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261Y1 -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261Y1
KR200336261Y1 KR20-2003-0029109U KR20030029109U KR200336261Y1 KR 200336261 Y1 KR200336261 Y1 KR 200336261Y1 KR 20030029109 U KR20030029109 U KR 20030029109U KR 200336261 Y1 KR200336261 Y1 KR 200336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uide box
guide
elastic bod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환
이상훈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2003-0029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빌렛의 압연과정에서 소재의 선단부와 훈드의 접촉 및 충격으로 발생되는 현상에 대응하여 과도하게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사이즈 교체 등 가이드 박스 내 훈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연롤에 의하여 압연된 소재가 진입하는 전방 입구측은 상하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3a)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로형 판스프링(2a)이 설치되고, 후방 출구측은 좌우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3b)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형 판스프링(2b)이 설치되며, 후방 출구측 하부면은 하부지지 판스프링(1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내벽 양측부에는 일자형의 삽입홈(9)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8)와; 상기 가이드박스(8)의 삽입홈(9)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날개(17)가 양측부에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소재가 관통홀이 형성되고, 소재가 진입하는 전방부에는 상기 가로형 판스프링(2a)에 접촉 지지되는 완충돌기(1)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재가 배출되는 후방부에는 상기 세로형 판스프링(2b)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1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박스(8)에 내장되는 상하부 훈드(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EXIT GUIDE FIXED WITH THE ELASTIC BODY AS A PLATE SPRING}
본 고안은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렛의 압연과정에서 소재의 선단부와 훈드의 접촉 및 충격으로 발생되는 현상에 대응하여 과도하게 고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이즈 교체 등 가이드 박스 내 훈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렛의 압연과정을 보면 가열로에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소재를 조압연 공정 및 사상압연 공정을 거쳐 빌렛을 일정한 길이로 전단하여 생산하게 되며, 이렇게 빌렛의 생산공정 중에서 압연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빌렛의 압연에서 조압연은 가역식 압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사상압연 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면율이 다른 공형롤을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빌렛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렇게 연속되는 압연기의 배치방식은 수평식(Horizontal) 압연기와 수직식(Vertical) 압연기가 교변하여 설치된 압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한 수평 및 수직 압연기는 각각의 설치 현장의 특성에 맞춰 설치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수평과 수직 압연롤이 교번하는 롤 타입에서 수평롤(101) 및 수직롤(102)의 후면에 설치된 출구가이드(104)의 고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평 및 수직롤(101,102)을 기점으로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 입구가이드(103)와 후면에 설치되어 지는 후면 출구가이드(104)가 있으며, 전면 입구가이드(103)는 롤(101,102)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진행되어지는 소재(105)가 압연하는 캘리버(압연을 하기 위해 롤에 파여 있는 마름모 꼴 형상의 요홈)에 진입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진입되는 소재(105)의 가로×세로의 폭에 비해 입구 가이드(103)는 전면부가 비교적 넓고 후면부는 소재(105)의 가로×세로의 폭과 큰 갭이 없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나팔관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후면 출구가이드(104)는 롤(101,102)을 통과하여 감면된 소재(105)가 상기 롤들과 압연소재(105)가 감면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 및 변형저항에 의해 상하좌우 등 각 방향으로 벋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압연라인에 소재(105)가 정확하게 진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서 입구를 크게 하지 못하는 제약을 받게 되고 롤(101,102)을 통과하여 감면된 소재의 가로×세로의 폭과 동일한 폭과 큰 갭이 없이 일치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전면의 입구가이드(103) 및 후면 가이드 훈드(5)는 모두 소재(105)가 진행하면서 접촉하게 되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출구가이드(104)는 소재(105)가 진행하면서 발생되는 충격 및 마찰력에 의해 소재 진행방향으로 밀려가게 된다.
이렇게 훈드(5)가 후면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드(5)와 가이드 박스(8) 사이에 쐐기 모양으로 앞쪽은 얇고 뒤로 갈수롤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진 핀(이하 코타핀; 106)을 박아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되어진 가이드는 압연롤의 수평 또는 수직 여부에 따라 고정하는 방법이 달라지는데, 수평롤(101)의 경우 가이드 박스(8)를 고정하는 고정베이스(레스트 바; 107)) 위에 가이드박스(8)의 전후 하면에 형성된 각과 동일한 각을 가진 고정판 사이에 가이드박스(8)를 넣고 좌우방향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고정볼트(109)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반면, 수직롤(102)의 경우에는 롤 교체의 용이성을 위하여 레스트 바의 양 측면에 슬라이딩 홈 (112)이 형성되고, 이 홈에 돌출부(113)가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어지는 이동베이스(108) 위에 전후면으로 돌출된 스토퍼(118) 사이에 넣어 고정되고, 측면 고정볼트(117)에 의해 좌우 중심을 일치시킨 후 하부 이동실린더(114)를 작동시켜 전진시키면 고정 위치까지 전진되어지고, 고정걸쇠(115)가 이동베이스 (108)의 후면을 고정하여 롤의 후면에 설치되어 진다.
이렇게 고정되어진 출구가이드(104)는 수평롤(101)과 수직롤(102)에서 동일한 문제점 및 각기 다른 문제점을 나타낸다.
동일한 문제점으로서는 가이드박스(8) 내에 삽입되어져 코타핀(106)에 의해 고정되어진 훈드(5)가 소재(105)와 부딪히거나 마찰에 의해 후면으로 밀려나가려는 힘에 의하여 최초로 코타핀(106)으로 훈드(5)를 고정했을 때의 힘보다 더 큰 고정력을 갖게 된다.
최초보다 큰 고정력을 갖게 된 훈드(5)는 일정기간(통상 1~3일) 사용 후 생산소재의 사이즈를 변경하거나 기타 이상요인에 의해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 때 가이드박스(8) 내의 훈드(5)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코타핀(106)을 해체한 다음 교체작을 진행하여야 하지만 상기 코타핀(106)이 과도하게 고정되어 진 상태이므로 이를 제거하는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공통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 중에서 수평롤(101)의 후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의 경우, 고정베이스(107) 위에 매우 단단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훈드(5)의 고정이 과도하게 고정되어지는 문제점이 수직롤(102)에 비해 심하게 나타나는 편이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되는 소재(105)의 선단부가 압연소재의 재질특성에 의한 선단부 벌어짐 및 소재의 온도편차에 의한 선단부 변형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의 경우, 진행하는 소재(105)가 가이드 훈드(5)와 부딪히면서 진행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출구가이드(104)를 상부로 밀어 올리거나, 후면으로 밀 경우 고정볼트(109)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저항하는 힘이 큰 특징이 있다.
이렇게 저항이 클 경우 소재(105)가 상부 또는 좌우측으로 휘어져 변형되게 되고, 이를 운전자가 확인하여 각 압연롤의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주게 된다.
통상 빌렛 압연의 경우 0.8 ~ 1.2m/sec 압연속도로 압연하게 됨으로 소재의 진행속도도 이와 같기 때문에, 이런 속도로 진행하는 소재(105)의 진행 이상을 운전자가 확인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킬 경우 최적의 시간에 구동모터를 정지시키지 못함으로써 소재 선단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훈드(5)에 끼인 상태에서 상부로 휘어지게 되어 생산장애 및 이를 조치하기 위하여 가이드의 해체 및 재조립에 따른 생산성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수직롤(102)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수직롤의 후면에 설치되어지는 후면 출구가이드(104)는 수평롤(101)과는 달리 이동베이스(108)에 설치되어진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베이스(108)의 홈부위에 가이드를 삽입하고 측면 조정볼트(117)로 좌우측의 중심을 조정한 후 이동베이스(108)의 하부에 부착된 이동실린더(114)를 작동시키면 이동베이스(108)가 압연롤(101) 방향으로 이동되어다가 롤과 가이드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정지되어짐과 동시에 이동베이스(108) 후면에 고정걸쇠(115)가 걸리면서 고정되어 진다.
이렇게 고정되는 특성에 의하여 고정볼트(109)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수평롤(101)에 비해 비교적 낮은 고정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걸쇠(115)에 고정된 출구가이드(104)는 상기에서 설명한 원인으로 인하여 압연 방행으로 진행하던 소재(105)가 훈드(5)에 걸렸을 경우 소재의 선단부가 온도 편차, 또는 조압연 이상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상부로 휨이 발생되었을 경우 가이드를 상부로 밀어 올리려는 힘을 받게 되고 좌 또는 우측으로 휨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를 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선단부 벌어짐의 경우 또는 형상 이상으로 훈드(5)의 후면공간보다 크게 형성된 선단부가 가이드의 중심에 부딪칠 경우 소재(105)가 휘어짐과 동시에 가이드가 후면으로 밀리게 된다.
가이드가 상부 또는 후면으로 밀릴 경우 이동베이스(108)가 고정걸쇠(115)를 해체하면서 상부 좌우측 또는 후면으로 이동되면서 이동베이스(108)를 작동시켜 주는 이동실린더(114) 및 이의 부속장치들을 밀어 올리거나 후면으로 밀게 됨으로서 부속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생산 중단 및 설비 파손에 따른 설비 교체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빌렛의 압연과정에서 소재의 선단부와 가이드의 훈드의 접촉 및 충격으로 발생되는 현상에 대응하여 과도하게 고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이즈 교체 등 가이드박스 내 훈드를 신속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박스 내부에 진행되는 소재가 선단부 갈라짐 또는 선단부 변형에 의해 가이드 내부로 삽입이 불가능한 소재일 경우 이를 사전에 자동으로 감지하여 적정한 시점에 압연롤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육안으로 감시하여 정지시켜 발생되는 생산라인 정지시간의 증가 및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가 적용되는 형강 압연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수직롤 및 수평롤 출구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수직롤 및 수평롤 출구가이드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문제 발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후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에 부가 설치된 압연라인 감지센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압연롤 3a,3b:스프링고정축 2a,2b:전후방 판스프링
11:하부지지 판스프링 9:삽입홈 8:가이드박스 17:삽입날개
1:완충돌기 5:상하부 훈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빌렛의 압연공정에서 압연롤의 출측에 설치되어 압연된 소재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출구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에 의하여 압연된 소재가 진입하는 전방 입구측은 상하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로형 판스프링이 설치되고, 후방 출구측은 좌우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형 판스프링이 설치되며, 후방 출구측 하부면은 하부지지 판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내벽 양측부에는 일자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와; 상기 가이드박스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날개가 양측부에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소재가 관통홀이 형성되고, 소재가 진입하는 전방부에는 상기 가로형 판스프링에 접촉 지지되는 완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재가 배출되는 후방부에는 상기 세로형 판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박스에 내장되는 상하부 훈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박스에 삽입되는 상하부 훈드의 전후유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가이드박스의 내벽 양측부에 형성된 일자형의 삽입홈에 미끄럼 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게 되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하부 훈드의 사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삽입링을 그 사이에 삽입하여 체결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게 되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하부 훈드 중에서 상부훈드의 상부에 취부된 연결고리에 견인되어 외부로 유도된 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된 웨이트 편과, 이의 중앙부에 형성된 터치판과, 이의 상하부에 근접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감지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후면도이다.
본 고안은 빌렛의 압연공정에서 압연롤(101,102)의 출측에 설치되어 압연된 소재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출구가이드 장치에 적용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는 수평롤(101) 및 수직롤(102)의 출측에 설치 구비되며, 장치부는 크게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8)와 이에 내장되는 상하부 훈드(5)로 구성된다.
먼저,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 및 수평롤(101,102)에 의하여 압연된 소재가 진입하는 상기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8)의 전방 입구측은 상하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3a)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로형 판스프링(2a)이 설치되고,
상기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8)의 후방 출구측은 좌우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3b)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형 판스프링(2b)이 설치되며,
상기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8)의 후방 출구측 하부면은 하부지지 판스프링(1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박스(8)의 내벽 양측부는 일자형의 삽입홈(9)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상하부 훈드(5)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삽입날개(17)가 삽입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홈(9)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베어링(9a)이 내장되어 상기 상하부 훈드(5)가 삽입될 때 그 사이공간에 삽입되어 상하부 훈드(5)의 전후유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하부 훈드(5)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하부 훈드(5)는 크게 상기한 가이드박스(8)의 사각공간부에 수용되는 사각형부와 소재가 진입하는 진입부, 배출되는 배출부로 나누어진다.
상기 가이드박스(8)를 구성하는 사각형부와 진입부, 배출부는 중심부에는 소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박스(8)를 구성하는 사각형부와 진입부, 배출부의 양측단부에는 상기한 가이드박스(8)의 삽입홈(9)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날개(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재가 진입하는 전방부인 진입부에는 상기 가로형 판스프링(2a)에 접촉 지지되는 완충돌기(1)가 상하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소재가 배출되는 후방부인 배출부에는 상기 세로형 판스프링(2b)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부 훈드(5)는 이들 상하부 훈드(5)의 사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삽입링(7)을 그 사이에 삽입하여 체결볼트(6)로 고정된 다음, 상기 가이드박스(8)의 삽입홈(9)에 구비된 미끄럼 베어링(9a)과 접촉하여 삽입됨으로써 장치 구성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출구가이드 장치에 부가적으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하부 훈드(5)가 상부 및 좌우측면으로 밀리거나, 후면으로 밀릴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 장치부를 마련한다.
이러한 감지장치부는 본 고안의 출구가이드 장치가 탄성체인 판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감지장치부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에 부가 설치된 압연라인 감지센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박스(8)에 내장되어 탄성체로 지지되는 상하부 훈드(5) 중애서 상부 훈드의 상부에 연결고리(12)가 취부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12)에 와이어(13)가 견인되어 외부로 다수의 쉬브에 의하여 유도되어 확장된다.
상기 유도 확장된 와이어(13)의 하부에는 일정 무게의 웨이트 편(14)이 견인되어 있으며, 이 웨이트 편(14)은 상기 상하부 훈드(5)의 오작동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와이어(13)는 웨이트 편(14)의 상부에 조절스크류(15) 형식으로 고정된 연결고리(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웨이트 편(14)의 설치높이는 상기 조절스크류(15)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이트 편(14)의 전방부 중앙에는 터치판(16)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판(16)의 상하부에는 이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하부 리미트스위치(19)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구성을 설명하면서 참조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압연 공정에서 중간소재의 사이즈로 감면된 빌렛은 이송롤에 의해 이송되어 터닝 디바이스(116)에서 45도 각도로 회전되어 마름모꼴(◇) 형태로 수평롤(101)인 1번 롤에 치입된다.
1번 롤에 치입되기 전에는 조압연 공정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 주어 입구가이드(103)를 통과한 소재가 사상 압연롤에 치입되기 적합한 소재로 제공되는데, 입구가이드(103)를 통과한 소재(105)가 제1번 및 제3번 수평롤(101)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감면율로 감면되면서 형상이 변경된다.
이렇게 감면된 소재(105)가 출구가이드(104)에 부딪히면서 삽입되게 되고, 이때 부딪치는 힘을 연속적으로 받게 되면 일정한 충격량 이하인 경우 완충돌기(1)와 판스프링(2)의 탄성력에 의해 적절히 대응하면서 소재를 통과시키게 된다.
반면 공급된 소재의 편열가열, 또는 재질 특성에 의한 선단부 벌어짐 현상 등과 같은 이상이 발생되거나, 선단부의 형상이 가이드 내부로 삽입되기 부적합한 형상이 될 경우, 각각의 압연롤을 빠져 나온 압연재의 선단은 출구가이드(104)에 걸려 진행하지 못하는 반면, 압연롤은 회전하면서 소재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압연된 소재가 진행하지 못하게 되면 가이드박스(8)의 상하부 훈드(5)를 후면으로 밀거나 상부 또는 좌우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우선, 후면으로 밀어 줄 경우 일정량 이하의 압력의 경우 가이드박스(8) 후방의 판스프링(2b)의 탄성에 의해 완충되어 지지만, 일정량 이상의 경우 소재는 상하부 훈드(5)를 뒤로 밀어 주게 된다.
뒤로 밀려나가는 상하부 훈드(5)는 완충돌기(1)에 취부되어 있는 전방부 판스프링(2a)을 뒤로 밀어주게 되고, 이 판스프링(2a)은 양 측면의 고정축(3)에 고정된 기점을 중심으로 밀리면서 스프링의 탄성 저항을 받으면서 후면으로 이동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되는 상하부 훈드(5)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삽입링(7)이 사이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볼트(6)에 의해 체결되어 있음으로써, 상하부의 판스프링(2a)을 동시에 밀어주게 되고, 가이드박스(8)의 삽입홈(9)에 삽입되어진 삽입날개(17)는 미끄럼 베어링(9a)에 의하여 용이하게 후면으로 미끄러지면서 밀려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상하부 훈드(5)의 삽입날개(17)의 후방부에는 고정홈(10)에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체결되어 있던 후방 판스프링(2b)은 고정홈(10)의 갭 범위 내에서 훈드(5)가 밀려나는 만큼 조정되어 지며, 이때 훈드(5)의 상면에 용접 부착되어 있는 연결고리(12)도 뒤로 밀리게 된다.
상기 연결고리(12) 이동에 따라 연결고리(12)에 견인된 와이어(13)를 당겨주게 되면 웨이트 편(14)도 상승하면서 웨이트 편(14) 중심에 있는 터치판(16)을 상승시켜 상부에 부착되어진 리미트스위치 (19)의 접점을 터치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리미트스위치(19)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이 신호에 따라 공정라인의 메인모터(미도시)의 전원을 차단시켜 설비를 정지시킴으로써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벨 및 램프등(도면 미도시)을 가동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압연롤의 역구동 및 이상발생 소재 (105)의 선단부 절단 작업등 종전과 동일한 조치 기준에 의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적절한 조치의 압연롤 역구동의 경우 본 고안의 상하부 훈드(5)를 밀어주고 있던 소재가 후진하면서 판스프링(2a.2b)에 가압하고 있던 압력은 해제되고, 소재의 이상진행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던 판스프링(2a,2b)의 탄성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어진다.
상기 상하부 훈드(5)의 삽입날개(17)부에 형성된 고정홈(10)이 후방의 판스프링(2b)에 걸리게 되면 정지되어 최초의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하부 훈드(5)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에는 가이드박스(5)를 위로 밀어 올려 주게 되고, 연결고리(12)에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13)도 웨이트 편(14)의 중량에 의해 아래로 내겨가게 되면서 터치판(16)이 리미트스위치(19)를 터치하여 압연롤의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동일한 과정을 거쳐 처리되어 진다
또한, 수직롤(102)의 경우 수평롤(101)에서 작용되어 지는 동일한 작용 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단 수평롤(101)과는 달리 이동 레스트바를 고정하는 고정 걸쇠(115)의 체결력보다 낮은 탄성의 판스프링(2a.2b)를 체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스프링의 탄성 및 고정 걸쇠(115)의 체결력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음으로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상적인 소재가 통과 되면서 출구 가이드의 훈드에 부딪혀 뒤로 밀리면 일정한 압력이하인 경우 판스프링이 대응함으로써 가이드박스와 훈드 사이에 삽입되어진 코타핀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고정력을 해소하여 사이즈 교체시 가이드 훈드)의 해체를 신속하고 쉽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진행되는 소재의 선단부 이상으로 인하여 가이드박스가 후면으로 밀리거나 상부 및 좌우측으로 이동되어질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설비의 구동모터를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생산라인의 정시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 시키고, 이동 레스트바 및 주변장치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조치시간 단축에 의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빌렛의 압연공정에서 압연롤(101,102)의 출측에 설치되어 압연된 소재의 선단부를 안내하는 출구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101,102)에 의하여 압연된 소재가 진입하는 전방 입구측은 상하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3a)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로형 판스프링(2a)이 설치되고, 후방 출구측은 좌우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축(3b)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형 판스프링(2b)이 설치되며, 후방 출구측 하부면은 하부지지 판스프링(1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내벽 양측부에는 일자형의 삽입홈(9)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가이드박스(8)와;
    상기 가이드박스(8)의 삽입홈(9)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날개(17)가 양측부에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소재가 관통홀이 형성되고, 소재가 진입하는 전방부에는 상기 가로형 판스프링(2a)에 접촉 지지되는 완충돌기(1)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재가 배출되는 후방부에는 상기 세로형 판스프링(2b)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1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박스(8)에 내장되는 상하부 훈드(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박스(8)는 이에 삽입되는 상하부 훈드(5)의 전후유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의 내벽 양측부에 형성된 일자형의 삽입홈(9)에 미끄럼 베어링(9a)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훈드(5)는 이들 상하부 훈드(5)의 사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삽입링(7)을 그 사이에 삽입하여 체결볼트(6)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훈드(5)는 상부 훈드의 상부에 취부된 연결고리(12)에 견인되어 외부로 유도된 와이어(13)의 단부에 고정된 웨이트 편(14)과, 이의 중앙부에 형성된 터치판(16)과, 이의 상하부에 근접하는 상하부 리미트스위치(19)로 이루어지는 감지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KR20-2003-0029109U 2003-09-09 2003-09-09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KR200336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109U KR200336261Y1 (ko) 2003-09-09 2003-09-09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109U KR200336261Y1 (ko) 2003-09-09 2003-09-09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261Y1 true KR200336261Y1 (ko) 2003-12-24

Family

ID=4942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109U KR200336261Y1 (ko) 2003-09-09 2003-09-09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2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04B1 (ko) 2007-07-27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소재 출구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04B1 (ko) 2007-07-27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소재 출구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6261Y1 (ko) 탄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출구 가이드 장치
EP2695040B1 (en) Improved conveyor belt take-up assembly and method
KR100258660B1 (ko) 조강재의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CN112916571B (zh) 一种刷条回收设备
KR101140908B1 (ko) 압연기용 트위스트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형강 압연 장치
EP2711100B1 (en) Rolling mill bearing chock positioning device
US2599847A (en) Entry guide for seamless tube plug rolling mills
JP5137963B2 (ja) ロールスタンド
KR100973904B1 (ko) 압연 소재 출구가이드장치
CN111689137A (zh) 一种冷轧带钢剪切废料运输装置防跑偏的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CN115367419A (zh) 辊式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150134450A (ko) 스트립 안내 장치
KR200447829Y1 (ko) 압연기의 사이드가이드 라이너 구조
KR101428195B1 (ko) 체인이탈 방지장치
JPH1157832A (ja) 熱間圧延設備
CZ297024B6 (cs) Válcovací stolice pro válcování kovového pásovéhomateriálu zatepla nebo zastudena
CN211360078U (zh) 铝板轧机入口导板活动头
KR200215253Y1 (ko) 이동식 선재압연 가이드장치
KR101193747B1 (ko) 에이치 빔 압연용 압연기
EP1413701B1 (en) Safety device for a sectional closing element, such as a door, a main door, a gate or suchlike
CN214919247U (zh) 一种导卫板
JP3846097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スリット設備
KR100782752B1 (ko)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CN210615058U (zh) 具有弹性自动恢复功能的结晶器挠性引锭杆
KR100904127B1 (ko) 코일걸림으로 인한 열연공정 중단 시 코일제거 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코일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