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314Y1 - 프레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314Y1
KR200338314Y1 KR20-2003-0031768U KR20030031768U KR200338314Y1 KR 200338314 Y1 KR200338314 Y1 KR 200338314Y1 KR 20030031768 U KR20030031768 U KR 20030031768U KR 200338314 Y1 KR200338314 Y1 KR 200338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block body
fram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창
Original Assignee
김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창 filed Critical 김희창
Priority to KR20-2003-0031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3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조립이 간편하고 부품수를 줄여 부품의 관리 및 비용절감에 유리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프레임 연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제1결합홈(3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프레임(30)과; 제2결합홈(4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프레임(40)과; 블럭몸체(53)와, 블럭몸체(53)의 일면에 제1결합홈(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블럭(51)이 형성되고, 블럭몸체(53)의 타면에 제2결합홈(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블럭(52)이 형성된 연결블럭(50)과; 블럭몸체(53)에 체결되며 그 가장자리가 제1,2프레임(30)(40)에 밀착되는 커버부재(60)와; 연결블럭(50)과 커버부재(60)를 체결고정시키는 체결볼트(7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연결장치는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한 연결블럭과 커버부재와의 체결력에 의해서 제1,2프레임이 연결고정되게 되므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하고 조립부품수를 절감한다.

Description

프레임 연결장치{A apparatus for jointing a fram}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립이 간편하고 부품수를 줄여 부품의 관리 및 비용절감에 유리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프레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반도체 제조설비등 자동화설비의 구조물에는 프레임 예컨대,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서 연결된다.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각 면에는 너트(2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너트홈(11)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홈(11)은 너트(22)가 결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이용하여 자동화설비의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하여는, 직삼각형태 고정블럭(20)의 각 직각면에 각각 볼트(21)를 결합하고 너트(22)를 볼트(21)에 헐겁게 결합시킨다. 이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각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단부로부터 너트(22)를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각 볼트(21)를 조임하여 고정블럭(20)과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이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두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연결고정하기 위하여는 적어도 2개의 볼트(21) 조임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조립 및 부품의 관리가 번거롭다.
둘째, 작업자의 작업능력에 따라 각 알루미늄 프로파일(10)에 고정되는 너트(22)와 볼트(21)의 체결력이 교차하여 연결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0)에서와 차이가 발생되므로 안정적인 조립이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조립이간편하고 부품수가 절감된 프레임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하고자 하는 프레임에서 동일한 체결력이 작용하여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프레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프레임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프레임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연결장치의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연결장치의 조립 완료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제1프레임 31...제1결합홈
32,33...걸림턱 40...제2프레임
41...제2결합홈 42,43...걸림턱
50...연결블럭 51,52...제1,2결합블럭
53...블럭몸체 60...커버부재
70...체결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제1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프레임과, 제2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연결장치에 있어서,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면에 상기 제1결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몸체의 타면에 상기 제2결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블럭이 형성된 연결블럭과; 상기 블럭몸체에 체결되며 그 가장자리가 상기 제1,2프레임에 밀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연결블럭과 커버부재를 체결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럭몸체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블럭은 블럭몸체의 직각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블럭몸체의 측면을 감싸는 삼각형상의 양측 측면과 블럭몸체의 경사면을 감싸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연결장치는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한 연결블럭과 커버부재와의 체결력에 의해서 제1,2프레임이 연결고정되게 되므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하고 조립부품수를 절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프레임 연결장치는, 예컨대 알루미늄 프로파일(Al profile; 이하 프레임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산업현장의 자동화설비라인의 구조물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어진다.
본 고안 프레임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호 연결고정시키고자 하는 제1,2프레임(30)(40)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1,2결합홈(3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프레임(30)(40)은 연결블럭(5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고, 커버부재(60)를 연결블럭(50)에 체결볼트(70)로 조임으로써 제1,2프레임(30)(40)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블럭(50)은 블럭몸체(53)와, 상기 블럭몸체(53)의 일면에 상기 제1결합홈(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블럭(51)과, 상기 블럭몸체(53)의 타면에 상기 제2결합홈(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블럭(5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2결합홈(31)(4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2결합블럭(51)(52)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걸림턱(32,33)(42,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2결합블럭(51)(52)을 각 제1,2결합홈(31)(4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는 제1,2프레임(30)(40)의 단부로부터 슬라이딩 진입시켜서 결합시킨다.
상기 커버부재(60)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제1,2프레임(30)(40)에 밀착되도록체결볼트(70)에 의해서 상기 블럭몸체(53)에 체결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53)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블럭(51)(52)은 블럭몸체(53)의 직각면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블럭몸체(53)의 측면을 감싸는 삼각형상의 양측 측면(62,63)과 블럭몸체(53)의 경사면을 감싸는 경사면(64)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커버부재(60)의 양단면은 대략 3변을 갖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되어서, 3변이 제1,2프레임(30)(40)에 밀착접촉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54 및 61은 각각 체결볼트(70)가 체결되는 결합공 및 체결공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프레임 연결장치는, 제1,2프레임(30)(40)의 양단부가 상호 직각 위치에 마주하여 놓이도록 하고, 제1결합블럭(51)을 제1결합홈(31)에 결합시키되 제2결합블럭(52)이 제1프레임(30)의 단부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노출된 제2결합블럭(52)에 제2프레임(40)의 제2결합홈(41)을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소망하는 고정위치로 제1,2프레임(30)(40)을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53)에 커버부재(60)를 쓰위고 체결볼트(70)로 체결공(61)과 결합공(54)을 통하여 조임시킨다. 체결볼트(70)가 조여짐에 따라 연결블럭(50)이 제1,2프레임(30)(40)에 대하여 체결볼트(70)의 체결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제1,2결합블럭(51)(52)이 각 제1,2결합홈(31)(41)의 걸림턱(32,33)(42,43)에 밀착된다.
또한, 체결볼트(70)의 조임에 따라 커버부재(60)가 조임방향으로 이동되면서커버부재(60)의 양단부가 제1,2프레임(30)(40)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2결합블럭(51)(52)과 커버부재(6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2프레임(30)(40)에 밀착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프레임 연결장치에 있어서, 제1,2프레임(30)(40)의 외주면에는 제1,2결합홈(31)(41)과 같은 동일형상의 결합홈들이 형성되어서, 인접하여 프레임들을 연속하여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 연결장치는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한 연결블럭과 커버부재와의 체결력에 의해서 제1,2프레임이 연결고정되게 되므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하고 조립부품수를 절감한다.

Claims (2)

  1. 제1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프레임과, 제2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 연결장치에 있어서,
    블럭몸체(53)와, 상기 블럭몸체(53)의 일면에 상기 제1결합홈(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블럭(51)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몸체(53)의 타면에 상기 제2결합홈(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블럭(52)이 형성된 연결블럭(50)과;
    상기 블럭몸체(53)에 체결되며 그 가장자리가 상기 제1,2프레임(30)(40)에 밀착되는 커버부재(60)와,
    상기 연결블럭(50)과 커버부재(60)를 체결고정시키는 체결볼트(7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53)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블럭(51)(52)은 블럭몸체(53)의 직각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블럭몸체(53)의 측면을 감싸는 삼각형상의 양측 측면(62,63)과 블럭몸체(53)의 경사면을 감싸는 경사면(6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장치.
KR20-2003-0031768U 2003-10-09 2003-10-09 프레임 연결장치 KR200338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68U KR200338314Y1 (ko) 2003-10-09 2003-10-09 프레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68U KR200338314Y1 (ko) 2003-10-09 2003-10-09 프레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314Y1 true KR200338314Y1 (ko) 2004-01-13

Family

ID=4942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768U KR200338314Y1 (ko) 2003-10-09 2003-10-09 프레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3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20B1 (ko) 2013-09-04 2015-04-08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20B1 (ko) 2013-09-04 2015-04-08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1994B2 (ja) 形材要素連結体
US5451115A (en) Prefabricated corner joint for a framework comprising tubular members
KR10113720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구조
KR200338314Y1 (ko) 프레임 연결장치
KR200390745Y1 (ko) 송수관용 조인트 장치
KR20140070320A (ko) 연결부 일체형 알루미늄 프로파일
JP5248817B2 (ja) 鉄筋とセパレータの接合金具
WO2005002394B1 (en) Furniture system composed of panel-shaped elements
KR20190027687A (ko) 프로파일 조립용 체결구
KR200339999Y1 (ko) 프레임 연결장치
KR100784808B1 (ko) 사각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200365288Y1 (ko) 프로파일 다각 연결구
CN212429482U (zh) 一种基于紧固式双头螺母组件
JP2970565B2 (ja) 導波管接続フランジ
JP4309233B2 (ja) 鉄筋締結具
KR200290533Y1 (ko) 파이프구조물의 연결부재
JP2909404B2 (ja) 配管類用締付け固定具
KR20180107615A (ko) 프레임 체결체
CN218761979U (zh) 一种低压油管接头结构
KR200397151Y1 (ko) 창틀 프레임용 코너 조인트
JP2003187782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19980084752A (ko) 비계용 클램프
JPH10173401A (ja) 導波管の接続構造
KR20070072638A (ko) 배관용 커플링
KR19980083316A (ko) 반도체 제조설비 조립용 리플형 육각홈붙이나사 및 리플형 육각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