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014Y1 - 입좌식 의자 - Google Patents

입좌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014Y1
KR200336014Y1 KR20-2003-0026479U KR20030026479U KR200336014Y1 KR 200336014 Y1 KR200336014 Y1 KR 200336014Y1 KR 20030026479 U KR20030026479 U KR 20030026479U KR 200336014 Y1 KR200336014 Y1 KR 200336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length
seat
length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구남
안재문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6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면 위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기립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부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상측영역과 연결되는 입좌시트부재와; 상기 입좌시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장시간 서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입좌시트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누적이 감소되고 이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입좌식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좌식 의자{CHAIR}
본 고안은, 입좌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서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입좌시트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입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이 고도의 분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각 부품의 조립라인에 작업자들은 선 자세에서 끊이 없이 허리를 구부리거나 펴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장시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선 자세에서의 장시간 작업은, 작업자의 특정부위들에 집중적인 육체적 통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선 자세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의 통증을 해소하고자 많은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1-0001359호에는 입좌식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입좌식 의자는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입좌시트부재가 단순히 상하로 이동할 수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단순히 작업자의 키에 대응하여 입좌시트부재를 상하이동시키거나 단순히 작업자가 피곤을 느낄 때 기댈 수 있는 입좌식 보조의자가 아닌, 작업자들이 육제적 통증을 최소로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의자 위치를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의자가 제시된다면, 작업자들의 피로누적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시간 서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입좌시트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입좌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의 길이조절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의 길이조절 작동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의 높이조절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부 2 : 지지대
3 : 시트부 10 : 연결부
11 : 삽입구 23 : 연통공
13 : 고정레버 20 : 길이조절바아
21a~e : 길이조절공 40 : 결합부
41 : 제2힌지공 42 : 지지공
50 : 연결부 51 : 회동조절지지부
52 : 제1힌지공 53a~e : 높이조절공
54 : 결합홈 70 : 고정레버
71 : 힌지핀 72 : 조절레버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설치면 위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기립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부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상측영역과 연결되는 입좌시트부재와; 상기 입좌시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좌시트부재는 이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시트부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측은 시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바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길이조절바아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과; 상기 연결부에 판면을 관통형성한 연통공과; 복수의 길이조절공 중 상기 연통공과 연통배치되는 어느 하나로 상기 연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입좌시트부재까지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입좌시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에 지지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어 반원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공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공과; 상기 복수의 높이조절공 중 상기 지지공과 연통배치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지지공으로 삽입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조절바아가 상기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조절지지부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조절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지지부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시트부에 연결된 상기 길이조절바아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조절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조절지지부를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조절지지부에 판면을 관통형성한 제1힌지공과; 상기 제1힌지공과 연통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측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과; 상기 제1 및 제2힌지공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마련되어 일측이 상기 시트부에 연결된 상기 길이조절바아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는 상기 연통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는, 설치면에 위에 안착되는 받침부(1)와, 받침부(1)로부터 상향연장된 지지대(2)와, 연결부(10)에 의해 지지대(2) 상측영역과 연결되어 지지대(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입좌시트부재와, 입좌시트부재를 지지대(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부(10)에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받침부(1)는 거의 사각형의 판형상으로서, 소정의 설치면 위에 안착되어 지지대(2)를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인 지지대(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받침부(1)의 판면에 대해 기립방향으로 받침부(1)의 중앙영영역에서 상향연장되어 입좌시트부재를 지지대(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입좌시트부재는 작업자가 선자세에서 앉을 때 둔부가 밀착되는 시트부(3)와, 시트부(3)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조절바아(20)를 포함하며, 여기서 길이조절바아(20)는 일측은 시트부(3)에 연결되고 타측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부(10)에 결합된다.
연결부(10)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지지대(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지지대(2)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연결부(10)의 내부에는 일측이 시트부(3)에연결된 길이조절바아(2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 (11)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10)에는 판면을 관통형성되어 삽입구 (11)와 연통되는 연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길이조절바아(20)와 연결부(10)의 결합영역에는 길이조절바아(20)의 길이방향에 따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바아(20)가 지지대(2)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이하 전후방향이라고 함)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의 둔부가 밀착하는 시트부(3)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길이조절수단은 길이조절바아(20)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5길이조절공(21a~21e)과, 연결부(10)에 관통형성된 연통공(12)과, 복수의 길이조절공(21a~21e) 중 연통공(12)과 동일축선상에서 연통배치되는 어느 하나로 연통공(12)을 통해 삽입되어 길이조절바아(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레버(13)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에 있어서,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입좌식시트부재의 길이조절바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부(3)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13)가 연결부(10)의 삽입구 (11)로 삽입되어 있는 길이조절바아(20)의 제2길이조절공(21b)에 연통공(12)을 통해 삽입된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하기로 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길이조절공(21a,21c)는 연결부(10)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고 제4 및제5길이조절공(21d,21e)은 외부로 노출배치된 상태이다.
이에 작업자가 도 2에 도시된 상태보다 시트부(3)를 작업자를 향해 전방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해서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보다 길이조절바아(20)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통공(12)을 통해 제2길이조절공(21b)에 삽입된 고정레버(13)를 삽입해제한다.
그리고 제1길이조절공(21a)이 동일축선상에서 연통공(12)과 연통배치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길이조절바아(20)를 전방으로 당겨, 제1길이조절공(21a)과 연통공(12)이 동일축선상에서 상호 연통배치되면, 다시 고정레버(13)를 연통공(12)을 통해 제1길이조절공(21a)으로 삽입시킨다(도 3참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내지 제5길이조절공(21c~21e)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제2길이조절공(21b)은 연결부(10)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다.
한편, 작업자가 도 3에 도시된 상태보다 시트부(3)를 후방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해서,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보다 길이조절바아(20)의 길이가 더 짧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통공(12)을 통해 제1길이조절공(21a)에 삽입된 고정레버(13)를 삽입해제한다.
그리고 제4길이조절공(21d)이 동일축선상에서 연통공(12)과 연통배치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길이조절바아(20)를 후방으로 밀어, 제4길이조절공(21d)과 연통공(12)이 동일축선상에서 상호 연통배치되면, 다시 고정레버(13)를 연통공(12)을 통해 제4전이조절공(21d)으로 삽입시킨다(도 4참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길이조절공(21a,21b)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제3 및 제5길이조절공(21c,21e)은 연결부(10)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는 설치면에 위에 안착되는 받침부(31)와, 받침부(31)로부터 상향연장된 지지대(32)와, 연결부(50)에 의해 지지대(32) 상측영역과 연결되어 지지대(3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입좌시트부재와, 입좌시트부재를 지지대(3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부(50)에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설치면으로부터 입좌시트부재까지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입좌시트부재를 지지대(3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부(50)에 지지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받침부(31)는 거의 사각형의 판형상으로서, 소정의 설치면 위에 안착되어 지지대(32)를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인 지지대(3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받침부(31)의 판면에 대해 기립방향으로 받침부(31)의 중앙영영역에서 상향연장되어 입좌시트부재를 지지대(3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32)의 상단부영역에는 후술할 회동조절지지부(51)의 결합홈(54)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40)에는 후술할 힌지핀(71)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공(41)과 제2힌지공(41)과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후술할 조절레버(72)가 삽입되는 지지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입좌시트부재는 작업자가 선자세에서 앉을 때 둔부가 밀착되는 시트부(33)와, 시트부(33)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조절바아(60)를 포함하며, 여기서 길이조절바아(60)는 일측은 시트부(33)에 연결되고 타측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부(50)에 결합된다.
연결부(50)는 길이조절바아(60)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지지대(3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이하 전후방향이라고 함)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조절지지부(55)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지지대(3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조절지지부(51)를 갖는다.
길이조절지지부(55)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지지대(32)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길이조절지지부(55)의 내부에는 일측이 시트부(33)에 연결된 길이조절바아(6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57)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조절지지부(55)에는 판면을 관통형성하여 삽입구(57)와 연통하는 연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조절지지부(51)는 반원단면형상으로 마련되며, 둘레단부영역에 지지대(32)의 결합부(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54)과, 반원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판면을 관통형성된 제1 내지 제5높이조절공(53a~53e)을 가지며, 힌지부에 의해 지지대(32)의 결합부(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힌지부는 복수의 높이조절공(53a~53e)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동조절지지부(51)에 판면을 관통형성한 제1힌지공(52)과, 회동조절지지부(51)의 결합홈(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힌지공(52)과 동일축선상에서 연통할 수 있도록 지지대(32)의 결합부(40)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41)과, 제1 및 제2힌지공(41)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핀(71)을 포함한다.
한편, 길이조절바아(60)와 길이조절지지부(55)의 결합영역에는길이조절바아(60)의 길이방향에 따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대(32)의 결합부(40)와 회동조절지지부(51)의 결합영역에는 길이조절바아(60)를 지지대(32)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바아(6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의 둔부가 밀착하는 시트부(33)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바아(60)가 지지대(32)에 대해 회동이동할 수 있어 설치면으로부터 작업자의 둔부가 밀착하는 시트부(33)까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길이조절수단은 길이조절바아(60)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5길이조절공(61a~61e)과, 길이조절지지부(55)에 관통형성된 연통공(56)과, 복수의 길이조절공(61a~61e) 중 연통공(56)과 동일축선상에서 연통배치되는 어느 하나로 연통공(56)을 통해 삽입되어 길이조절바아(6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레버(70)를 갖는다.
높이조절수단은 회동조절지지부(51)에 마련되어 반원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5높이조절공(53a~53e)과, 지지대(32)의 결합부(40)에 형성된 지지공(42)과, 복수의 높이조절공(53a~53e) 중 지지공(42)과 연통배치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지지공(42)으로 삽입되어 길이조절바아(6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레버(7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좌식 의자에 있어서, 우선 입좌식시트부재의 길이조절 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설치면으로부터 시트부(33)까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 8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입좌식 시트부재의 길이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70)가 길이조절지지부(55)의 삽입구(57)로 삽입되어 있는 길이조절바아(60)의 제1길이조절공(61a)에 연통공(56)을 통해 삽입된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기로 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길이조절공(61b)은 길이조절지지부(55)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고 제3 내지 제5길이조절공(61c~61e)은 외부로 노출배치된 상태이다.
이에 작업자가 도 6에 도시된 상태보다 시트부(33)를 후방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해서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보다 길이조절바아(60)의 길이가 더 짧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통공(56)을 통과해 제1길이조절공(61a)에 삽입된 고정레버(70)를 삽입해제한다.
그리고 제2길이조절공(61b)이 동일축선상에서 연통공(56)과 연통배치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길이조절바아(60)를 후방으로 밀어, 제2길이조절공(61b)과 연통공(56)이 동일축선상에서 상호 연통배치되면, 다시 고정레버(70)를 연통공(56)을 통해 제2길이조절공(61b)으로 삽입시킨다(도 7참조).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및 제5길이조절공(61d,61e)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제1 및 제3(61a,61c)은 길이조절지지부(55)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다. (도 7참조)
다음으로 설치면으로부터의 시트부(33)까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70)가 길이조절지지부(55)의 삽입구(57)로 삽입되어 있는 길이조절바아(60)의 제2길이조절공(61b)에 연통공(56)을 통해 삽입되어 있고, 힌지핀(71)은 상호 연통하는 제1힌지공(52)과 제2힌지공(41)에 삽입되어 있으며, 조절레버(72)가 회동조절지지부(51)의 제3높이조절공(53c)를 통해 결합부(40)의 지지공(4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초기상태로 하기로 한다.
이에 작업자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보다 길이조절바아(60)를 상향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보다 설치면으로부터의 시트부(33)까지의 높이가 높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3높이조절공(53c)를 통해 결합부(40)의 지지공(42)에 삽입된 조절레버(72)를 삽입해제한다.
그리고 제5높이조절공(53e)이 동일축선상에서 지지공(42)과 연통배치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길이조절바아(60)를 힌지핀(71)을 중심으로 상향회동시켜, 제5높이조절공(53e)이 결합부(40)의 지지공(42)과 동일축선상에서 상호 연통배치되면, 다시 조절레버(72)를 제5높이조절공(53e)을 통해 결합부(40)의 지지공(42)으로 삽입시킨다(도 9참고). 한편 길이조절바아(60)가 상향회동할 때 입좌식시트부재의 길이조절바아(60)가 회동조절지지부(51)와 일체인 길이조절지지부(55)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핀(71)을 중심으로 시트부(33) 및 길이조절바아(60)와 길이조절지지부(55) 및 회동조절지지부(51)가 함께 상향이동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보다 길이조절바아(60)를 하향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보다 설치면으로부터 시트부(33)까지의 높이가 낮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3높이조절공(53c)를 통해 결합부(40)의 지지공(42)에 삽입된 조절레버(72)를 삽입해제한다.
그리고 제1높이조절공(53a)이 동일축선상에서 지지공(42)과 연통배치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길이조절바아(60)를 힌지핀(71)을 중심으로 하향이동시켜, 제1높이조절공(53a)이 결합부(40)의 지지공(42)과 동일축선상에서 항호 연통배치되면, 다시 조절레버(72)를 제1높이조절공(53a)를 통해 결합부(40)의 지지공(42)으로 삽입시킨다. (도 10 참조). 한편, 길이조절바아(60)가 하향회동할 때 입좌식시트부재의 길이조절바아(60)가 회동조절지지부(51)와 일체인 길이조절지지부(55)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핀(71)을 중심으로 시트부(33) 및 길이조절바아(60)와 길이조절지지부(55) 및 회동조절지지부(51)가 함께 하향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입좌식 의자는 생산라인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이 이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피로도나 육체적 통증정도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육체적 통증을 느끼는 작업자가 본 고안에 따른 입좌식 의자를 사용하기 전 66.5%에서 본 고안에 따른 입좌식 의자를 사용한 후에 36.3%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입좌식 의자를 작업자가 사용하였을 때 82.5%의 개선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표1
통증을느끼지못함 통증을 느낌
허리 종아리 무릎 발목 발바닥 히프 어깨
입좌식 의자 사용 전(%) 33.5% 15 12 11 7.5 7 6.5 4 3.5 66.5
입좌식 의자 사용 후(%) 63.8% 6.5 5.5 5 4.5 5 3.5 3.5 2.8 36.3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입좌식 의자는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길이 및높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에서 장시간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특정부위들의 육체적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입좌식 의자의 최적의 길이 및 높이로 설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누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효율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시간 서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입좌시트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누적을 감소되고 이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입좌식 의자가 제공된다.

Claims (10)

  1. 설치면 위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기립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부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상측영역과 연결되며, 이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시트부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측은 시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바아를 갖는 입좌시트부재와;
    상기 입좌시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길이조절바아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과; 상기 연결부에 판면을 관통형성한 연통공과; 복수의 길이조절공 중 상기 연통공과 연통배치되는 어느 하나로 상기 연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입좌시트부재까지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입좌시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에 지지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어 반원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공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공과;
    상기 복수의 높이조절공 중 상기 지지공과 연통배치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지지공으로 삽입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길이조절바아가 상기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조절지지부와;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조절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지지부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시트부에 연결된 상기 길이조절바아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절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조절지지부를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조절지지부에 판면을 관통형성한 제1힌지공과;
    상기 제1힌지공과 연통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측영역에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과;
    상기 제1 및 제2힌지공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마련되어 일측이 상기 시트부에 연결된 상기 길이조절바아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는 상기 연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좌식 의자.
KR20-2003-0026479U 2003-08-18 2003-08-18 입좌식 의자 KR200336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479U KR200336014Y1 (ko) 2003-08-18 2003-08-18 입좌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479U KR200336014Y1 (ko) 2003-08-18 2003-08-18 입좌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014Y1 true KR200336014Y1 (ko) 2003-12-11

Family

ID=4934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479U KR200336014Y1 (ko) 2003-08-18 2003-08-18 입좌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0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165B1 (ko) * 2002-12-27 200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외판 자동 도장장치
CN110353427A (zh) * 2019-07-04 2019-10-22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易调节候诊座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165B1 (ko) * 2002-12-27 200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외판 자동 도장장치
CN110353427A (zh) * 2019-07-04 2019-10-22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易调节候诊座椅
CN110353427B (zh) * 2019-07-04 2024-01-26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易调节候诊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4530B1 (en) Chair
KR20150052196A (ko) 조정가능한 등받이 및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
KR102277397B1 (ko)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200336014Y1 (ko) 입좌식 의자
JP3169561U (ja) 椅子調整装置
KR101527459B1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US5213395A (en) Adjustable seating assembly
CN105768668A (zh) 一种可摇的办公躺椅
JP5133723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074844B1 (ko) 안락성이 개선된 의자
KR200477024Y1 (ko) 신체 지지 장치
JP4419816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0202065B1 (ko) 의자
JP2797273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1674390B1 (ko)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CN219699441U (zh) 一种跪坐姿切换的椅子
KR20040042025A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CN220384665U (zh) 一种改进的具有形变弹力的办公椅
JP4491095B2 (ja) 椅子における足載せ台
JP3866753B2 (ja) マッサージ機
EP1555004A1 (en) Massaging device
JPH07236544A (ja) 建設機械のオペレータ用シート構造
WO2001093723A1 (en) Chair with oscillating back
JP3102151U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