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333A -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 Google Patents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333A
KR20200058333A KR1020200045679A KR20200045679A KR20200058333A KR 20200058333 A KR20200058333 A KR 20200058333A KR 1020200045679 A KR1020200045679 A KR 1020200045679A KR 20200045679 A KR20200045679 A KR 20200045679A KR 20200058333 A KR20200058333 A KR 20200058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blade
heart
fram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204B1 (ko
Inventor
김규섭
Original Assignee
김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섭 filed Critical 김규섭
Priority to KR102020004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2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25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ub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01B3/26Tractor-drawn ploughs without alternating possi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와 연결되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뒷쪽에서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며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1쟁기날부, 상기 제1쟁기날부의 앞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며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2쟁기날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제2쟁기날부는 복수의 상기 제1쟁기날부 사이에 위치되어 심경 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토양에 최대한 깊게 박힐 수 있어 심경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심경 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심경 작업 시 방향 전환이 원활하여 넓은 면적의 토양에 대한 심경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PLOW STRUCTURE FOR PLOWING}
본 발명은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경 작업은 토양을 파쇄하고, 땅을 갈아주어 땅을 개선시키는 작업이다.
심경 작업은 트랙터에 연결된 쟁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쟁기는 트랙터에 장착되어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며, 통상 4련 쟁기, 6련 쟁기, 8련 쟁기가 이용되고 있다.
4련 쟁기는 4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구조를 가지며, 6련 쟁기는 6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구조를 가지며, 8련 쟁기는 8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심경 작업용 쟁기는 복수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되어 심경 작업 중 각 쟁기날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딱딱한 토양의 심경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쟁기날이 토양에 깊게 들어가지 못해 심경 작업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이에 심경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 종래의 심경 작업용 쟁기는 복수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되어 심경 작업의 방향 전환이 원활하지 못해 심경 작업 시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심경 작업용 쟁기는 단순히 단부에 뾰족한 파쇄날이 구비된 형태를 가져 파쇄날에 의해 파여진 흙만 들어내고 파쇄날의 양측으로 벌어지는 토양이 파여진 부분의 양측으로 그대로 쌓인 형태가 되어 심경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심경 작업 후 배토 작업 시에도 배토 작업의 효율성도 함께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공개 제2019-0049309호 "심토 작업용 쟁기"(2019.05.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쟁기날부를 2열로 배치하되, 1열에 위치된 복수의 제1쟁기날부 사이에 2열에 위치된 복수의 제2쟁기날부가 위치되도록 하여 심경 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토양에 최대한 깊게 박힐 수 있고, 심경 작업 시 방향 전환이 원활한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 측면에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날부를 포함하여 파여져 양 측으로 쌓이는 토양을 뒤집을 수 있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트랙터와 연결되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뒷쪽에서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며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1쟁기날부, 상기 제1쟁기날부의 앞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며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2쟁기날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제2쟁기날부는 복수의 상기 제1쟁기날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쟁기날부와 상기 제2쟁기날부의 사이 간격은 30cm 이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쟁기날부의 개수는 상기 제2쟁기날부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제1쟁기날부는 4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4련 쟁기날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복수의 상기 제2쟁기날부는 3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3련 쟁기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쟁기날부는 상단부가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제1원호형 몸체부 및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내는 제1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쟁기날부는 상단부가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제2원호형 몸체부 및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내는 제2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날부재는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날부재는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쟁기날부는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날부재의 뒷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날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측면 날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쟁기날부는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날부재의 뒷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2날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2측면 날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면 날부재는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측면 날부재는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면 날부재는 하단부 측이 휘어져 토양과 접촉되는 제1측면 쟁기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쟁기날은 적어도 상기 제1날부재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2측면 날부재는 하단부 측이 휘어져 토양과 접촉되는 제2측면 쟁기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은 적어도 상기 제2날부재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면 쟁기날은 후측이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지게 위치되고,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은 후측이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1측면 쟁기날보다 작은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은 상기 제1측면 쟁기날이 토양과 접촉되는 폭보다 작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과 제2가로 프레임, 상기 제1가로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세로 프레임, 상기 제1가로 프레임의 타단부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세로 프레임, 상기 제1세로 프레임과 상기 제2세로 프레임 사이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1가로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고 이격되게 위치되어 트랙터와 연결되는 한쌍의 제1연결 브라켓트부, 한쌍의 상기 제1연결 브라켓트부의 사이에서 세워져 위치되어 트랙터와 연결되는 제2연결 브라켓트부, 상기 제2연결 브라켓트부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가로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 측이 상기 제2연결 브라켓트의 측면에 고정되는 보강 리브 브라켓트부 및 일단부가 상기 보강 리브 브라켓트부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 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후측에 연결되는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 및 상기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의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고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3쟁기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날 지지 프레임, 상기 날 지지 프레임을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와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 결합부 및 양단부 측이 각각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날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부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제3쟁기날부를 들어올려 상기 제1쟁기날부와 상기 제2쟁기날부만 토양에 박힌 상태에서 토양의 심경 작업만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쟁기날부, 상기 제2쟁기날부, 상기 제3쟁기날부가 토양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쟁기날부를 2열로 배치하되, 1열에 위치된 복수의 제1쟁기날부 사이에 2열에 위치된 복수의 제2쟁기날부가 위치되도록 하여 심경 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토양에 최대한 깊게 박힐 수 있어 심경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심경 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심경 작업 시 방향 전환이 원활하여 넓은 면적의 토양에 대한 심경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 측면에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날부를 포함하여 파여져 양 측으로 쌓이는 토양을 뒤집을 수 있어 심경 작업 시 토양의 질을 더 좋게 하고, 심경 작업 후 배토 작업 시 효율도 함께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일부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트랙터와 연결되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를 포함한다.
트랙터는 농업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의 작업용 자동차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110)과 제2가로 프레임(120), 제1가로 프레임(110)의 일단부와 제2가로 프레임(12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세로 프레임(130), 제1가로 프레임(110)의 타단부와 제2가로 프레임(12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세로 프레임(140), 제1세로 프레임(130)과 제2세로 프레임(140) 사이에서 일단부가 제1가로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가로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는 제1가로 프레임(110)과 제2가로 프레임(120), 제1세로 프레임(130)과 제2세로 프레임(140)을 포함하여 4각 형상의 메인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메인 프레임체의 개방부에 복수의 보강 프레임(150)이 위치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를 가진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110)에는 전방 측으로 돌출되고 이격되게 위치되어 트랙터와 연결되는 제1연결 브라켓트부(160), 제1연결 브라켓트부(160)의 사이에서 세워져 위치되어 트랙터와 연결되는 제2연결 브라켓트부(170)가 구비된다.
또한, 제2연결 브라켓트부(170)의 양 측면에는 하단부가 제1가로 프레임(1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 측이 제2연결 브라켓트부(170)의 측면에 고정되는 보강 리브 브라켓트부(171)가 각각 위치된다.
또한,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는 일단부가 보강 리브 브라켓트부(171)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가로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 보강바(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보강바(180)는 제2연결 브라켓트부(170)의 강성을 보강하여 트랙터와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 중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의 뒷쪽에는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며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1쟁기날부(200)가 위치된다.
복수의 제1쟁기날부(200)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에서 후측에 위치되는 제2가로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복수의 제1쟁기날부(200)는 제2가로 프레임(120)에서 하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고, 단부 측에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낼 수 있도록 뾰족한 제1날부재(220)가 위치된다.
제1쟁기날부(200)는 상단부가 제2가로 프레임(120) 즉,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제1원호형 몸체부(210), 제1원호형 몸체부(210)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내는 제1날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날부재(220)는 제1원호형 몸체부(210)의 하단부 측에 볼트 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날부재(220)는 제1원호형 몸체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끝단부의 날이 토양과의 접촉으로 마모되어 날이 무뎌진 경우 다른 새로운 날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에서 앞쪽에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110)에는 복수의 제2쟁기날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1쟁기날부(200)는 제1원호형 몸체부(210)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제1날부재(220)의 뒷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제1날부재(22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측면 날부재(230)를 더 포함한다.
제1측면 날부재(230)는 제1원호형 몸체부(210)의 측면에 볼트 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측면 날부재(230)는 제1원호형 몸체부(210)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날이 무뎌진 경우 새로운 날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1측면 날부재(230)는 상단부 측이 제1원호형 몸체부(210)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부 측이 제1원호형 몸체부(210)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진다.
제1측면 날부재(230)는 하단부 측이 휘어져 토양과 접촉되는 제1측면 쟁기날(230a)이 형성되고, 제1측면 쟁기날(230a)은 적어도 제1날부재(22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진다.
제1측면 쟁기날(230a)은 제1날부재(220)의 뒷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일차적으로 중앙의 제2날부재(320)로 파인 양 측을 파서 뒤집는 역할을 한다.
제1측면 쟁기날(230a)의 선단부는 제1날부재(220)의 선단부와 토양에 동시에 접촉되며 접촉되는 부분이 제1날부재(220)가 토양에 접촉되는 폭보다 넓은 폭으로 접촉된다.
또한, 제1측면 쟁기날(230a)은 후측이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지게 위치되어 토양이 경사면을 따라 들어올려져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뒤집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제1측면 날부재(230)는 제1날부재(220)에 의해 토양의 파여진 부분에서 양 측에 쌓이는 흙을 뒤집어 흙을 갈아 엎게 된다.
제2쟁기날부(300)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의 앞쪽에 즉, 제1쟁기날부(200)의 앞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사이 간격은 30cm 이내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쟁기날부(200)의 후단부와 제2쟁기날부(300)의 선단부 간의 간격은 30cm 이내로 트랙터의 방향 전환에 유리하도록 한다.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사이 간격이 30cm 초과인 경우 심경 작업 중 트랙터의 방향 전환이 제1쟁기날부(200)의 후단부와 제2쟁기날부(300)의 선단부 간의 간격은 30cm 이내인 경우보다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제2쟁기날부(300)는 복수의 제1쟁기날부(200)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의 제1쟁기날부(200)가 복수의 제2쟁기날부(300)보다 개수가 더 많게 위치된다.
복수의 제1쟁기날부(200)는 4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4련 쟁기날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복수의 제2쟁기날부(300)는 3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3련 쟁기날이고, 각각의 제2쟁기날부(300)는 2개의 제1쟁기날부(200) 사이에서 중앙에 위치된다.
제1쟁기날부(200)보다 앞쪽에 위치되는 제2쟁기날부(300)는 제1쟁기날부(20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트랙터의 방향 전환 즉, 심경 작업 시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며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2열 구조로 토양에 더 깊게 박혀 심경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앞쪽에 위치되는 제2쟁기날부(300)의 갯수가 뒷쪽에 위치되는 제1쟁기날부(200)의 갯수보다 적어 트랙터의 방향 전환 즉, 심경 작업 시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방향 전환 시 발생되는 부하를 줄여 트랙터의 방향 전환 즉, 심경 작업 시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넓은 면적의 토양에 대한 심경 작업에 대한 심경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2쟁기날부(300)는 제1가로 프레임(110)에서 하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고, 단부 측에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낼 수 있도록 뾰족한 제2날부재(320)가 위치된다.
제2쟁기날부(300)는 상단부가 제1가로 프레임(110) 즉,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제2원호형 몸체부(310), 제2원호형 몸체부(310)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내는 제2날부재(320)를 포함한다.
제2날부재(320)는 제2원호형 몸체부(310)의 하단부 측에 볼트 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날부재(320)는 제2원호형 몸체부(3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끝단부의 날이 토양과의 접촉으로 마모되어 날이 무뎌진 경우 다른 새로운 날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에서 앞쪽에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110)에는 복수의 제2쟁기날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2쟁기날부(300)는 제2원호형 몸체부(310)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제2날부재(320)의 뒷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제2날부재(32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2측면 날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제2측면 날부재(330)는 상단부 측이 제2원호형 몸체부(310)의 측면에 고정되고 하부 측이 제2원호형 몸체부(310)의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진다.
제2측면 날부재(330)는 제2원호형 몸체부(310)의 측면에 볼트 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측면 날부재(330)는 제2원호형 몸체부(310)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날이 무뎌진 경우 새로운 날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2측면 날부재(330)는 하단부 측이 휘어져 토양과 접촉되는 제2측면 쟁기날(330a)이 형성되고, 제2측면 쟁기날(330a)은 적어도 제2날부재(32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진다.
제2측면 쟁기날(330a)은 제2날부재(320)의 뒷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일차적으로 중앙의 제2날부재(320)로 파인 양 측을 파서 뒤집는 역할을 한다.
제2측면 쟁기날(330a)의 선단부는 제2날부재(320)의 선단부와 토양에 동시에 접촉되며 접촉되는 부분이 제2날부재(320)가 토양에 접촉되는 폭보다 넓은 폭으로 접촉된다.
또한, 제2측면 쟁기날(330a)은 후측이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지게 위치되어 토양이 경사면을 따라 들어올려져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뒤집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제2측면 날부재(330)는 제2날부재(320)에 의해 토양의 파여진 부분에서 양 측에 쌓이는 흙을 뒤집어 흙을 갈아 엎게 된다.
제2측면 쟁기날(330a)의 경사각도(α1)는 제1측면 쟁기날(230a)의 경사각도(α2)보다 작은 각도를 가져 날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트랙터의 방향전환 즉,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방향 전환 시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트랙터의 방향전환 즉,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방향 전환이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2측면 쟁기날(330a)은 제1측면 쟁기날(230a)이 토양과 접촉되는 폭보다 작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2측면 쟁기날(330a)은 제1측면 쟁기날(230a)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제1측면 쟁기날(230a)이 토양과 접촉되는 폭보다 작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어 날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트랙터의 방향전환 즉,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방향 전환 시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트랙터의 방향전환 즉,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의 방향 전환이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의 후측에 연결되는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400),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400)의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고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3쟁기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400)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날 지지 프레임(410), 날 지지 프레임(410)을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와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420)을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420)의 단부에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 즉, 제2가로 프레임(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 결합부(430)가 위치된다.
프레임 결합부(430)는 제2가로 프레임(120)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결합 몸체부재(431), 제1결합 몸체부재(43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제2가로 프레임(120)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2결합 몸체부재(432), 제1결합 몸체부재(431)와 제2결합 몸체부재(432)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440)를 포함한다.
제2결합 몸체부재(432)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가로 프레임(120)이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를 개폐한다.
결합부재(440)는 제1결합 몸체부재(431)와 제2결합 몸체부재(432)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단부 측에 머리부를 구비한 결합 볼트부재(441), 결합 볼트부재(441)의 단부 측에 체결되는 결합 너트부재(442)를 포함한다.
결합부재(440)는 결합 볼트부재(441), 결합 너트부재(442) 이외에도 공지의 결합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1결합 몸체부재(431)와 제2결합 몸체부재(432)는 제2가로 프레임(120)을 감싼 상태에서 결합 볼트부재(441)와 결합 너트부재(442)의 체결로 서로 결합되어 날 지지 프레임(410)을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와 연결한다.
날 지지 프레임(410)은 연결 프레임(420)을 통해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에 연결되고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와 함께 트랙터로 이동하면서 심경 작업된 토양을 제3쟁기날부(500)로 바로 배토 작업하게 된다.
날 지지 프레임(410)은 제2가로 프레임(120)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일자형 가로 프레임이고, 연결 프레임(420)은 날 지지 프레임(410)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며 날 지지 프레임(4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어 날 지지 프레임(410)이 제2가로 프레임(12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3쟁기날부(500)는 상단부가 날 지지 프레임(41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제3원호형 몸체부(510), 제3원호형 몸체부(510)의 앞쪽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내는 배토 작업용 날부재(520)를 포함한다.
배토 작업용 날부재(520)는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V자형 평단면을 가지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되 하단부 측이 앞쪽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휘어진 형상을 가진다.
배토 작업용 날부재(520)는 배토 작업을 수행하는 공지의 쟁기날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복수의 제3쟁기날부(500)는 날 지지 프레임(410)의 중앙에서 제2쟁기날부(300)와 트랙터의 주행방향에서 일직선 상으로 위치되고, 날 지지 프레임(410)의 양 단부 측에서 트랙터의 주행방향에서 제1쟁기날부(200)와 일직선 상으로 위치되어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로 파여진 흙에 대한 배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 결합부(430)는 연결 프레임(420)의 단부에 힌지축(42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 결합부(430)와 날 지지 프레임(410)은 유압 실린더(600)으로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600)는 양단부 측이 각각 프레임 결합부(430)와 날 지지 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본체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400)와 제3쟁기날부(500)를 들어올려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만 토양에 박힌 상태에서 토양의 심경 작업만 수행하거나 제1쟁기날부(200), 제2쟁기날부(300), 제3쟁기날부(500)가 토양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트랙터(10)에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가 연결되고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가 토양에 박힌 상태에서 토양의 심경 작업에 사용된다.
또한,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400)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에 연결되어 제3쟁기날부(500)를 통해 배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트랙터(10)가 주행하면서 토양에 박힌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가 토양의 심경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제1쟁기날부(200)의 후측에서 토양에 박힌 제3쟁기날부(500)가 배토 작업을 바로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는 유압 실린더(600)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400)와 제3쟁기날부(500)를 들어올려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만 토양에 박힌 상태에서 토양의 심경 작업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는 유압 실린더(600)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쟁기날부(200), 제2쟁기날부(300), 제3쟁기날부(500)가 토양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트랙터(10)에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100)와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400)를 연결하고 제1쟁기날부(200)와 제2쟁기날부(300)로 토양의 심경 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동시에 제3쟁기날부(500)로 배토 작업을 바로 수행하여 토양의 심경 및 배토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쟁기날부를 2열로 배치하되, 1열에 위치된 복수의 제1쟁기날부(200) 사이에 2열에 위치된 복수의 제2쟁기날부(300)가 위치되도록 하여 심경 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토양에 최대한 깊게 박힐 수 있어 심경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심경 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심경 작업 시 방향 전환이 원활하여 넓은 면적의 토양에 대한 심경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양 측면에 돌출되는 한쌍의 측면날부를 포함하여 파여져 양 측으로 쌓이는 토양을 뒤집을 수 있어 심경 작업 시 토양의 질을 더 좋게 하고, 심경 작업 후 배토 작업 시 효율도 함께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트랙터 100 :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
110 : 제1가로 프레임 120 : 제2가로 프레임
130 : 제1세로 프레임 140 : 제2세로 프레임
150 : 보강 프레임 160 : 제1연결 브라켓트부
170 : 제2연결 브라켓트부 171 : 보강 리브 브라켓트부
180 : 연결 보강바 200 : 제1쟁기날부
210 : 제1원호형 몸체부 220 : 제1날부재
230 : 제1측면 날부재 230a : 제1측면 쟁기날
300 : 제2쟁기날부 310 : 제2원호형 몸체부
320 : 제2날부재 330 : 제2측면 날부재
330a : 제2측면 쟁기날 400 :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
410 : 날 지지 프레임 420 : 연결 프레임
430 : 프레임 결합부 431 : 제1결합 몸체부재
432 : 제2결합 몸체부재 440 : 결합부재
441 : 결합 볼트부재 442 : 결합 너트부재
500 : 제3쟁기날부 510 : 제3원호형 몸체부
520 : 배토 작업용 날부재

Claims (15)

  1. 트랙터와 연결되는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뒷쪽에서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며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1쟁기날부;
    상기 제1쟁기날부의 앞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며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2쟁기날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제2쟁기날부는 복수의 상기 제1쟁기날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쟁기날부와 상기 제2쟁기날부의 사이 간격은 30c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쟁기날부의 개수는 상기 제2쟁기날부의 개수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쟁기날부는 4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4련 쟁기날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복수의 상기 제2쟁기날부는 3개의 쟁기날이 일렬로 위치된 3련 쟁기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쟁기날부는,
    상단부가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제1원호형 몸체부; 및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내는 제1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쟁기날부는 상단부가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제2원호형 몸체부; 및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토양에 박혀 토양을 파내는 제2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날부재는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날부재는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하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쟁기날부는,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날부재의 뒷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날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측면 날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쟁기날부는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날부재의 뒷쪽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2날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2측면 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날부재는 상기 제1원호형 몸체부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측면 날부재는 상기 제2원호형 몸체부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날부재는 하단부 측이 휘어져 토양과 접촉되는 제1측면 쟁기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쟁기날은 적어도 상기 제1날부재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2측면 날부재는 하단부 측이 휘어져 토양과 접촉되는 제2측면 쟁기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은 적어도 상기 제2날부재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쟁기날은 후측이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지게 위치되고,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은 후측이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1측면 쟁기날보다 작은 경사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쟁기날은 상기 제1측면 쟁기날이 토양과 접촉되는 폭보다 작은 폭으로 토양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과 제2가로 프레임;
    상기 제1가로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세로 프레임;
    상기 제1가로 프레임의 타단부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세로 프레임;
    상기 제1세로 프레임과 상기 제2세로 프레임 사이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1가로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가로 프레임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고 이격되게 위치되어 트랙터와 연결되는 한쌍의 제1연결 브라켓트부;
    한쌍의 상기 제1연결 브라켓트부의 사이에서 세워져 위치되어 트랙터와 연결되는 제2연결 브라켓트부;
    상기 제2연결 브라켓트부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가로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 측이 상기 제2연결 브라켓트의 측면에 고정되는 보강 리브 브라켓트부; 및
    일단부가 상기 보강 리브 브라켓트부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가로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 보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의 후측에 연결되는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 및
    상기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의 하부에 세워져 일렬로 위치되고 토양에 박혀 토양을 갈아 엎는 복수의 제3쟁기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토 작업용 프레임부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날 지지 프레임;
    상기 날 지지 프레임을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와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심경 작업용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 결합부; 및
    양단부 측이 각각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날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부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는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제3쟁기날부를 들어올려 상기 제1쟁기날부와 상기 제2쟁기날부만 토양에 박힌 상태에서 토양의 심경 작업만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쟁기날부, 상기 제2쟁기날부, 상기 제3쟁기날부가 토양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KR1020200045679A 2020-04-16 2020-04-16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KR102418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79A KR102418204B1 (ko) 2020-04-16 2020-04-16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79A KR102418204B1 (ko) 2020-04-16 2020-04-16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333A true KR20200058333A (ko) 2020-05-27
KR102418204B1 KR102418204B1 (ko) 2022-07-06

Family

ID=7091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79A KR102418204B1 (ko) 2020-04-16 2020-04-16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00A (ko) *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세웅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022A (ja) * 2003-09-12 2005-04-07 Matsuyama Plow Mfg Co Ltd 部分深耕機
KR101217724B1 (ko) * 2012-07-23 2013-01-02 이세원 심경 갈이용 쟁기
KR20180002275U (ko) * 2018-03-13 2018-07-25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KR20190049309A (ko) 2017-11-01 2019-05-09 정상채 심토 작업용 쟁기
KR20190100987A (ko) * 2018-02-21 2019-08-30 주식회사 세웅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KR200489965Y1 (ko) *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022A (ja) * 2003-09-12 2005-04-07 Matsuyama Plow Mfg Co Ltd 部分深耕機
KR101217724B1 (ko) * 2012-07-23 2013-01-02 이세원 심경 갈이용 쟁기
KR20190049309A (ko) 2017-11-01 2019-05-09 정상채 심토 작업용 쟁기
KR20190100987A (ko) * 2018-02-21 2019-08-30 주식회사 세웅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KR20180002275U (ko) * 2018-03-13 2018-07-25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KR200489965Y1 (ko) *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00A (ko) * 2021-09-07 2023-03-14 주식회사 세웅 작업성능이 향상된 고속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204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4111C (en) Minimum tillage ripper point with fin
US6422323B1 (en) Tillage tooth for use in an implement providing a smooth finish
KR200458957Y1 (ko) 마늘 수확기
US5605196A (en) Multi-piece subsoiler unit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JP5237041B2 (ja) 粗耕起作業機
US20200068775A1 (en) Vibrating subsoil tool
EP0920244B1 (en) Tine point for mounting on soil-working implement
KR20200058333A (ko)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CN105557084A (zh) 土壤旋耕深翻机
JP2009100659A (ja)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JP5099779B2 (ja) 粗耕起作業機
US10597850B2 (en) Vibrating subsoil tool
CN2718987Y (zh) 多用途仿生阻力犁铧整耕机
US20220228343A1 (en) Vibrating subsoil tool
KR101056401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CN205284047U (zh) 土壤旋耕深翻机
JP5156572B2 (ja) 粗耕起作業機
JP3940698B2 (ja) サブソイリングディガ−プラウ作業機
KR102123655B1 (ko) 심토 작업용 쟁기
JP4713001B2 (ja) サブソイルディガ−プラウ作業機及びその掘削発土爪
CN218570781U (zh) 一种农业机械用多齿犁
CN218634773U (zh) 一种红薯收获犁地机
KR200223379Y1 (ko) 승용관리기용 쟁기
JPS5936978Y2 (ja) 掘取装置
CN214282176U (zh) 一种具有梳理整平土壤功能的胡萝卜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