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646Y1 -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 Google Patents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646Y1
KR200336646Y1 KR20-2003-0030462U KR20030030462U KR200336646Y1 KR 200336646 Y1 KR200336646 Y1 KR 200336646Y1 KR 20030030462 U KR20030030462 U KR 20030030462U KR 200336646 Y1 KR200336646 Y1 KR 200336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cycled material
recycled
tub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20-2003-0030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용 소재를 내부에 적층시켜 구조적 강성증가에 비해 상대적 중량 증가가 미미하여 친 환경적인 연성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재활용 소재의 특성상 높은 제조단가 경쟁력을 갖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고, 보다 높은 부력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은 관체(100)로서 오링 타입의 산과 골이 축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103)과, 상기 외벽(103)의 내부에서 평활한 관형상의 내벽(102)을 갖되, 상기 외벽(103)과 상기 내벽(102)의 사이에 적층된 재활용 소재층(104)을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소재층(104)은 상기 외벽(103)의 산과 골의 형상에 각각 대응한 산과 골을 상기 관체(100)의 축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게 함으로써, 상기 외벽(103) 및 상기 내벽(102)과 함께 주름진 상태로 삼층의 단면형상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DOUBLE WALL CORRUGATED PIPE LAYERED WITH RECYCLED MATERIALS}
본 고안은 주름 이중벽관, 콜게이트관, 코로게이트관, 주름관, 디씨(DC : Double wall Corrugated)관, HDPE DC 파이프로 불려진 바 있고, 생활하수 및 빗물과 정화 처리된 산업폐수 등을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는데 사용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관은 폴리에틸렌(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소재로 성형된 연성 하수관, 집수관, 배수관으로서, 오수, 우수 분류화 공사에 가정선 및 차집관로로 사용된다.
이런 이중벽관은 상기 언급한 합성수지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시공이 빠르고 협소한 장소에서 시공이 용이하며, 토질, 계절, 습기, 물기 등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비 절약 및 공기단축에 유리하며, 내약품성에 강하고,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벽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10 ㎝ 에서부터 직경 60 ㎝, 통상 길이 6m 정도의 다양한 규격과 재질(소재)을 갖는 본체(1)로서 평활한 관 형상의 내벽(2)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된 복수개의 오링과 같이 주름진 외벽(3)을 갖는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내벽(2)과 외벽(3)을 합하였을 때의 두께(t)는 1.5 ∼ 2.6㎜, 내벽(2)의 내원주면으로부터 외벽(3)의 외원주면까지의 산 높이(p)는 8 ∼ 25㎜ 내외이다.
이런 종래의 이중벽관은 그의 내부에 중공형태의 공기층 또는 중공층(4)을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균일한 밀도를 갖는 강성관에 비해서, 설치 지형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균열 및 이탈이 적은 연성관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중벽관은 중공층에 의해 중량이 줄어들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나, 적정한 강성만을 제공하거나 부력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벽관은 전체 외형 규격에 비해 얇은 두께(t)를 갖고 산 높이(p)에 대응한 중공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 적재시 부주위로 지면에 떨어질 경우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이중벽관은 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서, 그의 재질적 한계로 인해 높은 강성을 갖는 것이 매우 어렵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프로파일(profile) 형식의 이중벽관은 폴리에틸렌 배수관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의 제조과정에서 프로파일을 압출한 후, 와인더(winder) 공정에서 프로파일을 융착(접착)하여 제작된다.
이런 종래의 폴리에틸렌 배수관은 생산성과 제조원가는 차치하더라도, 융착 부위의 파손 또는 균열 요소를 완전히 배재하지 못하고 있고, 따라서 장시간 사용할 제품으로 적당치 않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2003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45438호에는 원형 압출식 삼층 폴리에틸렌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원형 압출식 삼층 폴리에틸렌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폴리에틸렌 재생수지를 중간층으로 형성하고,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하여 내면층과 외면층을 형성하되, 중간층을 압출하는 1차압출기와 내면층과 외면층을 압출하는 2차압출기와, 파이프구경대로 원형 압출을 수행하는 원형의 다이스를 이용하여 냉각 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배수관은 통상의 업계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에프씨관(FC pipe), 즉 통신 케이블 보호관의 제작 방법과 동일한 것으로서, 단순히 배수관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그의 직경과 규격을 크게 제작한 것에 비할 뿐 여전히, 재질적 한계를 뛰어넘고, 상대적으로 얇은 내벽과 외벽으로 주름져 있으면서도, 중량 증가와 대비하여 월등한 외압강도 및 연성을 갖는 이중벽관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재활용 소재를 내부에 적층시켜 구조적 강성증가에 비해 상대적 중량 증가가 미미하여 친 환경적인 연성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재활용 소재의 특성상 높은 제조단가 경쟁력을 갖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고, 보다 높은 부력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벽관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체 102 : 내벽
103 : 외벽 104 : 재활용 소재층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벽관 관체로서 오링 타입의 산과 골이 축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부에서 평활한 관형상의 내벽을 갖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의 사이에 적층된 재활용 소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재활용 소재층이 상기 외벽의 산과 골의 형상에 각각 대응한 산과 골을 상기 관체의 축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관체가 상기 내벽, 상기 재활용 소재층, 상기 외벽을 포함하여 주름진 상태로 삼층의 단면형상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재활용 소재층은 압출발포에 의해서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재활용 소재층은 폴리에틸렌 제품, 페트병과 같은 재활용품을 분류, 파쇄, 분리, 세척, 분리하여 용융 가능하게 만든 통상의 재활용 소재, 상기 재활용 소재와 동일 재질의 순수 원료 소재를 50 : 50 비율로 혼합한 소재, 재활용 전의 순수한 합성수지소재 중 어느 하나에 분해촉진제를 첨가하여 만든 원료소재, 또는 분해촉진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가교 발포용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계열의 원료소재 중 어느 하나를 용융시킨 압출발포용 가용성 재활용 소재가 캐터필러(caterpillar) 몰드 장치의 내부에서 경화되어서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에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벽관 관체로서 오링 타입의 산과 골이 축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부에서 평활한 관형상의 내벽을 갖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에 있어서, 제1압출기로부터 외벽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받는 제1노즐과, 공기펌프로부터 적정량의 공기 또는 맥동 형식의 공기를 공급받는 제2노즐과, 제2압출기로부터 압출발포용 가용성 재활용 소재를 공급받는 제3노즐과, 상기 제1압출기로부터 내벽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받는 제4노즐이 차례로 배열된 원통형 다이스와; 상기 원통형 다이스를 복수개의 몰드의 축심에 일치시켜 배열한 캐터필러 몰드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상기 재활용 소재층이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의 사이에서 상기 제3노즐을 통한 압출발포에 의해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밀도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은 연속 압출성형법을 기초로 하여 제작한 이중벽관 관체(100)로서, 그의 외형상의 특징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내벽(102)과 외벽(103)의 사이에 재활용 소재층(104)이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관체(100)는 프로파일 형식과 달리, 축방향 전체에 걸쳐서재활용 소재층(104)을 내벽(102)과 외벽(103)에 연속적으로 적층시키고 있다.
예컨대, 내벽(102)의 상부에는 재활용 소재층(104)이 적층되고, 이런 재활용 소재층(104)의 상부에 외벽(103)이 적층되어 있다.
본 고안의 관체(100)는 발포성 재질의 재활용 소재층(104)의 적층에 따라서, 균열이나 파손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적 강성증가를 가져오면서도 상대적으로 중량 증가가 미미하여서 연성관으로서 설치 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파이프 규격을 대비한 본 고안에서, 관체(100)의 중량은 적층된 재활용 소재층(104) 만큼 약 40 ∼ 50% 증가된 반면, 관체(100)의 구조적 강성 또는 외압강도는 180 ∼ 200%가 증가되었다.
이런 본 고안의 관체(100)는 연성관으로서 향상된 외압강도를 갖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파손에 대한 대응력이 높다.
특히, 재활용 소재층(104)은 하기에 설명할 재활용 소재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연속적 압출발포에 의해서 다른 외벽과 내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본 고안의 관체(100)는 경제성 있고 친 환경적인 재활용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서 높은 제조단가 경쟁력을 갖고, 보다 높은 부력 대응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특징 있는 기술의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압출기(200)는 통상의 이중벽관용 소재(PE, HDPE 등의 콤파운드)를 용융시켜서, 압출용 가용성 소재로 만든 후, 이를 소정 공급배관을 통해서 압출기 다이스(300)의 제1노즐(310)과 제4노즐(340)에 각각 소정 압력으로 공급시키는 통상의 관 제작용 압출 설비이다.
제2압출기(200')는 폴리에틸렌 제품, 페트병(PET bottle)과 같은 재활용품을 분류, 파쇄, 분리, 세척, 분리하여 용융 가능하게 만든 소정 재활용 소재, 상기 재활용 소재와 대등한 소정의 합성수지소재(콤파운드)를 50 : 50 비율로 혼합한 소재, 재활용 소재가 거의 없는 소정의 합성수지소재 중 어느 하나에 소정 비율의 분해촉진제를 첨가하여 만든 원료소재, 또는 분해촉진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가교 발포용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계열의 원료소재 중 어느 하나를 용융시켜서, 압출발포용 가용성 재활용 소재로 만든 후, 이를 소정 공급배관에 의해서 상기 동일한 압출기 다이스(300)의 제3노즐(330)에 소정 압력으로 공급하는 통상의 관 제작용 압출 설비이다.
예컨대, 재활용 소재가 PE나 HDPE 계열인 경우의 분해촉진제는 압출발포에 적합한 아세틸셀룰로오스(AC : Acetyl cellulose, 상품명 CELLCOM-AC, 대한민국의 동진쎄미컴의 TS-시리즈 : 고온 발포 특성 양호)와 같은 발포제(chemical forming agents)와, 통상 PE 계열에 사용되는 소정 가교제(cross-linking agent, 상품명 : PEROXAN PK295 P), 가소제(Plasticizer, 상품명 : PN-250)가 적정량 배합되어 사용 가능하다. 이런 본 고안에서 사용 가능한 발포제는 발포 상태가 균일 미세하며,자유 흐름 특성이 좋아서 압출 가공시 압출기 다이스(300)의 제3노즐(330)에 정량공급이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공기펌프(210)는 소정 공급배관을 통해서 압출기 다이스(300)의 제2노즐(320)에 적정량의 공기 또는 맥동 형식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설비로서, 제1노즐(310)을 통해 압출되는 외벽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기압에 의해 주름지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냉각장치(220)는 소정의 저온 냉각수를 원통형 냉각기(301)의 냉각 코일(350)에서 순환시켜서 앞서 언급한 모든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적정 저온을 유지시키기 위한 통상의 설비가 사용 가능하다.
압출기 다이스(300)는 외벽 형성을 위한 제1노즐(310)과, 공기 분사를 위한 제2노즐(320)과, 재활용 소재층을 위한 제3노즐(330)과, 내벽 형성을 위한 제4노즐(34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노즐(310 ∼ 340)은 각각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출용 가용성 소재 또는 공기를 원형상으로 방사시키도록 외원주면을 따라 노즐 틈새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예컨대, 제1노즐(310)의 노즐각은 45 ∼ 90°정도로 가장 크며, 제2, 제3노즐(320, 330)의 노즐각은 상기 제1노즐(310)의 노즐각의 사이에 포함되며, 제4노즐(340)의 노즐각은 원통형 냉각기(301)의 표면(원주면)으로 제4노즐(340)에서 압출되는 가용성 소재가 거의 밀착되게 흐를 수 있는 정도의 각도를 갖는다.
원통형 냉각기(301)는 냉각장치(220)로부터 공급받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코일(350)을 내부에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노즐(310, 330, 340)에서 분사된 가용성 소재들을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으로 경화시키는 냉각수단이다.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 : 압출기 다이스(300)와 원통형 냉각기(301)의 상부와 하부에 배열한 복수개의 몰드(401', 401")를 무한괘도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는 소정 구조물과 유압 등의 동력원 및 상기 몰드(401', 401")의 작동을 위한 동력 전달 장치를 갖는다.
기타, 본 고안의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제조장치는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를 통과하여 이중벽관 관체 형상을 갖게된 이중벽관 제품을 소정 길이(예 : 6m) 만큼 절단하는 역할의 주름 관체 절단장치(도시 안됨)와, 복수의 롤러를 이용하여 절단된 주름 관체를 가이드 하거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름 관체 지지 이송 구조물(도시 안됨)을 캐터필러 몰드 장치의 출구부위(도시 안됨) 이후에 더 배치시키고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제조장치에서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는 유압 등의 동력원으로 동작하는 채인, 기어 등과 같은 동력 전달 장치에 의해서, 괘도상에 배열된 복수개의 몰드(401', 401")를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의 입구부위(400a)에서 서로 점차적으로 교합시키고,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의 중간부위(400b)에서 이중벽관의 외형상을 이루고, 이후 캐터필러 몰드 장치의 출구부위에서 서로 점차적으로 분체(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몰드(401', 401")는 이축벽관 관체(도시 안됨)의 축심을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배열된 한 쌍의 무한괘도형 체인(402', 402")에 결합되어 있다. 이런 무한괘도형 체인(402', 402")은 회전력을 전달받고 있는 회전기어(403', 403")에 결합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기어(403', 403")가 위치한 곳의 경사가이드부에 의해서, 복수개의 몰드(401', 401")가 도면에서처럼 무한괘도로 회전할 때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의 입구부위(400a)에서 상하로 벌려져 있다가 비율적으로 축심쪽으로 합체되게 된다.
이후, 합체된 몰드(401', 401")는 이중벽관의 내벽과 재활용 소재층과 외벽이 안정화되는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의 중간부위(400b)를 수평하게 이동한 이후, 출구위치에서 다시 상하로 벌려지면서 분체된다.
이렇게 분체된 각각의 몰드(401', 401")는 동력 차단, 급정지, 고장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무한괘도와 같이 작동한다.
한편, 압출용 가용성 소재는 제1노즐(310)과 제4노즐(340)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출되어 나오고, 이와 동시에 공기는 제1노즐(310) 다음의 제2노즐(320)에서, 재활용 소재는 제2노즐(320)과 제4노즐(340) 사이의 제3노즐(330)에서 분출되어 나온다.
이런 경우, 제2노즐(320)에서 분출되는 공기는 제1노즐(310)에서 분출되는 외벽용 가용성 소재에 공기압을 맥동적으로 가하여 산과 골 형상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제4노즐(340)에서 나오는 내벽용 가용성 소재와 이격시킨다.
이와 함께, 제3노즐(330)에서 분출되는 재활용 소재는 제1노즐(330)에서 분출됨과 동시에 산과 골 형상을 갖는 외벽용 가용성 소재와 제4노즐(340)에서 분출되는 내벽용 가용성 소재의 사이에서 발포된다.
이때, 한 쌍의 몰드(401', 401")는 서로 합체가 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시, 외벽용 가용성 소재와 발포된 재활용 소재와 내벽용 사용성 소재를 원통형 냉각기의 표면쪽으로 압착시킨다.
이런 몰드(401', 401")의 주름진 내면과 원통형 냉각기(301)의 원통형 평활면 사이에는 외벽용 가용성 소재, 재활용 소재, 내벽용 가용성 소재가 서로 적층되고, 이렇게 적층된 소재들은 축방향으로 몰드(401', 401")에 의해서 이동함과 동시에 원통형 냉각기(301)에 의해서 냉각된다.
즉, 외벽용 가용성 소재, 재활용 소재, 내벽용 가용성 소재는 원통형 냉각기(301)와 그 이후의 위치에서 소정 온도로 냉각되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관체(100)의 형상을 갖도록 완전 경화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체(100)의 외벽(103)은 복수개로서 산(103a), 양측 테이퍼면, 소정 피치 간격을 유지하는 골(103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내벽(102)은 소정 부위(102a)에서 외벽(103)의 골(103b)과 재활용 소재층(104)의 골(104b)에 주기적으로 더욱 기밀하게 밀착되어 있거나, 내벽(102)의 내원주면과 양끝단쪽 측면을 제외한 표면이 재활용 소재층(104)의 표면과 열융착 방식으로 면접하고 있다.
또한, 재활용 소재(104)는 상기 외벽(103)의 산(103a)과 골(103b)에 대응하게 비율적으로 작은 주기적으로 형성된 산(104a)과 골(104b)을 형성함으로써, 축방향 전체에 걸쳐서 내벽(102)과 외벽(103)에 연속적으로 적층된다.
이런 재활용 소재층(104)의 산(104c)과 골(104b)은 상기 관체(100)의 축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이 결과, 본 고안의 관체(100)는 상기 내벽(102), 상기 재활용 소재층(104), 상기 외벽(103)을 포함하여 삼층의 단면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재활용 소재(104)의 끝단부(104c)의 적층 형상이 도면에서처럼 육안으로 외부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재활용 소재를 내부에 적층시켜 구조적 강성증가에 비해 상대적 중량 증가가 미미하여 연성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외압강도가 향상되어 파손에 대한 대응력이 높은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은 재활용 소재의 특성상 높은 제조단가 경쟁력을 갖고, 보다 높은 부력 대응력을 가질 수 있고, 친 환경적인 제품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은 캐터필러 몰드 장치내에서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으므로, 가격 대비 제조단가의 경쟁력을 갖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이중벽관 관체(100)로서 오링 타입의 산과 골이 축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103)과, 상기 외벽(103)의 내부에서 평활한 관형상의 내벽(102)을 갖는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외벽(103)과 상기 내벽(102)의 사이에 적층된 재활용 소재층(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소재층(104)은 상기 외벽(103)의 산(103a)과 골(103b)의 형상에 각각 대응한 산(104c)과 골(104b)이 상기 관체(100)의 축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관체(100)가 상기 내벽(102), 상기 재활용 소재층(104), 상기 외벽(103)을 포함하여 주름진 상태로 삼층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소재층(104)은 압출발포에 의해서 상기 외벽(103)과 상기내벽(10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밀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소재층(104)은 폴리에틸렌 제품, 페트병(PET bottle)과 같은 재활용품을 분류, 파쇄, 분리, 세척, 분리하여 용융 가능하게 만든 통상의 재활용 소재, 상기 재활용 소재와 대등한 소정의 합성수지소재(콤파운드)를 50 : 50 비율로 혼합한 소재, 재활용 소재가 거의 없는 소정의 합성수지소재 중 어느 하나에 소정 비율의 분해촉진제를 첨가하여 만든 원료소재, 또는 분해촉진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가교 발포용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계열의 원료소재 중 어느 하나를 용융시킨 압출발포용 가용성 재활용 소재가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의 내부에서 경화되어서 상기 외벽(103)과 상기 내벽(102)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5. 이중벽관 관체(100)로서 오링 타입의 산과 골이 축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외벽(103)과, 상기 외벽(103)의 내부에서 평활한 관형상의 내벽(102)을 갖는 적층형 이중벽관에 있어서,
    제1압출기(200)로부터 외벽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받는 제1노즐(310)과,공기펌프(210)로부터 적정량의 공기 또는 맥동 형식의 공기를 공급받는 제2노즐(320)과, 제2압출기(200')로부터 압출발포용 가용성 재활용 소재를 공급받는 제3노즐(330)과, 상기 제1압출기(200)로부터 내벽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받는 제4노즐(310)이 차례로 배열된 원통형 다이스(300)와; 상기 원통형 다이스(300)를 복수개의 몰드(401', 401")의 축심에 일치시켜 배열한 캐터필러 몰드 장치(400)를 포함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의 제조장치에 의해서 재활용 소재층(104)을 형성하되,
    상기 재활용 소재층(104)이 상기 외벽(103)과 상기 내벽(102)의 사이에서 상기 제3노즐(330)을 통한 압출발포에 의해 상기 외벽(103)과 상기 내벽(10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밀도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KR20-2003-0030462U 2003-09-26 2003-09-26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KR200336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62U KR200336646Y1 (ko) 2003-09-26 2003-09-26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62U KR200336646Y1 (ko) 2003-09-26 2003-09-26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646Y1 true KR200336646Y1 (ko) 2003-12-24

Family

ID=4942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62U KR200336646Y1 (ko) 2003-09-26 2003-09-26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6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496B1 (ko) 2013-12-24 2014-07-22 주식회사 폴리쉘 폐발포시트를 이용한 단열재
KR102221306B1 (ko) 2020-09-02 2021-03-02 주식회사 뉴보텍 이중벽관
KR102221305B1 (ko) 2020-09-02 2021-03-02 주식회사 뉴보텍 이중벽관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496B1 (ko) 2013-12-24 2014-07-22 주식회사 폴리쉘 폐발포시트를 이용한 단열재
KR102221306B1 (ko) 2020-09-02 2021-03-02 주식회사 뉴보텍 이중벽관
KR102221305B1 (ko) 2020-09-02 2021-03-02 주식회사 뉴보텍 이중벽관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6273B (zh) 用于加工用于柔性的隔热的导管的发泡或被充气的外壳的方法
FI69777C (fi) Foerfarande och apparatur foer straengsprutning av plastroer med sammansatta vaeggar
RU2157939C1 (ru) Соэкструд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пластмассовая труб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получения
CA2229842C (en) Oriented polymeric products
US4729807A (en) Method of fabricating composite products
RU98113144A (ru) Соэкструд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пластмассовая труб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получения
CN1492802A (zh) 管式多层膜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01605649A (zh) 多层管材或导管及其制造方法
EP1471299B1 (de) Wärmeisoliertes Leitungsrohr
US586259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int rollers
KR200336646Y1 (ko)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IT1284066B1 (it) Procedimento e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tubi in resine termoplastiche di riciclo
KR100792353B1 (ko) 합성수지 이중관,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A2485454C (en) Annular co-extrusion die
KR100535367B1 (ko) 코러게이트 삼중관 및 그 제조장치
CN202753391U (zh) 双平壁螺旋中空结构壁管的制造装置
US6254369B1 (en) Extrusion die for forming a skin on reusable construction material for concrete forms
KR20150145810A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
JP2017226144A (ja) 複合管の製造方法
KR102065342B1 (ko) 부력체가 삽입되는 외경관을 이용한 부표와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4956028B2 (ja) 複合管
KR100869208B1 (ko) 나선형 부재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2568004B1 (ko) 차수격벽을 갖는 다중벽관과 이의 제조장치
JP7413461B2 (ja) 中空円管
CN111483162B (zh) Hdpe高筋缠绕增强管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