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126Y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126Y1
KR200337126Y1 KR20-2003-0031477U KR20030031477U KR200337126Y1 KR 200337126 Y1 KR200337126 Y1 KR 200337126Y1 KR 20030031477 U KR20030031477 U KR 20030031477U KR 200337126 Y1 KR200337126 Y1 KR 200337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stic bag
trash
garbage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만 filed Critical 이종만
Priority to KR20-2003-0031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상단부에 걸이 부재를 구비하여 쓰레기 비닐 봉투의 양측 상부가 용기에 걸어 고정되도록 하는 쓰레기통이다. 그로인해 쓰레기통에 비닐 봉투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쓰레기를 담기가 용이하고 쓰레기를 발로 밟아서 가득 채울 수가 있으므로 쓰레기봉투의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쓰레기통{Garbage can}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용기의 상단에 걸이 부재를 구비하여 쓰레기 비닐 봉투를 걸어 고정하고, 비닐 봉투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내용물 예를들어 페인트를 담는 원통형 용기는 20리터 용량을 주로 사용하며, 용기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이 사용된다. 내용물을 사용한 이후의 용기는 폐기처리 되어 자원의 낭비와 아울러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한편, 종량제 쓰레기봉투로 사용되는 비닐 봉투는 얇게 제조되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특정의 형상을 가지기 어렵다. 또한, 그 자체로는 바르게 세워지지도 않기 때문에 쓰레기를 담는 경우 입구를 벌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비닐 봉투에 쓰레기를 담아 압착시키는 경우 비닐 봉투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닐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되, 용기의 상단부에 걸이 부재를 구비하여 비닐 봉투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시키고, 비닐 봉투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다른 목적은 상기 용기를 폐기되는 용기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과 더불어 환경 보호에도 이바지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용기의 상단부에 걸이 부재가 구비된 쓰레기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2의 쓰레기통의 걸이 부재에 비닐 봉투를 걸어 고정시켜서 비닐 봉투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걸이 부재의 높이가 용기의 상단부보다 낮게 제조된 쓰레기통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뚜껑 2 : 용기
3 : 손잡이 10, 12 : 홈
20, 22 : 걸이 부재 30 : 비닐 봉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쓰레기통은,
원통형 용기의 상단부 양측에 걸이 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걸이 부재는 양측에 용기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홈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로인하여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비닐 봉투의 상단부가 상기 걸이 부재에 걸쳐 고정되며, 비닐 봉투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 부재가 용기의 상단부보다 낮게 구비되는데 그 높이는 상기 걸이 부재에 비닐 봉투가 걸쳐지는 길이와 같다.
상기 용기의 직경은 수용되는 비닐 봉투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이다.
본 고안은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비닐 봉투가 걸이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비닐 봉투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쓰레기를 담아 버리는 것이 수월하다.
또한, 비닐 봉투에 쓰레기를 담고 발로 넣어도 용기 벽면에 의해 비닐 봉투가 찢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비닐 봉투에 쓰레기를 많이 채울 수가 있다. 그로 인해 쓰레기봉투를 구입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는 사용 후 폐기처리 되는 용기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이 원통형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두껑(1), 용기(2), 손잡이(3)가 구비되며, 페인트 용기의 경우 상기 용기의 상단 바깥면으로 돌기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원통형 용기(2)의 상단부에 양측에 걸이 부재(20)가 구비되는데 걸이 부재(20)는 대칭되는 위치에 있는 용기(2)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한 쌍의 홈(10)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제조된다.
상기 걸이 부재(20)에 쓰레기봉투의 상단부의 일부분을 걸어 용기에 고정함으로써 쓰레기봉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걸이 부재(20)의 양측 모서리부는 라운딩시켜서 비닐 봉투가 쉽게 찢어지는 것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 부재(20)는 비닐 봉투의 개구부가 넓고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그 폭을 적절한 크기로 선택한다.
또한, 상기 용기(2)는 내용물을 사용한 후 폐기되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자원의 재활용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쓰레기통에 비닐 봉투(30)를 넣고 비닐 봉투의 양측 상단부를 용기에 구비된 걸이 부재에 걸어 고정하여 비닐 봉투의 개구부가 사각형의 형상으로 오픈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한편, 예를들어 20리터 폐기되는 용기에는 20 리터용 쓰레기봉투를 수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용기의 직경과 쓰레기봉투의 직경이 동일하게 되어 쓰레기를 채울 때 비닐 봉투가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직경이 동일한 비닐 봉투가 용기에 장착되는 경우 비닐 봉투가 용기의 바닥면과 벽면에 맞닿게 된다. 그로인하여 비닐 봉투에 쓰레기를 넣고 발로 밟아 압력을 가하여도 비닐 봉투가 찢어지는 일이 없이 쓰레기를 가득 채울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비닐 봉투로 이용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크기에 맞추어서 용기를 선택하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쓰레기통으로서, 걸이 부재(22)의 높이가 용기의 벽면 상부면 보다 낮게 형성한 것으로, 걸이 부재(22)에해당되는 용기(2)의 벽면을 일정 높이 제거하여 U자 홈(5)이 형성되고, 상기 홈(5)의 양측 단부에 홈(12)이 형성된 것이다. 이것은 용기(2)의 높이와 비닐 봉투가 동일 높이인 경우 비닐 봉투의 상단부가 상기 걸이 부재에 걸쳐지는 두께 만큼 용기 저부 면과 비닐 봉투의 저부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된다. 그래서 쓰레기를 압착시켜 담을 때 비닐 봉투가 찢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걸이 부재를 용기의 상단부 보다 낮게 형성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쓰레기통은 동일 직경과 동일 높이를 갖는 비닐 봉투의 양측을 걸어 고정시키는 동시에 비닐 봉투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쓰레기를 담기 편하고 또한, 발로 밟아 압착시키는 경우에도 쓰레기봉투가 용기의 벽면에 의해 지지됨으로 인해 찢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쓰레기를 많이 담을 수가 있다. 그로인해 쓰레기봉투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용기는 폐기 처리되는 원통형 용기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가 있다.

Claims (4)

  1. 쓰레기 비닐 봉투를 수용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원통형 용기의 상단에 걸이 부재를 양측에 구비하되, 상기 걸이 부재는 용기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홈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로인해 상기 걸이 부재 각각에 비닐 봉투의 양측 상단부를 걸어 고정시켜서 비닐 봉투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부재가 용기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하되, 비닐 봉투가 걸쳐지는 길이만큼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직경은 수용되는 비닐 봉투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폐기처리 되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20-2003-0031477U 2003-10-07 2003-10-07 쓰레기통 KR200337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477U KR200337126Y1 (ko) 2003-10-07 2003-10-07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477U KR200337126Y1 (ko) 2003-10-07 2003-10-07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126Y1 true KR200337126Y1 (ko) 2003-12-31

Family

ID=4934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477U KR200337126Y1 (ko) 2003-10-07 2003-10-07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1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8838A (en) Trash receptacle
RO109050B1 (ro) Container cu capac, din mase plastice
US5398809A (en) Tool kit with projecting tool handle
DK1109731T3 (da) Beholder og kombinationspakning omfattende en sådan beholder og en æske
PL293732A1 (en) Plastic lid enabling to empty a container closed therewith of liquid contained therein without removing such lid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37126Y1 (ko) 쓰레기통
JP4128304B2 (ja) 不定形容器用ホルダー
JP4702778B2 (ja) 絞り出し容器
BG97885A (bg) Кутия за прахообразни вещества като прахове за пране
RU2028259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их ил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JP3202631U (ja) ゴミ箱
JPH0826338A (ja) 液体運搬用容器
AU2004242481B2 (en) Container
JPH08301288A (ja) 計量スプーン付き容器
JP2001163357A (ja) 液体抽出容器収納具
JP2007015742A (ja) ディスペンサー付包装容器及び包装体
JP4003120B2 (ja) ボトル用ホルダ
CN112009869B (zh) 液体容置组件
KR20030032710A (ko) 쓰레기 봉투 거치함
JP2561208Y2 (ja) 詰替容器および詰替容器の収納容器
KR200209213Y1 (ko) 분유통용 리필봉투 고정링
KR200301193Y1 (ko) 리필용 비닐팩
JPH0594155U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ホルダ
JP4007337B2 (ja) 難自立性容器
JPH0885571A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