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155Y1 -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155Y1
KR200336155Y1 KR20-2003-0029577U KR20030029577U KR200336155Y1 KR 200336155 Y1 KR200336155 Y1 KR 200336155Y1 KR 20030029577 U KR20030029577 U KR 20030029577U KR 200336155 Y1 KR200336155 Y1 KR 200336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creen
separated
magnet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룡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한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한환경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한환경
Priority to KR20-2003-0029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 폐기물 재생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실과,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설정된 크기별로 분리하는 스칼핀과, 상기 스칼핀에서 분리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제1 분쇄기와, 상기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스칼핀에서 분리된 폐기물에서 입자가 작은 흙 성분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폐기물을 물에 넣어 부유하는 쓰레기를 분리해 내는 수처리기와, 상기 수처리기에서 분리된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 스크린과, 상기 탈수 스크린에서 분리된 폐기물과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제2 분쇄기와,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를 거쳐 이송된 폐기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다단계로 분리하는 분리 스크린과, 상기 분리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폐기물 중에서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 및 이물질을 송풍시켜 분리하는 송풍팬과, 상기 분리 스크린에서 분리되지 않은 일정 크기 이상의 폐기물을 더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제3 분쇄기와, 상기 제3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3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설 폐기물을 소각용과 재생용으로 각각 선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Treatment Apparatus of Construction Waste Articles}
본 고안은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폐기물을 소각용과 재생용으로 각각 선별하여 재생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해체할 때에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에는 흙을 포함한 골재, 콘크리트, 목재, 금속, 비닐, 종이 등의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폐기물 운반용 차량에 실어 매립지 등에 폐기하여 매립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기물은 부패되지 않는 비닐이나 땅을 오염시킬 수 있는 금속 등이 포함되어 있고, 더욱이 콘크리트 등은 독성이 강한 시멘트가 포함되어 있어 건설 폐기물 전체를 매립하는 데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폐기물은 토지를 비롯하여 공기, 수질 오염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폐기물을 재처리하여 소각용과 그리고 재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선별하고 분리하는 폐기물 처리장치가 많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로부터 소각용과 재활용으로 선별하여 처리하는 처리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었다. 즉 폐기물에는 흙을 비롯하여 비닐류나 금속류 등이 혼합되어 있어 이를 선별하는 과정이 느려질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골재나 분쇄되지 않은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선별하는 과정과 크기가 큰 콘크리트 덩어리를 분쇄하는 일련이 과정이 하나의 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처리속도가 늦었다.
이에 본 고안은 건설 폐기물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의 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고 분쇄하여 각각 소각용 및 재활용 물질로 분리하는 처리과정을 보다 향상시킨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건설 폐기물 중에서 입자가 큰 콘크리트 덩어리나 골재 등을 선별하여 1차적으로 분쇄하여 입자가 작은 덩어리로 각각 분리함으로서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실과,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설정된 크기별로 분리하는 스칼핀과, 상기 스칼핀에서 분리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제1 분쇄기와, 상기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스칼핀에서 분리된 폐기물에서 입자가 작은 흙 성분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폐기물을 물에 넣어 부유하는 쓰레기를 분리해 내는 수처리기와, 상기 수처리기에서 분리된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 스크린과, 상기 탈수 스크린에서 분리된 폐기물과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제2 분쇄기와,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를 거친 폐기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다단계로 분리하는 분리 스크린과, 상기 분리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폐기물 중에서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 및 이물질을 송풍시켜 분리하는 송풍팬과, 상기 분리 스크린에서 분리되지 않은 일정 크기 이상의 폐기물을 더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제3 분쇄기와, 상기 제3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3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운전실 11: 호퍼
12: 스칼핀 14: 제1 분쇄기
16: 제1 마그네트 18: 스크린
20: 수처리기 22: 탈수 스크린
24: 제2 분쇄기 26: 제2 마그네트
28: 분리 스크린 29: 송풍팬
30: 제3 분쇄기 32: 제3 마그네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처리장치의 일측에는 운전실(10)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10)은 각 장치에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여 장치와 장치 사이에 연결된 이송 컨베이어의 기동과, 골재 및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분쇄하는 분쇄기 및 철 금속을 분리하는 마그네트 등을 기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운전실(10)은 각 장치의 구동 중에 위험요소나 문제 발생에 대하여 비상 정지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운전실(10)은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11)는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는 것으로, 호퍼(11)는 역 사다리꼴 형태로 폐기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다. 호퍼(11)에는 호퍼(11)의 상단 측면으로부터 폐기물이 중력에 의하여 밀려 내려오도록 진동기가 설치되어 있어 폐기물이 진동기의 진동에 의하여 호퍼(11) 속으로 조금씩 투입되도록 한다.
스칼핀(12)은 상기 호퍼(11)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설정된 크기별로 분리하는 것으로, 스칼핀(12)은 일정 간격으로 분리용 봉이 세로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이다. 스칼핀(12)의 분리용 봉 사이 간격이 약 80mm 내외이다. 따라서, 호퍼(11)로부터 투입된 건설 폐기물의 입자가 80mm이상인 큰 골재나 금속 또는 콘크리트 덩어리는 스칼핀(12) 위를 지나가게 되고, 80mm미만인 물질은 스칼핀(12)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길이가 긴 목재나 와이어 등이 망과 망 사이로 분리되도록 한다. 스칼핀(12)의 철망 간격을 80mm 내외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건설 폐기물의 종류나 입자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칼핀(12)에서 분리된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1 또는 C5)를 통하여 이송된다.
제1 분쇄기(14)는 상기 스칼핀(12)에서 분리되어 이송 컨베이어(C1 및 C2)를 거쳐 투입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것으로, 제1 분쇄기(14)는 폐기물의 입자가 약 80mm 이상인 것을 파쇄하는 것이다. 제1 분쇄기(14)는 분쇄용 조(jaw)가 설치되어 있고, 조의 분쇄 간격에 의하여 80mm 이상의 폐기물을 80mm 미만의 입자로 분쇄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제1 분쇄기(14)로 유입되는 폐기물 중에 비닐류나 목재나 와이어 등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분리시켜 주는 것이 좋다.
제1 마그네트(16)는 상기 제1 분쇄기(14)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1 마그네트(16)는 제1 분쇄기(14)에서 분쇄되어 이송 컨베이어(C3)를 거쳐 이송된 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 금속을 전자석으로 포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16)는 이송 컨베이어(C3)의 종단부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폐기물 속에서 철 금속을 자기장으로 흡인하여 분리해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크린(18)은 상기 스칼핀(12)에서 분리된 폐기물에서 입자가 작은 흙 성분을 걸러내는 것으로, 스칼핀(12)을 통해 분리된 80mm 미만의 건설 폐기물이 이송 컨베이어(C5 및 C6)를 거쳐 투입되면 스크린(18)에서 입자가 작은 흙을 선별하여 분리해 낸다. 스크린(18)의 철망 격자의 간격은 스칼핀(12)의 분리용 봉사이의 간격보다 현저히 작은 것으로, 흙만을 분리해내도록 하는 것이다. 스크린(18)에서 분리된 흙은 이송 컨베이어(C7)를 통하여 배출된다.
수(水)처리기(20)는 상기 스크린(18)에서 흙이 분리된 폐기물을 물 속에 투입하여 부유하는 쓰레기를 분리해 내는 것으로, 수처리기(20)는 소정 깊이의 물이 채워져 있어 폐기물을 투입할 경우에 물 위로 부유하는 쓰레기, 즉 비닐이나 목재와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각용 물질을 분리해 내는 것이다. 수처리기(20)의 수면에 3방향의 물 분사기가 장착되어 있어 물 위에 부유하는 물질을 한 방향으로 밀어낸 다음에 걸러내어 수집통으로 배출하거나 이송 컨베이어(C8)를 통하여 소각용을 수집하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수처리기(20)의 물은 정화기 등을 통해 정화시킨 후에 순환시켜 수처리기(20)로 재투입한다.
탈수 스크린(22)은 상기 수처리기(20)에서 소각용 쓰레기가 분리된 폐기물을 탈수하는 하는 것으로, 수처리기(20)의 하단에 쌓인 폐기물을 이송 컨베이어(C9)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폐기물은 탈수 스크린(22)에서 수분을 탈수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이송 컨베이어(C9)에는 이송 중에 폐기물에 포함된 물기를 탈수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에는 천공된 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분쇄기(24)는 상기 탈수 스크린(22)에서 분리된 폐기물과 제1 분쇄기(14)에서 분쇄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것으로, 제2 분쇄기(24)에는 한 쌍의 조(jaw)가 설치되어 있고, 각 조는 탈수 스크린(22)에서 탈수되어 투입된 폐기물과 제1 분쇄기(14)에서 소정 크기의 입자로 분쇄된 폐기물을 다시 분쇄하는 것이다. 제2 분쇄기(24)는 투입된 폐기물을 약 40mm 내외의 크기로 재분쇄하는 것으로, 처리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분쇄될 폐기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폐기물을 분쇄하는 조(jaw)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서 분쇄되는 입자의 크기의 조절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26)는 상기 제2 분쇄기(24)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2 분쇄기(24)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성분, 즉 와이어 조각이나 못 등의 철 금속을 분리해 낸다. 제2 마그네트(26) 역시 제1 마그네트(16)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제2 분쇄기(24)에서 분쇄되어 이송 컨베이어(C10)를 거쳐 이송된 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 금속을 전자석으로 포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마그네트(26)는 이송 컨베이어(C10)의 종단부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폐기물 속에서 철 금속을 자기장으로 흡인하여 분리해내는 것이다.
분리 스크린(28)은 상기 제2 마그네트(26)를 거친 폐기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다단계로 분리하는 것으로, 분리 스크린(28)은 3단의 철망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단의 철망과 중앙 철망 및 하단 철망의 격자가 각각 상이하고, 상단 철망이 가장 큰 격자로 약 40mm이내이고, 중앙 철망은 약 25mm이내 이며, 하단 철망은 약 10mm이하로, 해당하는 철망에 의하여 분쇄된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것이다. 물론 처리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다단의 스크린 철망을 설치할 수 있고, 철망의 격자 간격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분리 스크린(28)을 통하여 선별된 폐기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약 40mm 미만의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12)를 거쳐 수집위치로 이송되고, 약 25mm 미만의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13)를 거쳐해당하는 수집위치로 이송되며, 약 10mm 미만의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14)를 거쳐 해당하는 수집위치에 각각 이송되어 배출된다.
송풍팬(29)은 상기 분리 스크린(28)을 통과하지 못한 폐기물 중에서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와 비닐류나 합성수지제 등의 이물질을 송풍시켜 분리하는 것이다. 즉 송풍팬(29)은 분리 스크린(28)과 이송 컨베이어(C15)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 것으로, 분리 스크린(28)의 상단에 설치된 40mm 이내의 철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송 컨베이어(C15)로 낙하하는 폐기물 중에서 작은 입자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송풍팬(29)을 이용하여 이송 컨베이어(C15)의 벨트 밖으로 송풍시키는 것이다. 송풍팬(29)의 송풍 정도는 40mm 이상의 입자를 송풍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분쇄기(30)는 상기 분리 스크린(28)을 거친 40mm 이상의 폐기물을 더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것으로, 제3 분쇄기(30)는 이송 컨베이어(C16)로 이송되어 온 폐기물을 다시 분쇄한 후에 이송 컨베이어(C17 및 C18)를 통하여 분리 스크린(28)으로 연결된 이송 컨베이어(C11)로 재투입하게 된다. 제3 분쇄기(30)는 상기 제1 및 제2 분쇄기(14, 24)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C16)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을 더 잘게 분쇄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제3 분쇄기(30)는 원통형의 분쇄기로 내부에는 편심을 갖는 분쇄봉이 구성되어 투입된 폐기물을 회전하면서 분쇄하는 것이다.
제3 마그네트(32)는 상기 제3 분쇄기(30)에서 분쇄된 후에 이송 컨베이어(C17)를 통해 이송되는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것으로,제3 마그네트(32)는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16, 26)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제3 분쇄기(30)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 즉 와이어 조각이나 못 등의 철 금속을 분리해 낸다. 즉 제3 마그네트(32)는 이송 컨베이어(C17)를 거쳐 이송된 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 금속을 전자석으로 포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3 마그네트(32)는 이송 컨베이어(C17)의 종단부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폐기물 속에서 철 금속을 자기장으로 흡인하여 분리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는 흙을 포함한 각종의 이물질과 골재 및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선별하여 소각용 및 재활용으로 각각 분리해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의 구동은 운전실(10)에서 조작자가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작자의 운용에 따라 각각의 장치를 구동시키거나 전체 장치를 일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운전실(10)에서 운전에 필요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호퍼(11)로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기 시작한다.
호퍼(11)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은 일정 각도로 경사진 분리용 봉이 구성된 스칼핀(12)을 통하여 폐기물의 입자 크기가 80mm 이상 및 미만으로 각각 분리된 후에 각각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즉 80mm 이상의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1 및 C2)를 거쳐 제1 분쇄기(14)로 이송되고, 80mm 미만의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5 및 C6)를 통하여 스크린(18)으로 이송된다. 본 고안에 적용된 각 이송 컨베이어(C1∼C18)는 경사진 상태로 폐기물을 이송하는데, 분리 또는 분쇄된 폐기물은 컨베이어의 벨트 하단으로 투입되고, 이송된 폐기물을 투입할 때에는 컨베이어의 벨트 상단으로부터 투입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C1 및 C2)를 거쳐 투입된 80mm 이상의 폐기물은 제1 분쇄기(14)에서 80mm 미만 크기의 폐기물로 분쇄된 후에 이송 컨베이어(C3 및 C4)를 거쳐 제2 분쇄기(24)로 이송된다. 이때, 제1 분쇄기(14)에서 분쇄된 폐기물 속에 포함된 금속성분, 즉 철 금속은 이송 컨베이어(C3)의 하단에 설치된 제1 마그네트(16)에 의하여 흡인되어 배출 및 수집된다.
한편, 상기 스칼핀(12)에서 선별되어 분리된 80mm 미만의 건설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5 및 C6)를 거쳐 스크린(18)으로 이송되고, 스크린(18)에서는 건설 폐기물에 포함된 흙을 분리하여 이송 컨베이어(C7)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스크린(18)을 통과한 폐기물은 수처리기(20)에 투입되어 폐기물에 포함된 목재 및 비닐류를 포함한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 등이 분리한다. 즉 폐기물을 수처리기(20)에 투입하면 비중이 작은 물질은 물 위에 부유하게 되고, 부유하는 물질은 수면 위에 설치된 3방향의 물 분사장치에 의하여 일정 방향으로 포집하여 분리한 후에 이송 컨베이어(C8)를 통해 소각용 쓰레기로 분리된다.
상기 수처리기(20)에서 소각용 쓰레기가 분리된 건설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9)를 통하여 탈수 스크린(22)으로 이송되고, 탈수 스크린(22)에서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한 후에 제2 분쇄기(24)로 투입된다. 그리고 제2 분쇄기(24)에는 상기 제1 분쇄기(14)에서 분쇄된 폐기물이 이송 컨베이어(C4)를 거쳐 투입된다. 따라서, 제2 분쇄기(24)는 수처리기(20) 및 제1 분쇄기(14)를 통과한 폐기물을 분쇄하여 약 40mm 내외 크기의 입자로 분쇄한다.
제2 분쇄기(24)에서 분쇄된 폐기물은 다시 이송 컨베이어(C10)를 거쳐 제2 마그네트(26)에서 철 성분이 분리되고, 철 성분이 분리된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C11)로 투입되어 분리 스크린(28)으로 이송된다. 분리 스크린(28)에서는 제2 분쇄기(24)에서 분쇄된 폐기물을 분쇄된 입자의 크기에 따라 각각 선별되어 분리된다. 즉 분리 스크린(28)은 다층의 스크린 철망이 구성되어 있어 스크린 철망의 격자 크기에 따라 해당하는 크기의 입자가 분리된 후에 해당하는 이송 컨베이어(C12, C13 및 C14)를 통하여 이송 및 배출된다. 분리 스크린(28)의 철망의 격자 간격은 예를 들어, 10mm, 25mm 및 40mm이지만, 처리조건에 따라 스크린 철망의 설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스크린(28)에서 분리되지 않은 약 40mm 이상의 폐기물은 다시 이송 컨베이어(C15)를 거쳐 이송되는 데, 이때, 분리 스크린(28)과 이송 컨베이어(C15) 사이에 설치된 송풍팬(29)이 분리 스크린(28)에서 낙하하는 폐기물 중에서 작은 입자와 이물질을 송풍시켜 다시 분리한다. 그리고 이송 컨베이어(C15) 및 (C16)을 통해 이송된 40mm 이상의 폐기물을 제3 분쇄기(30)에 투입되어 약 40mm 미만으로 분쇄시킨 후에 이송 컨베이어(C17)로 이송된다. 제3 분쇄기(30)에서 분쇄된 후에 이송 컨베이어(C17)로 이송된 폐기물에 포함된 철 금속은 제3 마그네트(32)에서 다시 분리된다. 제3 마그네트(32)에서 철 금속이 재분리된 후에 이송 컨베이어(C18)를 거쳐 분리 스크린(28)으로 연결된 이송 컨베이어(C11)로 재투입되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마그네트(16, 26, 32)는 각각 전자석을 이용하여 폐기물에 포함된 철 성분을 흡인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철 성분은 재활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처리과정에서 분쇄기, 마그네트 및 수처리기, 그리고 이송 컨베이어를 통하여 처리되지 않는 물질은 수동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에서 분리된 철 금속은 재처리 및 용해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흙 및 다양한 크기의 입자로 획득된 재활용 골재 등은 복토재, 복층재 또는 도로 보조 기층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는 건설 폐기물의 입자 크기를 선별하여 입자가 큰 폐기물은 1차적으로 분쇄하고, 흙이나 비닐, 목재 또는 철 금속 등을 각각 분리함과 동시에 골재 및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세분화시켜 분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킨 것이다. 또한, 각 장치의 주요 기능을 극대화시켜 처리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단순히 폐기물의 분리보다는 선별적으로 소각용 및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건설 폐기물로부터 재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보다 대량으로 선별해내고, 분쇄기를 세분화하여 설치함으로서 폐기물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킨 효과를 갖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전실과,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설정된 크기별로 분리하는 스칼핀과,
    상기 스칼핀에서 분리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제1 분쇄기와,
    상기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스칼핀에서 분리된 폐기물에서 입자가 작은 흙 성분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폐기물을 물에 넣어 부유하는 쓰레기를 분리해 내는 수처리기와,
    상기 수처리기에서 분리된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 스크린과,
    상기 탈수 스크린에서 분리된 폐기물과 제1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을 분쇄하는 제2 분쇄기와,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를 거쳐 이송된 폐기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다단계로 분리하는 분리 스크린과,
    상기 분리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폐기물 중에서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와이물질을 송풍시켜 분리하는 송풍팬과,
    상기 분리 스크린에서 분리되지 않은 일정 크기 이상의 폐기물을 더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제3 분쇄기와,
    상기 제3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기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분을 걸러내는 제3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칼핀은 폐기물의 입자가 80mm 이상이거나 미만인 것을 각각 분리하고, 분리 스크린은 폐기물의 입자가 10mm미만, 25mm미만, 40mm미만 및 40mm 이상인 입자를 각각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폐기물의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폐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20-2003-0029577U 2003-09-18 2003-09-18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200336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77U KR200336155Y1 (ko) 2003-09-18 2003-09-18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77U KR200336155Y1 (ko) 2003-09-18 2003-09-18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661A Division KR20030078844A (ko) 2003-09-18 2003-09-18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155Y1 true KR200336155Y1 (ko) 2003-12-18

Family

ID=4942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577U KR200336155Y1 (ko) 2003-09-18 2003-09-18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1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9576B2 (ja) 廃棄物の固形燃料化リサイクルプラント
BG62642B1 (bg) Метод и съоръжение за преработка на смесени пластмасовиматериали
KR100500135B1 (ko)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889809B1 (ko)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1527173B1 (ko)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KR200336155Y1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0028023A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0311094Y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장치
JPH09234449A (ja) 廃棄物の固形燃料化リサイクルプラント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9059A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749830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JPH04114780A (ja) コンクリート廃棄物の再処理方法と装置
KR200343317Y1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의 송풍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425026B1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302027Y1 (ko)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