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73Y1 -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73Y1
KR200332073Y1 KR20-2003-0011738U KR20030011738U KR200332073Y1 KR 200332073 Y1 KR200332073 Y1 KR 200332073Y1 KR 20030011738 U KR20030011738 U KR 20030011738U KR 200332073 Y1 KR200332073 Y1 KR 200332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upport
link
roll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to KR20-2003-0011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게 입력 컨베이어, 출력 컨베이어, 적재 크레인 및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편리하게 물품을 입출하도록 한 입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지지부를 수직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지지부는 지지대를 통해 연결하며, 일측 하부에는 PLC에 의해 정회전/역회전을 반복 수행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레일 내부에 설치되는 사이드롤러 및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는 주행링크, 상기 지지부 상부에 입고된 물품을 적재하는 파레트, 상기 파레트 양측 하부에 이송시의 마찰력을 감소하는 이송롤러, 상기 지지대 상부에 주행링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주행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주행링크는 상부에 구동모터 정회전시 파레트를 출력 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도록 파레트의 개수만큼 도그링크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되는 모터의 수가 적어 상대적으로 전기 센서, PLC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률이 적고 유지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In-out system using dog link}
본 고안은 크게 입력 컨베이어, 출력 컨베이어, 적재 크레인 및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편리하게 물품을 입출하도록 한 입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대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부 상부에는 입고된 물품이 적재되도록 파레트를 위치하고, 그 하부에 파레트를 출력 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도록 상부에 파레트의 개수만큼 도그링크가 설치된 주행링크를 위치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 일측 하부에는 PLC의 의해 정회전/역회전을 반복 수행하도록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발생된 동력에 의해 주행링크를 전후로 움직이도록 사이드롤러 및 구동롤러가 설치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적은 개수의 구동모터로 이송 컨베이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물품을 보관하고 출고하는 방식은 그 특성에 따라 다단식 랙(Rack) 방식, 플로우(Flow) 랙 방식, 컨베이어 이송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다단식 랙 방식이란, 수송의 유니트화에 대응하는 창고 방식으로 일측 방향으로 많은 수의 다단계 보관실을 구축하여 표준 규격화된 파레트에 물품을 싣고 그대로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선반 위에 보관하는 방식으로 소량이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많은 양을 구분하여 보관하는 경우 유리하다.
플로우 랙 방식은, 다단식 랙 방식의 변형된 형태로 단일 종류의 물품을 대량 보관하는 경우 사용되며, 선반의 가로대나 판자에 롤러 컨베이어 또는 휠 컨베이어를 설치하거나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의 통로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품이 자체의 중력에 의해 선반 위를 이동하도록 한 방식이다.
컨베이어 이송 방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컨베이어(1)로부터 입고된 물품을 적재 크레인(2a)을 이용하여 적재하되, 물품이 적재된 파레트(7)는 다수 개의 벨트(6)로 구성된 이송 컨베이어(3)를 통해 순환되어 그 끝 부분에 도달하면 출력 컨베이어(4) 쪽에 있는 적재 크레인(2b)을 통해 연속적으로 출고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같은 컨베이어 이송 방식은 기존의 건물이 있고 높이가 낮은 경우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간의 이송이 용이하여 조립공장 등의 제작공정에도 많이 사용된다.
특히, 물품의 입출이 용이하여 상당수의 창고 또는 기타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실정이지만, 각각의 벨트(6)마다 개별적으로 구동모터(5)를 장착해야 함으로, 필요한 모터의 개수가 너무 많아 이는 상대적으로 전기 센서, PLC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다수의 구동모터(5)를 구동시킴에 따라 잦은 고장발생으로 인해 A/S 발생률이 높고 유지비도 많이 들어, 제품의 수명 또한 짧아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개수의 모터로 이송 컨베이어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은, 물품을 입고하는 입력 컨베이어, 물품을 출고하는 출력 컨베이어,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 크레인 및 입고된 물품을 출력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입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 서로 마주보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대, 일측 하부에 PLC에의해 정회전/역회전을 반복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전방 스프로켓, 상기 전방 스프로켓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후방 스프로켓, 상기 체인을 통해 회전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소정 개수의 사이드롤러, 상기 사이드롤러 중앙부분에 사이드롤러와 축 연결되는 구동롤러, 상기 사이드롤러 및 구동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레일, 상기 각각의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주행롤러, 상기 구동롤러 상부 및 주행롤러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도록 파이프 형태로 설치되는 주행링크, 상기 지지부 상부에 물품을 적재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파레트, 상기 지지부와 파레트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 상기 주행링크 상부에 구동모터 정회전시 파레트를 출력 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도록 상기 파레트의 개수만큼 설치되는 도그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그링크는 후측 하부에 정회전시 파레트 하부에 고리가 걸리도록 하측으로 무게 중량을 주는 도그 고정추를 설치하여 힌지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롤러는 주행링크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주행링크의 전후 구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양측단부가 중앙부분에 비해 소정 길이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로 상하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는 파레트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여 파레트의 이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측단부가 타부분에 비해 소정 길이 큰 직경을 갖는 고정턱으로 상하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 이송 방식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파레트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정회전시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역회전시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을 통해 각종 자재를 이송하는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을 통해 공장의 조립공정을 구성한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을 통해 PC 공법으로 콘크리트 양생을 하는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을 통해 대량의 음료수를 이송하는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모터 11 ; 주행링크
12 ; 도그링크 13 ; 이송롤러
14 ; 주행롤러 15a, 15b ; 스프로켓
16 ; 체인 17 ; 사이드롤러
18 ; 구동롤러 19 ; 지지부
20 ; 파레트 21 ; 레일
22 ; 연결벨트 23 ; 도그 고정추
24 ; 입력 컨베이어 25a, 25b ; 적재 크레인
26 ; 출력 컨베이어 27 ; 이송 컨베이어
28 ; 칸막이 29 ; 힌지축
30 ; 돌출부 31 ; 고정턱
32 ; 지지대 33 ; 고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파레트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정회전시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역회전시 동작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은 크게 물품을 입고하는 입력 컨베이어(24)와, 상기 입력 컨베이어(24)로부터 입고된 물품을 적재하여 출력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27), 이송된 물품을 외부로 출고하는 출력 컨베이어(26)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 컨베이어(24)와 이송 컨베이어(27) 사이에는 입고된 물품을 이송 컨베이어(27)에 적재하는 적재 크레인(25a)이 설치되고, 이송 컨베이어(27)와 출력 컨베이어(26) 사이에는 이송 컨베이어(27)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출력 컨베이어(26)를 통해 출고하도록 적재 크레인(25b)이 설치되어 물품을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27)는 양측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개의 지지부(19)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지지부(19) 사이에는 양측의 지지부(19)가 튼튼히 지지되도록 서로 연결하는 지지대(32)를 형성한다.
한편, 출력 컨베이어(26) 방향의 일측 하부에는 동력을 발생하도록 회전하는 구동모터(10)가 장착되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10)는 별도로 제작된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도시생략) 및 관련 회로를 통해 정회전/역회전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0)는 연결벨트(22)를 통해 구동모터(10) 상부에 설치되는 전방 스프로켓(15a)과 연결되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전방 스프로켓(15a) 후측에는 전방 스프로켓(15a)과 마주 보도록 후방 스프로켓(15b)을 설치하되, 상기 두 개의 스프로켓(15a)(15b)은 체인(16)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구동모터(10) 작동시 작동방향과 부합되어 체인(16)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인(16) 상부에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레일(21)을 형성하되, 그 양측단부에는 상기 체인(16)과 연동되어 정회전/역회전하도록 소정 개수의 사이드롤러(17)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롤러(17) 중앙부분에는 축(34)을 통해 연결되어 사이드롤러(17) 회전시 해당방향으로 함께 연동 회전하도록 구동롤러(18)가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롤러(17) 및 구동롤러(18)는 탈기를 방지하고 서로 충돌되는 일이 없도록 레일(21) 사이마다 형성되는 칸막이(28)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구동롤러(18) 상부에는 구동롤러(18)의 회전방향(정회전/역회전)에 따라 전후로 움직이도록 파이프 형태의 주행링크(11)가 길게 연장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지지대(32) 중앙부분에는 상기 주행링크(11)를 지지함과 동시에, 주행링크(11) 구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주행롤러(1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행롤러(14)는 주행링크(11)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주행링크(11)의 전후 구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양측단부가 중앙부분에 비해 소정 길이 큰 직경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돌출부(30)로 상하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9)의 상단부에는 양쪽이 대칭되는 형태로 이송롤러(13)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13)는 후술하는 파레트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여 파레트의 이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측단부가 타부분에 비해 소정 길이 큰 직경의 형상()을 갖는 고정턱(31)으로 상하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송롤러(13) 위에는 입력 컨베이어(24)로부터 입고된 물품을 적재하도록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파레트(20)가 장착되며, 이때 상기 파레트(20)는 양쪽 하단에 위치한 이송롤러(13)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고정턱(31)에 의해 지지되어 단지 양쪽 이송롤러(13) 위에 크기가 부합되도록 얹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행링크(11) 상부에는 구동모터(10) 정방향 회전시 파레트(20) 하부에 고리(33)를 걸어 상기 파레트(20)를 출력 컨베이어(26) 방향(예를 들어, A 위치의 파레트(20)는 B 위치로, B 위치의 파레트(20)는 C 위치로, C 위치의 파레트(20)는 D 위치로)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도그링크(12)를 설치하되, 상기 도그링크(12)는 후측 하단부에 도그 고정추(23)가 설치되어 힌지축(29)을 통해 결합된 형태로, 구동모터(10)의 정방향 회전시엔 상기 도그 고정추(23)의 무게로 인해 힌지축(29)을 통해 결합된 고리(33)가 상향되어 각각 해당하는 위치의 파레트(20)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구동모터(10)의 역방향 회전시엔 고리(33)가 하향되어 주행링크(11) 후퇴시 각각의 파레트(20) 하단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입출 시스템의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을 구동시키면 구동모터(10)가 정회전하면서 벨트(2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전방 스프로켓(15a)이 함께 정회전하게 되고, 전방 스프로켓(15a)과 마주 보도록 설치된 후방 스프로켓(15b)에 함께 걸려있는 체인(16)이 전진 구동하면서 그 위에 형성된 레일(21) 양측면으로 설치된 사이드롤러(17)를 회전시키고, 상기 사이드롤러(17)는 축 결합되어 있는 중앙부분에 구동롤러(18)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구동롤러(18)와 연동되는 주행링크(11)가 구동모터(10)의 회전에 비례하여 출력 컨베이어(26) 방향으로 파레트(20) 하나 정도의 거리만큼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행링크(11) 상부에 장착된 도그링크(12)는 후측 하부에 형성된 도그 고정추(23)의 중량이 하측으로 작용하면서 전면의 고리(33)가 해당하는 위치의 파레트(20) 하단을 지지하는 형태를 띄게 된다. 따라서, 주행링크(11)의 전진과 함께 각각의 파레트(20)도 출력 컨베이어(26) 방향으로 파레트(20) 하나 정도의 거리만큼 전진하게 되고, 이때 파레트(20) 하부에 설치된 이송롤러(13)는 파레트(20)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이송이 좀 더 용이하도록 한다.
이후, 구동모터(10)는 별도로 장착된 PLC에 의해 자동적으로 역방향 전환되고, 이에 벨트(2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스프로켓(15a)이 역회전하며, 함께 걸려있던 체인(16) 또한 역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체인(16)은 후퇴하며 레일(21) 내부에 사이드롤러(17) 및 구동롤러(18)를 역방향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롤러(18)는 주행링크(11)를 입력 컨베이어(24) 방향(상기 전진시의 반대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이다. 이때, 주행링크(11) 상부에 장착된 도그링크(12)의 고리(33)는 주행링크(11)의 후방향 움직임에 의해 하향되어 각각의 파레트(20) 하부의 공간을 거쳐 입력 컨베이어(26) 방향(예를 들어, D 위치의 도그링크(12)는 C 위치로, C 위치의 도그링크(12)는 B 위치로, B 위치의 도그링크(12)는 A 위치로)으로 별다른 방해 없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10)에 의해 주행링크(11)가 전후 반복 이동하면서 파레트(20)를 전진 이송함으로써, 적은 개수의 모터(10)를 이용하여 이송 컨베이어(27)를 편리하게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창고 입출 시스템을 응용하면, 이와 같은 물품의 입출 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바, 그 사용 실시예가 도 8 내지 11에 나타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입출 시스템은 일반 자재 공장 등에서 철강 자재(100) 등의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자재를 운반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계로 조립되는 제품공장에서 조립 부품(101) 조립시 공정간의 이송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품의 조립과 함께 출고가 가능하여 제작/보관에 관한 공정을 일원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 공법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을 할 수 있다. PC 공법이란 콘크리트 속의 철근에 피아노선 등을 넣어 잡아당긴 후 고정시키는 것으로, 콘크리트에 압축 응력을 작용시키면 굽힘 응력이 강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이 경우 상기 이송 컨베이어(27)는 주위를 둘러싸도록 룸(Room)(102)을 설치하여 콘크리트(103) 양생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면 온도조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냉동창고 등에도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파레트(20)를 액체 보관통(104)으로 활용하여 중량이 1톤 이상 되는 음료수 또는 액체 물질을 보관/분류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본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은 하나의 모터로 도그링크가 설치된 주행링크를 전후로 움직여 이송 컨베이어를 구동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전기 센서 및 PLC의 개수를 줄이고, 설치/유지에 드는 비용을 감소시키며, 고장 발생률이 적어 사용 수명이 길어지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물품을 입고하는 입력 컨베이어(24), 물품을 출고하는 출력 컨베이어(26),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 크레인(25a)(25b) 및 입고된 물품을 출력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27)로 이루어진 입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7)는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부(19), 서로 마주보는 지지부(19)를 연결하는 지지대(32), 일측 하부에 PLC에 의해 정회전/역회전을 반복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10), 상기 구동모터(10)와 벨트(22)를 통해 연결되는 전방 스프로켓(15a), 상기 전방 스프로켓(15a)과 체인(16)을 통해 연결되는 후방 스프로켓(15b), 상기 체인(16)을 통해 회전하도록 양측에 설치되는 소정 개수의 사이드롤러(17), 상기 사이드롤러(17) 중앙부분에 사이드롤러(17)와 축(34) 연결되는 구동롤러(18), 상기 사이드롤러(17) 및 구동롤러(1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레일(21), 상기 각각의 지지대(32) 상부에 설치되는 주행롤러(14), 상기 구동롤러(18) 상부 및 주행롤러(14)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롤러(18)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도록 파이프 형태로 설치되는 주행링크(11), 상기 지지부(19) 상부에 물품을 적재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파레트(20), 상기 지지부(19)와 파레트(20)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13), 상기 주행링크(11) 상부에 구동모터(10) 정회전시 파레트(20)를 출력 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도록 상기 파레트(20)의 개수만큼 설치되는 도그링크(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링크(12)는 후측 하부에 정회전시 파레트(20) 하부에 고리(33)가 걸리도록 하측으로 무게 중량을 주는 도그 고정추(23)를 설치하여 힌지축(29)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롤러(14)는 주행링크(11)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주행링크(14)의 전후 구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양측단부가 중앙부분에 비해 소정 길이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30)로 상하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13)는 파레트(20)의 양측 하단을 지지하여 파레트(20)의 이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측단부가 타부분에 비해 소정 길이 큰 직경을 갖는 고정턱(31)으로 상하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KR20-2003-0011738U 2003-04-16 2003-04-16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KR200332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38U KR200332073Y1 (ko) 2003-04-16 2003-04-16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38U KR200332073Y1 (ko) 2003-04-16 2003-04-16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073Y1 true KR200332073Y1 (ko) 2003-11-05

Family

ID=4941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738U KR200332073Y1 (ko) 2003-04-16 2003-04-16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406B1 (ko) 화물보관설비
JP3665645B2 (ja) 高速度収納装置
US6929440B1 (en) Method and storage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s in storage
US3024891A (en) Continuous vertical lift
KR20060048167A (ko) 천정주행차 시스템
CN110834934A (zh) 一种曲轴式垂直提升机构及工作方法
KR101956713B1 (ko) 타워형 물품 정렬 보관장치
CN107512528A (zh) 一种带格链条输送机
CN210213645U (zh) 一种用于货物搬运的升降机构
US5863172A (en) Staging, tracking and retrieval system with a rotatable storage structure
CN212100463U (zh) 旋转式货架及立体仓库
JP2017197295A (ja) 搬送システム
KR102041985B1 (ko) 승강 장치가 구비된 창고
KR200332073Y1 (ko) 도그링크를 이용한 입출 시스템
EP3098185A1 (en) Height-extensible container-type warehouse
CN218200777U (zh) 一种自动物流输送线
CN109178746B (zh) 一种立体仓储系统
KR102047308B1 (ko) 승강 장치가 구비된 창고
JPH06219511A (ja) ピッキング用自動倉庫
KR101588567B1 (ko)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KR100425879B1 (ko) 스태커 크레인용 파렛트 피킹장치
KR101992015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N207844840U (zh) 升降设备
JP2660764B2 (ja) コンベヤ棚を有する倉庫設備
JPS61257806A (ja) 自動倉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