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876Y1 -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876Y1
KR200337876Y1 KR20-2003-0030152U KR20030030152U KR200337876Y1 KR 200337876 Y1 KR200337876 Y1 KR 200337876Y1 KR 20030030152 U KR20030030152 U KR 20030030152U KR 200337876 Y1 KR200337876 Y1 KR 200337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frame
folding
auxilia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헌 호 임
Original Assignee
헌 호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 호 임 filed Critical 헌 호 임
Priority to KR20-2003-0030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01B35/08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with rigi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작업 시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에 묻어주는 동시에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으면서 고르게 배출시켜 평탄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며,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에 걸려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되는 프레임(10), 프레임(10)에 연결되어 다수개의 써레판(21)을 구비하는 써레틀(20), 프레임(1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써레틀(20)에 연결되어 완충스프링(41)을 구비하는 완충부재(40); 상기 써레틀(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다수개의 보조써레판(51)을 구비하는 보조틀(50) 및 양측 보조틀(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60); 상기 양측 보조틀(50)의 외측 상부에 축핀(71)과 인장스프링(72)으로 연결되는 절첩틀(70) 및 양측 절첩틀(70)에 축핀(81)과 토션스프링(82)으로 연결되는 절첩써레판(80); 상기 보조틀(50)과 연동하여 절첩틀(70)을 절첩시키는 절첩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harrow for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에 견인된 상태에서 갈라놓은 논바닥의 흙덩이를 부수거나 판판하게 고르는데 사용되는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써레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써레작업 시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에 묻어주는 동시에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으면서 고르게 배출시켜 평탄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며,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에 걸려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는 쟁기로 전답을 갈고 로터리로 잘게 부순 후 최종적으로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경작하는 것으로, 이러한 써레는 벼나 씨를 용이하게 심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로터리에 의해 일단 부서진 흙덩어리들을 넓고 고르게 펴준다.
그러나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는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첫째, 써레의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트랙터가 한번 이동할 때 작업면적이 넓을수록 좋으나, 종래에는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써레의 폭이 좁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작업할 시 써레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편 이를 위해 써레의 폭을 넓게 형성할 경우 넓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동 및 보관이 불편하고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둘째, 써레판이 논바닥을 누르면서 진행할 때 논에서 발생되는 풀이나 짚이 논바닥에 깊숙이 박혀져야 모내기를 하기 편리하나, 종래에는 풀이나 짚이 써레작업 후에도 흙 속에 묻히지 않고 그대로 논바닥에 노출되므로 별도로 일일이 논에 묻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써레판이 진행하면서 써레판의 전면에 있는 흙은 양측으로 밀려나면서 논의 평탄도를 유지하게 되나, 종래에는 흙이 외측으로만 밀려나게 되므로 써레의 양측으로 빠지는 되는 흙이 많아서 써레작업 후에도 외측으로 빠져나간 흙으로 인하여 길게 줄이 형성되므로 다시 써레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과, 써레작업 시 물과 흙이 후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아 평탄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종래에는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도중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의 장애물에 걸릴 경우 완충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써레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써레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써레작업 시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에 묻어주는 동시에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으면서 고르게 배출시켜 평탄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에 걸려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다수개의 써레판이 부착된 써레틀 사이에 완충스프링을 구비하는 완충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써레틀의 양측에 다수개의 보조써레판이 부착된 보조틀을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며, 상기 써레틀의 양측 내부에는 양측 보조틀을 좌우로 각각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내장하고, 상기 양측 보조틀의 외측 상부에 절첩틀을 각각 절첩가능하게 축핀과 인장스프링으로 연결하되, 상기 양측 절첩틀에 절첩써레판을 각각 축핀과 토션스프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양측 보조틀과 연동하여 절첩틀을 각각 절첩시키는 절첩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도 1a,1b는 본 고안의 써레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의 써레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단면도.
도 4a,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보조써레판과 절첩써레판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b는 보조써래판과 절첩써레판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써레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절첩써레판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절첩써레판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6b,6c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써레판과 절첩써레판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틀과 절첩써레판의 분해사시도.
도 8a,8b,8c는 본 고안에 따른 써레판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프레임 20 : 써레틀
21 : 써레판 21a : 안내경사부
22 : 이격봉 30 : 승강실린더
40 : 완충부재 41 : 완충스프링
50 : 보조틀 51 : 보조써레판
51a : 안내경사부 52 : 이격봉
60 : 이동실린더 70 : 절첩틀
71 : 축핀 72 : 인장스프링
80 : 절첩써레판 81 : 축핀
82 : 토션스프링 90 : 절첩부재
91 : 작동판 92 : 고정핀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트랙터용 써레는 도 1a 내지 도 8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랙터에 연결되는 프레임(10), 프레임(10)에 연결되어 다수개의 써레판(21)을 구비하는 써레틀(20), 프레임(1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써레틀(20)에 연결되어 완충스프링(41)을 구비하는 완충부재(40); 상기 써레틀(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다수개의 보조써레판(51)을 구비하는 보조틀(50) 및 양측 보조틀(50)을 좌우로 각각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60); 상기 양측 보조틀(50)의 외측 상부에 축핀(71)과 인장스프링(72)으로 각각 연결되는 절첩틀(70) 및 양측 절첩틀(70)에 축핀(81)과 토션스프링(82)으로 각각 연결되는 절첩써레판(80); 상기 보조틀(50)과 연동하여 절첩틀(70)을 절첩시키는 절첩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주지된 바와 같이 트랙터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견인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에는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대(11)와 지지대(12)가 구비되고, 또한 프레임(10)의 후방 상부에는 브래킷(13)이 구비된다.
상기 써레틀(20)은 주지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후방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써레틀(20)의 후방에는 다수개의 써레판(21)들이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써레틀(20)의 중앙 상부에는 브래킷(20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써레틀(20)은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써레판(21)에는 도 8a,8b,8c에서와 같이 대각선상으로 상향 절곡되어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아주는 안내경사부(21a)가 형성되고, 써레판(21)의 하부에는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에 묻어주는 동시에 물과 흙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이격봉(22)이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써레판(21)의 상부에는 보강대(23)가 일체형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써레작업 시 써레판(21)의 안내경사부(21a)에 의해 물과 흙이 안쪽으로 모아지므로 종래와 같이 물과 흙이 써레판(21)의 외측으로 빠져나가 다시 써레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이격봉(22)에 의해 써레판(21)이 지면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써레작업 시 물과 흙이 후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평탄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써레작업 시 이격봉(22)이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 속으로 편리하게 밀어 넣어 묻어주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로 일일이 논에 묻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써레틀(2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실린더(30)의 피스톤은 도 1a 내지 도 2b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브래킷(13)에 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트랙터의 운전석에서 승강실린더(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승강실린더(30)의 유압라인은 트랙터의 유압펌프에 유압호스로 연결된다.
상기 완충부재(40)는 프레임(10)과 써레틀(20)에 연결되어 써레판(21)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부재(40)의 상부는 프레임(10)의 브래킷(1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고,완충부재(40)의 하부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틀(20)의 브래킷(20a)에 축으로 연결된다. 이때, 완충부재(40)에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완충스프링(41)이 장착된다.
따라서,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도중 써레판(21),보조써레판(51),절첩써레판(80)이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의 장애물에 걸릴 경우 완충부재(40)에 의해 완충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써레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틀(50)은 써레틀(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보조틀(50)에는 다수개의 보조써레판(51)들이 일체형으로 각각 부착되고, 양측 보조틀(50)의 외측 상부에는 브래킷(50a) 및 스토퍼(50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조써레판(51)에는 대각선상으로 상향 절곡되어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아주는 안내경사부(51a)가 형성되고, 보조써레판(51)의 하부에는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에 묻어주는 동시에 물과 흙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이격봉(52)이 부착된다.
따라서, 써레작업 시 보조써레판(51)의 안내경사부(51a)에 의해 물과 흙이 안쪽으로 모아지므로 종래와 같이 물과 흙이 외측으로 빠져나가 다시 써레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이격봉(52)에 의해 보조써레판(51)이 지면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써레작업 시 물과 흙이 후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평탄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써레작업 시이격봉(52)이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편리하게 흙 속으로 밀어 넣어 묻어주게 된다.
상기 이동실린더(60)는 양측 보조틀(50)을 각각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이동실린더(6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틀(20)의 양측 내부에 각각 내장되고, 또한 양측 이동실린더(60)의 피스톤은 양측 보조틀(5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트랙터의 운전석에서 양측 이동실린더(60)를 각각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 이동실린더(60)의 유압라인은 트랙터의 유압펌프에 유압호스로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양측 이동실린더(60)를 유압으로 작동시키면 도 4b에서와 같이 양측 보조틀(50)이 연동하여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보조틀(50)에 부착된 보조써레판(51)이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양측 보조써레판(51)이 넓은 폭으로 펼쳐지게 된다. 한편, 이동실린더(6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도 4a에서와 같이 써레판(21)의 양측으로 펼쳐진 보조틀(50)이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양측 보조써레판(51)은 써레판(21)의 하부로 각각 이동하여 겹쳐지면서 좁은 폭으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 절첩틀(70)은 양측 보조틀(50)의 외측 상부에 절첩가능하게 축핀(71)과 인장스프링(72)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절첩틀(70)의 축핀(7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틀(50)의 브래킷(50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장스프링(72)의 양단은 보조틀(50)과 절첩써레판(8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축핀(71)은 절첩틀(70)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그 양단이 브래킷(50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절첩써레판(80)은 양측 절첩틀(70)에 축핀(81)과 토션스프링(82)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절첩써레판(80)의 축핀(81)은 절첩틀(7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토션스프링(82)의 양단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써레판(80)과 절첩틀(7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82)은 절첩써레판(8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토션스프링(82)은 써레작업 시 절첩써레판(8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부여한다.
따라서,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도중 절첩써레판(80)이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의 장애물에 걸릴 경우 토션스프링(82)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절첩써레판(8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절첩틀(70)에는 절첩써레판(80)을 지지하는 브래킷(70a)이 구비되고, 상기 절첩써레판(80)에는 절첩틀(70)의 브래킷(70a)에 연결되는 연결대(80a)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절첩써레판(80)에는 다수개의 보강대(80b)가 구비된다.
상기 절첩부재(9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틀(50)과 연동하여 절첩틀(70)을 절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절첩부재(90)는 초승달모양으로 형성되어 양측 절첩틀(70)의 축핀(71)에 부착되는 작동판(91)과, 상기 써레틀(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틀(50) 이동시 작동판(91)을 회동시키는 고정핀(9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6a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인장스프링(72)에 의해 절첩틀(70)은 보조틀(50)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도 6b에서와 같이 보조틀(50)이 외측으로 이동할 경우 절첩부재(90)의 작동판(91)이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핀(92)에 접촉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도 6c에서와 같이 접첩틀(70)과 절첩써레판(80)은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한편, 반대로 외측으로 펼쳐진 보조틀(50)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내측으로 이동하는 절첩부재(90)의 작동판(91)이 다시 고정핀(92)에 접촉되면서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 6a에서와 같이 자동적으로 절첩틀(70)과 절첩써레판(80)은 회전하면서 원상태로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트랙터용 써레도 프레임(10)을 트랙터에 연결하여 써레틀(20)의 써레판(21)으로 갈라놓은 논바닥의 흙덩이를 부수거나 판판하게 고르며, 쟁기로 전답을 갈고 로터리로 잘게 부순 후 최종적으로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경작하며, 벼나 씨를 용이하게 심기 위해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로터리에 의해 일단 부서진 논바닥의 흙덩어리들을 넓고 고르게 펴주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양측 이동실린더(60)를 유압으로 작동시키면 도 4b에서와 같이 양측 보조틀(50)이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양측 보조써레판(51)이 넓은 폭으로 펼쳐지고, 이와 동시에 도 6b와 도 6c에서와 같이 절첩부재(90)를 통해 양측 절첩틀(70)과 절첩써레판(80)이 연동하여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도 4b에서와 같이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 및 절첩써레판(80)이 3단으로 펼쳐져 써레를 보다 넓은 폭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한편 양측 이동실린더(60)를 상기의 반대로 작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양측으로 각각 펼쳐진 보조써레판(51)과 절첩써레판(80)이 도 4a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접혀지므로 써레의 전체 폭이 써레판(21)의 폭으로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10)과 써레틀(20) 사이에 완충부재(40)가 설치되어 완충작용이 부여되고, 또한 절첩써레판(80)이 절첩틀(70)에 토션스프링(82)으로 연결되어 완충작용이 부여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써레작업 시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 및 절첩써레판(80)에 각각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에 대각선상으로 상향 절곡된 안내경사부(21a)(51a)가 각각 형성되므로 써레작업 시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을 수 있으며, 또한 다수개의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의 하부에 이격봉(22)(52)이 각각 부착되므로 써레작업 시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에 편리하게 묻어줄 수 있으며, 특히 이격봉(22)(52)에 의해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므로 써레작업 시 물과 흙을 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써레판(21)과 양측 보조써레판(51) 및 양측 절첩써레판(80)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으로 펼쳐서 써레를 보다 넓은 폭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즉 트랙터가 한번 이동할 때 작업면적이 최대한 확대되므로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한편 써레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보조써레판(51)과 양측 절첩써레판(80)을 각각 접어 좁은 폭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써레를 한층 더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이 논바닥을 누르면서 진행할 때 이격봉(22)(52)이 논에서 발생되는 풀이나 짚을 눌러 논바닥에 깊숙이 매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에 형성된 안내경사부(21a)(51a)가 써레작업 시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으는 동시에 이격봉(22)(52)이 물과 흙을 후방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므로 평탄작업을 한층 더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도중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의 장애물에 걸릴 경우 완충부재(40)와 토션스프링(82)에 의해 완충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 및 절첩써레판(8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의 트랙터용 써레에서는 양측 이동실린더(60)를 동시에 작동시켜 양측 보조써레판(51)과 절첩써레판(80)을 동시에 양측으로 펼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일측 하나의 이동실린더(60)만을 작동시켜 일측 하나의 보조써레판(51)과 절첩써레판(80)만을 선택적으로 펼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랙터용 써레는 써레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써레작업 시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편리하게 흙에 묻어주는 동시에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으면서 고르게 배출시켜 평탄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써레작업 시 단단한 흙이나 돌부리 등에 걸려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트랙터에 연결되는 프레임(10), 프레임(10)에 연결되어 다수개의 써레판(21)을 구비하는 써레틀(20), 프레임(1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써레틀(20)에 연결되어 완충스프링(41)을 구비하는 완충부재(40); 상기 써레틀(20)의 양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다수개의 보조써레판(51)을 구비하는 보조틀(50) 및 양측 보조틀(50)을 좌우로 각각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60); 상기 양측 보조틀(50)의 외측 상부에 축핀(71)과 인장스프링(72)으로 각각 연결되는 절첩틀(70) 및 양측 절첩틀(70)에 축핀(81)과 토션스프링(82)으로 각각 연결되는 절첩써레판(80); 상기 보조틀(50)과 연동하여 절첩틀(70)을 절첩시키는 절첩부재(90)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써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에는 대각선상으로 상향 절곡되어 물과 흙을 안쪽으로 모아주는 안내경사부(21a)(51a)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써레판(21)과 보조써레판(51)의 하부에는 풀이나 지푸라기 등을 흙에 묻어주는 동시에 물과 흙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이격봉(22)(52)이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90)는 초승달모양으로 형성되어 양측 절첩틀(70)의 축핀(71)에 부착되는 작동판(91)과, 상기 써레틀(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틀(50) 이동시 작동판(91)을 회동시키는 고정핀(9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KR20-2003-0030152U 2003-09-24 2003-09-24 트랙터용 써레 KR200337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52U KR200337876Y1 (ko) 2003-09-24 2003-09-24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52U KR200337876Y1 (ko) 2003-09-24 2003-09-24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876Y1 true KR200337876Y1 (ko) 2004-01-07

Family

ID=4942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152U KR200337876Y1 (ko) 2003-09-24 2003-09-24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8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326B1 (ko) 2007-05-15 2008-07-18 대호 (주) 탈착 가능한 짚 매몰수단이 설치된 써레판
KR100861011B1 (ko) 2007-05-15 2008-09-30 대호 (주) 써레판
KR101267028B1 (ko) 2011-12-20 2013-05-24 김영주 수평식 경운 해로우용 측면보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326B1 (ko) 2007-05-15 2008-07-18 대호 (주) 탈착 가능한 짚 매몰수단이 설치된 써레판
KR100861011B1 (ko) 2007-05-15 2008-09-30 대호 (주) 써레판
KR101267028B1 (ko) 2011-12-20 2013-05-24 김영주 수평식 경운 해로우용 측면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3489A (en) Foldable packer harrow implement
US6321852B1 (en) Agricultural implement frame having a transport configuration and a working configuration
JP5780386B2 (ja) 石礫除去機
CA2818823C (e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pivoting tool frame
JP5237041B2 (ja) 粗耕起作業機
US4040489A (en) Rock picker
KR200337876Y1 (ko) 트랙터용 써레
KR20120124241A (ko) 트랙터용 써레
JP5099779B2 (ja) 粗耕起作業機
US10470353B2 (en) Rock collection and rock rowing device
JP3981122B2 (ja) 均平作業機
JP7147019B2 (ja) 連結ユニット
JP4971407B2 (ja) トラクタ用のプラウ装置
EP1937052B1 (en) Agricultural machine with a centre section and on either side thereof folding wing sections
KR20100045223A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CA2926833C (en) Rock collection and rock rowing device
JP5156572B2 (ja) 粗耕起作業機
EP2116123A1 (en) Collapsible Frame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KR20200058333A (ko)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KR20110082739A (ko) 승용농기계를 이용한 농경지 평탄화 장치
JP7161739B2 (ja) 作業機
JP4725107B2 (ja) 畝立装置
JP3743806B2 (ja) 均平な圃場を形成する作業機
GB2121262A (en) A seed drill
JP3791955B2 (ja) 均平複合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