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102A -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102A
KR20170095102A KR1020160055598A KR20160055598A KR20170095102A KR 20170095102 A KR20170095102 A KR 20170095102A KR 1020160055598 A KR1020160055598 A KR 1020160055598A KR 20160055598 A KR20160055598 A KR 20160055598A KR 20170095102 A KR20170095102 A KR 2017009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unit
toothbrush
support member
tooth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161B1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김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인 filed Critical 김종인
Priority to PCT/KR2016/00802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38680A1/ko
Publication of KR2017009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3Magazins or sets of brushes components, e.g. plurality of brushes linked as a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1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with a container for accessories, e.g. pills, polish, condoms,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8Other accessories, e.g. scrapers, rubber buffers for preventing damage to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 치약, 물컵이 하나로 구성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치를 하기 위해 필요한 칫솔, 치약, 물컵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칫솔 브러쉬가 구비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내측에 삽입되어 치약을 공급하는 치약공급유닛이 구비되며, 브러쉬를 덮는 커버유닛을 본체의 일측에 구비하되, 상기 커버유닛을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커버유닛을 구성하는 지지부재가 자연스럽게 벌려져 컵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어셈블리에서 양치에 필요한 각 구성요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커버유닛이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커버유닛이 상기 칫솔 브러쉬를 밀착보호할 수 있어, 브러쉬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동 중 브러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ALL-IN-ONE TOOTHBRUSH SET ASSEMBLY}
본 발명은 칫솔, 치약, 물컵이 하나로 구성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치를 하기 위해 필요한 칫솔, 치약, 물컵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칫솔 브러쉬가 구비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내측에 삽입되어 치약을 공급하는 치약공급유닛이 구비되며, 브러쉬를 덮는 커버유닛을 본체의 일측에 구비하되, 상기 커버유닛을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커버유닛을 구성하는 지지부재가 자연스럽게 벌려져 컵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어셈블리에서 양치에 필요한 각 구성요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커버유닛이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커버유닛이 상기 칫솔 브러쉬를 밀착보호할 수 있어, 브러쉬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동 중 브러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치를 하기 위해 칫솔, 치약, 물컵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를 따로 소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단일의 어셈블리로 구성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6256호 『치약 일체형 칫솔』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치약튜브가 저장된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사이에 상하로 안내홈이 구비된 손잡이와, 헤드와, 상기 헤드에 구비된 칫솔모와, 상기 헤드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된 칫솔헤드부 및 상기 손잡이의 저장공간에 배치되며 치약튜브가 삽입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의 안내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안내돌기와, 상기 손잡이의 나사산과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는 회전나사로 이루어진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치약 일체형 칫솔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63626호 『치약 일체형 칫솔』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노브를 회전시켜 약실하우징 내부의 유도부가 회전되게 함으로서, 유도부의 유도공과 가이드부재의 나선공에 가이드돌기가 끼워진 가압부재가 승하강하면서 치약을 가압하여 토출구로 토출함으로서, 치약과 칫솔을 비치하는 선반이나 수납장에 치약과 칫솔을 일체로 수납, 보관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정리하거나 효율적인 수납을 가능케 하고, 치약과 칫솔을 휴대할 경우 치약과 일체로 된 칫솔만을 휴대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회전노브의 조작을 통해 토출되는 치약의 약을 조절할 수 있어 치약을 낭비하지 않고 아껴쓸 수 있어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치약 일체형 칫솔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치약과 칫솔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보관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나, 양치를 하기 위해 필요한 물컵은 따로 소지하거나, 물컵 없이 양치를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834호 『일체형 양치 세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손잡이가 부착된 양치 컵에 치약통과 칫솔통을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하고, 치약통과 칫솔통의 내부 저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을 구비하여 물 빠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일체형 양치 세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컵에 칫솔과 치약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60428호 『일체형 양치질 도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칫솔몸체부의 일단에 복수의 브러쉬를 형성하고, 타단에 손잡이부의 내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한 칫솔부가 구비되며,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치약 케이스의 내부에 치약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치약케이스의 타단에는 상단마개부의 돌기와 탈부착되도록 이루어진 홈을 형성한 치약부가 구비되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일측에 세로홈을 형성하며, 상기 칫솔부와 치약부를 내부에 배치시키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세로홈에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상단을 봉하고, 그 저면에 상기 치약부의 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치약부를 탈부착시키는 돌기를 형성한 상단마개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양치질 도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양치를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인 물컵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는 컵을 따로 소지하여야 하며, 컵을 소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컵 없이 양치를 해야하므로,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하고 물을 낭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에 칫솔 브러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탈착 결합되는 치약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일측에 상기 칫솔 브러쉬를 덮는 커버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커버유닛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면 내부 수용부가 확장되어 물컵으로 사용이 가능한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을 본체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칫솔 브러쉬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됨에 따라 칫솔 브러쉬의 칫솔모를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 중에 칫솔 브러쉬가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커버유닛을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오므리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커버유닛이 본체에 결합되면 고정부재가 지지부재를 오므릴 수 있도록 하고,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고정부재를 이동시켜 지지부재가 벌려져 수용부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양치컵으로서의 용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가 지지부재를 오므리는 경우, 본체와 고정부재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커버유닛이 본체로부터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는
칫솔 브러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치약공급유닛;
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칫솔 브러쉬가 내삽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유닛은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벽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벽부재에는 인접하는 지지부재 사이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잇는 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인접하는 지지부재 사이의 하나의 외벽부재는 받침부재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커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지지부재가 벌어져 수용부가 확장되어 상기 외벽부재가 펼쳐져 양치컵으로 사용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지지부재가 모아져 수용부가 축소되고, 상기 접이선을 따라 상기 외벽부재가 내측으로 접혀, 칫솔 브러쉬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는 양치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칫솔 브러쉬, 치약, 양치컵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각각의 구성요소를 별개로 소지할 필요 없어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에는 브러쉬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탈착 가능한 치약공급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를 덮는 커버유닛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양치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이 양치컵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커버유닛을 구성하는 지지부재가 본체로부터 커버유닛이 분리되면 외측으로 벌려져 수용부가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양치컵의 용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고정부재를 통하여 상기 커버유닛이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지지부재를 오므리는 것과 동시에 본체와 고정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임의로 커버유닛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부재가 임의로 벌어지는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가 오므라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외벽부재에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가 칫솔 브러쉬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서, 칫솔 브러쉬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칫솔모의 손상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커버유닛에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지지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탄성력을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양치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사용 중 임의로 지지부재가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A)는 칫솔 브러쉬(11)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내삽되는 치약공급유닛(20) 및 상기 본체(10)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체(10)를 기준으로 칫솔 브러쉬(11)가 구비되는 부분을 일측으로, 그 반대부분을 타측으로 한다.
다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후술하는 치약공급유닛(20)이 내삽될 수 있는 내삽부(13)가 구비되고, 상기 내삽부(13)의 타측에는 내삽부(13)를 개폐하기 위한 외부덮개(15)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본체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돌기, 무늬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칫솔 브러쉬(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칫솔 브러쉬(11)의 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탈착결합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탈착결합부(111)가 나사결합 할 수 있는 대응결합부(17)가 구비되어, 칫솔의 상태에 따라 손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대응결합부(17)는 상기 칫솔 브러쉬(11)의 타측에 내삽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칫솔 브러쉬(11)의 타측에는 탈착결합부(111)가 구비되되, 상기 탈착결합부(111)는 그 단면이 원형의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결합부(17)는 가운데 홈이 형성된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탈착결합부에 대응결합부(17)가 내삽되어 칫솔 브러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탈착결합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응결합부(17)에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구성하고, 상기 탈착결합부에 이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구성하여,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체결에 의하여 칫솔 브러쉬를 고정함에 따라 보다 손쉽게 탈착,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10)는 도면에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 삼각 등 내부에 내삽부(13)가 구비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본체(10)의 내삽부(13)에는 치약공급유닛(20)이 내삽되어 있는데, 먼저 상기 치약공급유닛(20)은 내부에 치약(A1)이 구비되는 튜브(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튜브(21)의 일측에는 토출부(25)가 구비되어 치약(A1)이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튜브(21)의 타측에는 자바라 형상의 푸쉬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부(23) 내측에는 스프링(231) 및 가압부재(235)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5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튜브(21)의 내측에는 가압부재(235)가 튜브(21) 내측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235)의 타측 방향으로 지지판(2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233)은 튜브(21)에 형성되는 자바라 형상의 푸쉬부(23) 일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쉬부(23) 내측에는 상기 지지판(233)과 튜브(21)의 타측 내벽을 지지하는 스프링(23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치약공급유닛(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푸쉬부(23)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내부의 공기가 상기 가압부재(235)를 일측방향으로 밀고, 결국, 가압부재(235)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치약(A1)을 토출부(25)를 향해 밀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231)에 의하여 상기 푸쉬부(23)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사용자는 반복되는 펌핑동작에 의하여 내부에 충진되는 치약(A1)을 토출부(25)로 손쉽게 배출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판(233)에는 체크밸브(237)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체크밸브(237)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푸쉬부(23)가 눌리는 경우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부를 밀폐시켜 가압부재(235)에 공기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푸쉬부(23)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푸쉬부(23)의 연속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튜브(21)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부(25)를 개폐하는 보조덮개(27)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치약(A1)의 오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치약공급유닛(20)의 치약(A1)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에는 치약(A1)이 충진된 치약공급유닛(20)을 새로 교체함으로서 반복되는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삽부(13)에는 치약공급유닛(20)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양치를 하는 경우에 상기 내삽부(13)의 외부덮개(15)를 열고, 치약공급유닛(20)을 꺼내어 칫솔브러쉬에 치약(A1)을 묻히고, 다시 치약공급유닛(20)을 상기 본체(10)의 내삽부(13)에 삽입시키면서 사용 및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외부덮개(15)는 내삽부(13)에 구비되는 치약공급유닛(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원터치 결합장치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상기 치약공급유닛(20)이 상기 내삽부(13)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치약공급유닛(20)의 직경은 상기 내삽부(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 또한 본체(10)의 형상, 특히 상기 내삽부(13)의 형상에 맞게 변경 가능하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는 자바라 형식이 아닌 에어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단순히 자바라 형상의 푸쉬부를 다른 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그 원리 및 목적은 동일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물부족이 현실화 됨에 따라 물을 절약하기 위하여 양치를 할 때 양치컵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러한 양치컵으로 이용될 수 있는 커버유닛(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유닛(3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버유닛(30)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상기 칫솔 브러쉬를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양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유닛(3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양치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양치를 위한 물을 담기 위하여 용적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각각의 구성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커버유닛(30)은 받침부재(31)와 상기 받침부재(31)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33) 및 상기 지지부재(33)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외벽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재(31)는 원형의 형상으로 상기 본체(10)에서 커버유닛(30)이 분리되어 컵으로 사용할 때 양치컵의 하단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받침부재(31)에 복수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6개의 지지부재(33)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33)의 외측 또는 내측 또는 이들 모두에 외벽부재(32)가 구비되어 양치컵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벽부재(32)에 의해 내부에는 수용부(35)가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35)에 칫솔 브러쉬(11)가 내삽됨에 따라 칫솔 브러쉬(11)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부재는 내측변부(331)와, 상기 내측변부보다 길이가 긴 곡선형의 호형상의 외측변부(332), 상기 내측변부와 외측변부를 연결하는 양측변부(3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변부 일단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더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변부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가 오므라지는 경우에, 외측변부가 내측변부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원통형의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지지부재가 모아져 수용부가 축소되고, 상기 접이선을 따라 상기 외벽부재가 내측으로 접혀, 칫솔 브러쉬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함에 따라 내부에 위치하는 칫솔 브러쉬에 밀착되어, 칫솔모의 손상을 방지하고, 칫솔 브러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외측변부 일단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더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걸림돌출부에 걸려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임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때 상기 외벽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변부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지지부재가 오므려졌을 때 상기 외벽부재가 지지부재의 바깥쪽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외벽부재에 구비되는 접이선의 반대쪽, 즉 내측에는 접이홈(32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벽부재가 내측으로 접힐 때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각각의 외벽부재가 균일하게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상기 받침부재(31)에는 복수개의 안착부(3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311)에 각각의 지지부재(33)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311) 외측에는 지지경사부(313)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3)가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311)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체결돌기(315)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지지부재(33)의 외측 또는 내측 또는 양측에는 외벽부재(32)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수용부(35)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벽부재(32)는 천,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지지부재(33)가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수용부(35)의 공간을 축소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보다 손쉽게 수용부(35)의 공간을 축소 또는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부재(32)에는 접이선(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유닛(30)이 본체(10)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33)가 오므려지며, 커버유닛(3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33)가 펼쳐짐에 따라 수용부(35)의 용적률을 증가시켜, 물을 담아 양치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3)의 외면을 감싸도록 링 형상의 고정부재(37)가 커버유닛(30)에 더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37)는 상기 지지부재(33)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37)에는 관통공(37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71)에 복수개의 지지부재(33)가 관통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버유닛(30)이 상기 본체(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37)를 받침부재(31)의 반대방향으로 밀어 지지부재(33)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커버유닛(30)을 컵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37)를 받침부재(31) 방향으로 밀어 지지부재(33)가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하여 수용부(35)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7)의 또 다른 역할로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37)가 본체(10)의 일측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3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상기 지지부재(33)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유닛(30)을 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부재(37)를 받침부재(31)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지지부재(33)가 벌어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유닛(30)에 탄성부재(39)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받침부재(31)에는 복수개의 삽입홈(317)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39)의 단부가 상기 삽입홈(317)에 내삽되며, 탄성부재(39)의 나머지 단부가 지지부재(33)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지지부재(33)가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재(33)에 별도의 홈을 구성하여 상기 탄성부재(39)의 나머지 단부가 지지부재(33)의 홈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39)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재(3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8)를 더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부재(38)는 상기 수용부(35)에 위치하여 상기 받침부재(3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체결부재(38)에는 복수개의 체결공(383)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31)의 체결돌기(315)가 체결공(38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8)가 상기 지지부재(33)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부재(38)의 외면에는 상기 지지부재(33)가 위치할 수 있는 체결홈(3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33)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유닛(30)을 본체(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37)를 받침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본체(10)와 체결시키면, 고정부재(37)에 의해 지지부재(33)가 내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오므려지게 되고, 상기 커버유닛(30)을 분리한 후 고정부재(37)를 받침부재(3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39)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3)가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아 벌어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수용부(35)를 확장시켜 용적량을 증가시켜 양치컵의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33)가 탄성력이 없는 플라스틱, 철, 스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33) 자체를 외측으로 휘어지게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고정부재(37)의 위치이동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A1 : 치약
10 : 본체 11 : 칫솔 브러쉬
111 : 탈착결합부 13 : 내삽부
15 : 외부덮개 17 : 대응결합부
20 : 치약공급유닛 21 : 튜브
23 : 푸쉬부 231 : 스프링
233 : 지지판 235 : 가압부재
237 : 체크밸브 25 : 토출부
27 : 보조덮개 30 : 커버유닛
31 : 받침부재 311 : 안착부
313 : 지지경사부 315 : 체결돌기
317 : 삽입홈 32 : 외벽부재
321 : 접이선 33 : 지지부재
35 : 수용부 37 : 고정부재
371 : 관통공 38 : 체결부재
381 : 체결홈 383 : 체결공
39 : 탄성부재

Claims (4)

  1. 칫솔 브러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치약공급유닛;
    수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칫솔 브러쉬가 내삽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유닛은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벽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벽부재에는 인접하는 지지부재 사이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잇는 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인접하는 지지부재 사이의 하나의 외벽부재는 받침부재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커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지지부재가 벌어져 수용부가 확장되어 상기 외벽부재가 펼쳐져 양치컵으로 사용되고,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지지부재가 모아져 수용부가 축소되고, 상기 접이선을 따라 상기 외벽부재가 내측으로 접혀, 칫솔 브러쉬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감싸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받침부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를 가압하여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오므리며, 상기 수용부가 받침부재 방향에서 멀어질수록 수용부의 직경이 감소되어 밀착부가 상기 칫솔 브러쉬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끼워지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본체 일측에 체결되어 커버유닛을 본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내측변부와, 상기 내측변부보다 길이가 긴 곡선형의 호형상의 외측변부, 상기 내측변부와 외측변부를 연결하는 양측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변부 일단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더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변부에 구비되어 인접하는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KR1020160055598A 2016-02-12 2016-05-04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KR101804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8022 WO2017138680A1 (ko) 2016-02-12 2016-07-22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170 2016-02-12
KR20160016170 2016-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102A true KR20170095102A (ko) 2017-08-22
KR101804161B1 KR101804161B1 (ko) 2018-01-10

Family

ID=5975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598A KR101804161B1 (ko) 2016-02-12 2016-05-04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74A (ko) 2021-06-22 2022-12-29 최진호 롤러블 종이치약 일체형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577Y1 (ko) * 2004-07-16 2004-10-27 김종인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74A (ko) 2021-06-22 2022-12-29 최진호 롤러블 종이치약 일체형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161B1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6104A (ko) 구강 관리 시스템
US20100067969A1 (en) Portable Toothbrush
GB1601408A (en) Brush assemblies
KR101804161B1 (ko) 올인원 칫솔세트 어셈블리
KR200472529Y1 (ko) 휴대용 칫솔
US6895976B2 (en) Toothbrush and toothpaste tube case
US20090060623A1 (en) Dentifrice container with oral care implement holder
KR100897048B1 (ko) 치약의 고형 방지 기능을 구비한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140110263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도포구 체결장치
KR20130006445U (ko) 다기능 칫솔
KR200449352Y1 (ko) 치약 내장형 칫솔의 치약출구 개폐캡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KR101363626B1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101216314B1 (ko) 일회용 칫솔
KR101896107B1 (ko) 휴대용 다용도 칫솔
KR200456256Y1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KR200295229Y1 (ko) 치약내장칫솔
KR101260428B1 (ko) 일체형 양치질 도구
KR20100006564U (ko) 휴대용 칫솔
KR200453662Y1 (ko) 충진용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418029Y1 (ko) 치간 칫솔용 케이스
KR101951667B1 (ko) 치약용기가 수용가능한 칫솔
JP3051610U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