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043A -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 Google Patents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043A
KR20190029043A KR1020170116079A KR20170116079A KR20190029043A KR 20190029043 A KR20190029043 A KR 20190029043A KR 1020170116079 A KR1020170116079 A KR 1020170116079A KR 20170116079 A KR20170116079 A KR 20170116079A KR 20190029043 A KR20190029043 A KR 20190029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electronic pen
electronic
ball
ball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889B1 (ko
Inventor
조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래딧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래딧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래딧
Priority to KR102017011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8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전자펜; 상기 전자펜의 단부가 일측에서 노출되게 상기 전자펜이 수용되는 본체부; 및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잉크가 토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볼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펜의 그립감이 크게 향상되어 전자펜을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구로 전자펜 및 볼펜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단말기를 이용한 업무시에 별도로 볼펜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TOUCH PEN HAVING ELECTRONIC PEN AND BALL PEN}
본 발명은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펜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면서도 볼펜으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개인 휴대 통신기기로서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인터넷 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래픽 등의 처리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LCD 모듈인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면적이 넓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조작하기 위한 필기구 형상의 보조기구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기구, 즉, 터치펜은 단말기의 일측에 삽입 수용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필기구에 비해 두께가 매우 가늘게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터치펜을 파지하는 것은 불편함이 있어, 터치펜을 파지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에 여러 작업을 장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큰 피로감을 제공한다.
한편,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업무, 작업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조작 이외에도 일반적인 메모지와 필기구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상술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전자펜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면서도 볼펜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터치펜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펜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면서도 볼펜으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전자펜; 상기 전자펜의 단부가 일측에서 노출되게 상기 전자펜이 수용되는 본체부; 및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잉크가 토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볼펜부를 포함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펜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볼펜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펜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부와,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잉크가 토출되게 마련되는 리드부와,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리드부의 단부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가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를 압축시켜 상기 리드부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펜은, 기능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자펜이 수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고무재로 마련되는 파지부와, 상기 전자펜이 상기 베이스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기능버튼에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누름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볼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로부터 단부가 이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펜은,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펜의 그립감이 크게 향상되어 전자펜을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구로 전자펜 및 볼펜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단말기를 이용한 업무시에 별도로 볼펜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덮개부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누름버튼의 설치 구조를 측단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전자펜 삽입 구조를 평단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덮개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리드부가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전자펜을 본체부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덮개부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누름버튼의 설치 구조를 측단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전자펜 삽입 구조를 평단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덮개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리드부가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의 전자펜을 본체부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100)은 전자펜(110)과, 본체부(120)와, 볼펜부(130)와 덮개부(140)를 포함한다.
전자펜(110)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써, 필기구 타입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전자펜(110)은 디스플레이부에 접촉 또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다.
전자펜(110)의 일측에는 기능버튼(110a)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기능버튼(110a)을 눌러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경우, 전자펜(110)으로 작성한 메모의 내용으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컨텐츠를 빠르게 수집, 이미지를 캡쳐하는 등의 기능도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펜(110)은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설치되는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배터리의 교체문제, 제조 단가, 두께 등을 고려하여 보면, 별도의 배터리 없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20)는 상술한 전자펜(110)의 단부가 일측에서 노출되게 전자펜(1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볼펜부(130)가 타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베이스부(121)와, 파지부(122)와, 누름버튼(123)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전자펜(1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일측에 후술하는 파지부(122)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후술하는 볼펜부(130)가 설치된다.
베이스부(121)는 전자펜(110)을 수용해야 하므로, 당연히 전자펜(110)의 두께 보다 더 두께운 두께로 마련된다. 따라서, 베이스부(121)를 이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전자펜(110)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파지력, 그립감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전자펜(110)을 이용한 작업을 더욱 용이하고 장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21)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누름버튼(123)이 설치될 수 있다. 누름버튼(123)은 전자펜(110)에 설치된 기능버튼(110a)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이 기능버튼(110a)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1)에는 누름버튼(123)이 외력에 의해 기능버튼(110a)에 접촉된 후 다시 이격될 수 있도록 누름버튼(123)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21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펜(110)이 베이스부(121)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전자펜(110)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접촉부재(12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121b)는 전자펜(110)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고정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접촉부재(121b)에 따르면, 전자펜(110)이 베이스부(121)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파지부(122)는 상술한 베이스부(12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21)와 함께 전자펜(1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파지부(122)의 외면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파지력 및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버튼(123)은 전자펜(110)이 베이스부(121)에 수용된 다음,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기능버튼(110a)에 외력이 전달되도록 기능버튼(110a)에 접촉되는 것으로써, 기능버튼(110a)에 마주하는 베이스부(121)의 일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누름버튼(123)을 이용하면, 전자펜(110)이 본체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기능버튼(110a)을 이용한 전자펜(110)의 기능, 즉, 전자펜(110)으로 작성한 메모의 내용으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메세지를 보내는 기능, 컨텐츠를 빠르게 수집 및 이미지를 캡쳐하는 등의 기능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누름버튼(123)의 저면이 기능버튼(110a)의 상면과 접촉되는 경우에 외력의 전달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누름버튼(123)의 저면에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접촉층(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층(123a)은 기능버튼(110a)의 상면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펜부(130)는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잉크가 토출되게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베이스부(121)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볼펜부(130)에 의해서, 하나의 기구로, 전자펜(110) 뿐만 아니라, 볼펜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볼펜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제1하우징부(131)와, 리드부(132)와, 스프링부(133)와, 제2하우징부(134)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부(131)는 일단부가 상술한 본체부(120)의 베이스부(121) 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하우징부(134)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리드부(132)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131)를 베이스부(121) 타측으로 부터 분리하면, 제1하우징부(131)와 제2하우징부(134)의 내부공간이 개방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리드부(132)의 잉크가 모두 소모되어 리드부(132)를 교체해야하는 경우, 제1하우징부(131)를 베이스부(121) 타측으로 부터 분리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리드부(132)를 제거한 후, 새로운 리드부(132)를 설치하고, 다시 제1하우징부(131)를 베이스부(121) 타측에 결합하면 된다.
또한, 전자펜(110)을 본체부(120)로 삽입해야하는 경우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부(131)를 베이스부(121) 타측으로 부터 분리하고, 본체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접촉부재(121b)에 대응되도록 전자펜(110)을 위치시킨 다음, 전자펜(110)을 접촉부재(121b)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삽입하면 된다.
리드부(132)는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잉크가 토출되게 마련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스프링부(133)가 설치되며, 상술한 제1하우징부(131) 및 후술하는 제2하우징부(134)에 의해 수용된다. 즉, 리드부(132)는, 일반적인 볼펜심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부(133)는 탄성소재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일측이 상술한 리드부(132)의 단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프링부(133)는 후술하는 제2하우징부(13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압축되거나 이완되도록 타측이 제2하우징부(134)의 내부면에 접촉, 설치된다.
제2하우징부(134)는 제1하우징부(131)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상술한 스프링부(133)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스프링부(133)를 압축시켜 리드부(132)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상술한 제2하우징부(1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스프링부(133)를 압축시켜 리드부(132)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스프링부(133)를 이완시켜 리드부(132)를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2하우징부(134)와 스프링부(133) 및 리드부(132)의 결합 구조에 의해서, 리드부(132)가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어, 볼펜의 사용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하우징부(131)와, 리드부(132)와, 스프링부(133)와, 제2하우징부(134)를 포함하는 볼펜부(130)에 따르면, 하나의 기구로, 전자펜(110) 뿐만 아니라, 볼펜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덮개부(140)는 상술한 볼펜부(130)의 단부, 즉, 리드부(132)의 첨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볼펜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몸체(141)와, 클립(142)을 포함한다.
몸체(141)는 상술한 볼펜부(1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외면에는 후술하는 클립(142)이 형성된다.
클립(142)은 상술한 몸체(141)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외력에 의해 몸체(141)로부터 단부가 이격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클립(142)의 단부와 몸체(141)의 이격공간에는 볼펜걸이, 종이 등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몸체(141)에 접촉되는 클립(142)의 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개의 돌기(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42a)에 따르면,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클립(142)이 볼펜걸이, 종이 등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돌기(142a)는 접촉,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펜(110)과, 본체부(120)와, 볼펜부(130)와 덮개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100)에 따르면, 전자펜(110)의 그립감이 크게 향상되어 피로감 없이 전자펜(110)을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100)에 따르면, 하나의 기구로 전자펜(110) 및 볼펜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단말기를 이용한 업무시에 별도로 볼펜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110 : 전자펜
110a : 기능버튼
120 : 본체부
121 : 베이스부
121a : 탄성부재
121b : 접촉부재
122 : 파지부
123 : 누름버튼
123a : 접촉층
130 : 볼펜부
131 : 제1하우징부
132 : 리드부
133 : 스프링부
134 : 제2하우징부
140 : 덮개부
141 : 몸체
142 : 클립
142a : 돌기

Claims (6)

  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전자펜;
    상기 전자펜의 단부가 일측에서 노출되게 상기 전자펜이 수용되는 본체부; 및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잉크가 토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볼펜부를 포함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펜부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볼펜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펜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부와,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잉크가 토출되게 마련되는 리드부와,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리드부의 단부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가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를 압축시켜 상기 리드부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기능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전자펜이 수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고무재로 마련되는 파지부와, 상기 전자펜이 상기 베이스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기능버튼에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볼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로부터 단부가 이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KR1020170116079A 2017-09-11 2017-09-11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KR10205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79A KR102050889B1 (ko) 2017-09-11 2017-09-11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79A KR102050889B1 (ko) 2017-09-11 2017-09-11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43A true KR20190029043A (ko) 2019-03-20
KR102050889B1 KR102050889B1 (ko) 2019-12-02

Family

ID=6603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079A KR102050889B1 (ko) 2017-09-11 2017-09-11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720B1 (ko) * 2020-12-04 2022-04-28 최인혁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3537A (ja) * 2006-04-13 2007-11-01 Pilot Corporation 回転繰出式筆記具
KR20100009806U (ko) * 2009-03-27 2010-10-06 송용복 뚜껑이 구비된 터치펜 겸용 필기구
JP2013214208A (ja) * 2012-04-02 2013-10-17 Shelly Company Inc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対応のタッチペン
KR20150010386A (ko) * 2013-07-19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펜을 갖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3537A (ja) * 2006-04-13 2007-11-01 Pilot Corporation 回転繰出式筆記具
KR20100009806U (ko) * 2009-03-27 2010-10-06 송용복 뚜껑이 구비된 터치펜 겸용 필기구
JP2013214208A (ja) * 2012-04-02 2013-10-17 Shelly Company Inc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対応のタッチペン
KR20150010386A (ko) * 2013-07-19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펜을 갖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720B1 (ko) * 2020-12-04 2022-04-28 최인혁 수도연결식 휴대용 구강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889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360B1 (ko)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US7796382B1 (en) Stylus eject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092371B (zh) 触控笔
US20150351525A1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ing tool
US20070024601A1 (en) Touch pen module and receiving mechanism thereof
CN115552359A (zh) 电子笔及电子笔主体部
CN103677332B (zh) 触摸笔及具有该触摸笔的移动终端
KR20190029043A (ko) 전자펜과 볼펜이 구비되는 터치펜
TWM302070U (en) Key module
EP207350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00098287A (ko) Usb 메모리장치 펜
CN101727215A (zh) 触控笔及带有该触控笔的电子装置
JP2014128458A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及び電子機器収納ケースセット
JP6125314B2 (ja) 入力ペン
US8077150B2 (en) Storable mouse
CN111338488A (zh) 一种控制终端的电容笔装置、控制方法及系统
JP6914146B2 (ja) 電子ペン
JP2015125744A (ja) 位置指示器
JP4838429B2 (ja) 電池蓋のロック構造及び携帯型情報機器
KR101371587B1 (ko) 돌기가 형성된 핑거패드
US20110269005A1 (en) Battery holder
WO2023017725A1 (ja) 電子ペン
US9385771B2 (en) Release mechanism for a smart card
WO2023017697A1 (ja) 電子ペン
CN213634428U (zh) 电子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