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164A - 나무열매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나무열매 수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7164A KR20190127164A KR1020180051393A KR20180051393A KR20190127164A KR 20190127164 A KR20190127164 A KR 20190127164A KR 1020180051393 A KR1020180051393 A KR 1020180051393A KR 20180051393 A KR20180051393 A KR 20180051393A KR 20190127164 A KR20190127164 A KR 201901271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tree
- link
- link piec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무의 줄기 외주면에 부착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하부가 결합되며 상부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부착되며 나무 줄기의 외주면에 콘 형상으로 장착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에 제1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고리가 형성된 다수의 링크편;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일측 링크편의 제1고리와 타측 링크편의 제2고리가 결합되고, 제1고리와 제2고리를 관통하는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양측의 링크편이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나무 줄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열매가 유실되지 않고 한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지면과 충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나무 줄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열매가 유실되지 않고 한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지면과 충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무열매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 줄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열매가 유실되지 않고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지면과 충돌되지 않아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나무열매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 호두, 대추 등과 같은 열매는 수확기간이 짧고, 수확작업에 다수의 인력이 동원되며, 수확시기에 인부가 부족하여 인부 수급에도 문제가 되고 있다.
열매의 수확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낱개로 따거나, 자연적으로 떨어진 상태의 열매를 줍거나, 막대기로 털어서 땅에 떨어뜨린 후 줍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지면과 충돌함으로써 열매의 외면에 흠집이 발생하여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단기간만 필요한 인력을 다수 확보해야 하므로 현재의 농촌 실정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이와 더불어, 나무가 식재된 곳이 경사져 있을 경우 경사면 상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과실을 줍는 과정 역시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줍는 과정에서 미끄러져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나무 줄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열매가 유실되지 않고 한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지면과 충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나무열매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의 줄기 외주면에 부착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하부가 결합되며 상부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부착되며 나무 줄기의 외주면에 콘 형상으로 장착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에 제1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고리가 형성된 다수의 링크편;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일측 링크편의 제1고리와 타측 링크편의 제2고리가 결합되고, 제1고리와 제2고리를 관통하는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양측의 링크편이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나무열매 수집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무 줄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열매가 유실되지 않고 한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지면과 충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링크편'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링크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지지봉'의 여러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그물망의 보강단'에 대한 여러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그물망'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링크편'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링크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지지봉'의 여러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그물망의 보강단'에 대한 여러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그물망'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링크편'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링크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지지봉'의 여러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그물망의 보강단'에 대한 여러가지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의 '그물망'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열매 수집장치(A)는, 나무의 줄기 외주면에 부착되는 체결부재(100); 상기 체결부재(100)에 하부가 결합되며 상부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지지봉(300); 상기 지지봉(300)에 부착되며 나무 줄기의 외주면에 콘 형상으로 장착되는 그물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00)는, 일측에 제1고리(330)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고리(340)가 형성된 다수의 링크편(310,310')이 연결되어 연속적인 밴드타입으로 구성되어 반경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00)를 밴드타입으로 형성하기 위해, 일측 링크편(310)의 제1고리(330)와, 타측 링크편(310')의 제2고리(340)가 결합되고, 제1고리(330)와 제2고리(340)를 관통하는 힌지핀(350)으로 결합되어 양측의 링크편(310)(310')이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고리(3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에 삽입홈(332)이 형성되고, 제2고리(3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32)에 삽입됨으로써 제1고리(330)와 제2고리(34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링크편(310,390)에는 걸림홈(382)이 형성되고, 타측 링크편(310')에는 걸고리(384)가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할수도 있다.
상기한 다수의 링크편(310,3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되, 다수의 링크편 중 어느 하나의 링크편(310)은, 상부를 향하는 지지봉(300)이 결합되는 연결구(370)가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370)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관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구(370)는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구(37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체결부재(10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링크편(310,310') 중 일측 링크편(310)과 연결되는 보조링크편(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링크편(390)에는 제1고리(330)가 형성된다. 이 제1고리(330)에는 타측 링크편(310)의 제2고리(340)에 힌지 결합되어 보조링크편(390)과 링크편(310')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수의 링크편 중 어느 하나의 링크편(310)은, 외면 일측에 제1고정구(3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구(313)는 양측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링크편(390)은, 외면 일측에 상기 제1고정구(313)에 대응되는 제2고정구(392)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구(392)는 양측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구(313)와 제2고정구(392)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며 나사회전에 의해 양측 보조링크편(390)과 링크편(310')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부재(394)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결합된 조임부재(394)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양측의 보조링크편(390)과 링크편(310')에 각기 일체로 형성된 제1고정구(313)와 제2고정구(392)에 각기 결합된 2개의 보조링크편(390)과 링크편(310')의 조임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나무 줄기(G)의 외면에 너무 강하게 체결부재(100)가 부착되면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므로 체결부재(100)를 초기에 체결할때는 약간의 거리로 이격시킨 후 조임부재(394)를 조여주어 미세하게 조임력을 조절한다.
지지봉(300)은 그물망(500)을 설치하기 위해 나무 줄기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봉(300)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이 형성된다.
길이조절수단은 지지봉(300)을 다수의 관체를 서로 끼움결합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거나 또는 다수의 관체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접철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봉(300)은 상단이 일자형 선단부, 후크형 선단부(302), 뾰족한 선단부(303), T자형 선단부(304)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그물망(500)은 펼쳤을때 직사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그물망(500)을 설치했을때 원추 형상이 되어야 하므로 하단부의 원주 길이가 상단부의 원주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물망(500)은 상단에 직물을 접어서 된 보강단(52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단(520)에는 지지봉(300)의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단(520)을 부분적으로 재봉시켜 재봉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는 끼움공(5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상기 결합수단은 보강단(520)의 상부에 형성되어 T자형 선단부(304)가 결합되는 고리부재(564)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결합수단은 보강단(5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일자형 선단부, 후크형 선단부(302), 뽀족한 선단부(303)가 결합되는 링이 형성된 탭(566)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그물망(500)의 하단에는 나무 줄기에 밀착되도록 탄력밴드(5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무 줄기(G)의 외주면의 둘레를 잰 후 그에 맞춰서 체결부재(100)의 길이를 설정한다.
즉 다수의 링크편(310,310')을 서로 연결시켜 밴드형상이 되도록 체결부재(100)를 가조립한다. 다수의 링크편(310,310')이 힌지핀(350)으로 연결됨으로써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가조립된 체결부재(100)를 나무 줄기(G)의 외주면에 설치한 후 조임부재(394)를 조이거나 풀면서 나무 껍질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체결부재(10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후 연결구(370)에 지지봉(300)의 하단부를 끼워 나무 줄기(G)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봉(300)을 배열한다.
이후 다수의 지지봉(300)의 상단이 그물망(500)에 끼워지도록 하여 그물망(500)을 설치하고, 그물망(500)의 하단 탄력밴드(540)를 나무 줄기(G)에 밀착되도록 하여 그물망(500)이 대략 원추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후 나무 열매를 털어서 낙하되도록 하여 그물망(500)에 떨어져서 하부로 모일 수 있게 된다.
적절한 수량의 열매가 수집되면 그물망(500)의 하부 탄력밴드(540)의 일부위를 개방시켜 열매를 수거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체결부재 300 : 지지봉
310,310' : 링크편 330 : 제1고리
332 : 삽입홈 340 ; 제2고리
370 : 연결구 384 : 걸고리
390 : 보조링크편 394 : 조임부재
500 : 그물망 562 : 끼움공
564 : 고리부재 566 : 탭
540 : 탄력밴드
310,310' : 링크편 330 : 제1고리
332 : 삽입홈 340 ; 제2고리
370 : 연결구 384 : 걸고리
390 : 보조링크편 394 : 조임부재
500 : 그물망 562 : 끼움공
564 : 고리부재 566 : 탭
540 : 탄력밴드
Claims (7)
- 나무의 줄기 외주면에 부착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하부가 결합되며 상부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부착되며 나무 줄기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에 제1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고리가 형성된 다수의 링크편;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일측 링크편의 제1고리와 타측 링크편의 제2고리가 결합되고, 제1고리와 제2고리를 관통하는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양측의 링크편이 각기 회전되어 반경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열매 수집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링크편 중 어느 하나의 링크편은,
상부를 향하는 지지봉이 결합되는 연결구가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는 외측을 향해 벌어지게 경사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열매 수집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링크편 중 일측 링크편의 제1고리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링크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링크편은 타측 링크편의 제2고리에 힌지 결합되어 2개의 링크편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열매 수집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링크편에는, 외면 일측에 제1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구는 양측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링크편에는, 외면 일측에 상기 제1고정구에 대응되는 제2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양측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며 나사회전에 의해 양측 링크편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열매 수집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단이 일자형 선단부, 후크형 선단부, 뾰족한 선단부, T자형 선단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 수집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상단에 직물을 접어서 된 보강단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의 하단에는 나무 줄기에 밀착되도록 탄력밴드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단에는 지지봉의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열매 수집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단을 부분적으로 재봉시켜 재봉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는 끼움공이거나, 보강단의 상부에 형성되어 T자형 선단부가 결합되는 고리부재 또는 보강단의 상부에 형성며 링이 형성된 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열매 수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393A KR20190127164A (ko) | 2018-05-03 | 2018-05-03 | 나무열매 수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393A KR20190127164A (ko) | 2018-05-03 | 2018-05-03 | 나무열매 수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7164A true KR20190127164A (ko) | 2019-11-13 |
Family
ID=6853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1393A KR20190127164A (ko) | 2018-05-03 | 2018-05-03 | 나무열매 수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2716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9704B1 (ko) * | 2020-01-20 | 2020-12-11 | 김응래 | 수목 열매 및 낙엽 수집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510A (ko) | 2014-12-31 | 2016-07-1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매 수집기 |
-
2018
- 2018-05-03 KR KR1020180051393A patent/KR201901271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510A (ko) | 2014-12-31 | 2016-07-1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매 수집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9704B1 (ko) * | 2020-01-20 | 2020-12-11 | 김응래 | 수목 열매 및 낙엽 수집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5560B1 (ko) | 유실수의 열매 또는 낙엽받이 기구 | |
KR101672968B1 (ko) |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 |
US4901513A (en) | Collection netting for fruits and nuts trees | |
KR20180006217A (ko) |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 | |
US9743790B2 (en) | Illumination assembly for providing a Christmas tree impression | |
KR102001206B1 (ko) | 은행 낙과 수집 장치 | |
KR102306948B1 (ko) | 그물망을 이용한 고추 줄기 지지 장치 | |
KR20190127164A (ko) | 나무열매 수집장치 | |
CN209517942U (zh) | 一种可调式花果采集装置 | |
US20170105364A1 (en) | Plant Support | |
US20190289793A1 (en) | Tree branch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 |
CN207399883U (zh) | 一种豆科种子收集装置 | |
CN212813061U (zh) | 一种西红柿种植用枝杈支撑装置 | |
KR102359374B1 (ko) | 고추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장치 | |
KR20190074349A (ko) | 해충방제 기능을 갖는 농업용 지지대 | |
CN208353978U (zh) | 一种设施栽培瓜类采摘装置 | |
CN207460997U (zh) | 树木加固支架 | |
CN207201367U (zh) | 一种摘收瓜果工具 | |
US6044638A (en) | Fruit harvesting tool | |
KR100791139B1 (ko) | 농작물용 줄기 결박구와, 이를 이용한 농작물용 건조장치 | |
KR200486121Y1 (ko) | 농작물 지지장치 | |
CN219395740U (zh) | 一种苹果组培苗种植用枝干支撑架 | |
CN218277897U (zh) | 试验种子储存袋晾晒防风网 | |
KR20200066022A (ko) | 임의의 장대 봉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과일 수확 장치용 프레임 모듈 | |
CN215074024U (zh) | 一种采摘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