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377B1 -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 Google Patents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377B1
KR101740377B1 KR1020160123844A KR20160123844A KR101740377B1 KR 101740377 B1 KR101740377 B1 KR 101740377B1 KR 1020160123844 A KR1020160123844 A KR 1020160123844A KR 20160123844 A KR20160123844 A KR 20160123844A KR 101740377 B1 KR101740377 B1 KR 10174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xially coupled
vertical
rear side
disc h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to KR102016012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에 관한 것으로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무동력으로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를 순차적으로 한번에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Disc Harrow Topdressers type of chisel}
본 발명은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무동력으로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를 순차적으로 한번에 행할 수 있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에 관한 것이다.
농업선진국과 FTA 체결로 농촌의 도시개발은 농경지감소로, 농업인구 감소 및 노령화로, 이상기후로, 밭작업기계화율 저조로, 성장동력을 상실한 한국 농업은 경쟁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최소한의 국가식량안보를 위한 국가 보호정책으로 유지되고 있다.
최근 농업의 경쟁력 상실은 한국 농업기계를 침체위기로 내몰고 있다.
세계시장의 수요가 높고, 농업기계 선진국의 탑 브랜드회사들과 경쟁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 내구성과 품질 신뢰성이 보장된 수출가능한 제품을 개발, 내수에 의존한 산업에서 다변화된 수출시장, 새로운 수출시장 개척이 가능한 산업으로 성장시켜 한국 농기계 산업을 미래에 지속성장이 가능한 산업으로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가 있다.
국내 농업현장에서 생산성 향상과 생력화 작업이 가능하며 농가에 영농비용 절감을 위한 정식전 단계인 경운작업시 토양의 반전, 쇄토, 비닐피복작업과 배수를 위한 고랑작업과 재배작물의 정식을 위한 최적화된 Seed Bed가 배토기로 형성하며, 최근에는 지면에 지지되게 배토기를 구비함으로서 로타리에 배토기의 탈부착과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배토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9261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92612호의 경우 배토작업만 할 수 있을 뿐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를 순차적으로 한번에 행할 수 없어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무동력으로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를 순차적으로 한번에 행할 수 있는 무동력 원판해로우 방식의 경운과 배토가 가능한 고효율 복합작업기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926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무동력으로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를 순차적으로 한번에 행할 수 있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치즐쟁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전측지지프레임의 상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후측지지프레임의 상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는 각각 상기 전측지지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후측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측하부와 상기 전측지지프레임의 상부사이 및 상기 프레임의 후측하부와 상기 후측지지프레임의 상부사이에 각각 충격흡수용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전측하부프레임 및 후측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전측하부프레임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하부프레임의 상부방향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상부프레임 및 후측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연결하고, 전단부 내측과 후단부 내측에 각각 상기 전측하부프레임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이 수용고정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부 내면과 상기 전측하부프레임의 외면 사이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후단부 내면과 상기 후측하부프레임의 외면 사이에 각각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전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상하이동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치즐쟁기부의 상부가 고정되며, 상기 치즐쟁기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전측과 후측 사이의 상기 상하이동프레임 부위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배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토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는 배토기프레임과; 상기 배토기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배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결합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토기는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일측수직프레임과, 상기 일측수직프레임의 하부 후측에 각각 전측이 연결되는 일측배토판과, 상기 일측배토판 사이에 형성되는 일측두둑형성판으로 구성되는 일측배토기와;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타측수직프레임과, 상기 타측수직프레임의 하부 후측에 각각 전측이 연결되는 타측배토판과, 상기 타측배토판 사이에 형성되는 타측두둑형성판으로 구성되는 타측배토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수직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타측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배토판의 내측 및 상기 타측배토판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원판해로우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배토기와 상기 타측배토기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일측수직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프레임의 상부가 체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무동력으로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를 순차적으로 한번에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충격흡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5는 배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프레임의 후측에 배토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배토부의 좌우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전측원판해로우부(20), 후측원판해로우부(30) 및 치즐쟁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20) 및 연결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전측하부프레임(111) 및 후측하부프레임(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전측하부프레임(111)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 (112)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하부프레임(111)의 상부방향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112)의 상부방향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상부프레임(121) 및 후측상부프레임(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전단부 내측과 후단부 내측에 각각 상기 전측하부프레임(111)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112)이 수용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전단부와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후단부에 각각 체결브라켓(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체결브라켓(140)은 상부체결브라켓(141)과 하부체결브라켓(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결브라켓(141)의 중간부는 상기 전측하부프레임(111)의 상부면 및 후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브라켓(141)의 중간부는 상기 후측하부프레임(112)의 상부면 및 전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체결브라켓(142)의 중간부는 상기 전측하부프레임(111)의 하부면 및 전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체결브라켓(142)의 중간부는 상기 후측하부프레임(112)의 하부면 및 후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결브라켓(141)으로부터 상기 하부체결브라켓(142)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체결브라켓(141)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기 하부체결브라켓(142)의 상부 및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에는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에 연결되는 연결부(11)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는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의 후측에 연결되는 농기계 연결프레임(11a)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농기계 연결프레임(11a)의 전단부 하부 일측과 전단부 하부 타측에 각각 일측링크(11b)와 타측링크(11c)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농기계 연결프레임(11a)의 전측 상부에 상부링크(11d)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하부프레임(111)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하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된다.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의 하부가 자중에 의해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가 주행할 시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가 회전하여 토양을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방향으로 반전이동시키면서 쇄토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하부프레임(111)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하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된다.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의 하부가 자중에 의해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가 주행할 시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가 회전하여 토양을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방향으로 반전이동시키면서 쇄토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치즐쟁기부(40)는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상부프레임(121)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치즐쟁기부(40)의 하부가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가 주행할 시 상기 치즐쟁기부(40)의 하부가 지중을 파헤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하부프레임(111)의 하부에 전측지지프레임(113)의 상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지지프레임(113)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지지프레임(113)은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하부프레임(112)의 하부에 후측지지프레임(114)의 상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지지프레임(114)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지지프레임(114)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는 각각 상기 전측지지프레임(113)의 하부 및 상기 후측지지프레임(114)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하부프레임(111)의 하부와 상기 전측지지프레임(113)의 상부 사이 및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하부프레임(112)의 하부와 상기 후측지지프레임(114)의 상부 사이에 각각 팽창된 상태인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가 주행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의 하부 및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의 하부가 돌 등의 장애물에 부딪칠 경우,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 및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가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충격흡수용 탄성부재(115)가 수축되면서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 및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충격흡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가 주행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의 하부 및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의 하부가 돌 등의 장애물에 부딪칠 경우, 상기 프레임(10)으로도 가해지는 충격 또한 보다 용이하게 흡수하여 완화시키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전단부 내면과 상기 전측하부프레임(111)의 외면 사이 및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후단부 내면과 상기 후측하부프레임(112)의 외면 사이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116)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140)은 전측체결브라켓(143)과 후측체결브라켓(1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체결브라켓(143)의 중간부가 상기 전측체결브라켓(143)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첨예해지도록 상기 전측체결브라켓(143)의 중간부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체결브라켓(144)의 중간부가 상기 후측체결브라켓(144)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첨예해지도록 상기 후측체결브라켓(144)의 중간부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체결브라켓(143)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기 후측체결브라켓(144)의 상부 및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예인 상기 체결브라켓(140)의 상부 내부, 하부 내부, 전측 내부 및 후측 내부에는 상기 전측하부프레임(111)의 상부 외면, 하부외면, 전측외면 및 후측외면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112)의 상부 외면, 하부외면, 전측외면 및 후측외면과 각각 접하는 상기 충격흡수부재(116)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 사이의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상부프레임(121)의 하부에 전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하이동프레임(1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후측에는 상기 치즐쟁기부(40)의 상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후측 내부에 상기 치즐쟁기부(40)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치즐쟁기부(40)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구(4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후측에는 1개 또는 1개 이상의 복수의 관통구(11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어느 하나의 관통구(117a) 및 상기 치즐쟁기부(40)의 어느 하나의 관통구(411)를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는 상기 치즐쟁기부(40)의 하부의 삽입깊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치즐쟁기부(4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0)는 유압실린더 등의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상부는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20)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30) 사이의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상부프레임(121)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하부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전측과 후측 사이의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중간부위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상하길이가 줄어들수록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후측과 함께 상기 치즐쟁기부(40)가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상하길이가 늘어날수록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17)의 후측과 함께 상기 치즐쟁기부(40)가 점차 하강할 수 있다.
도 5는 배토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프레임의 후측에 배토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하부프레임(11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배토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토부(6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결합프레임(610), 배토기프레임(620) 및 배토기(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610)의 전측 상부 일측과 전측 상부 타측은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하부프레임(112)의 일측상부 및 타측 상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토기프레임(620)은 상기 결합프레임(610)의 후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토기(630)는 상기 배토기프레임(620)의 하부 일측에서 하부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의 주행과 함께 원하는 위치에 두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토기(63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복수의 승강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0)는 유압실린더 등의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0)를 이룰 수 있는 복수의 실린더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상부프레임(122)의 중간부위에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0)를 이룰 수 있는 복수의 실린더의 하부는 상기 결합프레임(610)의 중간부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0)를 이룰 수 있는 복수의 실린더의 상하길이가 줄어들수록 상기 배토기프레임(620)과 함께 상기 배토기(630)가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0)를 이룰 수 있는 복수의 실린더의 상하길이가 늘어날수록 상기 배토기프레임(620)과 함께 상기 배토기(630)가 점차 하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토기(6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배토기(631)와 타측배토기(6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배토기(631)는 일측수직프레임(631a), 일측배토판(631b) 및 일측두둑형성판(63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프레임(631a)은 상기 배토기프레임(620)의 일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배토판(631b)의 전측은 상기 일측수직프레임(631a)의 하부 전측의 반대측인 하부 후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두둑형성판(631c)은 상기 일측배토판(631b)의 상부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배토기(632)는 타측수직프레임(632a), 타측배토판(632b) 및 타측두둑형성판(632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프레임(632a)은 상기 배토기프레임(620)의 타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배토판(632b)의 전측은 상기 타측수직프레임(632a)의 하부 전측의 반대측인 하부 후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두둑형성판(632c)은 상기 타측배토판(632b)의 상부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수직프레임(631a)의 하부 및 상기 타측수직프레임(632a)의 하부에 원판해로우부(633)가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원판해로우부(63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원판해로우부(633)는 상기 일측배토판(631b)의 내측 및 상기 타측배토판(632b)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트랙터를 포함한 농기계가 주행할 시 상기 원판해로우부(633)는 회전하여 상기 일측배토판(631b)의 내측 및 상기 타측배토판(632b)의 내측으로 토양을 이동시켜 모으게 되고, 상기 일측두둑형성판(631c)과 상기 타측두둑형성판(632c)은 모인 토양을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배토부의 좌우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배토기(631)와 상기 타측배토기(632)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두둑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일측수직프레임(631a)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프레임(632a)의 상부가 체결브라켓(633)에 의해 상기 배토기프레임(62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633)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체결브라켓(633a)과 하부체결브라켓(63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결브라켓(633a)은 상기 일측수직프레임(631a)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프레임(632a)의 상부에 각각 일체형성되어 상기 베토기프레임(620)의 전측, 하측 및 후측을 각각 감싸게 된다.
상기 하부체결브라켓(633b)은 상기 베토기프레임(62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결브라켓(633a)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하부체결브라켓(633b)의 전측과 후측에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무동력으로 토양의 반전, 쇄토, 배토를 순차적으로 한번에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전측원판해로우부,
30; 후측원판해로우부, 40; 치즐쟁기부.

Claims (9)

  1. 전측하부프레임 및 후측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전측하부프레임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하부프레임의 상부방향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상부프레임 및 후측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연결하고 전단부 내측과 후단부 내측에 각각 상기 전측하부프레임 및 상기 후측하부프레임이 수용고정되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부 내면과 상기 전측하부프레임의 외면 사이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후단부 내면과 상기 후측하부프레임의 외면 사이에 각각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치즐쟁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전측지지프레임의 상부가 축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후측지지프레임의 상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는 각각 상기 전측지지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후측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측하부와 상기 전측지지프레임의 상부사이 및 상기 프레임의 후측하부와 상기 후측지지프레임의 상부사이에 각각 충격흡수용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전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상하이동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치즐쟁기부의 상부가 고정되며,
    상기 치즐쟁기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전측원판해로우부와 상기 후측원판해로우부 사이의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의 전측과 후측 사이의 상기 상하이동프레임 부위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배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는 배토기프레임과;
    상기 배토기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는 배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상부가 축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결합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기는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일측수직프레임과, 상기 일측수직프레임의 하부 후측에 각각 전측이 연결되는 일측배토판과, 상기 일측배토판 사이에 형성되는 일측두둑형성판으로 구성되는 일측배토기와;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타측수직프레임과, 상기 타측수직프레임의 하부 후측에 각각 전측이 연결되는 타측배토판과, 상기 타측배토판 사이에 형성되는 타측두둑형성판으로 구성되는 타측배토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수직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타측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배토판의 내측 및 상기 타측배토판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원판해로우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배토기와 상기 타측배토기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일측수직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프레임의 상부가 체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배토기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9. 삭제
KR1020160123844A 2016-09-27 2016-09-27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KR101740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844A KR101740377B1 (ko) 2016-09-27 2016-09-27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844A KR101740377B1 (ko) 2016-09-27 2016-09-27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377B1 true KR101740377B1 (ko) 2017-05-26

Family

ID=5905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844A KR101740377B1 (ko) 2016-09-27 2016-09-27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37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29B1 (ko) 2017-10-31 2019-04-22 주식회사 그린맥스 주행안정성이 향상된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KR20190049309A (ko) * 2017-11-01 2019-05-09 정상채 심토 작업용 쟁기
RU190938U1 (ru) * 2019-04-18 2019-07-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ФГБОУ ВО РГАУ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Плуг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на склонах
KR20190100987A (ko) * 2018-02-21 2019-08-30 주식회사 세웅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KR102092160B1 (ko) * 2019-09-16 2020-03-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폭 및 높이 가변형 트랙터용 쟁기
KR20200044657A (ko) * 2019-05-13 2020-04-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00130928A (ko) * 2019-05-13 2020-11-23 박기혁 복합 경작장치
KR20200136117A (ko) * 2019-05-27 2020-12-07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196065B1 (ko) * 2020-03-24 2020-12-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40044867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세형아마존 무동력 디스크 해로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03Y1 (ko) * 2002-04-03 2002-10-09 박노식 무동력 회전원판 배토기
JP4828123B2 (ja) * 2002-10-14 2011-11-30 ミッシェル エヴィン 高精度プラウおよび、このようなプラウのため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03Y1 (ko) * 2002-04-03 2002-10-09 박노식 무동력 회전원판 배토기
JP4828123B2 (ja) * 2002-10-14 2011-11-30 ミッシェル エヴィン 高精度プラウおよび、このようなプラウのための安全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29B1 (ko) 2017-10-31 2019-04-22 주식회사 그린맥스 주행안정성이 향상된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KR102123655B1 (ko) * 2017-11-01 2020-06-16 정상채 심토 작업용 쟁기
KR20190049309A (ko) * 2017-11-01 2019-05-09 정상채 심토 작업용 쟁기
KR20190100987A (ko) * 2018-02-21 2019-08-30 주식회사 세웅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KR102032390B1 (ko) * 2018-02-21 2019-10-16 주식회사 세웅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RU190938U1 (ru) * 2019-04-18 2019-07-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ФГБОУ ВО РГАУ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Плуг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на склонах
KR20200130928A (ko) * 2019-05-13 2020-11-23 박기혁 복합 경작장치
KR20200044657A (ko) * 2019-05-13 2020-04-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WO2020231119A3 (ko) * 2019-05-13 2021-02-11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270161B1 (ko) * 2019-05-13 2021-06-28 박기혁 복합 경작장치
KR102273479B1 (ko) * 2019-05-13 2021-07-06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00136117A (ko) * 2019-05-27 2020-12-07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273483B1 (ko) * 2019-05-27 2021-07-06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092160B1 (ko) * 2019-09-16 2020-03-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폭 및 높이 가변형 트랙터용 쟁기
KR102196065B1 (ko) * 2020-03-24 2020-12-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240044867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세형아마존 무동력 디스크 해로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377B1 (ko)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CN101119633B (zh) 组合农业机器
EP2436250A1 (en) Soil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10284253A1 (en) Disc cultivator
US20090120340A1 (en) Fertilizer knife and point structure
EP2343962B1 (en) Drill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20211247A1 (en) Chisel plow leveler rake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CN104186045A (zh) 一种新型深松整地联合作业机
AU2018213105A1 (en) Seed sowing apparatus and method of sowing seed
RU2365074C1 (ru) Культиватор 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ь
US20170303459A1 (en) Soil working unit and method
US20150096481A1 (en) Agricultural material applicator
CN208549151U (zh) 一种可调整耕作模式的耕地机
KR101056401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WO2011119093A1 (en) Planter with central beam having free front and rear side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US9032648B2 (en) Ditch forming implement
US2286312A (en) Cultivating implement
JP4031224B2 (ja) 高畝形成作業機ならびにこれに用いる高畝形成板
JP2006217863A (ja) 撥土板付心土犂の取り付けられたプラウ作業機
RU2479179C2 (ru) 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ь навесной
KR200475597Y1 (ko) 포크레인용 쟁기장치
RU2492610C1 (ru) Дисковатор 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ь
KR102612795B1 (ko) 트랙터용 디스크 해로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