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132Y1 - 진공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132Y1
KR200332132Y1 KR20-2003-0022629U KR20030022629U KR200332132Y1 KR 200332132 Y1 KR200332132 Y1 KR 200332132Y1 KR 20030022629 U KR20030022629 U KR 20030022629U KR 200332132 Y1 KR200332132 Y1 KR 200332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utton
cover
diaphragm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복롱
Original Assignee
소복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복롱 filed Critical 소복롱
Priority to KR20-2003-0022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1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본 용기, 윗덮개, 중간 격층, 배기 장치, 모터 및 배터리 장치, 제어 버튼으로 구성된 진공 용기로서, 중간 격층에 압력 버튼, 스프링, 디스플레이 커버로 구성되는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커버는 압력 버튼이 떠오르거나 가라앉을 때 한쪽 방향으로 편향되는 현상이 나타나 표면의 색상이 변화하며 상자 내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주게 되고, 그밖에 압력 버튼의 바닥 측에 센서 장치를 설치하여 상자 내부가 마이너스 압력일 경우 압력 버튼을 바닥까지 가라앉혀 저촉됨으로써 모터의 전류를 중단시키며, 반대로 압력 버튼이 가장 윗부분까지 떠오를 경우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보관 용기{VACUUM CONTAINER}
종래의 진공 용기는 인공으로 공기를 빼내는 배기 방식이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어 전동식 배기 방식보다 실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진공 용기는 용기 내부가 진공 상태인지 검측할 수가 없다. 그 중 압력치를 계측할 수 없는 것도 있어서, 공기의 밀도가 정상인지, 혹은 공기의 누출 유무도 알기가 힘들다. 그 다음, 모터가 진공 상태일 때 가동을 멈추지 않으므로 반드시 사람이 기기를 꺼야 한다. 따라서 공기가 과도하게 배출되었을 때에는 진공 용기의 내, 외압의 차가 너무 커 용기의 변형을 가져올 수가 있다. 또한 일단 용기 내부의 압력이 유실되었다가 정상 압력을 회복하려 할 경우, 모터 역시 자동으로 배기 장치를 가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사람이 가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진공 용기가 압력을 유실한 후에는 용기 내부의 물체가 즉각 산화 영향을 받아 신선도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종래의 진공 용기 윗덮개에 설치된 시간 다이얼은 진공 용기를 쌓아놓으면 덮개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므로 다이얼이 소용이 없게 된다.
본 고안은 기본 용기, 윗덮개, 중간 격층, 배기 장치, 모터 및 배터리 장치, 제어 버튼으로 구성된 진공 용기로서, 그 특징으로는 중간 격층에 압력 버튼, 스프링, 디스플레이 커버로 구성되는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커버는 압력 버튼이 떠오르거나 가라앉을 때 한쪽 방향으로 편향되는 현상이 나타나표면의 색상이 변화하며 상자 내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주게 된다. 그밖에 압력 단추의 바닥 측에 센서가 설치되어, 이 센서 스위치가 압력 버튼이 바닥까지 가라앉을 경우 저촉을 받아 모터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중지시키게 되며, 반대로 압력 버튼이 가장 윗부분까지 떠오르면 모터를 가동시켜 배기 작용을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압력 버튼의 하부에 하나의 밀봉식 에어백을 설치하고, 또한 윗덮개의 모서리에 다이얼식 시간표시기를 설치하고 그 일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관찰하기 쉽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인 진공 용기의 입체 외관도,
도 2는 도 1의 2~2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진공 용기의 중간 격층 평면도,
도 4, 5는 본 고안인 진공 용기의 전동 배기 상태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인 진공 용기에서 수동으로 배기를 실시할 경우의 설명도,
도 7은 도 1의 7~7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진공 용기의 압력 디스플레이 설명도,
도 9는 도 1의 9~9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인 진공 용기의 압력 해제 작동 설명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종류의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압력 상태에 놓여 있을 경우의 단면도,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종류의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이너스 압력 상태에 놓여 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본 용기 20 : 중간 격층
21 : 단방향 에어 밸브 22 : 압력구멍
23 : 돌출귀 24 : 강압 밸브(압력 누출구멍)
30 : 윗덮개 31 : 검측구멍
32 : 천공 40: 배기 장치
41 : 배기관 42 : 단방향 통기 코크
43 : 피동 기어 44 : 전동 기어
45 : 웜(worm) 46 : 모터
47 : 배터리 장치 48 : 제어 버튼
49 : 수동 핸들 50 :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
51 : 압력 버튼 52 : 기밀(氣密) 링
53 : 스프링 54 : 디스플레이 커버
55 : 애어백 56 : 발광 다이오드(LED)
60 : 센서 스위치 70 : 압력 해제 장치
71 : 압력 해제 버튼 72 : 기밀 링
73 : 스프링 80 : 시간 표시기
81 : 스프링 위치 고정편 82 : 끼움홈
100 : 진공 보관 용기 101 : 보관물
420 : 횡간 421: 통기 개스킷
431 : 편심 돌출 레버 540 : 걸침봉
541, 542 : 색표
도 1은 진공 용기의 입체 외관도이며, 도 2는 도 1의 2~2부분 단면도로서, 진공 보관 용기(100)는 기본 상자(10), 중간 격층(20), 윗덮개(30)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 중간 격층(20)은 윗덮개(30) 저면에 고정되어 기본 용기(10)에 덮개를 덮을 때 이용한다. 또한 중간 격층(20)에 단방향 에어 밸브(21) 및 강압 밸브(24)를 설치한다.(도 4, 9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도 3과 같이, 중간 격층(20)에 배기 장치(40),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50), 센서 스위치(60), 압력 해제 장치(70), 시간 표시기(80)를 설치한다. 그 중 배기관(41), 배기관(41) 내부에 설치되는 단방향 통기 코크(42), 단방향 통기 코크(42)와 편심으로 힌지 연결되는 기어 장치, 중간 격층(20)에 설치되어 기어 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40)로 구성되는 배기 장치(40)와; 중간 격층(20)에 설치되어 모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장치(47)와; 윗덮개(30)에 설치되어 전원 통로를 온/오프(on/off) 할 수 있는 제어 버튼(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어 장치는 피동 기어(43), 전동 기어(44), 웜(worm)(45)으로 구성되며, 웜(45)은 모터(46)로 움직이며, 다시 웜(45)에 의해 기어(44), (45)가 회전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41) 저단(底端)을 중간 격층(20) 상의 단방향 에어 밸브(21)와 밀착 연결시킨다. 회로가 도통된 후 모터(46)가 시동되면서 기어 장치가 움직이고, 피동 기어(43) 상의 편심 돌출 레버(431)가 회전하게 되면, 돌출 레버(431)가 두 통기 코크(42) 후단에 연결된 횡간(420) 슬라이딩 홈 내부에 규격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돌출 레버(431)가 회전할 때 횡간(420)에 반지름 왕복 운동이 발생하게 되어, 두 통기 코크(42)가 배기관(41) 내부에서 단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게 되므로 공기가 배출되기만 할 뿐, 진입할 수는 없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42)가 뒤로 이동할 때, 통기 개스킷(421) 역시 뒤로 이동하게 되어 배기관(42) 후면의 공기가 뒤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배기관(42) 전면은 즉 마이너스 압력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본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단방향 에어 밸브(21)로부터 배기관(41)으로 진입하고, 다시 모터(46) 및 기어 장치의 연속 동작(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을 통하여, 신속하게 기본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므로 용기 내부에 넣어둔 보관물(101)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핸들(49)을 윗덮개 천공(32)에 끼운 후 다시 전동 기어(44)의 기어축에 연결하여, 핸들(49)을 돌려줌으로써 배기 장치(40)가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이 기술은 본 고안의 특징이 아니나 모터(46)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동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 가능함을 증명해 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중간 격층(20)에 설치하며, 압력 버튼(51), 기밀(氣密) 링(52), 스프링(53), 디스플레이 커버(54)로 구성되어 있다. 압력 버튼(51)은 측면에서 보면 T자 형태를 띠며 기밀 링(52)(예를 들어 O형 고무 링)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중간 격층(20)에 미리 설치된 압력구멍(22) 안으로 슬라이딩 설치되며, 스프링(53)은 압력 버튼(51)의 바닥 가장자리와 압력구멍(22)의 외부 가장자리 사이에 고이고, 디스플레이 커버(54)의 저단을 돌출귀(23)에 힌지 연결한다. 이 디스플레이 커버(54)의 일측에 걸침봉(540)이 뻗어나와 압력 버튼(51)과 맞닿도록 한다. 이밖에 부채꼴의 투명한 케이스 커버로 된 디스플레이 커버(54) 윗면에 적어도 두 가지 다른 색상의 색표(541), (542)(예를 들어 적색, 남색)를 설치하고, 또한 압력치를 새겨 넣어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할 때, 압력 버튼(51)은 마이너스 압력의 영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침봉(540)을 아래로 눌러주며 디스플레이 커버(54)가 한쪽으로 돌도록 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커버(54) 상의 색표(541), (542) 역시 따라서 돌며 적색이 남색으로 바뀐다(적색은 정상 압력, 남색은 마이너스 압력을 나타냄). 사용자는 윗덮개(30)에 있는 검측구멍(31)을 통하여 색표의 색상을 관찰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압력 상황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스위치(60)는 압력 버튼(51)의 바닥 하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윗덮개(30)의 제어버튼(48)을 누르면(0N), 용기 내부의 회로가 통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때 용기(10)는 정상 압력 상태에 놓이고, 모터(46)가 즉시 가동되어 배기 장치(40)가 공기를 빼내게 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마이너스 압력이 점차 증대되고, 압력 버튼(51)이 아래로 가라앉기 시작하여 센서 스위치(60)의 센서 버튼에 닿게 되면 센서 스위치(60)는 즉시 모터(46)를 중단하여 움직임을 멈추게 한다. 이 때 기본 용기(10)는 이미 진공 상태가 되기 때문에 모터(46)가 공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혹은 용기(10) 내, 외부의 압력차가 과다하여 변형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버튼(48)이 여전히 눌려진 상태(ON)이기 때문에, 용기는 계속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보관 용기(100)는 장시간 사용 후 압력을 잃을 수가 있기 때문에, 이 때는 기본 용기(10) 내부의 마이너스 압력이 점차로 저하되어 압력 버튼(51)이 스프링(53)의 장력 회복 작용 하에 위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센서 스위치(60)의 센서편(片) 역시 탄성을 회복하고, 디스플레이 커버(54) 역시 회전하게 되어 색표가 남색에서 적색으로 바뀌게 되다가 압력 버튼(51)이 가장 윗부분까지 상승했을 때, 디스플레이 커버(54) 역시 끝까지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는 용기 내부가 이미 정상 압력(즉 마이너스 압력이 매우 작거나 혹은 이미 사라짐)에 근접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센서 스위치(60)는 센서판이 이미 가장 윗부분까지 상승했기 때문에 모터(46)가 전기와 접촉되어 운전되도록 하고, 배기 장치(40)가 공기를 빼내기 시작하여 용기 내부가 다시 진공 상태가 되었을 때 모터(46)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진공 용기(100)를 계속 진공 마이너스 압력 상태에 놓이게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물건이 산화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다만 제어 버튼(48)이 오프(OFF) 상태일 경우, 진공 용기는 통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기본 용기(10)가 일단 압력을 상실한 경우 센서 스위치(60) 역시 모터(46)를 돌리지 못한다. 따라서 제어 버튼(48)이 온(ON) 상태에 있을 경우에만 센서 스위치(60)가 모터(4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해제 장치(70)는 압력 해제 버튼(71), 기밀 링(72), 스프링(73)으로 구성되며, 그 중 기밀 링(72)은 압력 해제 버튼(71)의 바닥 테두리에 끼워지며, 기밀 링(72)의 위 테두리는 중간 격층(20)에 설치된 압력 누출구멍(24)의 구멍 내부를 고여 주도록 설치되고, 스프링(73)은 압력 해제 버튼(71)과 압력 누출구멍(24)의 구멍 위 테두리 사이를 떠받치도록 설치되며, 또한 압력 해제 버튼(71)의 상부는 윗덮개(30)의 상부 구멍에 노출됨으로써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압력 해제 버튼(71)을 누르면, 기밀 링(72)이 압력 누출구멍(24)의 구멍에서 이탈되어 외부 공기가 압력 누출구멍(24)으로부터 기본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더 나아가 내, 외 압력의 평형을 이루며 용기 내부의 마이너스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윗덮개(30)와 결합한 중간 격층(20)이 기본 용기(1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만약 기본 용기(10) 내부의 마이너스 압력이 해제되지 않을 경우, 윗덮개(30)와 결합한 중간 격층(20)은 기본 용기(10)에서 분리될 수 없다.
이밖에, 도 1, 3에서는 윗덮개(30)와 중간 격층(20)의 모서리 위치에 다이얼식 시간 표시기(80)(원형 다이얼)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외연에 날짜 또는 시간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 용기(100)를 겹쳐 쌓아둔 경우에도 관찰에 영향을 주지않는다. 또한, 중간 격층(20)의 끼움홈(82) 내부에 T자형 스프링 위치 고정편(81)을 고정시키고, 다시 위치 고정편(81)의 전방에서 다이얼의 외연 톱니 내부에 막대를 삽입하여 분계를 정함으로써 다이얼이 자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종래의 기술이므로 개략적으로만 기술한다.
도 11은 다른 종류의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50) 구조로서, 상술 구조와 다른 점은 압력 버튼(51)과 스프링(53)의 바깥 둘레를 에어백(55)으로 감싸주는 것으로, 에어백(55)은 주름이 잡힌 고무호스를 갖추고, 상단을 압력 버튼(51)의 윗덮개(511) 아래에 밀착 연결하고, 저단을 압력구멍(22) 바깥 둘레에 덮어 씌워 연결하며 아울러 스프링 결속 링(56)으로 단단히 묶어준다. 따라서 에어백(55)은 밀봉 상태이며 위치가 고정된 후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스프링(53)의 작용은 에어백(55)을 신속히 상승하게 하는 것으로, 압력구멍(22) 내부에 이미 기밀 링(52)이 없기 때문에 에어백(55)이 기본 용기(10) 내부의 마이너스 압력의 영향을 받아 압력 버튼(51)과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 용기(10) 내부가 마이너스 압력을 보일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55)은 압력 버튼(51)과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기본 용기(10) 내부가 정상 압력을 보일 때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55)은 압력 버튼(51)과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야간에도 디스플레이 커버(54) 윗면의 색표 색상을 볼 수 있도록 아래쪽 혹은 내부에 발광다이오드(56)(LED)를 설치하여, 기본 용기(10) 내부가 정상 압력일 때 발광하도록 하고, 진공 상태일 때는 센서 스위치(60)가 전원을 중단하여발광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진공 용기 내부의 압력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또한 다이얼식 시간표시기를 설치하고 그 일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관찰할 수 있다.

Claims (6)

  1. 진공 보관 용기에 있어서,
    기본 용기;
    윗덮개;
    윗덮개 바닥면에 고정되어 기본 용기의 밀봉층을 덮는데 이용되며, 단방향 에어 밸브 및 압력 누출 밸브를 구비하는 중간 격층과;
    중간 격층에 설치되며, 중간 격층의 단방향 에어 밸브와 연결되는 배기관, 배기관 내부의 단방향 통기 코크, 단방향 통기 코크와 힌지 연결되는 기어 장치로 구성되는 배기 장치와;
    기어 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장치와;
    상자 내부의 전원 통로를 온/오프하는 제어 버튼으로 구성되며,
    중간 격층에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며, 기밀 링을 이용하여 중간 격층의 압력구멍에 관통 설치되는 압력 버튼과, 압력 버튼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압력 버튼 윗덮개 하부 및 스프링 바깥 둘레에 설치되는 밀봉식 에어백, 압력 버튼에 걸리도록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커버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커버는 부채꼴의 투명한 케이스로 중간 격층의 돌출귀에 힌지 연결되고, 윗면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 다른 색상의 색표가 피복되어 있으며, 압력 버튼의 바닥 하측 가장자리에 센서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용기.
  2. 진공 보관 용기에 있어서,
    기본 용기와;
    윗덮개와;
    윗덮개 바닥면에 고정되어 기본 용기의 밀봉층을 덮는데 이용되며, 단방향 에어 밸브 및 압력 누출 밸브를 구비하는 중간 격층과;
    중간 격층의 단방향 에어 밸브와 연결되는 배기관, 배기관 내부의 단방향 통기 코크, 단방향 통기 코크와 힌지 연결되는 기어 장치로 구성되는 배기 장치와;
    기어 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장치와;
    상자 내부의 전원 통로를 온/오프하는 제어 버튼으로 구성되며,
    중간 격층에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며, 기밀 링을 이용하여 중간 격층의 압력구멍에 관통 설치되는 압력 버튼과, 압력구멍 내부에 위치한 기밀 링, 압력 버튼 윗덮개 하부에 고여지는 스프링, 압력 버튼에 걸리도록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커버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커버는 부채꼴 투명 케이스로 중간 격층의 돌출귀에 힌지 연결되고, 윗면에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다른 색상의 색표가 피복되며, 압력 버튼의 바닥측에 센서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 격층에 압력 해제 장치를 설치하여, 기밀 링이 중간 격층 압력 누출구멍 입구를 고여 주는 압력 해제 버튼과, 압력 해제 버튼 바닥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또한 압력 해제 버튼의 상부가 윗덮개의 상부 구멍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커버의 일측에 걸침봉이 뻗어나와 압력 버튼이 그 위에 걸쳐지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가 윗덮개의 검측구멍 하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윗덮개와 중간 격층의 모서리 측변 가장자리에 다이얼식 시간 표시기가 설치되어 그 외연에 시간 혹은 날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 디스플레이 장치 하부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용기.
KR20-2003-0022629U 2003-07-14 2003-07-14 진공 보관 용기 KR200332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29U KR200332132Y1 (ko) 2003-07-14 2003-07-14 진공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629U KR200332132Y1 (ko) 2003-07-14 2003-07-14 진공 보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132Y1 true KR200332132Y1 (ko) 2003-11-05

Family

ID=4941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629U KR200332132Y1 (ko) 2003-07-14 2003-07-14 진공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13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53B1 (ko) * 2012-08-20 2014-04-21 김학래 보온 도시락
CN107890299A (zh) * 2017-11-22 2018-04-10 江门市鸿裕达电机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食品搅拌机
KR102042792B1 (ko) * 2018-05-17 2019-11-08 송효섭 음식 보관 기구
KR102233555B1 (ko) * 2021-01-21 2021-03-30 ㈜동양이지텍 고성능 전자식 진공쌀통용 스마트 원터치 스위치
KR20210101766A (ko) 2020-02-11 2021-08-19 홍춘강 진공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53B1 (ko) * 2012-08-20 2014-04-21 김학래 보온 도시락
CN107890299A (zh) * 2017-11-22 2018-04-10 江门市鸿裕达电机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食品搅拌机
KR102042792B1 (ko) * 2018-05-17 2019-11-08 송효섭 음식 보관 기구
KR20210101766A (ko) 2020-02-11 2021-08-19 홍춘강 진공케이스
KR102233555B1 (ko) * 2021-01-21 2021-03-30 ㈜동양이지텍 고성능 전자식 진공쌀통용 스마트 원터치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215B1 (ko) 가스흡인 펌프장치 및 가스공급 어댑터 및 가스경보 유닛
AU2003230991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6830081B1 (en) High efficiency vacuum box with indicators
KR20080017051A (ko) 저장 백을 배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28871A (ko) 용적측정 진공 제어
KR200332132Y1 (ko) 진공 보관 용기
CN205332651U (zh) 真空保鲜冰箱
US6470924B2 (en) Depression container
US200902292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evacuating a storage bag
KR101957387B1 (ko) 자동 배기기능을 갖는 진공 저장용기
US6683719B2 (en) Light diffuser
CN216660995U (zh) 真空存储罐
CN109051296A (zh) 一种密封奶粉盖
JP3100871U (ja) 真空抽気機能付き容器蓋体
CN211033585U (zh) 可抽真空酒塞
WO2020151526A1 (zh) 一种负压可调的恒压自动真空保鲜罐
CN212774636U (zh) 一种可探知气压的电动抽真空器
JP2009056699A (ja) インク容器、及びインク容器の収容体
JPH09304153A (ja) ガスメータ
JPH0549349A (ja) 植物自動給水鉢
CN207728506U (zh) 手拉气泵及其把手
JP3098939U (ja) タッパ−の仕組み
CN215257340U (zh) 一种带漏气报警装置的吸盘扶手
JP4354032B2 (ja) マイコンガスメータの遮断弁開弁スイッチ構造
CN218759241U (zh) 一种自动吸附扶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