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268Y1 -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4268Y1 KR200334268Y1 KR20-2003-0026197U KR20030026197U KR200334268Y1 KR 200334268 Y1 KR200334268 Y1 KR 200334268Y1 KR 20030026197 U KR20030026197 U KR 20030026197U KR 200334268 Y1 KR200334268 Y1 KR 2003342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p
- foreign matter
- expansion joint
- road
- matter b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쪽 조인트판의 대응된 근접 결합으로 상면이 커버되는 유격 조절 틈새를 가져서 된 도로의 신축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틈새의 내측에 상측으로 양단이 안착 지지되어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틈새를 커버하게 되는 수평단과 이 수평단의 중간위치에 하향 연장되는 직립단을 가져서 된 이물질 차단부재를 제공하고; 하측으로 상기 틈새의 내벽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어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의 직립단을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탄성수단을 제공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을 신축적으로 연결하는 틈새에 이물질 등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여 이물질 적재 또는 배수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 설치되는 교량(고가도로를 포함)은 다수의 교각과 교각의 상부에 양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다수의 상판들로 구성되며, 이들 상판과 상판의 연결부위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량을 보상하기 위해 그리고 차량의 이동에 따른 동적거동을 가능토록 하기 위해 유격된 공간을 두고 있고, 이 유격 공간의 틈새에는 물의 배수 등을 위한 배수로가 확보되어 있으며, 또한 틈새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상측에 대응된 조인트판이 설치된다.
즉, 교량의 상부구조 및 일반 구조물에는 온도변화 등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을 흡수하기 위하여 조인트판을 갖는 신축이음부가 설치되며, 상기 신축이음부는 철도 등의 교량 구조물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정적, 동적 거동에 따른 수평 수직 방향의 거동 및 회전 거동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된다.
더불어, 부식에 대한 저항성과 화학물에 의한 안전성 및, 내구성 뿐만 아니라 물, 모래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함과 동시에 우수등의 배수를 위한 배수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시말해, 종래의 이음부 구조는 상판과 상판을 연결하는 이음부 틈새에 서로 대응된 조인트판을 앵커로서 각기 고정하고 이들 대응단에는 틈새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요철형상의 핑거를 지그재그형으로 돌출시켜 상판과 상판의 연결에 의한 틈새를 최소화 시켜왔으며, 또한 틈새에는 배수로를 확보하여 틈새를 통한 우수를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틈새에는 우수 뿐만아니라 각종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고 이에따라 틈새에는 이물질이 쌓여져 우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쌓여진 이물질로 인해 구조물 자체를 부식시키게 되고 장기간 외부 노출시 자외선이나 화학물질에 의하여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틈새에 쌓여진 이물질이 도로의 상면보다 높게 적재되는 경우 이로인해 차량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종래 신축이음부는 개방형 조인트와, 폐쇄형 조인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조인트는 빗물 등이 조인트의 개방된 틈새로 직접 흘러 내려가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누수방지 및 구조물의 열화 및 성능저하 등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폐쇄형 조인트는 바닥판과 인접 구조요소 사이에 흘러내리는 물을 받을 수 있는 홈통을 설치하는 형식의 것이 있는데 이는 종래의 개방형 조인트 보다 개선된 것이기는 하나 조인트에서의 완전한 방수를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부에서는 구조물 위를 통과하는 차량 등에 의하여 손상을 받으며, 이 물질이 조인트에 쌓이게 되어 신축이음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더불어 이물질 적재 또는 우수가 오염물질과 함께 신축이음부의 틈새로 유입되어 구조물 자체를 부식시키게 되고 장기간 외부 노출시 자외선이나 화학물질에 의하여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의 틈새에 제공되며 유간 변화에의 적용은 물론 우수 등 미세 틈새를 통해 배수로로 흐를 수 있도록 하면서 각종 이물질 등은 틈새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차단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의 적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도 3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다른 실시예,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로서 신축이음부 틈새의 최대 유간 상태에 적용되는 실시예,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로서 신축이음부 틈새의 최소 유간 상태에 적용되는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물질 차단부재 120: 수평단
140: 직립단
200: 탄성수단 220: 탄성부재
240: 융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쪽 조인트판의 대응된 근접 결합으로 상면이 커버되는 유격 조절 틈새를 가져서 된 도로의 신축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틈새의 내측에, 상측으로 양단이 안착 지지되어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틈새를 커버하게 되는 수평단과 이 수평단의 중간위치에 하향 연장되는 직립단을 가져서 된 이물질 차단부재를 제공하고; 하측으로 상기 틈새의 내벽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어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의 직립단을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탄성수단을 제공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의 직립단을 중심으로 상기 틈새의 내벽에 대응 위치되어 각각 양단이 상기 틈새의 내벽에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그 중간부가 볼록한 형상을 취하며 그 볼록한 융기부가 상기 직립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서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틈새의 하측에 유입되는 우수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관로를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판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의 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공되는 탄성수단의 요부를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에서 제공되는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5는 도 1의 사용상태로서 신축이음부 틈새의 최대 유간과 최소 유간 상태에서의 거동 상황을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또는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양쪽 조인트판(10)(20)의 대응된 근접 결합으로 상면이 커버되는 유격 조절 틈새(30)를 가져서 된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30)에, 그 중간에 위치 고정되어 슬라이드 되는 상태로 틈새(30)를 커버하며 이물질을 차단하게 되는 이물질 차단부재(100)와 틈새(30)의 유간 변화에도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가 중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수단(200)을 제공한다.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는, 상기 틈새(30)를 따라 위치되는 것이며, 상측으로 양단이 상기 틈새(30)의 상측 안착홈(32)에 안착 지지되어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틈새(30)를 커버하게 되는 수평단(120)과 이 수평단(120)의 중간위치에 하향 연장되는 중간 직립단(140)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200)은, 상기 틈새(30)의 하측 내벽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어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의 직립단(140)을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의 직립단(140)을 중심으로 상기 틈새(30)의 내벽에 대응 위치되어 각각 양단이 상기 틈재(30)의 내벽에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그 중간부가 볼록한 형상을 취하며 그 볼록한 융기부가 상기 직립단(14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서 된다.
즉, 상기 탄성수단(200)은, 호형으로 절곡된 탄성부재(220)이며, 상기 탄성부재(220)의 양쪽 단부가 상기 틈새(30)의 내벽에 고정되고 중간 융기부(240)가 서로 대응된 상태로 상기 직립단(140)을 양쪽에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의 직립단(140)과 이에 대응 밀착되는 상기 탄성부재(220)의 융기부(240)의 양쪽 지지면에는 보올트 통과홀을 연통 형성하고, 이 보올트 통과홀을 이용해서 보올트(400)가 너트 결속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220)에 대해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틈새(30)의 하측에 유입되는 우수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관로를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판(300)을 더 구비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치시에는, 도로의 상판 프레임과 상판 프레임 사이의 틈새(30) 내벽에 탄성부재(220)를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틈새(30)의 상측 대응부위에 형성된 안착홈(32)에 이물질 차단부재(100)의 수평단(120) 양쪽부위가 안착되도록 위치 고정시키며, 동시에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의 직립란(140)이 상기 탄성부재(220)의 융기부(240)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판 프레임과 상판 프레임 사이에 조인트판(10)(20)을 서로 대응되게 위치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작용시에는, 우수 등은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와 면밀착된 틈새(300) 사이의 기공을 통해 또는 최외측을 통해 배수홈통으로 배수되게 되고, 상판 프레임의 온도변화에 따라 틈새(30)의 폭이 변화하게 되면 그 톰새(30)의 조절폭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20)가 탄성력을 발생하며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의 직립단(140)을 지지하게 되어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00)의 수평단(120)이 항상 안착홈(32)에 슬라이드 상태를 유지하여 항상 틈새(30)를 커버하여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는, 도로상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의 틈새에 이물질 차단부재가 탄성수단에 의해 틈새의 유간 변화에도 항상 틈새를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커버하게 되어 우수 등은 미세 틈새를 통해 배수로로 흐를 수 있도록 하면서 각종 이물질 등은 틈새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양쪽 조인트판의 대응된 근접 결합으로 상면이 커버되는 유격 조절 틈새를 가져서 된 도로의 신축이음부에 있어서,상기 틈새의 내측에,상측으로 양단이 안착 지지되어 수평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틈새를 커버하게 되는 수평단과 이 수평단의 중간위치에 하향 연장되는 직립단을 가져서 된 이물질 차단부재를 제공하고;하측으로 상기 틈새의 내벽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어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의 직립단을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탄성수단을 제공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 신축이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상기 이물질 차단부재의 직립단을 중심으로 상기 틈새의 내벽에 대응 위치되어 각각 양단이 상기 틈새의 내벽에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그 중간부가 볼록한 형상을 취하며 그 볼록한 융기부가 상기 직립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 신축이음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이물질 차단부재의 직립단과 이에 지지 밀착되는 양쪽의 융기부에 보올트 통과홀을 연통되도록 각기 형성하고 이 보올트 통과홀을 보올트가 통과하여 너트 결속되도록 하여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 신축이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틈새의 하측에 유입되는 우수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관로를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판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차단구조 신축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6197U KR200334268Y1 (ko) | 2003-08-13 | 2003-08-13 |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신축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6197U KR200334268Y1 (ko) | 2003-08-13 | 2003-08-13 |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신축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4268Y1 true KR200334268Y1 (ko) | 2003-11-21 |
Family
ID=4934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6197U KR200334268Y1 (ko) | 2003-08-13 | 2003-08-13 |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426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4536A (ko) * | 2014-05-22 | 2015-12-02 | 포인텍이앤씨(주) | 밸런스 바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610141B1 (ko) * | 2015-09-15 | 2016-04-08 | 진형건설(주)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2003
- 2003-08-13 KR KR20-2003-0026197U patent/KR20033426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4536A (ko) * | 2014-05-22 | 2015-12-02 | 포인텍이앤씨(주) | 밸런스 바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630347B1 (ko) | 2014-05-22 | 2016-06-14 | 포인텍이앤씨(주) | 밸런스 바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610141B1 (ko) * | 2015-09-15 | 2016-04-08 | 진형건설(주)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WO2017047975A1 (ko) * | 2015-09-15 | 2017-03-23 | 진형건설(주)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0141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0743044B1 (ko) | 내진용 신축이음장치 | |
KR102169161B1 (ko) | 누수 및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
KR100921415B1 (ko) |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 |
KR20080108705A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볼트풀림 방지구조 | |
KR101158099B1 (ko) | 교량용 누수방지장치 | |
KR200334268Y1 (ko) |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신축이음장치 | |
KR101630633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020414B1 (ko) |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 |
KR102505935B1 (ko) | 배수시트가 없는 굴절형 신축이음장치 | |
KR200334262Y1 (ko) |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 |
KR200334267Y1 (ko) |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 |
CN210152084U (zh) | 建筑物种植顶板变形缝结构 | |
JP3328802B2 (ja) |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 |
KR200184750Y1 (ko)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20190012428A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 |
KR102587939B1 (ko) | 무배수시트 타입 신축이음장치 | |
KR102520638B1 (ko) |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 |
KR101821570B1 (ko) | 확장형 탄성채움재가 구비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JP2005068696A (ja) | 橋梁ジョイント部の排水構造 | |
KR101633854B1 (ko) | 철도 교량용 신축 이음 누수 보수장치 | |
KR20180006195A (ko) | 유간 보정이 가능한 레일조인트 | |
KR100920157B1 (ko) |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00028Y1 (ko) | 수로교 이음부의 누수방지부재 | |
KR200374486Y1 (ko) |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10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