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405A - 호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405A
KR20200073405A KR1020180161508A KR20180161508A KR20200073405A KR 20200073405 A KR20200073405 A KR 20200073405A KR 1020180161508 A KR1020180161508 A KR 1020180161508A KR 20180161508 A KR20180161508 A KR 20180161508A KR 20200073405 A KR20200073405 A KR 2020007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or
faucet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신혁
Original Assignee
오신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신혁 filed Critical 오신혁
Priority to KR102018016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405A/ko
Publication of KR2020007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4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fastening a pipe on the end of a t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에 호스를 빠르게 연결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는, 수도꼭지의 하부에 끼워지는 패킹과, 상부에 상기 패킹이 삽입되고 외부에 끼워지는 소켓의 회전에 의해 수도꼭지에의 조임력을 높이며 하부에 호스가 끼워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부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연결관을 내측으로 조이는 소켓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상부는 슬롯이 형성되어 조임편이 다수 구비되고 그 하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소켓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스 연결구 {Hose Connector}
본 발명은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에 호스를 빠르게 연결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를 통해서 나오는 수돗물을 먼 곳까지 보내거나 수돗물을 이용하여 유리창을 닦는 경우 또는 수돗물을 사용하여 세탁기로 세탁하는 경우 등에는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별다른 고정구가 없었던 과거에는 호스의 일단을 수도꼭지에 억지로 끼워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수압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호스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즉, 수도꼭지용 호스 연결장치는 수도꼭지의 입 부분에 호스를 연결할 때, 그 연결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연결된 호스가 강한 수압이나 외력의 작용에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호스 연결장치는 하부에는 호스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수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관의 하단부에 호스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한 후, 그 호스연결부에 호스를 끼우고, 호스의 외부에는 내경과 외경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구를 끼운 후 상기 고정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너트를 상기 연결관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나사부와 고정너트의 나사 결합에 따라서 고정너트에 의해 감싸지는 고정구의 외경이 축소되면서 연결관의 호스연결부에 끼워진 급수호스를 외부에서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급수호스가 호스연결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연결관의 상부에는 수도꼭지의 입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되, 그 내부에는 주로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삽입부에 삽입되는 수도꼭지와의 밀착력과 수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결관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나사를 설치하여 연결관의 삽입부에 삽입된 수도꼭지의 입을 상기 나사를 이용하여 조여줌으로써 나사에 의한 강한 마찰력을 이용해 수도꼭지에 끼워진 연결관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스 연결장치는 수도꼭지의 입이 삽입되는 연결관이 강한 수압이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관의 삽입부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나사를 강하여 조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나사를 조이기 위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반드시 필요함으로써 설치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나사를 강하게 조이는 과정에서 수도꼭지의 입 주변이 나사의 조임에 따라서 긁힘이 발생하면서 수도꼭지의 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수의 나사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나사의 부식으로 인하여 미관이 더욱 손상되며, 나사의 부식이 심한 경우에는 나사를 푸는 것도 어려워지기 때문에 호스 연결장치를 수도꼭지에서 분리한 후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번호 특2002-0014979호(공개일자 2002년02월27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라이버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쉽게 체결하거나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고, 패킹 내부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누수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종래 나사 고정식에서 흔히 발생하는 고장력에 의한 터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는, 수도꼭지의 하부에 끼워지는 패킹;
상부에 상기 패킹이 삽입되고 외부에 결합되는 소켓의 회전에 의해 수도꼭지에의 조임력을 높이며 하부에 호스가 끼워지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외부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연결관을 내측으로 조이는 소켓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상부는 슬롯이 형성되어 조임편이 다수 구비되고 그 하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소켓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킷의 외주면에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의 외형은 상하의 중간 부분이 잘록하게 형성되고, 잘록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갈수록 요철이 외주면을 따라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다수의 조임편이 구비된 상부의 수도꼭지 연결부와,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중간의 가압부와, 호스가 끼워지고 외주면에 형성된 빠짐방지돌기 사이에 오링이 위치하는 하부의 호스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와 호스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제1,2단턱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제1,2,3관통홀을 가지되, 가압부에 형성된 상부의 제1관통홀이 호스 연결부에 형성된 하부의 제3관통홀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1관통홀과 제3관통홀 사이의 제2관통홀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 상부의 조임편 내측에, 다수의 톱니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형 링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킹 상부의 조임편 내측에, 끝이 뾰족한 다수의 고정핀이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드라이버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쉽게 체결하거나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고, 패킹 내부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누수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종래 나사 고정식에서 흔히 발생하는 고장력에 의한 터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수압이 필요한 세차장, 공장, 수압 테스트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나타낸 각 구성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호스 연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일부 절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일부 절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일부 절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나타낸 각 구성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호스 연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100)는 패킹(110), 소켓(120) 및 연결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킹(110)은 예를 들어 탄성이 있는 고무(Rubber)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관통하는 원통형상을 하되, 상측의 입구(주둥이)(111)가 벌어지는(확개되는) 형상을 하고 패킹(110)의 하부에서 내부에 단턱(112)이 형성되어 단턱(112)을 기준으로 상부의 관통홀(113a)이 하부의 관통홀(113b)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측의 입구(111)가 확개되어 수도꼭지(140) 하부에서 수도꼭지(140) 외측으로의 끼움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단턱(112)을 기준으로 넓은 관통홀(113a)이 형성된 상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리브(114)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종래 연결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누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112)이 형성된 패킹(110)의 외주면에는 장착돌기(115)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관(130)에 형성된 단턱(136a)에 걸려 장착되고, 패킹(110) 하부의 외주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져 상부에서 연결관(130)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상기 소켓(120)은 예를 들어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관통하는 형상을 하되, 상측의 입구(121)가 벌이지는(확개되는) 형상을 하고 그 입구(121)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단턱(122)이 형성되어 그 단턱(122)을 기준으로 상부의 관통홀(123a)이 하부의 관통홀(123b)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측의 입구(121)가 확개되어 연결관(130)의 하부에서 연결관(130) 외측으로의 끼움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단턱(122)을 기준으로 좁은 관통홀(123b)이 형성된 소켓(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4)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120)의 외형은 상하의 중간 부분이 잘록하게(오목하게) 형성되되, 잘록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갈수록 손으로 잡고 회전이 용이하게 요철(125)이 외주면을 따라 깊게 형성된다.
상부의 내측으로는 패킷(110)이 삽입되고 하부의 외측으로는 소켓(120)이 끼워지는 연결구(130)는 상부의 수도꼭지 연결부(130a)와 하부의 호스 연결부(130c)와 그 사이의 가압부(1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130)는 예를 들어 PP(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관통하는 형상을 하되, 수도꼭지 연결부(130a)는 다수의 슬롯(132)이 상하로 형성되어 외측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다수의 조임편(133)을 구비하고, 상측의 입구(131)는 벌어지는 형상을 한다.
상기 가압부(130b)의 외주면에는 소켓(120)의 암나사부(124)와 대응되는 형상의 숫나사부(134)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호스 연결부(130c)는 그 하부의 외주면에 빠짐방지돌기(135)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빠짐방지돌기(135) 사이에 오링(160)이 위치된다.
상기 가압부(130b)와 호스 연결부(130c)에는 내측으로 각각 단턱(136a,136b)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홀을 가지되, 가압부(130a)에 형성된 상부의 관통홀(137a)이 호스 연결부(130c)에 형성된 하부의 관통홀(137c)보다 크게(넓게) 형성되고, 상부의 관통홀(137a)과 하부의 관통홀(137c) 사이에 형성된 중간의 관통홀(137b)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상기 탄턱(136a)에 패킹(110)의 장착돌기(115)가 걸려 장착된다.
이와 같은 호스 연결구(100)의 구성에서 연결관(130)의 상부에 패킷(110)이 내삽되어 장착되고 하부에 소켓(120)이 외삽되어 가조립된다.
이와 같이 가조립된 호스 연결구(100)의 패킷(110)을 수도꼭지(140)의 하부에 외삽하여 끼운 후, 소켓(120)을 회전시키면 연결관(130)의 숫나사부(134)에 소켓(120)의 암나사부(124)가 맞물려 소켓(129)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소켓(120)의 입구(121) 부위가 슬롯(132)에 의해 형성된 연결관(130)의 조임편(133)을 내측으로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수도꼭지에 단단히 결합된다.
한편, 호스(150)는 연결관(130) 하부의 호스 연결부(130c)에 외삽되고 이때 오링(160)에 의해 누수가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일부 절개도로서, 패킹(110) 상부의 연결관(130) 조임편(133) 내측에, 다수의 톱니(172)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형 링(170)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보여준다.
이 구성은 호스 연결구(100)를 수도꼭지(140)에 연결시 상기 톱니(172)가 수도꼭지(140)에 빠지지 않게 호스 연결구(100)를 잡아주어 더 단단히 조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일부 절개도로서, 패킹(110) 상부의 연결관(130) 조임편(133) 내측에, 다수의 톱니(172)가 내주면과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형 링(170)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보여준다.
이 구성은 호스 연결구(100)를 수도꼭지(140)에 연결시 상기 외측 톱니(172)가 조임편(133)에 더 단단히 결합되고 내측 톱니(172)는 수도꼭지(140)에 빠지지 않게 호스 연결구(100)를 잡아주어 더 단단히 조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일부 절개도로서, 패킹(110) 상부의 연결관(130) 조임편(133) 내측에, 끝이 뾰족한 다수의 고정핀(180)이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보여준다.
이 구성은 호스 연결구(100)를 수도꼭지(140)에 연결시 상기 고정핀(180)이 수도꼭지(140)에 일정깊이로 박혀 더 단단히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호스 연결구 110: 패킷
120: 소켓 130: 연결관
140: 수도꼭지 150: 호스
160: 오링 170: 톱니형 링
180: 고정핀

Claims (7)

  1. 수도꼭지의 하부에 끼워지는 패킹;
    상부에 상기 패킹이 삽입되고 외부에 끼워지는 소켓의 회전에 의해 수도꼭지에의 조임력을 높이며 하부에 호스가 끼워지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외부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승하여 연결관을 내측으로 조이는 소켓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상부는 슬롯이 형성되어 조임편이 다수 구비되고 그 하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소켓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외주면에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다수의 리브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외형은 상하의 중간 부분이 잘록하게 형성되고, 잘록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갈수록 요철이 외주면을 따라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다수의 조임편이 구비된 상부의 수도꼭지 연결부와,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중간의 가압부와, 호스가 끼워지고 외주면에 형성된 빠짐방지돌기 사이에 오링이 위치하는 하부의 호스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호스 연결부에는 내측으로 제1,2단턱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제1,2,3관통홀을 가지되, 가압부에 형성된 상부의 제1관통홀이 호스 연결부에 형성된 하부의 제3관통홀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1관통홀과 제3관통홀 사이의 제2관통홀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상부의 조임편 내측에, 다수의 톱니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형 링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상부의 조임편 내측에, 끝이 뾰족한 다수의 고정핀이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KR1020180161508A 2018-12-14 2018-12-14 호스 연결구 KR20200073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08A KR20200073405A (ko) 2018-12-14 2018-12-14 호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08A KR20200073405A (ko) 2018-12-14 2018-12-14 호스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05A true KR20200073405A (ko) 2020-06-24

Family

ID=7140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08A KR20200073405A (ko) 2018-12-14 2018-12-14 호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4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720B1 (ko) * 2020-12-04 2022-04-28 최인혁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979A (ko) 2000-08-19 2002-02-27 강진웅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979A (ko) 2000-08-19 2002-02-27 강진웅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720B1 (ko) * 2020-12-04 2022-04-28 최인혁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858B1 (ko) 수전의 결합구조
KR101548111B1 (ko) 관 연결 소켓
KR101152994B1 (ko)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200073405A (ko) 호스 연결구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0447466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200080091A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180116874A (ko) 호스 꼬임 방지구조를 갖는 호스 연결구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KR101509979B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 간의 연결장치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459749B1 (ko) 세탁기 호스 및 일반호스 겸용 연결구
KR101807458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체결구조
KR200479605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53982Y1 (ko) 수도꼭지용 어댑터
KR101146686B1 (ko) 이음연결부 외면에 나사선이 없이 평활구조를 갖고 커플링 부재와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수도계량기
KR200225053Y1 (ko) 급수호스 연결용 소켓
KR101634506B1 (ko) 개량형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198039Y1 (ko) 호스 연결구
FR2558187A1 (fr) Systeme pour la fixation des tuyaux de trop-plein sur les bondes de vidage des lavabos et autres appareils sanitaires
JP2005058467A (ja) 洗濯機用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