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37U -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37U
KR20180002437U KR2020180003629U KR20180003629U KR20180002437U KR 20180002437 U KR20180002437 U KR 20180002437U KR 2020180003629 U KR2020180003629 U KR 2020180003629U KR 20180003629 U KR20180003629 U KR 20180003629U KR 20180002437 U KR20180002437 U KR 201800024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andle
cap
toothpaste
detach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훈 filed Critical 최정훈
Priority to KR2020180003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37U/ko
Publication of KR20180002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5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plac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7Self supporting, e.g. brushes that stand upright or in other particular way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2Clip or snap connection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결합되는 칫솔부, 상기 칫솔부에 치약을 제공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일부분이 결합되는 치약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칫솔부를 덮도록 상기 칫솔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캡,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치약부를 덮도록 상기 치약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캡을 포함하는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칫솔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 단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삽입체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걸림턱, 및 상기 제1걸림턱과 연결되며 칫솔 헤드가 마련된 제1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치약을 저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저장된 치약을 분사하는 분사 버튼이 마련된 제2결합체, 및 상기 용기와 상기 제2결합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 단부에 걸림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캡 및 상기 제2캡은 상기 손잡이부와 동일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캡은 상기 칫솔 헤드를 덮도록 상기 제1결합체에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캡은 상기 분사 버튼을 덮도록 상기 제2결합체에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portable toothbrush}
본 고안은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치약과 칫솔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미관상 거부감이 없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간편한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 도구로서 세면장 또는 화장실과 같은 일정한 장소에서 치약과 함께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칫솔은 치약과 따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이 보관해야 된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더욱이 여행이나 출장을 가는 경우, 칫솔과 치약 모두를 개별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둘 중 하나라도 빼먹거나 분실했을 경우에는 치아를 닦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 내부에 치약이 내장된 칫솔이 개발되어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치약 내장형 칫솔은, 단순히 칫솔 몸체, 즉, 칫솔 손잡이에 치약을 내장하는데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기에는 외형적으로 타인에게 거부감을 줄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회사와 같은 장소에서는 공공 화장실 또는 세면장을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기 때문에 화장실 또는 세면장에 개인 칫솔을 비치하는 것이 분실 및 기타 이유로 인하여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치약 내장형 칫솔을 책상의 연필꽂이나 개인 컵에 꼽아 보관하게 되는바, 이는 칫솔을 먼지에 노출시키는 위생상의 단점을 제공하며, 또한, 사무실을 같이 사용하는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치약 내장형 칫솔은, 타인이 보더라도 칫솔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외형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치약 내장형 칫솔을 타인에게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바지 주머니나 상의 주머니 속에 항상 보관하고 다녀야 하는 휴대성의 단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40201호의 "치약 내장형 칫솔"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인이 보았을 때 칫솔임을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만년필 또는 여성용 화장품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리낌없이 휴대하고 개인 장소에 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고안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결합되는 칫솔부, 상기 칫솔부에 치약을 제공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일부분이 결합되는 치약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칫솔부를 덮도록 상기 칫솔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캡,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치약부를 덮도록 상기 치약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캡을 포함하는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을 제공한다.
상기 칫솔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 단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삽입체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걸림턱, 및 상기 제1걸림턱과 연결되며 칫솔 헤드가 마련된 제1결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치약을 저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저장된 치약을 분사하는 분사 버튼이 마련된 제2결합체, 및 상기 용기와 상기 제2결합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 단부에 걸림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캡 및 상기 제2캡은 상기 손잡이부와 동일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캡은 상기 칫솔 헤드를 덮도록 상기 제1결합체에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캡은 상기 분사 버튼을 덮도록 상기 제2결합체에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제1캡의 외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홈이 동일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제1캡의 길이방향 또는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캡에는 외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기공은 상기 제1캡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은, 칫솔부와 치약부가 손잡이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치약이나 칫솔을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은, 제1캡과 제2캡 및 손잡이부가 협력하여 전체적으로 만년필 또는 여성용 화장품의 아이라이너의 외관 형태와 같은 미려한 형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고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갑작스런 대인관계를 가질 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은, 칫솔부와 치약부가 손잡이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수명이 다한 칫솔부나 치약이 소진된 치약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칫솔부와 치약부를 별로도 판매하도록 하여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캡의 단면도.
도 5의 (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이 겉 주머니에 꽂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의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이 개인용 책상에 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캡의 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이 겉 주머니에 꽂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이 개인용 책상에 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100)은, 중공의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칫솔부(120)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치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100)의 손잡이 역할을 하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 및 사각통의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홈은 상기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 또는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상기 미끄럼 방지홈이 상기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칫솔부(120)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는 삽입체(121)와, 상기 삽입체(121)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 단부에 걸림되는 제1걸림턱(123)과, 상기 제1걸림턱(123)과 연결되며 칫솔 헤드(5)가 마련된 제1결합체(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체(121)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삽입체(121)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체(121)와 상기 손잡이부(110)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삽입체(121)의 외주면과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 내주면에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공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삽입체(121)와 상기 손잡이부(110)를 회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걸림턱(123)은, 상기 삽입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체(121)가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1걸림턱(123)은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지 않고 그 단부에 걸림되어 스톱퍼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결합체(125)는, 상기 제1걸림턱(12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체(121)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체(125)는 상기 삽입체(121)가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단에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위이며, 칫솔모(5a)가 마련된 칫솔 헤드(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칫솔부(120)는, 상기 손잡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빨을 닦는 용도로 사용되어지며, 상기 칫솔모(5a)에 치약을 묻힐 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치약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며, 치약을 저장하는 용기(131)와, 상기 용기(131)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 단부에 걸림되는 제2걸림턱(133) 및 상기 제2걸림턱(133)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131)에 저장된 치약을 배출하는 분사 버튼(136)이 마련된 제2결합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31)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바,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손잡이부(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체(121) 및 상기 용기(131)가 상기 손잡이부(110)에 삽입될 시에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10)의 내부에는 이격 공간부가(S)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체(121)의 길이와 상기 용기(131)의 길이를 더한 길이값은 상기 손잡이부(110)의 전체길이보다 작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체(121) 및 상기 용기(131)가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삽입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턱(133)은, 상기 용기(13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용기(131)가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2걸림턱(133)은 상기 손잡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 단부에 걸림되어 스톱퍼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결합체(135)는, 상기 제2걸림턱(13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131)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2결합체(135)는, 상기 용기(131)가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단에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위이며 상기 용기(131)에 저장된 액상의 치약을 분출하는 분사 버튼(13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체(135)는 상기 용기(131)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결합체(135)와 상기 용기(131)의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한 공지의 체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결합체(135)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용기(131)의 상단에 마련된 제2걸림턱(133)의 내주면에 나사 가공부(미도시)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나사 체결하는 방식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결합체(135)와 상기 용기(131)의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31)에 저장된 치약이 모두 사용되면, 상기 용기(131)에서 상기 제2결합체(135)를 분리시켜 상기 용기(131) 내부로 새로운 치약을 충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체(135)에는 치약 공급관(137)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약 공급관(137)은, 상기 용기(131)에 저장된 액상의 치약을 상기 분사 버튼(136)에 구비된 배출구(136a)로 안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 버튼(136)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눌러지면 상기 배출구(136a)를 통해 액상의 치약이 분사될 수 있다.
분사 버튼(136)을 이용하여 액상의 물질이 배출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은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약부(130)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 마련된 칫솔부(120)의 칫솔모(5a)로 치약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부(120)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10)와 분리된 치약부(120)를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에 마련된 치약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부(120)로 치약을 분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부(120) 및 치약부(130)에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제1캡(140) 및 제2캡(150)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캡(140)은, 상기 손잡이부(110)로부터 노출된 상기 칫솔부(120)의 칫솔 헤드(5) 및 제1결합체(125)를 덮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칫솔부(120)의 제1결합체(125)와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캡(140)과 상기 제1결합체(125)가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시에는, 상기 제1캡(140)의 내주면과 상기 제1결합체(125)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 가공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캡(140)의 바닥면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10)가 책상 위와 같은 평면상에 세워질 수 있도록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캡(140)에는 사용자의 주머니 단부나 허림춤에 꽂을 수 있는 꽂이부재(141)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꽂이부재(141)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부(120)와 상기 치약부(130)가 결합된 손잡이부(110)를 만년필 처럼 주머니에 꽂은 채로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캡(14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통기공(140a)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140a)은, 상기 칫솔모(5a)에 남아 있는 물기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외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캡(140)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제2캡(150)은 상기 치약부(130)의 제2결합체(135) 및 분사버튼(136)을 덮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2캡(150)은 상기 손잡이부(110)로부터 노출된 상기 치약부(130)의 제2결합체(135) 및 분사버튼(136)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캡(150)은, 상기 제2결합체(135)와 억지 끼움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캡(150)과 상기 제2결합체(135)가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시에는, 상기 제2캡(150)의 내주면과 상기 제2결합체(135)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 가공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캡(150) 상단부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캡(140) 및 제2캡(150)은 상기 칫솔부(120) 및 치약부(130)를 각각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110)와 함께 본 고안의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100)의 전체 외관을 만년필이나 여성 화장품의 아이라이너처럼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타인은 본 고안의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100)을 만년필이나 아이라이너로 착각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타인의 눈치를 볼 필요없이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 옷 주머니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100)을 꽂은 채로 휴대할 수 있으며, 또한, 사무실의 책상이나 기립된 자세로 세워 보관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휴대용 칫솔
110 : 손잡이부 120 : 칫솔부
121 : 삽입체 123 : 제1안착턱
125 : 제1결합체 130 : 치약부
131 : 용기 133 : 제2안착턱
135 : 제2결합체 140 : 제1캡
150 : 제2캡

Claims (3)

  1.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결합되는 칫솔부; 상기 칫솔부에 치약을 제공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일부분이 결합되는 치약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칫솔부를 덮도록 상기 칫솔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캡;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치약부를 덮도록 상기 치약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캡;을 포함하며,
    상기 칫솔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 단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삽입체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걸림턱; 및 상기 제1걸림턱과 연결되며 칫솔 헤드가 마련된 제1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치약을 저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저장된 치약을 분사하는 분사 버튼이 마련된 제2결합체; 및 상기 용기와 상기 제2결합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 단부에 걸림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캡 및 상기 제2캡은 상기 손잡이부와 동일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캡은 상기 칫솔 헤드를 덮도록 상기 제1결합체에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캡은 상기 분사 버튼을 덮도록 상기 제2결합체에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제1캡의 외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홈이 동일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제1캡의 길이방향 또는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에는 외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은 상기 제1캡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KR2020180003629U 2018-08-06 2018-08-06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KR201800024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29U KR20180002437U (ko) 2018-08-06 2018-08-06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29U KR20180002437U (ko) 2018-08-06 2018-08-06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098A Division KR20170097399A (ko) 2016-02-18 2016-02-18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37U true KR20180002437U (ko) 2018-08-10

Family

ID=6320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629U KR20180002437U (ko) 2018-08-06 2018-08-06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3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5538A1 (es) * 2018-12-07 2020-06-11 Robayo Arroyo Byron Patricio Sistema completo de cuidado e higiene oral portable
CN114468524A (zh) * 2020-10-26 2022-05-13 爱飞司可丽雅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化妆用刷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5538A1 (es) * 2018-12-07 2020-06-11 Robayo Arroyo Byron Patricio Sistema completo de cuidado e higiene oral portable
CN114468524A (zh) * 2020-10-26 2022-05-13 爱飞司可丽雅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化妆用刷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96985T3 (es) Sistema de higiene buco-dental
US9427077B1 (en) Foldable toothbrush with integrated toothpaste container and oral care kit
US8888395B1 (en) Scrub brush
TWI474795B (zh) 口腔保健系統、套組及方法(一)
US7232310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20050032019A1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7815383B2 (en) Compact portable toothbrush
TW201433280A (zh) 口腔保健系統、套組及方法(三)
US6808068B2 (en) Portable device for dental hygiene
US7641410B2 (en) Toothbrush with dentifrice dispenser
US20180035797A1 (en) Multi-functional oral care device
KR20180002437U (ko)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US10251471B1 (en) Portable scrubbing and cleaning device with interchangeable brush and cleaning solution cylinder
EP3169190B1 (en) Applicator for a fluid dispenser
KR200405909Y1 (ko) 치약 튜브를 결합한 칫솔
US20130266361A1 (en) Disposable Toothbrush Having an Internal Toothpaste Cartridge
KR20170097399A (ko)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US20180160865A1 (en) Liquid application assembly
US20090183327A1 (en) Fingernail cleaning brush
US10334942B2 (en) Soap dispensing brush
US3316923A (en) Aerosol fountain tooth paste brush
US20050072443A1 (en) Dental hygiene accessories
US20180078026A1 (en) Structure of toothbrush
JP3075711U (ja) 歯ブラシ
GB2393642A (en) Adjustable dual-function toothbrush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