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984U - 치약 내장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내장 칫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5984U KR20110005984U KR2020090016012U KR20090016012U KR20110005984U KR 20110005984 U KR20110005984 U KR 20110005984U KR 2020090016012 U KR2020090016012 U KR 2020090016012U KR 20090016012 U KR20090016012 U KR 20090016012U KR 20110005984 U KR20110005984 U KR 2011000598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paste
- toothbrush
- passage
- open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치약을 공급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치약 내장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과 치약은 잇몸과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위생기구의 하나이다. 최근 MIT대학에서 실시된 설문조사에 의하면 칫솔이 인류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품으로 조사되었는 데, 이러한 결과는 칫솔이 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임을 알려준다.
상기 칫솔은 사용하는 연령층이나 또는 인체공학적 사용 편리성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치약 또한 그 성분이 약간씩 달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치약은 튜브에 담겨져 사용시 뚜껑을 열고 손으로 원하는 만큼씩 짜내어 사용한다.
그런데 치약과 칫솔은 별도의 물품으로서 예컨대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에 두 개를 한꺼번에 휴대 및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특히 치약은 튜브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가방속에서 다른 물건들에 의해 눌릴 경우 뚜껑을 밀고 나올 수도 있다. 또한, 대중이 이용하는 목욕시설 및 숙박시설을 방문시에는 치약의 혼용 사 용으로 인하여 위생상의 문제점도 발생되고, 일회용품의 사용으로 환경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케이스 내에 치약 튜브를 장착하고 치솔 부분에 배출구멍을 내어 튜브를 압출하여 치아를 닦을 수 있게 한 휴대용 치솔이 개발되었으나, 모두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하지 않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 구조의 단점을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이면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실효성 있는 치약 내장 칫솔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칫솔은 선단에는 칫솔모가 심어진 머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머리부로 치약이 이송되는 통로가 형성된 칫솔대와, 상기 칫솔대에 연결되며 내부에 치약이 충전되어 상기 통로로 치약을 공급하기 위한 치약튜브, 상기 칫솔대에 끼워져 칫솔모를 덮는 뚜껑, 상기 치약튜브와 칫솔대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기 치약튜브를 덮어 상기 칫솔대에 끼워져 칫솔의 손잡이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대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뚜껑의 선단이 걸리도록 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칫솔대 선단에 내측면이 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치약튜브가 결합되는 회전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약튜브와 칫솔대 선단으로 연장된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의 입구와 이동통로의 출구는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회전노브를 칫솔대에 대해 돌려주게 되면 칫솔대에 설치된 통로의 입구 와 회전노브의 연결통로 출구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거나 어긋나면서 통로와 연결통로의 개폐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통로와 연결통로의 개폐 위치를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통로의 개폐 위치를 지시하는 표식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에는 상기 표식를 가리키기 위한 지시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튜브는 선단의 치약 배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마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노브의 중앙부에는 상기 치약튜브의 배출부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내주면에는 배출부의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치약튜브의 배출부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고 선단에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가 돌출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에 결합되고 가이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2몸체,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형성되고 측면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선단은 상기 배출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배출홀을 막기 위한 차단부재, 상기 칫솔대에 형성되고 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의 선단쪽 외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이루고, 상기 결합부는 내측 선단부에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개폐부를 결합부에 삽입하게 되면 제2몸체에 형성된 걸림턱이 결합부의 고정홈에 탄력적으로로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의 제2몸체는 상기 결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칫솔은 치약을 내장하고 있어서 언제 어디서든지 보다 간편하게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치약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칫솔의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시 치약튜브로부터 치약을 인출하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치약이 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고 불필요한 치약의 낭비를 막아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 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칫솔(10)은 칫솔모(11)가 구비된 칫솔대(20)와, 상기 칫솔대(20)에 연결되는 치약튜브(30), 상기 칫솔대(20)에 끼워져 칫솔모(11)를 덮 는 뚜껑(40), 상기 칫솔대(20)에 설치되고 상기 치약튜브(30)에 연결되어 치약의 유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대(20)는 칫솔모(11)가 심어진 머리부(22)와 이 머리부(22)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24) 및 상기 목부(24)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6)는 실질적으로 상기 뚜껑(40)이 결합되는 구성부로, 선단에는 개폐부(50)가 설치되어 이 개폐부(50)를 매개로 치약튜브(30)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26)는 원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태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대(20)는 내부에 상기 머리부(22)로 치약이 이송되는 통로(21)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21)의 일측 선단은 머리부(22)의 칫솔모(11)쪽으로 관통되어 출구(23)를 이루고, 타측 선단은 목부(24)를 지나 몸체부(26) 선단으로 연장되어 입구(25)를 이룬다. 상기 통로(21)의 입구는 몸체부(26)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는 개폐부(50)와의 선택적인 연결을 위한 것으로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뚜껑(40)은 대략 상기 머리부(22)에서 몸체부(26)에 이르는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측 선단은 개방되어 칫솔대(20)를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40)의 외측면에는 뚜껑(40)이 닫혀진 칫솔을 마치 만년필과 같이 포켓 등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클립(4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40)은 상기 몸체부(26)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상기 뚜껑(40)의 내경은 상기 몸체부(26)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 어진다. 억지끼움식 구조 외에 상기 뚜껑(40)은 몸체부(26)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방식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몸체부(26)의 외주면에는 상기 뚜껑(40)이 끼워지는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28)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40)은 상기 스토퍼(28)에 걸릴 때까지 몸체부(26)에 끼워져 칫솔대(20)와 결합되고 칫솔모(11)를 내부에 보호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은 치약튜브(30)를 덮어 상기 몸체부(26)에 끼워져 칫솔의 손잡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8)는 치약튜브(30)쪽에서 몸체부(26)로 끼워지는 뚜껑(40)의 위치를 규제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칫솔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뚜껑(40)으로 칫솔모(11)를 덮어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뚜껑(40)을 반대쪽으로 끼워 손잡이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칫솔은 상기 몸체부(26)와 뚜껑(40)의 결합력을 높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26) 외측면에 돌기(27)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27)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삽입되는 안착홈(29)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돌기(27)는 스토퍼(28)를 기준으로 칫솔모쪽과 튜브쪽 모두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뚜껑(40)을 몸체부(26) 어느쪽으로 결합시키더라도 뚜껑과 몸체부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치약튜브(30)는 튜브형 구조로 내부에는 치약이 충전되며 선단에는 치 약이 배출되는 배출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치약튜브(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치약튜브(30)는 탄성력이 없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32)에는 별도의 마개(34)가 체결되어 치약의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마개(34)는 치약튜브(30)를 상기 몸체부(26)에 결합시킬 때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개(34)와 배출부(32)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부(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된다. 이에 상기 치약튜브(30)의 배출부(32)와 개폐부(50) 사이의 체결구조 역시 나사체결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개폐부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50)는 치약튜브(30)와 결합되며 치약튜브(30)의 배출부(32)와 몸체부(26)의 통로(21)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50)는 몸체부(26)의 선단에 내측면이 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중심부에 상기 치약튜브(30)의 배출부(32)와 결합되는 체결홈(54)이 형성된 회전노브(52)와, 회전노브(52)의 내측면과 체결홈(54)과 사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치약튜브(30)의 배출부(32)와 몸체부(26)의 통로(21)를 연결하는 연결통로(56)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홈(54)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배출부(32)의 수나사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노브(52)는 몸체부(26)에 대해 밀착 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에 끼워져는 회전노브 선단 내주면과 몸체부의 외주면 사이에 돌기와 안착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노브와 몸체부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구적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통로(56)는 입구(59)가 상기 체결홈(54)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치약튜브(30)의 배출부(32)와 연통되고, 출구(57)는 체결홈(54)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26) 선단의 연결통로(56) 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이동통로(21)의 출구는 상기 회전노브(52)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노브(52)를 칫솔대(20) 몸체부(26)에 대해 돌려주게 되면 몸체부(26)에 형성된 통로(21)의 입구(25)와 회전노브(52)의 연결통로(56) 출구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거나 어긋나면서 통로(21)와 연결통로(56)가 선택적으로 연결 및 차단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6)에 형성된 통로(21)의 입구(25)와 회전노브(52)에 형성된 연결통로(56)의 출구(57)는 회전노브(52)의 회전중심에 대해 동일한 회전반경 내에 위치한다. 이에 몸체부(26)에 대해 회전노브(52)를 돌려 통로(21)의 입구(25)와 연결통로(56)의 출구(57)를 일치시키게 되면 통로(21)와 연결통로(56)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치약튜브(30)를 눌러주게 되면 충전되어 있는 치약이 연결통로(56)를 통해 통로(21)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통로(56)를 통해 통로(21)로 주입된 치약은 통로(21)를 따라 칫솔대(20)의 머리부(22)까지 이송되어 머리부(22)의 출구를 통해 칫솔모(11)쪽으로 배출된다.
또한, 치약의 공급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단지 회전노브(52)를 돌려주는 것으 로 치약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통로(21)의 입구(25)와 연결통로(56)의 출구(57)가 일치한 상태에서 몸체부(26)에 대해 회전노브(52)를 돌려주게 되면 회전노브(52)에 형성된 연결통로(56)의 출구(57) 위치가 회전반경을 따라 이동하여 변하게 된다. 이에 회전노브(52)의 회전에 따라 연결통로(56)의 출구(57)는 통로(21)의 입구(25)에서 벗어나 다른 위치에 놓여지게 되고, 통로(21)의 입구(25)와 연결통로(56)의 출구(57)는 서로 마주하는 회전노브(52)와 몸체부(26)의 내측면에 의해 막혀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통로(56)와 통로(21)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고, 연결통로(56)를 통한 치약의 공급은 몸체부(26) 내측면에 의해 차단된다.
이와같이 단지 회전노브(52)를 돌려주는 것으로 치약 공급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로(21)와 연결통로(56)의 개폐 위치를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칫솔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6)의 외주면에 상기 통로(21)의 개폐 위치를 지시하는 표식(60)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노브(52)는 외주면에 상기 표식(60)를 가리키기 위한 지시침(62)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6)에는 통로(21)의 출구 위치와 연계된 열림(open)과 닫힘(close)의 표식(60)이 형성되고, 회전노브(52)에는 연결통로(56)의 출구(57)와 연계된 위치에 지시침(62)이 형성된다. 이에 회전노브(52)를 회전시켰을 때 지시침(62)의 위치가 열림이나 닫힘 표식(60)을 가리키게 되어 사용자는 가시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노브(52)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칫솔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한 구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칫솔모(11)가 구비된 칫솔대(20)와, 상기 칫솔대(20)에 연결되는 치약튜브(30), 상기 칫솔대(20)에 끼워져 칫솔모(11)를 덮는 뚜껑(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치약튜브(30)는 선단에 치약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개폐부(70)가 장착되고, 상기 칫솔대(20)에는 상기 치약튜브의 개폐부(70)를 칫솔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도 8의 90 참조)를 구비한다.
상기 칫솔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머리부(22)로 치약이 이송되는 통로(21)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21)의 일측 선단은 머리부(22)의 칫솔모(11)쪽으로 관통되어 출구(23)를 이루고, 타측 선단은 목부(24)를 지나 몸체부(26) 선단으로 연장되어 입구(25)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21)의 입구는 몸체부(26)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는 치약튜브에 장착되는 개폐부(70)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개폐부(70)는 치약튜브(30)의 배출부(32)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고 선단에는 상기 배출부(32)와 연통되는 가이드(72)가 돌출형성된 제1몸체(71)와, 이 제1몸체(71)의 가이드(72)에 긴밀하게 꽂아져 결합되고 가이드(72)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배출홀(74)이 형성된 제2몸체(73), 상기 가이드(72)의 선단에 형성되고 측면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홀(76)이 형성되며 선단은 상기 배출홀(74)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배출홀(74)을 막기 위한 차단부재(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몸체(71)에 대해 제2몸체(73)를 외측으로 당겨주게 되면 가이드(72) 선단에서 제2몸체(73)가 이격되면서 가이드(72) 선단에 형성된 차단부재(75)가 제2몸체(73) 선단의 배출홀(74)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출홀(74)이 개방되면서 치약튜브 내의 치약은 가이드(72) 선단의 홀(76)로부터 제2몸체(73)의 배출홀(74)을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73)를 제1몸체(71)쪽으로 밀어넣게 되면 가이드(72)를 따라 제2몸체(73)가 이동되면서 제2몸체(73)의 배출홀(74)에 가이드(72) 선단의 차단부재(75)가 끼워지면서 배출홀(74)이 닫혀진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72)에 대해 제2몸체(7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72)의 외주면과 제2몸체(73)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향 형성되어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77,78)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제2몸체(73)를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제2몸체(73)에 형성된 걸림돌기(78)가 가이드(72)에 형성된 걸림돌기(77)에 걸리면서 제2몸체(73)가 가이드(7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77,78)들은 또한 대면하는 제2몸체(73)의 내주면이나 가이드(72)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73)는 선단쪽 외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79)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79)은 상기 칫솔대의 몸체부(26)에 형성된 결합부(90)에 상기 체결부(7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79)은 결합부(90)와의 용이한 착탈을 위해 측면이 경사면을 이루어 삼각형태의 단면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71)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마개(80)가 체결되어 치약의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마개(80)는 치약튜브(30)를 상기 몸체부(26)에 결합시킬 때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개(80)와 제1몸체(71)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몸체(7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의 몸체부(26) 선단에는 상기 치약튜브(30)의 개폐부(70)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9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90)는 내측 선단에 몸체부의 통로(21)의 입구(25)가 형성되어 통로(21)와 연통된다.
상기 결합부(90)는 상기 개폐부(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폐부(70)와 대응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90)의 내측 선단은 통로(21)와 연통된다. 그리고 결합부(90)의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개폐부(70)의 제2몸체(73)에 형성된 걸림턱(79)과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홈(91)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개폐부(70)를 결합부(9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하게 되면 제2몸체(71)에 형성된 걸림턱(79)이 결합부(90)의 고정홈(91)에 도달하여 안착된다.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79)이 고정홈(91)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부(90)에 개폐부(70)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치약 튜브(30)와 몸체부(26)의 통로(21)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의 몸체부(26)에 치약튜브(30)를 장착하게 되면, 치약튜브(30)의 개폐부(70)가 몸체부(26)의 결합부(90)에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개폐부(70)의 제2몸체(73)에 형성된 걸림턱(79)은 결합부(90)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결합부(90)를 지나는 과정에서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79)이 결합부(90) 선단에 도달되면 외경이 확장되어 있는 고정홈(91)에 걸림턱(79)이 안착되면서 몸체부(26)의 결합부(90)에 치약튜브의 개폐부(70)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몸체(71)의 걸림턱(79)이 결합부(90)의 고정홈(91)에 걸려있게 되어 개폐부(70)가 결합부(9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몸체부(26)의 결합부(90)에 치약튜브의 개폐부(70)가 결합되면 개페부의 제2몸체(73) 선단에 형성된 배출홀(74)은 결합부(90)의 내측 선단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통로의 입구와 연결된다.
이와같이 치약튜브가 몸체부(26)에 결합된 상태에서 치약튜브를 몸체부(26) 반대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면 치약튜브의 개폐부(70)가 개방된다. 즉, 치약튜브를 당겨주게 되면 결합부(90)의 고정홈(91)에 걸림턱(79)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는 제2몸체(73)는 움직이지 않고, 제1몸체(71)만이 치약튜브와 함께 이동된다. 이에 제2몸체(73)의 가이드(72) 선단에 형성되어 배출홀(74)을 막고 있던 차단부재(75)가 뒤로 빠지면서 배출홀(74)이 개방된다.
이에 제1몸체(71)의 배출홀(74)은 통로(21)의 입구와 서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치약튜브(30)를 눌러주게 되면 충전되어 있는 치약이 제2몸체(73)의 가이 드(72) 내부를 따라 가이드(72) 선단의 홀(76)을 통해 빠져나와 제2몸체(73) 선단의 배출홀(74)을 통해 통로(21)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통로(21)로 주입된 치약은 통로(21)를 따라 칫솔대(20)의 머리부(22)까지 이송되어 머리부(22)의 출구(23)를 통해 칫솔모(11)쪽으로 배출된다.
또한, 치약의 공급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단지 치약튜브(30)를 몸체부(26)쪽으로 밀어넣는 것으로 치약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치약튜브(30)를 몸체부(26)쪽으로 밀게 되면 몸체부(26)에 고정된 제2몸체(73)에 대해 제1몸체(71)가 이동된다. 이에 제1몸체(71)에 형성된 가이드(72)가 배출홀(74)쪽으로 이동되어 가이드(72) 선단에 형성된 차단부재(75)가 배출홀(74)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배출홀(74)은 차단부재(75)에 의해 막혀져 치약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단지 치약튜브(30)를 몸체부(26)에 대해 밀거나 당겨주는 것으로 치약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71)로부터 제2몸체(73)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제1몸체(71)를 결합부(90)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 즉, 고정홈(91)에서 걸림턱(79)을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충분히 작다. 이에 제1몸체(71)를 결합부(9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치약튜브만을 몸체부(26)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 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 내장 칫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칫솔 11 : 칫솔모
20 : 칫솔대 21 : 통로
22 : 머리부 23,25 : 입구
24 : 목부 26 : 몸체부
28 : 스토퍼 30 : 치약튜브
32 : 배출부 34 : 마개
40 : 뚜껑 50,70 : 개폐부
52 : 회전노브 54 : 체결홈
56 : 연결통로 57 : 출구
60 : 표식 62 : 지시침
71 : 제1몸체 72 : 가이드
73 : 제2몸체 74 : 배출홀
75 : 차단부재 76 : 홀
79 : 걸림턱 90 : 결합부
91 : 고정홈
Claims (9)
- 선단에는 칫솔모가 심어지고 내부에는 상기 칫솔모로 치약이 이송되는 통로가 형성된 칫솔대와,상기 칫솔대에 연결되며 내부에 치약이 충전되어 상기 통로로 치약을 공급하기 위한 치약튜브,상기 칫솔대에 끼워져 칫솔모를 덮는 뚜껑,상기 치약튜브와 칫솔대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치약 내장 칫솔.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뚜껑은 상기 치약튜브를 덮어 상기 칫솔대에 끼워져 칫솔의 손잡이를 이루는 구조의 치약 내장 칫솔.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칫솔대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뚜껑의 선단이 걸리도록 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치약 내장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는 상기 칫솔대 선단에 내측면이 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 고 외측면에는 상기 치약튜브가 결합되는 회전노브와, 상기 회전노브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약튜브와 칫솔대 선단으로 연장된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의 입구와 이동통로의 출구는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구조의 치약 내장 칫솔.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치약튜브는 선단의 치약 배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마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노브의 중앙부에는 상기 치약튜브의 배출부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내주면에는 배출부의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치약 내장 칫솔.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칫솔대의 외주면에 상기 통로의 개폐 위치를 지시하는 표식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에는 상기 표식를 가리키기 위한 지시침이 형성된 치약 내장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는 상기 치약튜브의 배출부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고 선단에는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가 돌출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가 이드에 결합되고 가이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2몸체,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형성되고 측면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선단은 상기 배출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배출홀을 막기 위한 차단부재, 상기 칫솔대에 형성되고 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개폐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약 내장 칫솔.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2몸체의 선단쪽 외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이루고, 상기 결합부는 내측 선단부에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된 구조의 치약 내장 칫솔.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의 제2몸체는 상기 결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의 치약 내장 칫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012U KR20110005984U (ko) | 2009-12-09 | 2009-12-09 | 치약 내장 칫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6012U KR20110005984U (ko) | 2009-12-09 | 2009-12-09 | 치약 내장 칫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984U true KR20110005984U (ko) | 2011-06-15 |
Family
ID=4929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6012U KR20110005984U (ko) | 2009-12-09 | 2009-12-09 | 치약 내장 칫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5984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3626B1 (ko) * | 2012-04-05 | 2014-02-18 | 권태호 | 치약 일체형 칫솔 |
KR20200129577A (ko) * | 2019-05-09 | 2020-11-18 | 송인규 | 칫솔 |
-
2009
- 2009-12-09 KR KR2020090016012U patent/KR2011000598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3626B1 (ko) * | 2012-04-05 | 2014-02-18 | 권태호 | 치약 일체형 칫솔 |
KR20200129577A (ko) * | 2019-05-09 | 2020-11-18 | 송인규 | 칫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32603B2 (en) | Interproximal squirt brush | |
US5144712A (en) | Disposable toothbrush | |
US7232310B2 (en) | Interproximal squirt brush | |
US7386913B2 (en) | Cleaning device with releasable, disposable head | |
US9907391B2 (en) | Integrated toothbrush, toothpaste dispenser and holder with refresh cup cover | |
US20070183838A1 (en) | Travel toothbrush with toothpaste in handle | |
US20180035797A1 (en) | Multi-functional oral care device | |
JP6361991B2 (ja) | 携帯用歯間ブラシ | |
RU2597542C1 (ru) | Систем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 |
CA2293761A1 (en) | Toothbrush with reservoir for dentifrice | |
US20040010877A1 (en) | Cleaning brush with releasable, disposable head | |
KR20110005984U (ko) | 치약 내장 칫솔 | |
KR101636321B1 (ko) |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 |
KR20180002437U (ko) |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 |
KR20070000185U (ko) | 캡슐형 일회용 칫솔 | |
US20120099919A1 (en) | Dispensing toothbrush | |
US20150030373A1 (en) | Toothbrush having integral replaceable toothpaste cartridge | |
WO2015121692A1 (en) | Composition and method of collapsible oral care system with dental cleaner, liquid, liquid holding tank or tube, liquid dispensers, interdental cleaners. | |
KR200393328Y1 (ko) | 치약 구비 칫솔 | |
KR200255523Y1 (ko) | 휴대용 치솔 | |
KR101993996B1 (ko) | 입술 세척솔을 구비한 칫솔 | |
KR200456256Y1 (ko) | 치약 일체형 칫솔 | |
US20170049220A1 (en) | Dispensing Toothbrush | |
KR200421854Y1 (ko) | 충진식 치약이 내장된 교체형 칫솔 | |
WO2016019399A2 (en) | Personal hygien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