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720B1 -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 Google Patents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720B1
KR102391720B1 KR1020200168220A KR20200168220A KR102391720B1 KR 102391720 B1 KR102391720 B1 KR 102391720B1 KR 1020200168220 A KR1020200168220 A KR 1020200168220A KR 20200168220 A KR20200168220 A KR 20200168220A KR 102391720 B1 KR102391720 B1 KR 10239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water
faucet
us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혁
Original Assignee
최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혁 filed Critical 최인혁
Priority to KR102020016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7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having means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supply of two or more fluids, e.g. water and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꼭지(1)연결용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오므림과 벌림 작용으로 수도꼭지(1)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연결부재(10); 상기 연결부재(1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되는 물을 전방으로 분사하며 구강이 세정되게 사용자로부터 방향조작을 받는 펜슬형 분사기(20); 상기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각각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연질의 연결튜브(30); 상기 분사기(20)상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분사수압을 가변해주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와 더불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자체 수압에 의해 물을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펌프나 전동식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률이 낮아 높은 수명을 보장함은 물론 편리한 사용성과 휴대성 및 청결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faucet connection type portable water pick}
본 발명은 수도꼭지 연결용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와 더불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자체 수압에 의해 물을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펌프나 전동식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률이 낮아 높은 수명을 보장함은 물론 편리한 사용성과 휴대성 및 청결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질환과 잇몸질환들은 대부분 음식물 섭취 이후 치아 세정을 소홀히 하여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섭취 후에는 일정 시간 내에 치아를 세정하는 것이야말로 치아 및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치아의 세정 및 청결을 위한 도구로써, 칫솔이나 이쑤시개 및 치실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칫솔은 치아의 외부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치아나 치아 사이에 단단히 끼어있는 이물질들을 완전히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쑤시개는 치아나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치아 전체 표면의 세정이 불가능하고, 잇몸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치실은 치과의사들에 의해 가장 좋은 치아 세정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실의 조작이 비숙련 사용자에게는 어렵게 여겨지고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잇몸에 상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강력한 수압을 이용하여 치아와 치아들 사이 및 잇몸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른바 워터픽(Water Pick)이라 불리는 구강세정기가 보급되었다.
구강세정기는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물을 설정된 일정 압력으로 분사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구강세정기는 칫솔질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부분의 플러그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분출되는 물의 압력으로 구강의 세정 및 잇몸의 마사지 효과도 얻을 수가 있다.
즉, 구강세정기는 소정 용량의 물을 담는 세정기물통과, 물통의 물을 소정의 압력을 분사하는 전동펌프 및 전동펌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기 그리고 전동펌프의 물을 분사기로 전달하는 호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동식 구강세정기는 전동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부전원이 필요함에 따라 그 부피가 크고 고가여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단가가 높아 구매비용이 부담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전동식 구강세정기도 소형화로 제작됨과 함께 충전식 또는 교체식 배터리를 탑재하여 휴대가 가능하게 개선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전력이 요구되는 전동펌프를 위해 고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해야 함에 따라 부피와 중량에 커질 수 밖에 없어 여전히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방전이 되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배터리가 불필요하여 칫솔질처럼 개수대에서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한 수도연결식 세정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급되는 수도연결식 세정기는 개수대와의 매번 연결이 어려운 구조를 가질 뿐더러 각 구성마다 별도로 분리가 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3195호 (발명의 명칭: 수압 조절기능을 갖는 구강세정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와 더불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자체 수압에 의해 물을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펌프나 전동식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률이 낮아 높은 수명을 보장함은 물론 편리한 사용성과 휴대성 및 청결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도꼭지 연결용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되는 물을 전방으로 분사하며 구강이 세정되게 사용자로부터 방향조작을 받는 펜슬형 분사기; 상기 연결부재와 분사기에 각각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연질의 연결튜브; 상기 분사기 상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분사수압을 가변해주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도꼭지를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의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꼭지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연결패킹; 상기 연결몸체의 상단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하강하는 원통형의 조절몸체; 상기 연결패킹과 조절몸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절몸체의 승/하강에 따라 오므림과 벌림 작용하는 원통형의 연결콜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연결튜브의 연결과 함께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중앙으로 수직하게 관통된 연결유로; 상기 조절몸체가 체결되도록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연결나사; 상기 조절몸체와 함께 동반회전이 방지하도록 외면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패킹은, 상기 수도꼭지의 저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의 밑면패킹과, 상기 수도꼭지의 외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의 측면패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밑면패킹과 측면패킹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 구성되거나 단일체로 통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몸체는, 외면에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조절돌기; 상기 연결몸체와 체결되도록 내면 하단에 소정 높이로 마련되는 조절나사; 상기 연결콜렛의 외면을 점진적으로 가압하도록 내면 상단에 하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구배진 가압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콜렛은, 상기 조절몸체의 승강에 따라 점진적으로 가압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되, 상기 조절몸체의 가압에 의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소정 각도마다 서로 엇갈리는 상하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사기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길이를 갖는 분사파이프; 상기 분사파이프의 전방 측 외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밴드; 상기 분사파이프의 전방에 체결되는 원뿔형의 분사헤드; 상기 분사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튜브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연질의 분사튜브; 상기 분사튜브의 전방에 삽입되어 분사되는 물줄기의 직경을 가늘게 변환해주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파이프의 전방 측 외면에 탈/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분사노즐을 보호하는 보호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호덮개는, 상기 분사파이프를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고,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빛이 투과되는 투명재질의 보호파이프; 상기 보호파이프의 전방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건조되도록 중앙에 환기구멍이 마련된 마감캡; 상기 마감캡으로부터 보호파이프의 일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여타의 얇은 물체나 옷가지에 걸림을 유도하는 연결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분사파이프의 내면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볼록 또는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분사튜브가 점진적으로 압박되게 간섭하는 간섭돌기; 상기 간섭돌기와 대향하는 분사파이프 상에 소정 길이로 절개되어 분사튜브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조절홈부; 상기 절개홈부가 위치하는 분사파이프의 외면 양측에 소정 높이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조절보스; 상기 조절보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고, 상면에 돌부와 홈부가 연속되는 조절요철이 형성된 조절레일; 상기 조절레일 내에 사용자의 구름조작에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사튜브의 외면을 점진적으로 압박하여 직경을 가변시키는 조절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구강세정기는, 상기 연결부재와 분사기에 각각 장착되고, 사용자로부터 삽입과 누름조작에 의해 연결튜브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원터치타입 튜브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튜브어댑터는, 상기 연결부재와 분사기에 각각 삽입 또는 체결되는 어댑터파이프; 상기 어댑터파이프의 내면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외면과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어댑터패킹; 상기 어댑터파이프의 내면에 삽입되고, 상기 어댑터패킹의 이탈이 방지되게 구속하는 고정파이프; 상기 어댑터패킹과 고정파이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외면과 맞물려 후퇴를 차단하는 멈춤링; 상기 고정파이프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멈춤링을 벌려 연결튜브와의 물림을 해제하는 슬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도꼭지를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다이얼몸체; 상기 다이얼몸체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꼭지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다이얼패킹; 상기 다이얼몸체의 중단에 내장되고, 상기 수도꼭지에 감겨지도록 환형으로 노출되는 와이어; 상기 다이얼몸체의 하단에 소정 각도마다 회전과 자동정지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다이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와 더불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자체 수압에 의해 물을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펌프나 전동식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률이 낮아 높은 수명을 보장함은 물론 편리한 사용성과 휴대성 및 청결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렌더링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연결부재를 절개하여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분사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분사기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조절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분사기와 조절수단을 절개하여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튜브어댑터를 절개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의 튜브어댑터를 절개하여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렌더링 사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수도꼭지 연결용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 및 연결튜브(30)와 조절수단(40) 그리고 튜브어댑터(5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10)는 도 1처럼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오므림과 벌림 작용으로 수도꼭지(1)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커넥터이다.
이러한 연결부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11)와 연결패킹(12) 및 원통형의 조절몸체(13)와 연결콜렛(14)으로 구성된다.
연결몸체(11)는 적어도 범용규격을 가진 수도꼭지(1)들을 모두 수용 가능한 직경을 가진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몸체(11)의 중앙에는 연결튜브(30)의 연결과 함께 수도꼭지(1)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수직하게 관통된 연결유로(1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유로(11a)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연결튜브(30)를 원터치로 탈/장착해주는 튜브어댑터(50)가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연결몸체(11)의 상단에는 조절몸체(13)가 체결되도록 연결나사(11b)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연결몸체(11)의 외면에는 조절몸체(13)와 함께 동반회전이 방지하도록 외면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돌기(11c)가 형성된다.
연결패킹(12)은 연결몸체(11)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수도꼭지(1)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해준다.
이러한 연결패킹(12)은 수도꼭지(1)의 저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의 밑면패킹(12a)과, 수도꼭지(1)의 외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의 측면패킹(12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밑면패킹(12a)과 측면패킹(12b)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 구성할 수 있고, 단일체로 통합 형성할 수도 있다.
조절몸체(13)는 연결몸체(11)의 상단에 체결되고,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연결몸체(11)로부터 승/하강한다.
이러한 조절몸체(13)의 외면에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조절돌기(1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몸체(13)의 내면 하단에는 연결몸체(11)와 체결되도록 조절나사(13b)가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조절몸체(13)의 내면 상단에는 연결콜렛(14)의 외면을 점진적으로 가압하도록 하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구배진 가압면(13c)이 형성된다.
연결콜렛(14)은 연결패킹(12)과 조절몸체(13) 사이에 개재되고, 조절몸체(13)의 승/하강에 따라 오므림과 벌림 작용한다.
이러한 연결콜렛(14)은 조절몸체(13)의 승강에 따라 점진적으로 가압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콜렛(14)은 조절몸체(13)의 가압에 의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소정 각도마다 서로 엇갈리는 상하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절개홈(14a)이 형성된다.
예컨대, 홀수번의 절개홈(14a)들은 하부에서 상부로 절개되고, 짝수번의 절개홈(14a)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된다.
따라서 연결콜렛(14)은 자체탄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외압에 의해 절개홈(14a)들의 폭 만큼 오므려지고, 외압이 제거되면 본래 상태로 복귀한다.
연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한손으로 연결몸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도꼭지(1)를 연결패킹(12)과 맞물리게 삽입한다.
그리고 다른 손으로 조절몸체(13)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몸체(13)가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된다.
즉, 조절몸체(13)가 상승하게 되면, 연결콜렛(14)이 오므려짐에 따라 수도꼭지(1)와 연결패킹(12)이 긴밀하게 결속된다.
반대로 조절몸체(13)가 하강하게 되면, 연결콜렛(14)이 벌려짐에 따라 수도꼭지(1)와 연결패킹(12)과의 결속이 해제된다.
이처럼 연결부재(10)는 사용자가 조절몸체(13)를 단순히 손으로 죄고 푸는 행위만으로도 수도꼭지(1)와 신속연결이 가능한 편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사기(20)는 도 1처럼 연결부재(1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되는 물을 전방으로 분사하며 구강이 세정되게 사용자로부터 방향조작을 받는다.
여기서 분사기(20)는 사용과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길이에 비해 직경이 좁은 얇고 가는 펜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사기(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파이프(21), 고무밴드(22), 분사헤드(23), 분사튜브(24), 분사노즐(25), 보호덮개(26)로 구성된다.
분사파이프(21)는 적어도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파이프(21)의 최전방에는 분사헤드(23)가 체결되도록 나사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고무밴드(22)가 끼워지도록 오목하게 단차진 홈이 형성된다.
고무밴드(22)는 분사파이프(21)의 전방 측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해준다.
분사헤드(23)는 분사파이프(21)의 전방에 체결되어 분사튜브(24)와 분사노즐(25)이 내장되게 구속해준다.
이러한 분사헤드(23)는 구강내의 치아나 잇몸과의 간섭을 최소화되도록 원뿔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튜브(24)는 분사파이프(21)의 내부에 삽입되고, 후방으로 연결튜브(30)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분사튜브(24)는 후술하는 조절수단(40)에 의해 수축과 이완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노즐(25)은 분사튜브(24)의 전방에 삽입되어 분사되는 물줄기의 직경을 가늘게 변환해준다.
이러한 분사노즐(25)은 분사헤드(23)의 전방으로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보호덮개(26)는 분사파이프(21)의 전방 측 외면에 탈/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분사노즐(25)을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덮개(26)는 보호파이프(26a)와 마감캡(26b) 그리고 연결고리(26c)로 구성된다.
보호파이프(26a)는 분사파이프(21)의 전방을 수용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결착된다.
이러한 보호파이프(26a)는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빛이 투과되는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햇빛이나 인공자외선이 보호파이프(26a)를 통과하여 분사노즐(25)에 도달할 수 있음에 따라 상시 청결을 유지할 수가 있다.
마감캡(26b)은 보호파이프(26a)의 전방에 끼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해준다.
이러한 마감캡(26b)은 분사노즐(24)로부터 증발되는 물기가 건조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환기구멍이 형성된다.
연결고리(26c)는 마감캡(26b)으로부터 보호파이프(26a)를 향해 일측으로 하향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고리(26c)는 소정의 탄성을 가짐으로써, 여타의 얇은 물체나 옷가지와의 걸림을 유도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해준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튜브(30)는 도 1처럼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각각 연결되어 물을 전달한다.
이러한 연결튜브(30)는 수도꼭지(1)에서 안면(구강)까지의 길이를 가지되,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사이즈를 적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튜브(30)는 자유로운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면서도 급격한 꺽임이 방지되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40)은 도 1처럼 분사기(20)상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분사수압을 가변해준다.
이러한 조절수단(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돌기(41), 조절홈부(42), 조절보스(43), 조절레일(44), 조절롤러(45)로 구성된다.
간섭돌기(41)는 분사파이프(21)의 내면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볼록 또는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분사튜브(24)가 점진적으로 압박되게 간섭한다.
조절홈부(42)는 간섭돌기(41)와 대향하는 분사파이프(21)상에 소정 길이로 절개되어 분사튜브(24)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켜준다.
조절보스(43)는 조절홈부(42)가 위치하는 분사파이프(21)의 외면 양측에 소정 높이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조절레일(44)을 마련해준다.
조절레일(44)은 조절보스(43)의 중앙에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절개 형성된다.
여기서 조절레일(44)의 상면에는 돌부와 홈부가 소정 간격마다 연속 배열되는 조절요철(4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요철(44a)은 조절롤러(45)를 단계별로 위치가 고수되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조절롤러(45)는 조절레일(44)내에 사용자의 구름조작에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조절롤러(45)는 조절홈부(42)에 개재되어 분사튜브(24)와 맞물리는 바퀴와, 바퀴의 중앙에 돌출되어 조절레일(44)에 개재되는 축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롤러(45)를 전방(상승)으로 위치시키면, 조절롤러(45)가 간섭돌기(41)와 가까지며 분사튜브(24)를 점진적으로 압박한다.
반대로 조절롤러(45)를 후방(하강)으로 위치시키면, 조절롤러(45)와 간섭돌기(41)가 멀어지며 분사튜브(24)의 압박이 점진적으로 해제된다.
다시 말해 분사튜브(24)의 압박정도에 따라 물이 흐르는 유로가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되면서 분사되는 수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튜브어댑터(50)는 도 1처럼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각각 장착되어 연결튜브(30)의 탈/장착을 유도한다.
이러한 튜브어댑터(50)는 삽입과 누름 따위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연결튜브(30)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튜브어댑터(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파이프(51), 어댑터패킹(52), 고정파이프(53), 멈춤링(54), 슬리브(55)로 구성된다.
어댑터파이프(51)는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각각 삽입 또는 체결되는 몸체로써, 외면에는 끼움돌기 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패킹(52)은 어댑터파이프(51)의 내면 상단에 삽입되고, 연결튜브(30)의 외면과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한다.
고정파이프(53)는 어댑터파이프(51)의 내면 하단에 삽입되고, 어댑터패킹(52)의 이탈이 방지되게 구속한다.
멈춤링(54)은 어댑터패킹(52)과 고정파이프(53) 사이에 개재되고, 내부로 인입된 연결튜브(30)의 외면과 맞물려 후퇴를 차단한다.
슬리브(55)는 고정파이프(5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멈춤링(54)을 벌려 연결튜브(30)와의 물림을 해제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30)를 어댑터파이프(51)에 삽입하면, 어댑터패킹(52)과 멈춤링(54)이 연결튜브(30)의 외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어댑터패킹(52)에 의해 어댑터파이프(51)와 연결튜브(30)와의 기밀을 유지함과 함께 멈춤링(54)과의 맞물림으로 연결튜브(30)의 이탈이 차단된다.
여기서 연결튜브(30)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사용자가 슬리브(55)를 눌러 어댑터파이프(51) 측으로 밀어준 이후 연결튜브(30)를 밖으로 당겨주면 된다.
즉, 슬리브(55)가 어댑터파이프(51) 측으로 밀려지게 되면, 멈춤링(54)의 내경이 넓어지면서 연결튜브(30)와의 물림이 해제된다.
여기서 슬리브(55)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멈춤링(54)의 탄성에 의해 슬리브(55)는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구강세정기들과는 달리 각각의 구성품을 모두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휴대나 보관이 용이할 뿐더러 청소나 교체가 수월함에 따라 상시 청결을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10)는 앞에서 전술한 구성과 달리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수도꼭지(1)와 묶어지게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몸체(15), 다이얼패킹(16), 와이어(17), 조절다이얼(18)로 구성된다.
다이얼몸체(15)는 수도꼭지(1)를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연결튜브(30)와의 연결 및 물이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다이얼패킹(16)은 다이얼몸체(15)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수도꼭지(1)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한다.
와이어(17)는 다이얼몸체(15)의 중단에 내장되고, 수도꼭지(1)에 감겨지도록 환형으로 노출된다.
조절다이얼(18)는 다이얼몸체(15)의 하단에 소정 각도마다 회전과 자동정지가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조절다이얼(18)은 와이어(17)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와이어(17)를 감거나 풀어준다.
즉,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다이얼몸체(15)내에 수도꼭지(1)를 삽입시킴과 함께 와이어(17)를 수도꼭지(1)에 걸은 다음 조절다이얼(18)를 회전조작한다.
조절다이얼(18)의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17)가 감겨지게 되면서 수도꼭지(1)와 다이얼몸체(15)가 견고하게 압박 고정된다.
이처럼 와이어(17)로 인해 다이얼몸체(15)와 수도꼭지(1)가 완전 구속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강한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수도꼭지(1)로부터 다이얼몸체(15)의 빠짐(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다이얼(18)의 회전과 자동정지 기능은 BOA technology를 구성하는 다이얼과 스풀(spool)의 구조를 적용하는 바람직하다.
아울러 다이얼몸체(15) 또는 조절다이얼(18)에는 튜브어댑터(5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수도꼭지
10: 연결부재
11: 연결몸체
11a: 연결유로
11b: 연결나사
11c: 고정돌기
12: 연결패킹
12a: 밑면패킹
12b: 측면패킹
13: 조절몸체
13a: 조절돌기
13b: 조절나사
13c: 가압면
14: 연결콜렛
14a: 절개홈
15: 다이얼몸체
16: 다이얼패킹
17: 와이어
18: 조절다이얼
21: 분사파이프
22: 고무밴드
23: 분사헤드
24: 분사튜브
25: 분사노즐
26: 보호덮개
26a: 보호파이프
26b: 마감캡
26c: 연결고리
30: 연결튜브
40: 조절수단
41: 간섭돌기
42: 조절홈부
43: 조절보스
44: 조절레일
44a: 조절요철
45: 조절롤러
50: 튜브어댑터
51: 어댑터파이프
52: 어댑터패킹
53: 고정파이프
54: 멈춤링
55: 슬리브

Claims (6)

  1. 수도꼭지(1)연결용 구강세정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수도꼭지(1)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연결부재(10);
    상기 연결부재(10)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되는 물을 전방으로 분사하며 구강이 세정되게 사용자로부터 방향조작을 받는 펜슬형 분사기(20);
    상기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각각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연질의 연결튜브(30);
    상기 분사기(20)상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분사수압을 가변해주는 조절수단(40);
    상기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각각 장착되고, 사용자로부터 삽입과 누름조작에 의해 연결튜브(30)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원터치타입 튜브어댑터(5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재(10)는,
    상기 수도꼭지(1)를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의 연결몸체(11);
    상기 연결몸체(11)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꼭지(1)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연결패킹(12);
    상기 연결몸체(11)의 상단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하강하는 원통형의 조절몸체(13);
    상기 연결패킹(12)과 조절몸체(13)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절몸체(13)의 승/하강에 따라 오므림과 벌림 작용하는 원통형의 연결콜렛(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몸체(11)는,
    상기 연결튜브(30)의 연결과 함께 수도꼭지(1)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중앙으로 수직하게 관통된 연결유로(11a);
    상기 조절몸체(13)가 체결되도록 상단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연결나사(11b);
    상기 조절몸체(13)와 함께 동반회전이 방지하도록 외면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돌기(11c);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콜렛(14)은,
    상기 조절몸체(13)의 승강에 따라 점진적으로 가압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되,
    상기 조절몸체(13)의 가압에 의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소정 각도마다 서로 엇갈리는 상하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절개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기(2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길이를 갖는 분사파이프(21);
    상기 분사파이프(21)의 전방 측 외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밴드(22);
    상기 분사파이프(21)의 전방에 체결되는 원뿔형의 분사헤드(23);
    상기 분사파이프(2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튜브(30)와 연결되어 전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연질의 분사튜브(24);
    상기 분사튜브(24)의 전방에 삽입되어 분사되는 물줄기의 직경을 가늘게 변환해주는 분사노즐(25);
    상기 분사파이프(21)의 전방 측 외면에 탈/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분사노즐(25)을 보호하는 보호덮개(26);로 구성되며,
    상기 튜브어댑터(50)는,
    상기 연결부재(10)와 분사기(20)에 각각 삽입 또는 체결되는 어댑터파이프(51);
    상기 어댑터파이프(51)의 내면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튜브(30)의 외면과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어댑터패킹(52);
    상기 어댑터파이프(51)의 내면에 삽입되고, 상기 어댑터패킹(52)의 이탈이 방지되게 구속하는 고정파이프(53);
    상기 어댑터패킹(52)과 고정파이프(53)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튜브(30)의 외면과 맞물려 후퇴를 차단하는 멈춤링(54);
    상기 고정파이프(5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멈춤링(54)을 벌려 연결튜브(30)와의 물림을 해제하는 슬리브(5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킹(12)은,
    상기 수도꼭지(1)의 저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의 밑면패킹(12a)과, 상기 수도꼭지(1)의 외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의 측면패킹(12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밑면패킹(12a)과 측면패킹(12b)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 구성되거나 단일체로 통합 형성되며,
    상기 조절몸체(13)는,
    외면에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조절돌기(13a);
    상기 연결몸체(11)와 체결되도록 내면 하단에 소정 높이로 마련되는 조절나사(13b);
    상기 연결콜렛(14)의 외면을 점진적으로 가압하도록 내면 상단에 하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구배진 가압면(13c);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26)는,
    상기 분사파이프(21)를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고,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빛이 투과되는 투명재질의 보호파이프(26a);
    상기 보호파이프(26a)의 전방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분사노즐(25)이 건조되도록 중앙에 환기구멍이 마련된 마감캡(26b);
    상기 마감캡(26b)으로부터 보호파이프(26a)의 일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여타의 얇은 물체나 옷가지에 걸림을 유도하는 연결고리(26c);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수단(40)은,
    상기 분사파이프(21)의 내면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볼록 또는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분사튜브(24)가 점진적으로 압박되게 간섭하는 간섭돌기(41);
    상기 간섭돌기(41)와 대향하는 분사파이프(21)상에 소정 길이로 절개되어 분사튜브(24)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조절홈부(42);
    상기 조절홈부(42)가 위치하는 분사파이프(21)의 외면 양측에 소정 높이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조절보스(43);
    상기 조절보스(43)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고, 상면에 돌부와 홈부가 연속되는 조절요철(44a)이 형성된 조절레일(44);
    상기 조절레일(44)내에 사용자의 구름조작에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사튜브(24)의 외면을 점진적으로 압박하여 직경을 가변시키는 조절롤러(4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는,
    상기 수도꼭지(1)를 수용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다이얼몸체(15);
    상기 다이얼몸체(15)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수도꼭지(1)의 외면에 밀착되어 이음매를 차단하는 다이얼패킹(16);
    상기 다이얼몸체(15)의 중단에 내장되고, 상기 수도꼭지(1)에 감겨지도록 환형으로 노출되는 와이어(17);
    상기 다이얼몸체(15)의 하단에 소정 각도마다 회전과 자동정지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17)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와이어(17)를 감거나 풀어주는 조절다이얼(1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KR1020200168220A 2020-12-04 2020-12-04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KR10239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20A KR102391720B1 (ko) 2020-12-04 2020-12-04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20A KR102391720B1 (ko) 2020-12-04 2020-12-04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720B1 true KR102391720B1 (ko) 2022-04-28

Family

ID=8144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220A KR102391720B1 (ko) 2020-12-04 2020-12-04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72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709Y2 (ja) * 1993-12-06 1998-10-08 三菱鉛筆株式会社 ボールペン
KR200270566Y1 (ko) * 2001-12-19 2002-04-12 장건 발광튜브를 구비한 필기구
KR20100028947A (ko) * 2008-09-05 2010-03-15 (주)교원클럽 구강 세정기
KR101443195B1 (ko) 2013-02-04 2014-09-22 주식회사 아쿠아픽 수압 조절기능을 갖는 구강세정기
KR20160096988A (ko) * 2015-02-06 2016-08-17 반달현 무전원 휴대용 구강세정기
KR20160124602A (ko) * 2015-04-20 2016-10-28 박민식 휴대용 치아 세정장치
KR20160146408A (ko) * 2015-06-12 2016-12-21 박부홍 수압조절이 용이한 치아세정기
KR101891214B1 (ko) * 2018-04-04 2018-08-23 최영진 자동차 에어컨 컴프레서의 허브 어셈블리 아우터링 사이즈 조절용 콜릿금형
KR20190029043A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트래딧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KR20200073405A (ko) * 2018-12-14 2020-06-24 오신혁 호스 연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709Y2 (ja) * 1993-12-06 1998-10-08 三菱鉛筆株式会社 ボールペン
KR200270566Y1 (ko) * 2001-12-19 2002-04-12 장건 발광튜브를 구비한 필기구
KR20100028947A (ko) * 2008-09-05 2010-03-15 (주)교원클럽 구강 세정기
KR101443195B1 (ko) 2013-02-04 2014-09-22 주식회사 아쿠아픽 수압 조절기능을 갖는 구강세정기
KR20160096988A (ko) * 2015-02-06 2016-08-17 반달현 무전원 휴대용 구강세정기
KR20160124602A (ko) * 2015-04-20 2016-10-28 박민식 휴대용 치아 세정장치
KR20160146408A (ko) * 2015-06-12 2016-12-21 박부홍 수압조절이 용이한 치아세정기
KR20190029043A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트래딧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KR101891214B1 (ko) * 2018-04-04 2018-08-23 최영진 자동차 에어컨 컴프레서의 허브 어셈블리 아우터링 사이즈 조절용 콜릿금형
KR20200073405A (ko) * 2018-12-14 2020-06-24 오신혁 호스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8291A (en) Pressurized medicant applicator
CA2403134C (en) Oral irrigator and brush assembly
US7699608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JP6361991B2 (ja) 携帯用歯間ブラシ
JP2004097776A (ja) 口腔クリーニング装置
WO2005120188A3 (en) Disposable combination toothbrush and dental floss holder
US8444340B2 (en) Dental treatment instrument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US20130149662A1 (en) Dental Hygiene System
KR20090015429A (ko) 다용도 칫솔
KR102391720B1 (ko)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US20130276814A1 (en) Toothpick with floss
WO2015126229A1 (ko) 휴대용 치간 칫솔
KR101773110B1 (ko) 물 분사용 칫솔
AU4837890A (en) Single-use, throw-away brushing device, in particular for teeth
TW201010673A (en) Oral hygiene device with floss storage capability
US11504215B2 (en) Disposable flosser head attachment for a water floss pick
KR200283020Y1 (ko) 치아 세정기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US9220336B1 (en) Brush apparatus for interproximal cleaning
KR101215579B1 (ko) 인출이 되는 치간 칫솔기구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KR200333279Y1 (ko) 휴대용 칫솔
KR102065624B1 (ko) 의료용 칫솔
KR20170077675A (ko) 치약튜브 홀딩기능을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