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07Y1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307Y1
KR200333307Y1 KR20-2003-0026667U KR20030026667U KR200333307Y1 KR 200333307 Y1 KR200333307 Y1 KR 200333307Y1 KR 20030026667 U KR20030026667 U KR 20030026667U KR 200333307 Y1 KR200333307 Y1 KR 200333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bracket
fixing member
support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호
Original Assignee
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호 filed Critical 정용호
Priority to KR20-2003-0026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7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각도 조절장치는 사용중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지지봉으로부터 고정부재가 분리되거나 브라켓의 하측부위가 서로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지봉(600) 상단의 외측둘레 양쪽에 서로 대향된 돌기 (610)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600)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300)의 끼움공 (310) 양쪽에는 상기 돌기(6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홈(311)을 형성하며, 브라켓(400)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부재(500)는 양측면(520) 중앙에 지지봉(600)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521)을 형성하고, 양측면(520)의 상부 끝단에는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진 걸림편(522)을 형성하며, 바닥면(510)의 양측에는 홈부(511)를 형성하므로서, 지지봉(600)과 고정부재(300)가 돌기(610)와 돌기홈(311)으로 인하여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서로 대향된 상태로 상측부위만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400)의 하측은 지지부재(500)로 인하여 변형이 방지될 수 있어 각도 조절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Angle control device of head rest for automobiles}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헤드레스트의 반복적인 각도조절 또는 충격에 의해 각도 조절장치의 일부 부품이 변형되면서 각도 조절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거나, 차량 추돌 등에 의하여 승객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히는 경우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게 되면서 승객의 부상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차원을 지지해주며,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피로를 최소한으로 해주는 것으로서 그 종류에는 용도, 배치에 따라 드라이버시트, 패슨저시트, 리어시트, 차일드시트로 분류되며, 형상에 의해서는 로우백시트, 하이백시트, 버켓시트로 분류할 수 있고, 기능에 따라서는 고정식시트, 조절식시트, 변환식시트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시트 프레임에 시트쿠션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위에 패드를 놓고 다시 트림커버어셈블리로 표면을 붙인 것이 많으며, 이 밖에 시트프레임을 상자형으로 성형하고 두꺼운 패드를 사용하여 시트쿠션스프링을 생략한 폴폼시트 등이 있으며,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직포스프링이나 와이어등을 시트스프링으로 사용한 것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은 승차원 및 시트 자체의 하중을 차체 구조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그에 필요한 강도, 강성을 필요로 하며, 시트프레임에 사용되는 재료는 강판, 강관, 강선 등이 일반적이지만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수지, 목재, 하드보드 등이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시트스프링은 직경 2.6∼4.0㎜ 의 피아노선 또는 경강선을 가공한 시트용의 스프링이며, 넓은 의미로는 직포스프링도 시트스프링에 포함된다. 그리고 패드는 시트스프링과 표피재 사이에 놓이거나 폴폼 시트로 이용되는 유연한 물체를 의미하며 통상 1층 또는 2,3층의 우레탄폼, 팜록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패드의 목적은 시트의 형상을 보존하는 것과, 스프링 타입의 시트에서는 착석한 승차원과 스프링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이질감의 해소나 쿠션체로서 스프링의 작용과 덤핑작용을 주는 일이며,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은 폴폼시트에서는 높은 탄성의 패드가 필요하게 된다.
이 밖에 시트에 부설되는 안정장비를 언급하면 전방추돌시 승차원의 머리가 뒤쪽으로 갑자기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경부상해를 완화하는 장치인 헤드레스트가 있는데,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등받이 위에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베개와 같은 부분으로 추돌 등으로 인한 목의 부상방지 및 머리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과 탈착이 가능한 것도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상하높이를 조절하거나 전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한편, 도 1 은 각도가 조절되는 일반적인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시트에 상단에 끼워지는 지지봉(50)의 상단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로 고정되는 브라켓(40)의 하단부가 관통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으며, 상기 브라켓(40)의 내부에는 고정부재(30)와 작동부재(20)와 걸림부재(1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재(30)의 하단은 상기 지지봉(50)의 상단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부재(30)의 상단에는 작동부재(2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1스프링(41)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봉(50)의 상단에 수회 감긴 상태에서 그 끝단이 브라켓(40)에 연결되어 있어 브라켓(40)이 지지봉(50)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스프링(41)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스프링(21)의 일단은 작동부재(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부재(30)에 연결되어 있어 작동부재(20)가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제2스프링 (21)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0)의 상단은 서로 대향된 상기 브라켓(40)의 상단 내부에 위치하여 브라켓(40)과 함께 고정되며, 걸림부재(10)의 하측 내면에는 다수의 반복된 톱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니부(11)에는 상기 작동부재(20)의 상단부위 톱니(22)가 끼워지게 되면서 걸림부재(10)의 회전을 단계별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40)을 포함하여 지지봉(50)의 상단은 사출물(60)에 의해감싸지게 되며 상기 사출물(60)의 표면은 다시 쿠션감이 있는 쿠션패드(70)에 의해 감싸지게 되면서 헤드레스트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 2a 와 도 2b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a 는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쪽으로 최대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를 승객의 머리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쿠션패드(70)와 사출물(60)과 함께 브라켓(40)이 지지봉(50)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브라켓(4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부재(10) 또한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브라켓(40)은 제1스프링(41)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걸림부재(10)가 회전을 하게 되면 걸림부재(10)의 하측 내면 톱니부(11)에 걸림부재(20)의 톱니(22)가 맞물려 걸림부재(10)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는 작동부재(20)가 제2스프링(21)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톱니부(11)를 따라 회전 및 복귀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서 걸림부재(10)가 작동부재(20)에 의해 단계별로 회전 및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단계별로 회전시키면서 헤드레스트를 최대한 회전시킨 다음 다시 헤드레스트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도 2b 에서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회전되는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부재(10)의 톱니부(11)에 끼워져 있던 작동부재(20)의 톱니(22)가 톱니부(1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제1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브라켓(40)과 걸림부재(10)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도 조절장치에서 브라켓(40)의 설치상태를 보면 대향된 상태로 한쌍을 이루고 있는 브라켓(40)의 상단은 걸림부재(10)를 사이에 두고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브라켓(40)의 하단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대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각도 조절장치를 사용하거나 외부로부터 헤드레스트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브라켓(40)의 하단이 쉽게 변형되면서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봉(50)의 상단에는 고정부재(30)의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때 헤드레스트에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봉 (50)의 상단으로부터 고정부재(3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지지봉(50)의 상단으로부터 고정부재(30)가 분리되면 상기 고정부재(30)에 연결된 작동부재(20)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작동부재(20)가 걸림부재(10)를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반복적인 각도 조절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각도 조절장치의 일부 구성부품이 변형되면서 각도 조절장치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를 충분히 지지해주지 못하게 되면서 승객의 목부위 부상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봉 상단의 외측둘레 양쪽에 서로 대향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끼움공 내측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홈이 형성되며, 브라켓의 하측에는 양측면 중앙에 지지봉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반원형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상부 끝단에는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진 걸림편이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 양측에는 홈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고정시켜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의 끼움공으로 지지봉의 상단을 끼워넣어 고정부재의 끼움공에 형성된 돌기홈으로 지지봉의 돌기가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부재와 지지봉을 고정시키고,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는 브라켓의 하측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고정시킴에 따라 각도 조절장치의 반복적인 사용 및 충격에 의해 지지봉으로부터 고정부재가 쉽게 분리되거나 브라켓의 하측부위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각도 조절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2a 는 종래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2b 는 종래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는 다른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고정부재 310 : 끼움공
311 : 돌기홈 400 : 브라켓
500 : 지지부재 510 : 바닥면
511 : 홈부 520 : 양측면
521 : 삽입공 522 : 걸림편
600 : 지지봉 610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걸림부재와 작동부재와 고정부재와 브라켓과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봉(600) 상단의 외측둘레 양쪽에 서로 대향된 돌기(610)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600)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300)의 끼움공(310) 양쪽에는 상기 돌기(6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홈(311)을 형성하며, 브라켓(400)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500)는 양측면(520) 중앙에 지지봉(600)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521)을 형성하고 양측면(520)의 상부 끝단에는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진 걸림편 (522)을 형성하며 바닥면(510) 양측에는 홈부(51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00)은 걸림부재이고 (110)은 상기 걸림부재(100)의 톱니부이고, (200)은 작동부재이며, (210)은 상기 작동부재(200)의 톱니이고, (220)은 작동부재(200)가 회전될 때 탄성력을 가지게 하는 제2스프링이며, (410)은 브라켓(400)이 회전될 때 탄성력을 가지게 하는 제1스프링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에서 지지봉(600)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부재(300)가 지지봉(600)의 상단에서 분리되거나 고정부재(300)와 작동부재(200)와 걸림부재(100)를 감싸주는 양쪽 브라켓(400)의 하부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각도 조절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것이다.
즉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시트에 하단이 고정되는 지지봉(600)의 상단 중앙부위에는 양쪽 외측둘레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대칭을 이루는 돌기(610)를 일부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6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봉(600)의 상단이 끼워져 위치될 수 있도록 끼움공(310)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끼움공(310)의 내측 둘레 양측에는 상기 돌기(610)와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홈(311)이 대향된 상태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지지봉(600)의 상단과 고정부재(3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 (300)의 끼움공(310)으로 지지봉(600)의 상단을 끼워넣을 때 지지봉(600)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610)가 고정부재(300)의 끼움공(310)에 형성된 돌기홈(311)으로 끼워지도록 한 다음 서로 결합된 돌기(610)와 돌기홈(311)의 연결부위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각도 조절장치의 반복적인 사용중이나 외부의 충격이 각도 조절장치에 가해지더라도 지지봉(600)의 상단으로부터 고정부재(300)가 분리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걸림부재(100)와 작동부재(200)와 고정부재(300)를 양쪽에서 감싸주는 한쌍의 브라켓(400)의 경우 상측은 걸림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하측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지지봉(600)의 상단에 관통되어 있으므로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중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양쪽 브라켓(400)의 하측 끝단이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400)의 하측에 지지부재(500)를 설치하여 양쪽 브라켓 (400)의 하측 끝단이 서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변형을 방지토록 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500)는 양측면(520)이 바닥면(510)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면서 "┗┛" 형상을 이루며, 양측면(520)의 중앙에는 지지봉(600)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반원형 삽입공(521)이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재(500)를 브라켓(400)의 하측으로부터 끼워넣게 되면 양측면(520)이 각각 양쪽 브라켓(400)에 접면되면서 지지부재 (500)의 삽입공(521)은 브라켓(400)에 관통되어 있는 지지봉(60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00) 양측면의 상측 끝단에는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진 상태의 걸림편(522)이 각각 구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편(522)이 브라켓(400)의 측면에 지지되면서 브라켓(400)의 하부에 끼워진 지지부재(500)의 전후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이며, 지지부재(500)의 바닥면(510) 양쪽 끝부분에는 홈부(511)를 형성함에 따라 지지부재(500)에 끼워지는 브라켓(400)에 하측 끝단이 상기 홈부(511)에 끼워지게 되면서 양쪽 브라켓(400)의 하측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에서 지지봉과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부재는 돌기와 돌기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양쪽 브라켓의 하측 끝단에는 지지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각도 조절장치의 장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중 또는 각도 조절장치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부재와 지지봉이 서로 분리되거나 양쪽 브라켓의 하측 끝단이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등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도 조절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지봉(600) 상단에 일체로 설치된 고정부재(300)에서 제2스프링(220)의 탄성을 받아 회전 동작하고 상단에 톱니(210)가 형성된 작동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300) 외측에 설치되어 지지봉(600) 상단에서 제1스프링(410)의 탄성을 받아 회전각도가 제어되는 한쌍의 브라켓(400)과; 상기 브라켓(400)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작동부재(200)와 맞물리는 다단의 톱니부(110)에 의해 브라켓(400)의 각도를 제어하는 걸림부재(100)가 포함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봉(600)의 상단 양쪽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로 대칭을 이루는 돌기(610)를 일부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600)의 상단이 끼워지는 고정부재(300)의 끼움공(310)에는 상기 돌기(610)와 상응하도록 내주면 양쪽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대칭을 이루는 돌기홈(311)을 형성하며, 상기 양쪽 브라켓(400)의 하측부위에 끼워지는 지지부재(500)는 바닥면(510)을 중심으로 양쪽에 직각형태의 양측면(520)을 각각 형성하되 양측면(520)의 상부 양단에는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걸림편(522)을 각각 형성하고 양측면(520)의 중심부에는 반원형 삽입공(521)을 각각 형성하며 바닥면(510)의 양끝단에는 브라켓(400)의 하측 끝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511)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KR20-2003-0026667U 2003-08-19 2003-08-1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33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67U KR200333307Y1 (ko) 2003-08-19 2003-08-1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67U KR200333307Y1 (ko) 2003-08-19 2003-08-1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307Y1 true KR200333307Y1 (ko) 2003-11-12

Family

ID=4934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667U KR200333307Y1 (ko) 2003-08-19 2003-08-1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3441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10116280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
KR100416698B1 (ko) 자동차시트용 람버서포트의 결착장치
US20200247294A1 (en) Positioning device for vehicular seat
US6769737B2 (en)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n automobile
KR20033330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JP5112736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403478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2006035965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0706440B1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KR20033328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JP2018095151A (ja)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
JP720654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2345597A (ja) 乗り物用シート
JP2002315648A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298614B1 (ko) 자동차시트의람버서포트
JP6266992B2 (ja) 車両用シート
JP4486868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24025532A (ja) シート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JP5512081B2 (ja)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シート
KR200141707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장착구조
JP2001239871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JP2024025079A (ja) シート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KR950001760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쿠션장치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