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579Y1 - 합벽지지대 - Google Patents

합벽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579Y1
KR200335579Y1 KR20-2003-0025989U KR20030025989U KR200335579Y1 KR 200335579 Y1 KR200335579 Y1 KR 200335579Y1 KR 20030025989 U KR20030025989 U KR 20030025989U KR 200335579 Y1 KR200335579 Y1 KR 200335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support
vertical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후
Original Assignee
세안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안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안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5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용이함은 물론, 각 부분을 분해하여 해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 등에 있어서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합벽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합벽(1) 시공부지에 직립 설치되는 거푸집(8)에 인접 배치되는 수직지지바아(10)와, 이 수직지지바아(10)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수평지지바아(20)와, 상기 수직지지바아(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지지바아(20)에 타단이 연결되는 경사지지바아(30)를 포함하는 합벽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는 그 둘레부에 경사지지바아(30)의 단부 둘레를 지지하는 지지턱(40)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켓(45)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지지바아(30)는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 구비된 상기 지지브라켓(45)에 끼워져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는 힌지부(55)에 의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지지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합벽지지대{a wall form supporter}
본 고안은 합벽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용이함은 물론, 각 부분을 분해하여 해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 등에 있어서 편리한 합벽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합벽은 지하층 공사를 할 때에 굴삭된 지하 공간의 지층에 의해 한 쪽이 지지되고, 다른 한 쪽에만 거푸집을 설치하여 시공되는 벽체를 칭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합벽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은 합벽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도 1은 여기에 이용되는 합벽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합벽지지대는 합벽(1) 시공용 거푸집(8)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수직지지바아(10)와, 이 수직지지바아(10)의 하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바아(20)와,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에 그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경사지지바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바아(20)는 지중에 박혀지는 스크류바아(2)와, 이 스크류바아(2)에 결합되는 너트(4)에 의해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합벽지지대는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 및 경사지지바아(30)가 각각 용접되어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서 보관 및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체 작업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 및 경사지지바아(30)를 C형강으로 제작하고, 이들을 볼트 등의 체결구로 연결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된 분해 조립식 합벽지지대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해 조립식 합벽지지대는 조립 및 해체시에 각 부분의 연결 부위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일일이 조여주고 풀어주는 작업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시에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분해 조립식 합벽지지대는 강도가 약하여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용이함은 물론, 각 부분을 분해하여 해체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 등에 있어서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합벽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합벽지지대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합벽지지대의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설치되는 고정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직지지바아 20. 수평지지바아
30. 경사지지바아 40. 지지턱
45. 지지브라켓 55. 힌지부
본 고안에 따르면, 합벽(1) 시공부지에 직립 설치되는 거푸집(8)에 인접 배치되는 수직지지바아(10)와, 이 수직지지바아(10)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수평지지바아(20)와, 상기 수직지지바아(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지지바아(20)에 타단이 연결되는 경사지지바아(30)를 포함하는 합벽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는 그 둘레부에 경사지지바아(30)의 단부 둘레를 지지하는 지지턱(40)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켓(45)이 소정 간격으로구비되고, 상기 경사지지바아(30)는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 구비된 상기 지지브라켓(45)에 끼워져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는 힌지부(55)에 의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지지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지지바아(20)와 수직지지바아(10)의 연결 부위에는 고정구(6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60)는 수평지지바아(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62)와, 이 베이스(62)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연장부(64)와, 이 수직연장부(64)와 베이스(62)에 연결되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66a)이 형성된 경사부(6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연장부(64) 사이와 경사부(68)의 관통공(66a)에 스크류바아(2)를 통과시켜 지중에 고정하고, 상기 스크류바아(2)에 너트(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바아(20)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지지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합벽지지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설치되는 고정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합벽지지대는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 및 경사지지바아(30)로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에는 지지브라켓(45)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지지바아(30)는 지지브라켓(45)에 의해 수평 및 수직지지바아(10)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는 힌지부(5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는 한 쌍의 서로 나란한 사각바아(22a)가 상기 지지브라켓(4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45)은 그 상하단에 지지턱(40)이 형성된 대략 단면 디귿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의 한 쌍의 사각바아(22a) 사이에 용접 고정된다. 이러한 단면 디귿자 형의 지지브라켓(45)은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브라켓(45)은 수직지지바아(10)의 거푸집(8)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바아(2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어 다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브라켓(45)은 그 상하단에 한 쌍의 상하지지턱(4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지지바아(30)가 끼워졌을 때, 상기 상하지지턱(40)에 의해 경사지지바아(30)의 단부 둘레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는 한 쌍의 사각바아(22a)가 상기 지지브라켓(45)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지지브라켓(45)에 경사지지바아(30)의 양단부를 끼우게 되면, 이 지지브라켓(45)의 상하지지턱(40)에 의해 경사지지바아(30)의 상하 둘레면이 지지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사각바아(22a)에 의해 경사지지바아(30)의 양측 둘레면이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경사지지바아(30)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에 그 양단부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20)가 하나의 사각바아(22a)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브라켓(45)은 상하 좌우 둘레부에 상하지지턱(40) 및 좌우지지턱(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경사지지바아(30)가 지지브라켓(45)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지지브라켓(45)의 지지턱(40)에 의해 경사지지바아(30)의 상하 둘레부 및 좌우 둘레부가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경사지지바아(3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바아(10)의 하단부와 수평지지바아(20)의 전단부는 힌지부(55)에 의해 연결되어, 이 힌지부(55)를 중심으로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가 서로 절첩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55)는 수평지지바아(10)의 후방 상면에 구비된 힌지공(55a)과, 이 힌지공(55a)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수직지지바아(10)의 하단에 연결되는 힌지축(57a)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가 상기 힌지부(55)를 중심으로 절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합벽지지대에 의하면, 상기 수평지지바아(20)를 합벽(1) 시공부지의 바닥면에 배치하고, 상기 수직지지바아(10)를 직각 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5)에 경사지지바아(30)의 양단부를 끼워서 배치함으로써, 상기 합벽(1)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8)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바아(20)에는 고정구(60)가 구비되어, 이 고정구(60)가 지중에 박혀져 있는 스크류바아(2)와 연결됨으로써, 합벽(1) 시공부지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구(60)는 수평지지바아(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62)과, 이 베이스(62)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연장부(64)와, 이 수직연장부(64)와 베이스(62)에 연결되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공(66a)이 형성된 경사부(68)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수직연장부(64)와 경사부(68)의 관통공(66a)에 스크류바아(2)를 통과시켜 이 스크류바아(2)에 너트(4)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수평지지바아(20)와 이에 연결된 수직지지바아(10) 및 경사지지바아(30)가 합벽(1) 시공부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합벽(1)이 시공 완료된 후에는 상기 경사지지바아(30)를 지지브라켓(45)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를 서로 절첩시킴으로써, 상기 합벽지지대를 콤팩트한 사이즈로 분해하여 해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지지바아(30)가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경사지지바아(30)를 현장에 별도로 가져오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서포터로 경사지지바아(30)를 대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간편하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30)는 두 개의 파이프가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서포터(30)의 일단부를 수직지지바아(10) 또는 수평지지바아(2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지지브라켓(45)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30)의 타단부를 수평지지바아(20) 또는 수직지지바아(10)에 구비된 다른 지지브라켓(45)에 끼워서 서포터(30)를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서포터(30)를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벽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바아(10)를 힌지부(55)를 중심으로 수평지지바아(2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45)에 의해 경사지지바아(30)를 연결 배치하면 되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 및 경사지지바아(30)가 용접 고정된 종래에 비하여, 콤팩트한 사이즈로 분해 해체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해체 작업도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합벽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 및 경사지지바아(30)의 연결 부위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일일이 조여주고 풀어주어 조립 및 해체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조립 및 해체시에 간편하면서도 시간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합벽지지대는 별도의 경사지지바아(30)가 없을 경우에는 공사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서포터(30)를 상기 지지브라켓(45)에 끼워서 경사지지바아(30)로 대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도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아(10)와 수평지지바아(20)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5)에 경사지지바아(30)를 끼워서 결합하기만 하면, 전체적으로 강도가 매우 강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안전성 확보에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합벽지지대는 수직지지바아와 수평지지바아가 힌지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수직지지바아와 수평지지바아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지지바아는 수직지지바아와 수평지지바아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브라켓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현장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용이함은 물론, 콤팩트한 사이즈로 분해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 등에 유리하며, 전체적으로 강도가 매우 강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안전성 면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합벽(1) 시공부지에 직립 설치되는 거푸집(8)에 인접 배치되는 수직지지바아(10)와, 이 수직지지바아(10)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수평지지바아(20)와, 상기 수직지지바아(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지지바아(20)에 타단이 연결되는 경사지지바아(30)를 포함하는 합벽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는 그 둘레부에 경사지지바아(30)의 단부 둘레를 지지하는 지지턱(40)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켓(45)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지지바아(30)는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 구비된 상기 지지브라켓(45)에 끼워져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지지바아(10, 20)는 힌지부(55)에 의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아(20)와 수직지지바아(10)의 연결 부위에는 고정구(6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60)는 수평지지바아(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62)와, 이 베이스(62)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연장부(64)와, 이 수직연장부(64)와 베이스(62)에 연결되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66a)이 형성된 경사부(6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연장부(64) 사이와 경사부(68)의 관통공(66a)에 스크류바아(2)를 통과시켜 지중에 고정하고, 상기 스크류바아(2)에 너트(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바아(20)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지지대.
KR20-2003-0025989U 2003-08-12 2003-08-12 합벽지지대 KR200335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89U KR200335579Y1 (ko) 2003-08-12 2003-08-12 합벽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89U KR200335579Y1 (ko) 2003-08-12 2003-08-12 합벽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579Y1 true KR200335579Y1 (ko) 2003-12-06

Family

ID=4934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989U KR200335579Y1 (ko) 2003-08-12 2003-08-12 합벽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5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575A (ko) 2016-08-10 2018-02-21 박상목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고정구
KR20180101678A (ko) 2017-03-03 2018-09-13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KR20220168537A (ko) 2021-06-16 2022-12-23 이강섭 합벽 축조를 위한 거푸집 지지체의 앵커 볼트 고정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575A (ko) 2016-08-10 2018-02-21 박상목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고정구
KR20180101678A (ko) 2017-03-03 2018-09-13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KR20220168537A (ko) 2021-06-16 2022-12-23 이강섭 합벽 축조를 위한 거푸집 지지체의 앵커 볼트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46B1 (ko)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KR200335579Y1 (ko) 합벽지지대
KR20010062888A (ko) 지주 연결장치
JP6210608B1 (ja) 支保工
KR100797830B1 (ko) 연결형 강관
KR200436781Y1 (ko)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200347348Y1 (ko) 합벽지지대
JP5143526B2 (ja) 建築物の柱脚構造
KR1023080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JP2572268Y2 (ja) 作業足場
KR20080030427A (ko) 파이프 연결핀
KR200163423Y1 (ko) 거푸집구조물
JPH11182051A (ja) 仮設フェンス
JP5437938B2 (ja) 柵用手摺ビームの固定構造及びその固定構造を備えた柵
KR200311865Y1 (ko) 건축용 동바리 고정구조
KR200432962Y1 (ko) 조명기구용 지주
KR200376947Y1 (ko) 유로폼 지지구조
KR200195041Y1 (ko) 도로용 철책
JP3124490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型枠の型枠連結具及び型枠固定具
JP3088562U (ja) 防音テント
KR200434640Y1 (ko) 파이프 연결핀
KR100556517B1 (ko) 건축물 발코니 측벽 개량구조
KR200285273Y1 (ko) 거푸집 패널 지지용 와셔
KR200317305Y1 (ko) 가변형 합벽지지대
JP3635406B2 (ja) 支柱等の突出物の定着体と同定着体を利用した支柱の定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