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279Y1 - 휴대용 칫솔 - Google Patents

휴대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279Y1
KR200333279Y1 KR20-2003-0025626U KR20030025626U KR200333279Y1 KR 200333279 Y1 KR200333279 Y1 KR 200333279Y1 KR 20030025626 U KR20030025626 U KR 20030025626U KR 200333279 Y1 KR200333279 Y1 KR 200333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oothpaste
case
toothpaste tub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김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세 filed Critical 김영세
Priority to KR20-2003-0025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27Lead-screw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안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도구 중에 하나인 칫솔에 있어서, 칫솔대와 치약 및 케이스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위생적이면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100, 100')은, 일단부가 개방되고 타단부는 폐쇄되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1)이 형성된 제1 케이스(110L)와, 제1 케이스(110L)의 내부에 위치하며 치약(131)을 수용하고 있는 유연한 재질의 치약튜브(130, 131')와, 일단부에는 브러시(121)가 박혀 있고 타단부는 제1 케이스(110L)에 체결되어 치약튜브(130, 131')의 개방부를 폐쇄하거나 제1 케이스(110L)에서 분리되어 치약튜브(130, 131')의 개방부를 개방하는 칫솔대(120, 120')와, 칫솔대(120, 120')를 감싸는 제2 케이스(110H) 및, 제1 케이스(110L)의 장공(111)을 따라 이동하며 치약튜브(130, 13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은 치약튜브가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어 어디에서나 치약튜브에서 치약은 토출하여 양치질을 할 수 있으며, 브러시가 박혀 있는 칫솔대를 제2 케이스로 감싸 보관할 수 있어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치약튜브에 채워진 치약을 모두 소모하였을 경우에 치약튜브에 치약을 재충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치약이 충진된 치약튜브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칫솔{A Portable Toothbrush}
본 고안은 입안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도구 중에 하나인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칫솔대와 치약 및 케이스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위생적이면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口腔衛生) 도구로서, 일단에 브러시가 박힌 칫솔대를 말한다. 이와 같은 칫솔은 크게 가정용과 휴대용으로 구분되는데, 가정용 칫솔은 약 15~25cm의 길이를 갖는 칫솔대에 브러시가 박힌 구조이며, 휴대용 칫솔은 약 10~15cm의 길이를 갖는 칫솔대와 이런 칫솔대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칫솔에 케이스가 갖춰져 있는 이유는 칫솔을 휴대하고 다님에 따라 브러시에 오염물질이 묻게 되고, 오염된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하게 되면 세균에 감염 및 오염물질이 체내로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브러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가 갖추어져 있다.
한편, 양치질을 하기 위해서는 칫솔 이외에 치약이 필요하게 되는데, 치약은 일반적으로 튜브에 밀봉된 상태로 튜브에 형성된 치약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양치질을 하기 위해서는 이런 칫솔과 치약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여행이나 출장 중에는 이런 치약과 칫솔을 위생적인 상태로 함께 보관하고 다니기에 부피가 커서 불편하고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부피를 축소하여 여행이나 출장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치약과 칫솔이 함께 구성된 휴대용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칫솔의 사용상태는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칫솔을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 : 휴대용 칫솔 110H, 110L : 케이스
111 : 장공 113 : 암나사부
120, 120' : 칫솔대 123 : 중공
130, 130' : 치약튜브 132V : 치약토출구
140 : 가압부재 141 : 가압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용 칫솔에 있어서,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폐쇄되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치약을 수용하고 있는 유연한 재질의 치약튜브와, 일단부에는 브러시가 박혀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치약튜브의 개방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1 케이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치약튜브의 개방부를 개방하는 칫솔대와, 상기 칫솔대를 감싸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장공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치약튜브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안쪽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칫솔대의 타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암나사부에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치약튜브는 링과 상기 링에 일체로 연장된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은 상기 제1 케이스의 단차부에 안착되어 나사체결된 상기 칫솔대의 타단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치약튜브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타단면에서 상기 브러시가 박힌 일단부까지 중공이 형성된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치약튜브는 외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부 방향으로 치약을 토출하기 위한 치약토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상기 칫솔대의 타단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치약토출구가 삽입 체결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칫솔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칫솔의 사용상태는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칫솔(100)은, 치약튜브(130)를 수용하며 개방부에 칫솔대(120)가 체결되는 하부 케이스(110L)와, 이런 하부 케이스(110L)에 체결된 칫솔대(120)를 감싸 칫솔대(120)의 브러시(121)가 오염되는 것을 막는 상부 케이스(110H)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10L)에 수용된 치약튜브(130)는 그 개방부가 칫솔대(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123)과 연통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칫솔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L)는 그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실린더 모양의 구조로서, 측면에는 하부 케이스(110L)의 길이방향으로 장공(111)이 형성되며, 개방부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113)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안쪽에는 하부 케이스(110L)의 내주면을 따라 단차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10L)의 장공(111)에는 가압부재(140)가 설치되어장공(111)을 따라 하부 케이스(110L)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이런 가압부재(140)는 하부 케이스(110L)의 내경과 같거나 작은 직경의 가압판(141)과 장공(111)을 관통하여 가압판(14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43)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체결볼트(143)의 헤드(143H)를 가압한 후에 체결볼트(143)를 밀면 가압판(141)은 사용자가 가하는 힘의 방향으로 장공(111)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튜브(130)의 내부에는 치약(131)이 채워져 있으며, 이런 치약튜브(130)는 입구부에 링(133)이 형성되고 포켓부(135)가 링(133)에서 연장된 합성수지재질로서, 치약튜브(130)의 링(133)과 포켓부(135)는 일체형이다. 이런 치약튜브(130)의 링(133)은 하부 케이스(110L)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115)에 안착되어 위치하고, 포켓부(135)는 하부 케이스(110L)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칫솔대(120)가 하부 케이스(110L)의 개방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13)에 체결되는데, 칫솔대(120)가 하부 케이스(110L)의 암나사부(113)에 완전히 체결되면 단차면에 안착된 치약튜브(130)의 링(133)은 단차면과 칫솔대(120)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치약(131)이 하부 케이스(110L)와 칫솔대(120)의 사이로 누출되지 않도록 패킹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120)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123)이 형성되고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27)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브러시(121)가 박혀 있다. 그리고 중공(123)은 칫솔대(120)의 하단면 중앙에서 칫솔대(120)에 박힌 브러시(121)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관통해 있다.
따라서 칫솔대(120)의 수나사부(127)를 하부 케이스(110L)의 암나사부(113)에 체결하면 치약튜브(130)의 개방부는 칫솔대(120)의 하단부에 의해 폐쇄되고, 단지 칫솔대(120)의 중공(123)을 통해서만 치약(131)이 브러시(121)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H)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실린더 모양의 구조로서, 개방부의 내경은 칫솔대(120)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10H)의 내부로 칫솔대(120)를 삽입하였을 경우에 상부 케이스(110H)의 개방부에 칫솔대(12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정합한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H)와 칫솔대(120)가 정합함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10H)의 개방부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돌출부(117)가 형성되고, 칫솔대(120)의 하단부 외주면를 따라 슬롯(129)이 형성되어 돌출부(117)가 슬롯(129)에 삽입되어 정합한다. 그리고 이런 상부 케이스(110H)의 외측면에는 클립(119)이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칫솔의 사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L)의 내부에 치약튜브(130)가 위치하고 칫솔대(120)에 의해 치약튜브(130)의 링(133)이 가압고정된 상태에서, 도 2에 보이듯이 사용자가 양치질을 하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110H)를 칫솔대(120)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가압부재(140)의 체결볼트(143)를 상부방향 즉 칫솔대(120)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면,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가압판(141)이 이동하면서 치약튜브(130)를 가압하게 되고, 치약튜브(130)에 채워진 치약(131)은 사용자의 힘에 밀려 칫솔대(120)의 중공(123)을 따라 브러시(121)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유동한 치약은 브러시(121)로 배출되면서 브러시(121)에 묻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양치질을 한다.
양치질이 끝났을 경우에는 브러시(121)를 세정한 후에 상부 케이스(110H)로 칫솔대(120)의 브러시(121)를 감싸 체결함으로써, 이물질이 브러시(121)에 묻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칫솔에는 그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110H)의 외측면에 클립(1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치약튜브(130)에 채워진 치약(131)을 모두 소모하였을 경우에는 칫솔대(120)와 하부 케이스(110L)를 해체한 후에 치약(131)이 채워진 새로운 치약튜브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제2 실시예]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치약이 칫솔대의 중공을 따라 브러시까지 가압되어 이동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할 제2 실시예에서는 치약튜브가 하부 케이스에 체결되고 치약토출구를 통해 치약이 배출된다는 것이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 및 유기적 결합관계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칫솔을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H)의 개방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3')가 형성되고, 치약튜브(13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37)가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110H)의 암나사부(113')에 체결된다.
수나사부(137)가 형성된 치약튜브(130')의 상단부(132) 중앙에는 치약토출구(132V)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런 구조의 치약튜브(130')에 있어서, 치약튜브(130')의 상단부(132)는 두께가 두꺼워 강도를 갖고 있으나, 상단부(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연장된 포켓부(135)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재질로서 유연하며, 이런 치약튜브(130')의 상단부(132)과 포켓부(135)는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된 치약토출구(132V)의 외주면을 따라 제1 슬롯(134)이 형성된다.
이런 치약토출구(132V)에는 칫솔대(120')가 체결되는데, 칫솔대(120')의 하단부는 상하부 케이스(110H, 110L)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블록(122)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런 원형블록(122)의 저면에는 치약토출구(132V)가 삽입되는 홈(122H)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런 홈(122H)의 내주면에는 치약토출구(132V)에 형성된 제1 슬롯(134)에 정합하는 제1 돌출부(124)가 형성되고, 원형블록(122)의 외주면에는 제2 슬롯(126)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원형블록(122)의 홈(122H)에 치약토출구(132V)가 삽입되어 정합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10H)로 칫솔대(120')를 감싼다. 이때 상부 케이스(110H)의 내주면에는 원형블록(122)의 제2 슬롯(126)과 대응하는 부위에 제2 돌출부(118)가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110H)로 칫솔대(120')를 감쌀 때에 상부 케이스(110H)의 제2 돌출부(118)가 원형블록(122)의 제2 슬롯(126)에 정합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칫솔(100')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부 케이스(110H)와 칫솔대(120')를 분리한다. 이때 상부 케이스(110H)와 하부케이스(110H)를 잡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상부 케이스(110H)의 제2 돌출부(118)가 원형블록(122)의 제2 슬롯(126)에서 벗어남으로써, 상부 케이스(110H)가 벗겨진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칫솔대(120')와 하부 케이스(110H)를 잡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치약토출구(132V)에 형성된 제1 슬롯(134)으로부터 칫솔대(120')의 제1 돌출부(124)가 이탈되면서 치약토출구(132V)의 입구가 노출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압부재(140)의 체결볼트(143)를 밀어올리면 치약튜브(130')는 가압판(141)에 의해 가압되면서 치약튜브(130')에 채워진 치약(131)은 치약토출구(132V)를 통해 토출된다.
사용자는 토출되는 치약(131)을 칫솔대(120')의 브러시(121)에 묻혀 양치질을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은 치약튜브가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어 어디에서나 쉽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은 브러시가 박혀 있는 칫솔대를 상부 케이스로 감싸 보관할 수 있어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칫솔관리에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은 치약튜브에 채워진 치약을 모두 소모하였을 경우에 치약튜브에 치약을 재충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치약이 충진된 치약튜브를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휴대용 칫솔에 있어서,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폐쇄되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치약을 수용하고 있는 유연한 재질의 치약튜브와,
    일단부에는 브러시가 박혀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치약튜브의 개방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1 케이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치약튜브의 개방부를 개방하는 칫솔대와,
    상기 칫솔대를 감싸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장공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치약튜브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안쪽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칫솔대의 타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튜브는 링과 상기 링에 일체로 연장된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은 상기 제1 케이스의 단차부에 안착되어 나사체결된 상기 칫솔대의 타단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에는 상기 치약튜브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타단면에서 상기 브러시가 박힌 일단부까지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튜브는 외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부 방향으로 치약을 토출하기 위한 치약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의 타단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치약토출구가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KR20-2003-0025626U 2003-08-08 2003-08-08 휴대용 칫솔 KR200333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26U KR200333279Y1 (ko) 2003-08-08 2003-08-08 휴대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26U KR200333279Y1 (ko) 2003-08-08 2003-08-08 휴대용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279Y1 true KR200333279Y1 (ko) 2003-11-13

Family

ID=4941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626U KR200333279Y1 (ko) 2003-08-08 2003-08-08 휴대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2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9474A (en) Multi-purpose nail enamel applicator
WO1998056277A1 (en) Toothbrush with reservoir for dentifrice
CN104522998B (zh) 便携式牙间刷
KR200333279Y1 (ko) 휴대용 칫솔
WO2015126229A1 (ko) 휴대용 치간 칫솔
GB2143428A (en) Toothbrush
KR101710141B1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KR200442442Y1 (ko) 치약을 내장한 칫솔
KR200258395Y1 (ko)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KR102391720B1 (ko)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KR20110005984U (ko) 치약 내장 칫솔
KR200427009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348379Y1 (ko) 치약 내장형 칫솔
KR20170077675A (ko) 치약튜브 홀딩기능을 갖는 칫솔
CN214382260U (zh) 推压式牙刷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247899Y1 (ko) 액상치약이내장된칫솔
KR200337865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200295230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200387215Y1 (ko) 휴대용 칫솔
KR102049094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칫솔
KR20150101711A (ko) 치약 내장형 일회용 칫솔
KR200225416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170095102A (ko)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