암(10)의 고정 결속부에 고정되어, 링형의 링 구조를 형성하는 회동암(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회동암(20)의 타단에는 고정 결속부로 미늘형의 탄성 걸림편(2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암(10)의 타단에는 고정 결속부로 상기 미늘형의 탄성 걸림편(22)이 견착되는 견착턱(1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암(10)에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농작물의 줄기들을 배열한 다음, 힌지 결속된 회동암(20)을 절환시키게 되면, 고정암(10)의 타단에 형성된 견착턱(12)에 회동암(20)의 타단에 형성된 미늘형의 탄성 걸림편(22)이 견착되어,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1)는 링형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농작물의 줄기들은, 고정암(10)의 내벽과 회동암(20)의 내벽에 긴밀하게 압착되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암(20)의 내벽에 탄지부재(30)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암(10)과 회동암(20)의 내벽 사이에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P)들이 보다 긴밀한 압착되고, 또 작업자가 고정암(10)에 농작물의 줄기들을 적정량 보다 많게 또는 적게 배열하더라도 공히 농작물의 줄기들은 탄지부재(30)에 의해 안정된 압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탄지부재(30)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 우레탄 또는 스프링 등 다양한 탄성 활용될 수 있으며, 회동암(20)의 내벽 뿐 아니라 고정암(10)의 내벽, 및 이들 양자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탄지부재(30)는, 회동암(20)에 복수 배설된 핀(31)과; 상기 핀(31)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판부재(32); 및 상기 판부재(32)와 회동암(20)의 내벽 사이를 탄지하는 스프링(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회동암(20)의 내벽에 탄지부재(30)를 배설하면, 스프링(33)에 의해 탄지된 판부재(32)가 고정암(10)과 회동암(20) 사이에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P)들을 균일하고 긴밀하게 탄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암(10)에 농작물의 줄기(P)를 적정량 보다 많게 또는 적게 배열하더라도 공히 농작물의 줄기는 탄지부재에 의해 안정된 압착상태가 유지되어, 농작물 줄기들이 이탈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암(10) 내벽 또는 회동암(20)의 내벽 및 이들 양자에 견착핀(34)을 마련하여, 상기 고정암(10)과 회동암(20)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P)의 줄기들이 견착핀(34)에 의해 물리적으로 견착되어 외부 이탈이 예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암(20)의 내벽에, 복수의 견착핀(34) 을 등간격으로 배설하고 있으며, 상기 견착핀(34)은 고정암(10)과 회동암(20)을 고정하는 힌지(21)에서 점차 거리가 멀어질수록 긴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농작물의 결박을 위한 회동암(20)의 회전과정 중에, 힌지(21)에서 거리가 가까운 견착핀(34)이 농작물 줄기(P)에 무리하게 간섭받아 휘는 등의 변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건조장치를 통한 농작물의 건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1)를 통해 단 형태로 결박된 농작물들을 안정되게 거치하여,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건조 및 탈곡할 수 있는 농작물용 건조장치(100)를 도 3과 도 4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상기 농작물용 건조장치(100)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10)과 보조 프레임(120)들로 이루어진 개방형의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도면을 보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하부에는 제 1 스크린(141)과 2 스크린(142)을 포함하는 한쌍의 스크린(141,142)이 이격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스크린(141)의 투과공의 직경은 제 2 스크린(142)의 투과공 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는 농작물의 줄기들을 단 형태로 결박한 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1)가 견착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견착 가이드(130)가 좌우 양편에 배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착 가이드(130)의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농작물의 길이에 따라 견착 가이드(130)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항시 결박구(1)에 고정된 농작물(P)들이 스크린(141, 142)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견착 가이드(130)가 직교하여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10)에 복수의 고정공(111)을 수직 이격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결박구(1)를 통해 고정되어진 농작물의 길이에 따라 견착 가이드(130)를 지지 프레임(11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공(111)에 고정함으로써, 농작물의 길이에 적합하도록 견착 가이드(130)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12는 지지 프레임과 견착 가이드를 고정공을 통하여 고정하는 고정핀임.***
상기 견착 가이드(130)에 결박구(1)를 통해 거꾸로 매달려진 농작물(P)들은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며, 추후 작업자는 농작물(P)을 막대기 등으로 간편하게 때려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의 수확물을 획득하게 된다.
이를 부연하자면, 상기 농작물(P)에서 탈리된 수확물은 하부에 설치된 스크린(141,142)에 적층되며, 깍지 등의 부피가 큰 이물질은 상부에 설치된 제 1 스크린(141)에 적층되고, 참깨나 들깨 또는 콩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수확물은 하부에 설치된 제 2 스크린(142)에 적층되어 수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힌지 결속된 고정암과 회동암을 통해 농작 물의 줄기들을 가압하여 단형태로 결박할 수 있는 결박구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줄기용 결박구는, 사용이 간편하며 또 내벽에 탄지부재가 마련되어서, 농작물 줄기의 부피에 크게 제약 없이 공히 안정되게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농작물용 건조장치는, 상기 농작물 줄기 결박구를 통해 단 형태로 묶여진 농작물을 거꾸로 매달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자연 건조되므로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고, 또 농작물의 이동 없이 건조장치에 설치된 상태로 참깨, 들깨 또는 콩 등을 수확할 수 있어, 신속한 수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일단에 힌지 브라켓이 마련되고 타단에 고정 결속부가 형성된 고정암과; 일단이 상기 고정암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암의 고정 결속부에 고정되어, 링형의 링 구조를 형성하는 회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호 대향하는 고정암의 내벽, 회동암의 내벽, 또는 이들 양자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암과 회동암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가 탄지부재에 의해 균일하게 탄지하여 고정되어서, 농작물의 안정된 결박상태가 구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재는 고정암 내벽 또는 회동암의 내벽 또는 이들 양자에 복수 배설된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를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판부재가 고정암과 회동암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를 균일하게 탄지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의 타단과 고정암의 타단에는 고정 결속부로 미늘형의 탄성 걸림편과 미늘형의 탄성 걸림편이 견착되는 견착턱이 택일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 내벽 또는 회동암의 내벽 및 이들 양자에, 견착핀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암과 회동암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된 농작물의 줄기들이 견착핀에 의해 물리적으로 견착되어 외부 이탈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
  5.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개방형의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배설되며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를 견착하는 견착 가이드;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농작물 줄기 결박구가 견착 가이드에 농작물의 줄기를 결박하여 견착되어 농작물이 거꾸로 매달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자연 건조되면, 작업자는 농작물을 때려 열매를 스크린에 자중 낙하시켜 수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건조장치.
KR1020070051253A 2007-05-28 2007-05-28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KR10079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53A KR100791139B1 (ko) 2007-05-28 2007-05-28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53A KR100791139B1 (ko) 2007-05-28 2007-05-28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139B1 true KR100791139B1 (ko) 2008-01-03

Family

ID=3921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253A KR100791139B1 (ko) 2007-05-28 2007-05-28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8187A (zh) * 2020-01-16 2020-06-05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农作物晾晒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551Y1 (ko) * 1986-08-23 1989-03-11 박성용 무청건조대
KR200187951Y1 (ko) 1998-03-18 2000-07-15 장근홍 농작물용 결속밴드
KR200321124Y1 (ko) 2003-04-22 2003-07-23 이예순 절첩형 농수산물 건조대
KR200338853Y1 (ko) 2003-09-29 2004-01-16 고세환 건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551Y1 (ko) * 1986-08-23 1989-03-11 박성용 무청건조대
KR200187951Y1 (ko) 1998-03-18 2000-07-15 장근홍 농작물용 결속밴드
KR200321124Y1 (ko) 2003-04-22 2003-07-23 이예순 절첩형 농수산물 건조대
KR200338853Y1 (ko) 2003-09-29 2004-01-16 고세환 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8187A (zh) * 2020-01-16 2020-06-05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农作物晾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453Y1 (ko) 과일 수확기
US20090025357A1 (en) Tree fruit collection device v-shaped support
US4901513A (en) Collection netting for fruits and nuts trees
KR20180108348A (ko) 유실수의 열매 또는 낙엽받이 기구
KR100895423B1 (ko) 농작물 지지용 집게
KR20200099301A (ko) 농작물 지지대용 스프링구조의 탈착식 지지끈 연결클립
KR100791139B1 (ko)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KR20170101057A (ko) 은행나무 열매 낙과 수거장치
KR20140091792A (ko) 농작물용 집게
US201401440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plant support
US20080092439A1 (en) Tree stake
CN207706897U (zh) 一种果树支撑装置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CN109392470A (zh) 用于块茎作物分段收获的减损捡拾机构
CN105409444A (zh) 沙田柚采摘收集装置
CN209824528U (zh) 一种可调式寒富苹果树拉枝器
KR20130085787A (ko) 배추결구장치
CN211174883U (zh) 一种昆虫诱捕器快速固定装置
KR2017005241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KR20190127164A (ko) 나무열매 수집장치
CN216088455U (zh) 一种果树种植用害虫粘黏贴
KR20210109395A (ko) 고추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장치
KR200229297Y1 (ko) 과실 수확 및 추락 방지용 그물망
CN216254307U (zh) 一种甜瓜果实用防坠网兜
CN220173926U (zh) 一种智能连栋温室便携式番茄果穗挂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