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027Y1 -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027Y1
KR200302027Y1 KR20-2002-0030530U KR20020030530U KR200302027Y1 KR 200302027 Y1 KR200302027 Y1 KR 200302027Y1 KR 20020030530 U KR20020030530 U KR 20020030530U KR 200302027 Y1 KR200302027 Y1 KR 200302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acuum pump
screen
blower
recycled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중
Original Assignee
(유)천변토건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천변토건환경 filed Critical (유)천변토건환경
Priority to KR20-2002-0030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을 재생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골재를 선별할 때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 섬유,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 비교적 가벼운 쓰레기를 바람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재생골재 선별기에 있어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에 의해 비산된 쓰레기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즉시 흡입함으로써 쓰레기의 분리 배출을 용이하게 한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선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파쇄된 폐콘크리트로부터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전방 상단 또는 하단에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Dust seperating apparatus for a renewable sand sorter with vacuum}
본 고안은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을 재생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골재를 선별할 때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 섬유,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 비교적 가벼운 쓰레기를 바람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재생골재 선별기에 있어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에 의해 비산된 쓰레기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즉시 흡입함으로써 쓰레기의 분리 배출을 용이하게 한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신축 현장이나 해체 현장에서는 토사, 폐콘크리트, 폐종이, 폐섬유, 금속류, 폐플라스틱, 폐목재, 유리 및 도자기류 등이 혼재된 건설폐기물이 발생되게 된다. 최근 도시 재개발 및 대단위 아파트의 재건축 등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더욱 증가되고 있어 경제적 측면 및 환경적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가 요청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 나라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일반 쓰레기와 함께 단순 매립되고 있어 재활용 가능한 골재 등이 그대로 사장되고 토양 및 지하수 등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유한자원인 골재가 일방적으로 소모되고 있는 반면에 신규 건설에 의해 골재 수요는 매년 급증하고 있어 가까운 시일에 골재의 부족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폐기물을 수집, 분쇄, 선별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골재 등을 재생하여 재활용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은 폐콘크리트에 함몰되어 있거나 폐콘크리트와 혼재되어 있는 토사, 철근, 쓰레기 등을 분쇄 선별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입경을 갖는 골재와 토분 및 석분으로 분리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생된 골재 등은 건설 현장에 다시 활용됨으로써 부족한 자원을 보충하고 채석 및 채굴에 의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은 폐콘크리트 등을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장치와 철근 및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분리장치 그리고 원하는 크기의 재생골재 등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장치를 적절히 조합하여 만들어진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공정도로서,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은 재건축 현장 등에서 운반되어 온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10)와, 투입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토분을 분리하기 위한 피더 스크린(12),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파쇄하여 원하는 크기로 분쇄하는 제1죠크러셔(14), 제2죠크러셔(16) 및 콘크러셔(18), 그리고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철근토막이나 잡물을 제거하는 다수의 전자석(20),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쓰레기를 수작업으로 분리하는 쓰레기 분리실(22),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강풍으로 분리하는 다수의 송풍기(24),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제1스크린(26) 및 제2스크린(28) 그리고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각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30)로 구성된다.
따라서 호퍼(10)에 투입된 건설폐기물은 피더 스크린(12)에서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토사로 분리되어 토사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토사 저장소로 이송되고 폐콘크리트 덩어리는 제1죠크러셔(14)로 투입되어 소정의 크기 이하로 파쇄된다. 이어 파쇄된 폐콘크리트는 컨베이어 벨트(30)를 타고 제1스크린(26)으로 이송되는데,그 중간에 쓰레기 분리실(22)과 전자석(20)이 설치되어 파쇄된 콘크리트 사이에 혼재된 쓰레기와 철근토막 등의 금속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은 분쇄공정과 선별공정 그리고 그 중간에 이루어지는 쓰레기 분리공정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즉, 1차 분쇄과정에서 발생된 석분과 토분은 제1스크린(26)에서 분리되어 토분 저장소로 보내지고 제1스크린(26)을 통과한 폐콘크리트는 다시 제2죠크러셔(16)로 이송되게 되는데, 그 중간에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송풍기(2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24)는 쓰레기를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낙차를 갖도록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낙하지점에 설치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쓰레기 분리실(22)을 설치하여 비산되지 않는 쓰레기를 수작업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제2죠크러셔(16)에서는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더욱 분쇄하여 다양한 크기의 골재를 재생한다. 이후 2단 체걸름망으로 구성된 제2스크린(28)에서는 골재의 입경에 따라 석분, 재생골재 및 폐콘크리트로 분리하고, 상기 석분은 석분 저장소로, 상기 재생골재는 재생골재 저장소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폐콘크리트 덩어리는 다시 콘크러셔(18)로 투입되어 분쇄된 후 상기 제2스크린(28)으로 유입되거나 제2죠크러셔(16)에서 재차 분쇄된 후 제2스크린(28)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순환공정은 원하는 크기의 재생골재가 얻어질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에서는 양질의 재생 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폐콘크리트를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기와, 입경에 따라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진동 스크린, 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송풍기 및 건설폐기물, 토분, 석분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송풍기가 설치된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의 또다른 예를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등록실용신안 제204210호)에서 볼 수 있다.
도2는 종래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는 분쇄기(30)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분쇄골재를 만든 후 이를 컨베이어(32)와 같은 이송수단으로 진동 평활장치(34)에 공급하여 분쇄골재를 고르게 펼친 후 자유낙하시켜 저장조 컨베이어(36)를 통해 골재 저장조(38)에 저장되도록 하며, 진동 평활장치(34)의 하측에서 송풍기(40)가 일정한 속도의 공기를 분사하여 분쇄골재보다 가벼운 종이류가 분리되도록 하고 진동 평활장치(34)의 끝단에 근접되게 설치된 분리드럼(42)에 의하여 나무조각 등이 분리되어 이물질 저장조(44)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이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에서는 재생골재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쓰레기 분리공정에 있어서 쓰레기의 크기에 따라 쓰레기가 비산되는 비산거리가 불규칙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이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에서는 쓰레기를 비산시키기 위해 송풍기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의 유로가 발산되기 때문에 쓰레기가 일정 지점에 수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이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에서는 송풍기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대기중의 공기에 부딪혀 송풍기로부터 멀어질수록 와류가 크게 발생하여 쓰레기가 흩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에 집진장치가 포함된 진공펌프를 구비함으로써, 쓰레기의 비산거리 및 수거지점을 일정하게 하는 동시에 와류발생이 적어 쓰레기들이 흩어지지 않는,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진공펌프에 대향하는 위치에 쓰레기를 비산시키는 송풍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쓰레기를 비산시켜 수거하는 공기의 압력 및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공정도.
도2는 종래의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의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죠크러셔 112 : 제1컨베이어
114 : 제1스크린 116 : 제1진공펌프
118 : 제1송풍기 120 : 제2컨베이어
122 : 제2죠크러셔 124 : 제3컨베이어
126 : 제2스크린 128 : 제2진공펌프
130 : 제2송풍기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다수의 죠크러셔,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선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파쇄된 폐콘크리트로부터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구비된 호퍼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호퍼로 떨어지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진공펌프에 대향하는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가 용이하게 쓰레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비산시키는 송풍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진공펌프가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필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송풍기는 다수의 스크린 중 최종 스크린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따른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원하는 크기로 분쇄하는 제1죠크러셔(110)와, 제1죠크러셔(110)에 연결되는 제1컨베이어(112)와, 제1컨베이어(112)의 단부에 연결되어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선별하는 제1스크린(114)을 포함한다.
제1스크린(114)의 진행방향의 후단에는 호퍼(115)가 구비되어 제1스크린(114)으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재생골재와 쓰레기를 다음단계로 안내한다. 호퍼(115)의 상단에는 제1진공펌프(116)가 설치된다. 제1진공펌프(116)는 제1스크린(114)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재생골재와 쓰레기 중 가벼운 쓰레기만을 선택적으로 흡입한다. 이때 제1진공펌프(116)의 출력은 재생골재와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현장에서 적절하게 선택한다.
한편, 제1진공펌프(116)에 대향하는 상기 호퍼의 하단에 제1송풍기(118)가 추가로 설치된다. 제1송풍기(118)는 제1스크린(114)에 걸러진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제1진공펌프(116)를 향하도록 비산시켜 제1진공펌프(116)가 흡입하기 용이하게 한다. 제1송풍기(118)의 출력도 현장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제1송풍기(118)의 출력은 쓰레기가 비산할 수 있는 정도의 출력이면 적당하므로, 제1진공펌프(116)의 출력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진공펌프(116)의 출력이 30마력이라면, 제1송풍기(118)의 출력은 10마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크린(114)의 후방에는 제1스크린(114)으로부터 낙하된 재생골재를 운반하는 제2컨베이어(120)와, 제2컨베이어(120)에 연결되는 제2죠크러셔(122)와, 제2죠크러셔(122)에 연결되는 제3컨베이어(124)와, 제3컨베이어(124)의 단부에 연결되어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재선별하는 제2스크린(126)을 포함한다.
제2스크린(126)의 진행방향의 후단에는 제2호퍼(127)가 구비되어 제2스크린(126)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재생골재와 쓰레기를 다음단계로 안내한다. 제2호퍼(127)의 상단에는 제2진공펌프(128)가 설치된다. 제2진공펌프(128)는 제2스크린(126)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재생골재와 쓰레기 중 가벼운 쓰레기만을 선택적으로 흡입한다.
한편, 제2진공펌프(128)에 대향하는 상기 호퍼의 하단에 제2송풍기(130)가추가로 설치된다. 제2송풍기(130)는 제2스크린(126)에 걸러진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제2진공펌프(128)쪽으로 비산시켜 제2진공펌프(128)의 흡입을 용이하게 도와준다.
제2진공펌프(128) 및 제2송풍기(130)의 출력은 제1진공펌프(116) 및 제1송풍기(118)의 출력보다 다소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진공펌프(116)와 제2진공펌프(128)에는 집진장치가 포함되어 공해발생을 최소화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건설폐기물은 제1죠크러셔(110)에 의해 원하는 크기로 파쇄되어 제1컨베이어(112)에 의해 제1스크린(114)으로 운반된다. 제1스크린(114)은 운반된 폐콘크리트 중 일정한 크기 이하의 골재를 선별한다.
제1스크린(114)에 걸러진 일정 크기 이상의 골재는 제2컨베이어(120)에 낙하된다. 이때, 제1진공펌프(116) 및 제1송풍기(118)가 작동하여 제1스크린(114)으로부터 낙하되는 골재 중에 포함된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제1송풍기(118)가 쓰레기를 제1진공펌프(116) 쪽으로 비산시키므로 제1진공펌프(116)가 쓰레기를 용이하게 흡입·분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컨베이어(120)에 낙하된 골재는 제2죠크러셔(122)와, 제3컨베이어(124)를 거쳐 제2스크린(126)으로 운반된다. 제2스크린(126)에 운반된 골재에 포함되어 걸러진 비산 가능한 쓰레기는 제2진공펌프(128) 및 제2송풍기(130)에의해 분리된다. 제2진공펌프(128) 및 제2송풍기(130)의 작동은 제1진공펌프(116) 및 제1송풍기(118)의 작동과 동일하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실시예는 제1송풍기(118) 및 제2송풍기(130)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는 제1송풍기(118)와 제2송풍기(130) 중의 어느 하나만을 갖거나 양자 모두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스크린 중 최후의 스크린에만 진공펌프 또는 송풍기+진공펌프가 구비되고, 다른 스크린에는 종래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최후의 스크린에 진공펌프를 설치하므로, 종래의 쓰레기 분리장치로 분리할 수 없는 쓰레기만을 분리하므로, 종래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보완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가 스크린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진공펌프의 위치는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나, 이미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 후방의 호퍼 상단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는,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에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를 구비함으로써, 쓰레기의 비산거리 및 수거지점을 일정하게 하는 동시에 와류발생이 적어 쓰레기들이 흩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송풍기를 이용한 쓰레기들이 쓰레기 분리장치와 같이 쓰레기 분리과정에 쓰레기들이 흩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는, 진공펌프에 대향하는 위치에 쓰레기를 비산시키는 송풍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쓰레기를 비산시켜 수거하는 공기의 압력 및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 다수의 죠크러셔와,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선별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파쇄된 폐콘크리트로부터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구비된 호퍼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호퍼로 떨어지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에 대향하는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가 용이하게 쓰레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비산시키는 송풍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필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송풍기는 다수의 스크린 중 최종 스크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2002-0030530U 2002-10-14 2002-10-14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0302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30U KR200302027Y1 (ko) 2002-10-14 2002-10-14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30U KR200302027Y1 (ko) 2002-10-14 2002-10-14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027Y1 true KR200302027Y1 (ko) 2003-01-24

Family

ID=4939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530U KR200302027Y1 (ko) 2002-10-14 2002-10-14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0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81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성지 복합 폐기물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CN110369104A (zh) * 2019-08-30 2019-10-25 赵胜 固体废物分选设备及垃圾处理系统
KR102168757B1 (ko)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KR20230042819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81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성지 복합 폐기물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1659409B1 (ko) * 2014-05-30 2016-09-23 주식회사 성지 복합 폐기물 분리장치
CN110369104A (zh) * 2019-08-30 2019-10-25 赵胜 固体废物分选设备及垃圾处理系统
KR102168757B1 (ko)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KR20230042819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57163Y (zh) 生活垃圾和建筑垃圾混杂物分选装置
CN108176697A (zh) 建筑混合垃圾分选综合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305130B1 (ko)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KR101422793B1 (ko) 매립쓰레기 건설 폐토석의 재활용이 가능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20100110051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JP4315953B2 (ja) 混合廃棄物処理装置
JPH044083A (ja) 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方法及び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装置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CN206996798U (zh) 一种移动式建筑垃圾分拣机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200302027Y1 (ko)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200288272Y1 (ko)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45583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0003081A (ko)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CN211612856U (zh) 一种石料破碎机
KR20030051484A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4185A (ko)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102581345B1 (ko) 판형 및 로터리형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비한 골재 제조 시스템
KR100749830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