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415Y1 -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415Y1
KR200332415Y1 KR20-2003-0026243U KR20030026243U KR200332415Y1 KR 200332415 Y1 KR200332415 Y1 KR 200332415Y1 KR 20030026243 U KR20030026243 U KR 20030026243U KR 200332415 Y1 KR200332415 Y1 KR 200332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speed
position sensor
vehicle
throttle
multi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서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기원 filed Critical 서기원
Priority to KR20-2003-0026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4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뗀 상태에서도 자동차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자동차 정속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속유지와 해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정속스위치(SW)와, 스로틀앵글을 저장하기 위한 속도기억부(32)와, 정속스위치(SW)가 "ON"으로 전환되면 자동차의 가속페달에 연결된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의 스로틀앵글을 속도기억부(32)에 기억하여 두고 그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 전자제어장치(50)로 이어지는 신호라인(42)을 멀티플렉서(40)에 의해 가로채어 정속유지가 해제될 때까지 기억된 스로틀앵글을 전자제어장치(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정속제어부(30)와, 스로틀포지션센서(36)와 정속제어부(30)에 접속되는 복수의 입력단(a)(b)과 전자제어장치(50)로 이어지는 출력단(c)을 갖고 정속제어부(30)로부터의 셀렉트신호에 의해 입력단(a)(b)을 전환하는 멀티플렉서(4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정속주행시 가속페달을 밟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편한 운전이 가능하게 되며, 운전에 의한 피로 누적을 막아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정속유지장치{Automobile cruise apparatus}
본 고안은 자동차의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뗀 상태에서도 자동차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자동차 정속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로부터 정속유지에 대한 지령이 있게 되면, 스로틀포지션센서로부터의 스로틀앵글을 기억하여 두고 스로틀포지션센서로부터 전자제어장치(ECU)로 이어지는 신호라인을 가로채어 정속유지가 해제될 때까지 기억된 스로틀앵글을 전자제어장치에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한 자동차 정속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속페달과 연동하는 스로틀포지션센서에 의해 가속페달의 밟는 량에 따라 스로틀앵글이 변화하게 되며, 그 스로틀앵글에 따라 엔진의 연료분사 횟수와 분사시기가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차를 가속하거나 감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는 고속도로 주행에서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장거리 운전을 하는 경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계속 밟고 있어야 되기 때문에 피로가 가중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으며, 잦은 가감속으로 인해 연료소모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가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뗀 상태에서도 선택에 의해 정속유지 및 해제가 가능하며, 자동차의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 정속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속유지와 해제신호를 입력하기위한 정속스위치와, 스로틀앵글을 저장하기 위한 속도기억부와, 정속스위치가 "ON"으로 전환되면, 자동차의 가속페달에 연결된 스로틀포지션센서로부터의 스로틀앵글을 속도기억부에 기억하여 두고, 그 스로틀포지션센서로부터 전자제어장치로 이어지는 신호라인을 멀티플렉서에 의해 가로채어 정속유지가 해제될 때까지 기억된 스로틀앵글을 전자제어장치에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정속제어부와, 스로틀포지션센서와 정속제어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입력단과, 전자제어장치로 이어지는 출력단을 갖고, 정속제어부로부터의 셀렉트신호에 의해 입력단을 전환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하여 자동차 정속유지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정속유지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정속유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SW : 정속스위치 30 : 정속제어부
32 : 속도기억부 34 : 브레이크 스위치
36 : 스로틀포지션센서 40 : 멀티플렉서
42 : 신호라인 a, b : 입력단
c : 출력단 50 : 전자제어장치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정속유지와 해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정속스위치(SW)와, 스로틀앵글을 저장하기 위한 속도기억부(32)와, 정속제어를 위한 정속제어부(30)와, 스로틀앵글이 전달되는 신호라인(42)의 전환을 위한 멀티플렉서(40)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정속스위치(SW)에는 풀업저항(R1)이 구비되어 접점이 닫히면 로우레벨전위(논리"0")가 정속제어부(30)의 입력포트에 입력되고, 접점이 열리면 하이레벨전위(논리"1")가 정속제어부(30)의 입력포트에 입력되며 예컨대, 슬라이드스위치 또는 토글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고, 운전석 주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게 의해 조작된다.
또, 속도기억부(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M), 고속페이지모드 DRAM(fast page mode DRAM, FPDRAM), 램버스 DRAM(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rambus 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정속제어부(30)는 정속스위치(SW)가 "ON"으로 전환되면, 자동차의 가속페달에 연결된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의 스로틀앵글을 속도기억부(32)에 기억하여 두고, 그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 전자제어장치(50)로 이어지는 신호라인(42)을 멀티플렉서(40)에 의해 가로채어 정속유지가 해제될 때까지 기억된 스로틀앵글을 전자제어장치(50)에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정속제어부(30)는 브레이크 스위치(34)가 "ON"상태로 되면, 멀티플렉서(40)를 재전환하여 정속유지를 해제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정속유지시에는 점등하고 해제시에는 소등하는 예컨대,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LED)를 정속제어부(30)의 출력포트에 접속하였고, 전류제한저항(R2)과 직렬접속하여 소자를 보호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쉽게 발경할 수 있는 차내에 설치하여 정속주행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한편, 상기 멀티플렉서(40)는 스로틀포지션센서(36)와 정속제어부(30)에 접속되는 복수의 입력단(a)(b)과, 전자제어장치(50)로 이어지는 출력단(c)을 갖고, 정속제어부(30)로부터의 셀렉트신호에 의해 입력단(a)(b)을 전환하게 된다.
또, 스로틀포지션센서(36)의 출력단은 분기되어 한쪽은 멀티플렉서(40)의 입력단(a)에 접속되고, 다른 나머지 다른쪽은 정속제어부(30)의 입력포트에 접속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2, 54, 56은 전자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차 엔진에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중 정속주행을 위해 운전자가 가속페달(도시 않됨)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 정속스위치(SW)를 전환한 다음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단계 S10에서 정속제어부(30)의 입력포트에 로우레벨전위(논리 "0")가 입력되면서 정속스위치(SW)가 "ON"상태로 전환되었다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때 정속제어부(30)는 단계 S12에서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 출력되는 스로틀앵글을 읽어서 단계 S14에서 검출된 현재의 스로틀앵글을 속도기억부(32)에 저장한 다음 단계 S16에서 셀렉트신호(예, 논리 "0")를 출력하여 멀티플렉서(40)를 전환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밟고 있는 가속페달은 스로틀포지션센서(36)와 연동되기 때문에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 출력되는 스로틀앵글을 읽게 되면, 스로틀포지션센서(36)에 의해 가속페달을 밟은 량을 알 수 있게 되므로, 이를 속도기억부(32)에 저장하여 두고 정속데이터에 이용하게 되며, 운전자가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떼어도 정속스위치(SW)를 누를 때 밟고 있던 스로틀앵글이 속도기억부(32)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속도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멀티플렉서(40)에 구비된 두개의 입력단(a)(b) 중에서 정속제어부(30)에 접속된 입력단(b)이 전자제어장치(50)에 접속된 출력단(c)에 이어지도록 전환되는데, 이때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 전자제어장치(50)로 직접 이어지던 신호라인(42)은 차단되고 가로채기 되어 단계 S18에서 정속제어부(30)에 의해서만 속도기억부(32)에 저장된 스로틀앵글이 전자제어장치(50)로 출력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뗀 상태에서도 차량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단계 S20에서 정속제어부(30)의 출력포트에 하이레벨전위(논리 "1")가 출력되면서 차내에 설치된 발광소자(LED)는 점등되어 정속주행 상태에 있음을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알려주게 된다.
한편, 정속주행 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이에 연결된 브레이크 스위치(34)가 "ON"상태로 전환되는데, 이때 정속제어부(30)는 단계 S22에서 정속주행을 즉시 해제하기 위해 단계 S24에서 멀티플렉서(40)를 재전환하기 위한 셀렉트신호(예, 논리 "1")를 출력한 다음 단계 S26에서 정속제어부(30)의 출력포트를 통해 로우레벨전위(논리 "0")를 출력하여 발광소자(LED)를 소등한 후 단계 S28에서 속도기억부(32)에 저장되어 있던 스로틀앵글을 클리어하여 정속주행을 해제하게 된다.
즉, 브레이크페달을 밟게 되면, 정속주행을 해제하여야만 감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속주행상태는 자동 해제되는 것이다.
또 다른 경우 운전자가 정속주행을 해제하기 위해 정속스위치(SW)를 전환하여 접점을 개방하게 되면, 정속제어부(30)의 입력포트에 하이레벨전위(논리 "1")가 입력되면서 정속스위치(SW)가 "OFF"상태로 전환되고, 정속제어부(30)는 단계 S10에서 정속스위치(SW)의 "OFF"상태를 인식하여 단계 S24에서 멀티플렉서(40)를 재전환하기 위한 셀렉트신호(예, 논리 "1")를 출력한 다음 단계 S26에서 정속제어부(30)의 출력포트를 통해 로우레벨전위(논리 "0")를 출력하여 발광소자(LED)를 소등한 후 단계 S28에서 속도기억부(32)에 저장되어 있던 스로틀앵글을 클리어하여 정속주행을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속스위치(SW)의 접점을 닫거나 여는 조작에 의해 정속주행 상태로 전환하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으며, 정속주행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정속주행이 자동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장거리를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경우에 정속주행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가속페달을 밟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편한 운전이 가능하게 되며, 가속페달 조작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로 누적을 막아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정속주행 상태에서는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연비를 향상시켜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정속주행시 멀티플렉서에 의해 스로틀포지션센서로부터 전자제어장치로 이어지는 신호라인을 일시적으로 가로채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차량으로부터의 개조가 용이하게 되고, 정속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정속주행 상태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정속주행이 자동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감속 조작이 보다 안전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정속유지와 해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정속스위치(SW)와;
    스로틀앵글을 저장하기 위한 속도기억부(32)와;
    상기 정속스위치(SW)가 "ON"으로 전환되면, 자동차의 가속페달에 연결된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의 스로틀앵글을 상기 속도기억부(32)에 기억하여 두고, 그 스로틀포지션센서(36)로부터 전자제어장치(50)로 이어지는 신호라인(42)을 하기의 멀티플렉서(40)에 의해 가로채어 정속유지가 해제될 때까지 기억된 스로틀앵글을 전자제어장치(50)에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정속제어부(30)와;
    상기 스로틀포지션센서(36)와 정속제어부(30)에 접속되는 복수의 입력단(a)(b)과, 전자제어장치(50)로 이어지는 출력단(c)을 갖고, 정속제어부(30)로부터의 셀렉트신호에 의해 입력단(a)(b)을 전환하는 멀티플렉서(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제어부(30)는 브레이크 스위치(34)가 "ON"상태로 되면, 상기 멀티플렉서(40)를 재전환하여 정속유지를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KR20-2003-0026243U 2003-08-14 2003-08-14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KR200332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43U KR200332415Y1 (ko) 2003-08-14 2003-08-14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243U KR200332415Y1 (ko) 2003-08-14 2003-08-14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415Y1 true KR200332415Y1 (ko) 2003-11-07

Family

ID=4941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243U KR200332415Y1 (ko) 2003-08-14 2003-08-14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4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26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Drive Unit
CN110481549B (zh) 车辆控制装置和具备车辆控制装置的车辆
KR200332415Y1 (ko) 자동차 정속유지장치
KR100311536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용 연료 제어밸브
JP4187549B2 (ja) 速度制限装置
KR100215235B1 (ko) 차량 속도 제어방법
KR200181185Y1 (ko) 엔진 부압을 이용한 브레이크 작동성능 향상 장치
KR100196353B1 (ko) 차량의 정속주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9078U (ko) 자동차의 기계식 속도 제한장치
KR19980057798U (ko) 차량의 최고속도 제한장치
KR100256581B1 (ko) 자동차의안전장치및그방법
KR100295841B1 (ko) 차량용 오토 크루즈 제어방법
KR20010064614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200407700Y1 (ko) 차량 정속 주행 장치
KR100207830B1 (ko) 속도제한 장치가 부착된 버스의 중간문 안전장치
JP2021178619A (ja) アクセル信号制御装置
KR200192384Y1 (ko) 정속 주행시 제동등 제어 장치
KR19980027143A (ko) 자동차의 최고속도 보조제한장치
KR20010061200A (ko) 차량용 오토 크루즈 제어 방법
KR19980050859A (ko)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KR19990035097A (ko) 가속상태 표시장치를 갖는 자동차
KR20000055440A (ko) 차량의 정속 주행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61847A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인식 장치
KR19990002130A (ko) 차량 브레이크등 자동조도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19843A (ko) 무인자동차의 속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