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072Y1 - 케이슨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슨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072Y1
KR200338072Y1 KR20-2003-0032615U KR20030032615U KR200338072Y1 KR 200338072 Y1 KR200338072 Y1 KR 200338072Y1 KR 20030032615 U KR20030032615 U KR 20030032615U KR 200338072 Y1 KR200338072 Y1 KR 200338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aisson
yokes
facing
support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근
김태유
Original Assignee
금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한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2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게이슨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슨의 외벽과 케이슨의 내부에 형성되는 각 홀들을 구획하는 내벽을 구축하는 양측 거푸집과, 상기 양측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요크들로 구성되는 케이슨 거푸집에 있어서, 케이슨의 외벽 및 내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양측 거푸집을 따라 종,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크들을 연결시켜주면서 케이슨 거푸집 자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요크들의 각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빔부재와; 상기 케이슨 거푸집의 전,후측과는 외측을 향해 일정거리를 벗어난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수직상으로 입설되는 양측 지지기둥들과, 상기 케이슨 거푸집의 폭(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지지기둥들 각각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량보들로 구성되는 거푸집 상승구조물들과; 상기 거푸집 상승구조물들의 상량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씩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 상승장치들과;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들 각각에 설치된 상,하부 크램프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단은 상기 빔부재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슨 거푸집을 상승이동시켜주기 위하여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상승용 환봉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케이슨 제작장치{Caisson manufacturing device}
본 고안은 해안의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Caisson)을 제작하는 케이슨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은 가로 약 7m 이상, 세로 약 12m 이상, 높이 약 18m 이상으로 매우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수천톤 이상의 무게로 제작되고 있으며, 또한 케이슨은 외벽의 내측에 다수의 홀(hole)이 형성되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종래에는 케이슨을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은 케이슨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거푸집과 각 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거푸집을 따로따로 상승시키면서 케이슨을 제작하게 되므로서 케이슨의 제작기간이 많이 걸리게 될 뿐 아니라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등 비효율적이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특허 제16754호 및 동 제146462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전자의 특허 제16754호는 복수개의 케이슨 거푸집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케이슨을 제작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내,외측 거푸집이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연결시켜주는 다수의 요크(Yoke) 각각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내,외측 거푸집을 동시에 상승시켜줄 수 있으므로서 전술한 기존의 공법에서 내,외측 거푸집을 따로따로 상승시키는 것에 비하여 케이슨의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는 반면에 다수의 요크들 각각에 유압잭을 하나씩 설치하여야 하고 또 그 다수의 유압잭을 동시에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케이슨 제작장치의 작동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상기 후자의 특허 제146462호는 항만에 조성된 도크(Dock)에서 케이슨을 제작하므로서 제작이 완성된 케이슨을 곧바로 해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지만, 이 역시 케이슨폼을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장치가 다수의 구조물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또 다수의 승강실린더장치를 동시 제어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케이슨 제작장치의 작동구조가 복잡해진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잇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케이슨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상승구조를 개선하여 케이슨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케이슨의 외벽과 케이슨의 내부에 형성되는 각 홀들을 구획하는 내벽을 구축하는 양측 거푸집과, 상기 양측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요크들로 구성되는 케이슨 거푸집에 있어서,
케이슨의 외벽 및 내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양측 거푸집을 따라 종,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크들을 연결시켜주면서 케이슨 거푸집 자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요크들의 각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빔부재와;
상기 케이슨 거푸집의 전,후측과는 외측을 향해 일정거리를 벗어난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수직상으로 입설되는 양측 지지기둥들과, 상기 케이슨 거푸집의 폭(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지지기둥들 각각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량보들로 구성되는 거푸집 상승구조체들과;
상기 거푸집 상승구조체들의 상량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씩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 상승장치들과;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들 각각에 설치된 상,하부 크램프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단은 상기 빔부재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슨 거푸집을 상승이동시켜주기 위하여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상승용 환봉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상승구조체의 지지기둥들은 사각형상의 철탑구조체로 구성되고, 상량보는 트러스구조체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들 각각은 거푸집 상승구조체들의 각 상량보에고정 부착된 하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상에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들의 각 피스톤로드 선단에 부착된 채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따라 일정높이로 승강작동하는 상부 가동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가동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부 고정플레이트 각각에 고정 설치되어 유압잭이 피스톤로드를 출현 및 몰입작동함에 따라 상승용 환봉을 일정높이씩 단계적으로 상승시켜주는 상,하부 크램프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케이슨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슨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케이슨 거푸집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조체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상승구조체의 평면 구조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케이슨 거푸집과 요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거푸집 상승구조체에 설치된 거푸집 상승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거푸집 상승장치의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으로 케이슨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거푸집 상승구조체의 측면에서 본 제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슨 2 : 케이슨 거푸집
3 : 거푸집 상승구조체 4 : 거푸집 상승장치
5 : 상승용 환봉 11 : 외벽
12 : 내벽 13 : 홀
21,22 : 양측 거푸집 23 : 요크
24 : 빔부재 31 : 지지기둥
32 : 상량보 41 : 하부 고정플레이트
42 : 유압잭 43 : 피스톤로드
44 : 상부 가동플레이트 45,46 : 상,하부 크램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케이슨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슨 거푸집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케이슨 거푸집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조체의 측면 구조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상승구조체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케이슨 거푸집과 요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거푸집 상승구조체에 설치된 거푸집 상승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거푸집 상승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으로 케이슨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거푸집 상승구조체의 측면에서 본 제작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제작이 완성된 케이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케이슨(1)은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외벽(11)과 그 내부에 격자상으로 형성되는 내벽(12)에 의하여 다수의 홀(12)들이 종횡으로 연속 형성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케이슨(1)은 앞에서 설명한바 있듯이 가로 약 7m 이상, 세로 약 12m 이상, 높이 약 18m 이상으로 매우 큰 크기로 제작되고 있으며, 또 수천톤 이상의 무게로 제작되고 있다.
상기 케이슨(1)을 제작하기 위한 케이슨 거푸집(2)은 대략 1∼2m 정도의 높이로 제작되어 케이슨의 하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상승되면서 케이슨(1)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 케이슨 거푸집(2)은 제작하고자 하는 케이슨(1)의 단면형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되는데, 케이슨의 외벽(11)과 내벽(12)을 구축하는 양측 거푸집(21)(22)은 그 외벽과 내벽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되며, 또한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구조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슨 거푸집(2)은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경화한 후에는 케이슨 거푸집 전체를 일정높이씩 상승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H형 빔(또는 I형 빔)과 "ㄷ"자형강(또는 "ㄴ"자형강)을 소재로 하는 요크(23)가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으로 다수 입설되어 있는데, 상기한 요크(23)를 형성하는 양측의 H형 빔의 하단은 양측 거푸집(21)(22) 각각의 외측에 고정 부착된 채 그 상단은 양측 거푸집의 상방을 향해 높게 돌출된 상태에서 수개의 "ㄷ"자형강이 용접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케이슨(1)의 외벽(11) 및 내벽(12)을 구축하는 양측 거푸집(21)(22)들의 외측에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25)이 형성되는데, 작업발판은 양측 거푸집을 연결하는 요크(24)에 부착시키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슨(1)의 내,외벽(12)(11)을 구축하는 케이슨 거푸집(2)의 양측 거푸집(21)(22)들은 일정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설치된 각 요크(23)들에 의하여 그 전체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진 상태인데, 본 고안에서는 각 요크(23)의 상단에 빔부재(24)를 용접 또는 볼트로서 고정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케이슨 거푸집(2)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빔부재(24)는 서로 마주하는 요크(23)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종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는 케이슨 거푸집의 전체 중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부분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케이슨 거푸집(2)을 일정높이씩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슨 거푸집(2)의 전,후측 폭보다 넓고 케이슨(1)의 높이보다 더 높은 규모로 구성되는 거푸집 상승구조체(3)와, 상기 거푸집 상승구조체에 설치되어 케이슨 거푸집(2)을 상승시키기 위한 거푸집 상승장치(4) 및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케이슨 거푸집(2)을 상승시키는 상승용 환봉(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거푸집 상승구조체(3)는 케이슨 거푸집(2)의 전,후측과는 일정거리의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상으로 입설되는 양측 지지기둥(31)과 그 양측 지지기둥들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량보(3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거푸집 상승구조체(3)는 케이슨 거푸집(2)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즉, 케이슨 거푸집(2)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양측 지지기둥(31)들은 케이슨(1)의 좌,우측 외벽(11)과 이 외벽과 전,후 방향을 향해 평행을 이루고 있는 각 내벽(12)들과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는 위치마다 전,후 대칭상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양측 지지기둥(31)들 각각의 상단에는 상량보(32)가 각기 하나씩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각 상량보(32)들 각각은 그 양단이 각 지지기둥(31)의 상단에 볼트로 조립되는 구조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거푸집 상승구조체(3)를 구성하는 지지기둥(31)들은 형강 또는 파이프 등을 소재로 하여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는 구조로 조립되는 철탑구조체 예를 들면, 송전탑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케이슨 거푸집(2)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강도를 지니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상량보(32) 역시 H형 빔이나 "ㄷ"자형강 등을 소재로 하여 트러스구조체로 구성하므로서 케이슨 거푸집(2)을 들어올릴 수 있는 튼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슨 거푸집(2)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거푸집 상승구조체(3) 각각의 상량보(32)에는 각기 복수개씩의 거푸집 상승장치(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4)들은 상량보(32)의 상측 가로보 위에 고정 부착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삼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3개의 유압잭(42)들과, 상기 각 유압잭들의 피스톤로드(43)들의 선단에 연결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3)들의 출몰작동에 따라 일정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상부 가동플레이트(44)와, 상기 3개의 유압잭(42)들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동플레이트(44)의 상면과 하부 고정플레이트(4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부 크램프(45)(46)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4)들 각각에는 케이슨 거푸집(2)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용 환봉(5)이 각기 하나씩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 거푸집 상승구조체(3) 각각에는 거푸집 상승장치(4)와 같이 복수개씩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상승용 환봉은 그 상단이 거푸집 상승장치(4)의 상,하부 크램프(45)(46)와 상부 가동플레이트(44) 및 하부 고정플레이트(41)를 관통하는 상태이고, 하단은 요크(23) 상단의 빔부재(24)에 고정 부착되는데, 상기 상승용 환봉(5)의 하단에 플랜지를 빔부재(24)와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볼트로서 나사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상부 크램프(45)와 하부 크램프(46)는 상승용 환봉(5)을 일정높이씩 단계적으로 상승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유압잭(42)의 피스톤로드(43)가 출현작동(상승작동)을 하여 상부 가동플레이트(44)를 상승시킬 때에는 상부 크램프(45)는 상승용 환봉(5)을 꽉물어주는 크램핑작동을 하는 한편 하부 크램프(46)는 상승용 환봉(5)을 놓아주는 작동을 하며, 이와 반대로 피스톤로드(43)가 몰입(하강)작동을 하여 상부 가동플레이트(44)를 하강시킬 때에는 하부 크램프(46)는 상승용 환봉(5)을 꽉물어주는 크램핑작동으로 상승용 환봉(5)이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게 하는 한편 상부 크램프(45)는 상승용 환봉(5)을 놓아주는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크램프(45)(46)은 유압잭(42)의 피스톤로드(43)가 출현작동 또는 몰입작동함에 따라 교대로 상승용 환봉(5)을 곽물어주는 작동과 놓아주는 작동을 서로 교대적으로 반복하면서 상승용 환봉(5)을 일정높이씩 단계적으로 상승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4)들 각각을 구성하고 있는 유압잭(42)들은 도시하지 않은 유압콘트롤장치에 의하여 균일하게 동시제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케이슨(1)을 제작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의 도시와 같이 거푸집 상승구조체(3)들의 내측 바닥에 케이슨 거푸집(2)을 위치시킨 다음 케이슨 거푸집(2)과 상량보(32)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양측의 거푸집 상승장치(4)들을 다수의 상승용 환봉(5)으로 연결함에 있어 상승용 환봉(5)들 각각의 상단은 상기한 거푸집 상승장치(4)들 각각의 하부 크램프(45), 하부 고정플레이트(41), 상부 가동플레이트(44), 상부 크램프(46)를 관통하도록 하는 한편, 상승용 환봉(5)들 각각의 하단은 요크(23) 상단의 빔부재(24) 각각에 볼트로서 나사체결하여 고정 연결시킨 후 케이슨 거푸집(2)에 철근을 배설하고 콘크리트몰탈을 일정높이로 타설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케이슨 거푸집(2)에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경화하게 되면 케이슨 거푸집(2)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데, 케이슨 거푸집(2)을 상승시키기 전에는 각 거푸집 상승장치(4)들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유압잭(42)의 피스톤로드(43)가 몰입(하강)작동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아니한 유압콘트롤장치에 의하여 모두 동시에 작동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피스톤로드(43)를 출현(상승)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잭(42)들이 출현작동으로 상부 가동플레이트(44)를 상승시키게 될 때에는 상부 크램프(45)는 상승용 환봉(5)을 꽉물어주는 크램핑작동을 하는 반면에 하부 크램프(46)는 상승용 환봉(5)을 놓아주는 작동을 하게 되어 상승용 환봉(5)은 유압잭(42)의 피스톤로드가 출현함에 따라 상승이동하는 상부 크램프(45)와 함께 상승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유압잭(42)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43)와 함께 상승하게 되면 그 만큼 케이슨 거푸집(2)도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유압잭(42)이 피스톤로드(43)를 몰입작동시킬 때에는 하부 크램프(46)는 상승용 환봉(5)을 꽉물어주게 되고 상부 크램프(45)는 상승용 환봉(5)을 놓아주는 상태가 되므로서 상부 크램프(45)는 상승용 환봉(5)을 일정높이로 상승이동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상승작동을 대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거푸집 상승장치(4)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잭(42)들이 동시에 피스톤로드(43)들을 출현(상승) 및 몰입(하강)시키는 작동을 수차례 반복하여 상승용 환봉(5)들을 일정높이씩 반복해서 상승시켜주는 작동으로 케이슨 거푸집(2)을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다음에는 거푸집 상승장치(4)들을 작동을 정지시키고 다시 소정 높이로 상승된 케이슨 거푸집(2)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케이슨 거푸집(2)을 제작하고자 하는 케이슨(1)의 상단 높이까지 상승시켜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게 되면 케이슨의 제작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케이슨(1)의 제작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케이슨 거푸집(2)을 케이슨(1)의 상단에서 벗어나는 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케이슨(1)을 거푸집 상승구조체(3) 내측에서 외부로 이동시킨다음 케이슨 거푸집(2)을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데,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4)들의 상,하부 크램프(45)(46)는 상승용 환봉(5)을 일정높이씩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승용 환봉을 일정높이씩 내려줄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케이슨 거푸집(2)을 내려놓는 작업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바닥에 내려놓고 거푸집 상승구조체(3) 내측에서 케이슨을 연속해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슨 거푸집의 전,후 폭을 수용할 수 있는 규격과 제작하고자 하는 케이슨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된 거푸집 상승구조체의 내측에 케이슨 거푸집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푸집 상승구조체들의 상량보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거푸집 상승장치들 각각에 연결된 다수의 상승용 환봉을 케이슨 거푸집의 요크에 설치된 빔부재에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각 상승용 환봉들이 케이슨 거푸집을 안정된 상태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또한 거푸집 상승구조체들의 각 상량보에 장착된 거푸집 상승장치들이 상승용 환봉들을 동시에 일정높이씩 반복해서 상승이동시키는 기계적인 작동으로 케이슨 거푸집을 소정높이씩 반복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케이슨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케이슨의 제작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거푸집 상승구조체들 각각의 상량보에 복수개씩 설치된 거푸집 상승장치들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설치갯수가 적고 유압콘트롤장치로 자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케이슨을 거푸집 상승구조체 내측에서 연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케이슨의 외벽과 케이슨의 내부에 형성되는 각 홀들을 구획하는 내벽을 구축하는 양측 거푸집과, 상기 양측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요크들로 구성되는 케이슨 거푸집에 있어서,
    케이슨의 외벽 및 내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양측 거푸집을 따라 종,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크들을 연결시켜주면서 케이슨 거푸집 자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요크들의 각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빔부재와;
    상기 케이슨 거푸집의 전,후측과는 외측을 향해 일정거리를 벗어난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수직상으로 입설되는 양측 지지기둥들과, 상기 케이슨 거푸집의 폭(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지지기둥들 각각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량보들로 구성되는 거푸집 상승구조체들과;
    상기 거푸집 상승구조체들의 상량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씩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 상승장치들과;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들 각각에 설치된 상,하부 크램프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단은 상기 빔부재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슨 거푸집을 상승이동시켜주기 위하여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상승용 환봉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제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상승구조체의 지지기둥들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철탑구조체로 구성되고, 상량보는 트러스구조체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제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상승장치들 각각은 거푸집 상승구조체들의 각 상량보에 고정 부착된 하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상에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들의 각 피스톤로드 선단에 부착된 채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따라 일정높이로 승강작동하는 상부 가동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가동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부 고정플레이트 각각에 고정 설치되어 유압잭이 피스톤로드를 출현 및 몰입작동함에 따라 상승용 환봉을 일정높이씩 단계적으로 상승시켜주는 상,하부 크램프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제작장치.
KR20-2003-0032615U 2003-10-17 2003-10-17 케이슨 제작장치 KR200338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15U KR200338072Y1 (ko) 2003-10-17 2003-10-17 케이슨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15U KR200338072Y1 (ko) 2003-10-17 2003-10-17 케이슨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072Y1 true KR200338072Y1 (ko) 2004-01-13

Family

ID=4942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615U KR200338072Y1 (ko) 2003-10-17 2003-10-17 케이슨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0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157B1 (ko) * 2015-08-11 2016-08-12 구수본 안전장치가 추가된 슬립 폼 유압 잭 장치
KR101807099B1 (ko) * 2017-02-02 2017-12-0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슬립폼 리프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157B1 (ko) * 2015-08-11 2016-08-12 구수본 안전장치가 추가된 슬립 폼 유압 잭 장치
KR101807099B1 (ko) * 2017-02-02 2017-12-0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슬립폼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775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694503B1 (ko)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0417438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JP2023546279A (ja) 橋梁水面パイルタイビームの吊上げ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20190041189A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US9683338B2 (en) Form traveller for the construction of engineering works
KR200338072Y1 (ko) 케이슨 제작장치
CN109778702B (zh) 跨既有城市立交钢箱梁顶推施工方法
KR200354803Y1 (ko) 케이슨 제작장치
CN217439544U (zh) 建筑顶部外立面悬挑结构模板支撑体系
KR101243703B1 (ko) 케이슨 외부 거푸집 및 케이슨 내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케이슨 제작장치
JP2013014944A (ja) 建屋の建設方法
CN110878549B (zh) 一种坝内廊道施工方法
CN212224665U (zh) 一种预制柱就位引导装置及预应力框架结构的导引安装装置
CN210684474U (zh) 一种桥梁顶升施工用随动支撑装置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6320242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KR101314170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KR100978214B1 (ko) 고층건물의 빔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컬럼 및 이를 이용한철골구조물 구축공법
CN114941426B (zh) 一种带有机械脱模装置的单侧墙模板台车施工的方法
CN113958133B (zh) 钢结构厂房屋架梁施工方法
CN216587785U (zh) 一种适用于大体积混凝土楼板升降的装置
KR101234201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JPH11210224A (ja) 自昇式型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