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528Y1 -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 Google Patents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528Y1
KR200336528Y1 KR20-2003-0025245U KR20030025245U KR200336528Y1 KR 200336528 Y1 KR200336528 Y1 KR 200336528Y1 KR 20030025245 U KR20030025245 U KR 20030025245U KR 200336528 Y1 KR200336528 Y1 KR 200336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ase
toilet seat
footres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박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수 filed Critical 박정수
Priority to KR20-2003-0025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전방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을 개선하여 체중계와 시계 및 알람기능을 포함하도록 하여 유아들을 위한 키높이 발판기능과 체중계 및 화장실 사용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 불필요하게 좌변기에 않아있음으로서 발생하는 신체적인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물탱크나 상수관과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수세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조(31)와;
상기 수조(31)의 전방에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변기본체(32)와;
상기 변기본체(32)의 상방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변기시트(33)와;
상기 변기시트(33)에 개,페되도록 구비되는 커버(34)를 가지는 좌변기(30)의 전방에 화장실 바닥면에 발이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아들의 좌변가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발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발판(40)은 저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의 마찰패드(41)를 고정하여 판상타입으로 구비되는 베이스(42)와;
상기 베이스(42)의 후미 중앙에는 변기본체(32)의 하측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수용홈(43)과;
상기 베이스(42)의 후측에 구비되어 변기본체(32)에 베이스(42)를 유동하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밴드(44)와;
상기 베이스(42)의 상면 중앙과 그 전방에는 요입되게 형성되는 체중계홈(45)과 시계홈(46)에는 기밀재(48)를 개재하여 삽입 고정되는 체중계(49)와 시계(50)로 구성하고;
상기 시계(50)에는 화장실 사용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스피커(51)를 가지는 알람(5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A stepping block of chamber-pot for bath room}
본 고안은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좌변기 전방에 구비되는 발판에 체중계와 시계 및 알람기능을 더 구비하여 사용의 편익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한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의 경우에는 생활문화와 주택문화 등의 발전으로 화장실내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근자에는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 발전된 형태로는 소변이나 대변에 관계없이 용변이 끝난 후에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용변부위 및 국부를 세정할 수 있는 비데를 함께 구비되는 변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좌변기(30)를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물탱크나 상수관과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수세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조(31)를 후측에 구비하고, 상기 수조(31)의 전방에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변기본체(32)가 구비된다.
상기 변기본체(32)의 상방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변기시트(33)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시트(33)에는 개,페되는 커버(34)를 일체로 가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좌변기는 주로 성인의 체형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관계로 어린이가 사용할 경우 발바닥이 화장실 바닥에 닿지 않아 다리가 저리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성인의 경우 용변시 신발을 신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좌변기의 전방에 별도의 발판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발판은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와 모양 및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로서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판상의 베이스 상에 사용자의 발을 지압하거나 안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찰돌기를 가지는 지압형태의 것이 많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저면에 다리를 가지는 상방에 원목을 일정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평면타입의 발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발판은 발을 디딜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단순기능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높지 않는 등 사용자들에게 많은 편익성을 제공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좌변기의 전방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을 개선하여 체중계와 시계 및 알람기능을 포함하도록 하여 유아들을 위한 키높이 발판기능과 체중계량기능과 화장실 사용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 불필요하게 좌변기에 않아 있음으로서 발생하는 신체적인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들의 편익성 향상에 기여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화장실에 설치되는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도시한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적용되는 알람을 간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변기
40; 발판
42; 베이스
49; 체중계
50; 시계
51; 스피커
52; 알람
53; 전원
54; 타이머
55; 스위치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화장실에 설치되는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도시한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적용되는 알람을 간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물탱크나 상수관과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수세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조(31)를 후측에 구비하고, 상기 수조(31)의 전방에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변기본체(32)가 구비된다.
상기 변기본체(32)의 상방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변기시트(33)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시트(33)에는 개,페되는 커버(34)를 일체로 가지고 좌변기(30)가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좌변기(30)의 전방 화장실 바닥면에 설치되는 발판(40)을 개선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더불어 체중확인과 화장실 사용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판(40)은, 저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의 마찰패드(41)를 고정하여 구비되는 판상타입의 베이스(42)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42)의 형상은 사각형, 타원형 하트형, 큰 발모양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42)의 후미중앙에는 변기본체(32)의 하측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43)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42)의 후측에는 변기본체(32)에 베이스(42)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분리가 가능하도록 양 단부에 벨크로나 훅크 및 단추 등과 같은 시건수단을 가지는 고정밴드(44)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42)의 상면 중앙과 그 전방에는 요입된 형상의 체중계홈(45)과 시계홈(46)을 형성하여 습기가 많은 화장실의 특성상 수분침투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재(48)를 개재하여 체중계(49)와 시계(5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시계(50)는 시각적인 확인이 용이하도록 세븐세그먼트나 엘이디 등과 같은 디짙털 수단에 의하여 시간이나 날짜를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계(50)에는 화장실 사용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스피커(51)를 가지는 알람(52)을 구비한다.
상기 알람(52)은 시계(50)의 전원(53)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타이머(54)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스피커(51)를 통하여 청각적 알림을 주도록 하고, 상기 타이머(54)는 베이스(42)의 상면이나 저면에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온,오프(ON/OFF)되는 토글타입의 스위치(55)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알람(52)의 정지를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거나 하중감지에 의해서만 작동하도록 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발판(40)에 올라서서 체중계(49)를 이용하여 본인의 체중을 확인할 수 도 있으며, 베이스(42)에 구비되는 시계(50)를 통하여 현재의 시간이나 날짜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된다.
특히, 사용자가 베이스(42)에 올라감으로서 베이스(42)의 상면이나 저면에 구비되는 스위치(55)가 작동하여 알람(52)의 타이머(54)를 작동시키고, 타이머(54)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한 후 설정된 시간이 되면 스피커(51)를 통하여 청각적인 알림을 주게된다.
그리고, 용변이 끝난 후 발판(40)으로 부터 사용자가 내려오면 스위치(55)에 하중이 전도되지 않음으로서 알람(52)은 자연스럽게 초기상태(대기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타이머(계략 10분정도; 54)의 작동에 의한 알람(52)작동으로 사용자가 본인의 용변시간을 체크할 수 있게되고,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을 사용함으로서 야기될 수 있는 치질등과 같은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나의 발판(40)을 이용하여 가정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체중계(49)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유아들이 좌변기(3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성인의 경우에는 효율적인 용변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좌변기의 전방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을 개선하여 체중계와 시계 및 알람기능을 포함하도록 하여 유아들을 위한 키높이 발판기능과 체중계 및 화장실 사용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 불필요하게 좌변기에 않아있음으로서 발생하는 신체적인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들의 편익성 향상에 기여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2)

  1. 물탱크나 상수관과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수세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조(31)와;
    상기 수조(31)의 전방에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변기본체(32)와;
    상기 변기본체(32)의 상방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변기시트(33)와;
    상기 변기시트(33)에 개,페되도록 구비되는 커버(34)를 가지는 좌변기(30)의 전방에 화장실 바닥면에 발이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아들의 좌변가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발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발판(40)은 저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의 마찰패드(41)를 고정하여 판상타입으로 구비되는 베이스(42)와;
    상기 베이스(42)의 후미 중앙에는 변기본체(32)의 하측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수용홈(43)과;
    상기 베이스(42)의 후측에 구비되어 변기본체(32)에 베이스(42)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밴드(44)와;
    상기 베이스(42)의 상면 중앙과 그 전방에는 요입되게 형성되는 체중계홈(45)과 시계홈(46)에는 기밀재(48)를 개재하여 삽입 고정되는 체중계(49)와 시계(50)로 구성하고;
    상기 시계(50)에는 화장실 사용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스피커(51)를 가지는 알람(5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52)은 시계(50)의 전원(53)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타이머(54)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스피커(51)를 통하여 청각적 알림을 주도록 하고;
    상기 타이머(54)는 베이스(42)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중으로 작동하는 스위치(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20-2003-0025245U 2003-08-05 2003-08-05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200336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45U KR200336528Y1 (ko) 2003-08-05 2003-08-05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45U KR200336528Y1 (ko) 2003-08-05 2003-08-05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528Y1 true KR200336528Y1 (ko) 2003-12-24

Family

ID=4934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245U KR200336528Y1 (ko) 2003-08-05 2003-08-05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5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49B1 (ko) * 2008-12-05 2009-09-30 신동빈 소변시 자동으로 열리는 좌변기 시트
KR200454925Y1 (ko) 2009-03-03 2011-08-04 김종찬 좌변기 홀더
KR101115655B1 (ko) * 2011-06-24 2012-02-15 권지성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49B1 (ko) * 2008-12-05 2009-09-30 신동빈 소변시 자동으로 열리는 좌변기 시트
KR200454925Y1 (ko) 2009-03-03 2011-08-04 김종찬 좌변기 홀더
KR101115655B1 (ko) * 2011-06-24 2012-02-15 권지성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KR200336528Y1 (ko)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101754024B1 (ko) 유아용 발판 겸용 샴푸의자
KR200434792Y1 (ko) 양변기용 발 받침대
KR200232513Y1 (ko) 어린이용 의자겸용 변기
KR200430597Y1 (ko) 욕실용 슬리퍼 건조대
JP2008138453A (ja) 棚付き水栓
CN204181525U (zh) 多功能洗浴器
CN101904713A (zh) 盆式座便器盖
KR200490345Y1 (ko)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JPH0753585Y2 (ja) 風呂用椅子
CN201175306Y (zh) 中老年人用多功能椅
JP3123972U (ja) 洋式の腰掛便器の踏み台
KR20110105609A (ko) 족욕 기능을 갖는 욕조
KR19980019256U (ko) 좌변기용 발판
KR100468406B1 (ko) 개량 욕조
CN201005591Y (zh) 一种保健座椅
JP2958874B2 (ja) 高齢者用浴槽タライ
KR200273438Y1 (ko) 욕조용 보조좌판
JP2010019014A (ja) 介護型トイレ
CN203138265U (zh) 浴缸
CN104367238A (zh) 多功能洗浴器
CN201743612U (zh) 盆式座便器盖
KR200354408Y1 (ko) 목욕조 수납용 의자
KR200349683Y1 (ko) 반신욕 전용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