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71Y1 -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71Y1
KR200332071Y1 KR20-1999-0006079U KR19990006079U KR200332071Y1 KR 200332071 Y1 KR200332071 Y1 KR 200332071Y1 KR 19990006079 U KR19990006079 U KR 19990006079U KR 200332071 Y1 KR200332071 Y1 KR 200332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combustion gas
main body
cooling air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503U (ko
Inventor
최현창
이후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6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7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크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넥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와, 외부로부터의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공급받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부분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상기 넥크를 향해 안내하며, 상기 수용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로 형성된 복수의 분사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넥크를 중심으로 대칭 분할된 제1본체유니트 및 제2본체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본체유니트에는 상기 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연소가스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상호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화염의 간섭을 억제시키고 넥크를 균일하게 가열시켜 융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BURNER OF APPARATUS FOR FUSION-WELDING NECK OF CRT}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넥크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넥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와, 외부로부터의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공급받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어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음극선관은, 전면에 배치되어 화상이 투사되는 패널과,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깔때기 형상의 펀넬과, 펀넬의 자유단부에 융착되며, 전자총을 수용하는 넥크를 가진다.
도 3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는, 중앙영역에 넥크(101)가 배치되는 원형상의 융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본체유니트(115)를 가지며, 각각의 본체유니트(115) 내부에는 냉각용공기와 연소가스가 수용되는 냉각용공기수용부(131) 및 연소가스수용부(133)가 부분원호형상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앙영역에 형성된 원형상의 융착공간의 연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냉각용공기와 연소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35)이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유니트(115)의 일측에는 이들 분사노즐(135)로부터 분사되는 연소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용 가스가 분사되는 점화가스분사노즐(137)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본체유니트(115)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용공기공급부와 연소가스공급부 그리고 점화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용공기와 연소가스 그리고 점화가스를 공급하는 공급관(123,125,127)이 각각 배치되어 냉각용공기수용부(131)와 연소가스수용부(133) 그리고 점화가스분사노즐(137)과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융착공간의 중앙영역에 넥크(101)가 수용되어 넥크(101)가 도시하지 않은 펀넬의 자유단부영역에 접촉되면, 연소가스공급부로부터 연소가스공급관(125)을 통해 연소가스가 공급되어, 연소가스는 각 본체유니트(115)에 형성된 연소가스수용부(133)에 수용되어 분사노즐(135)을 통해 분사되며, 점화가스 또한 점화가스공급부로부터 점화가스공급관(123)을 통해 점화가스분사노즐(137)에 공급되어 점화됨에 따라 분사노즐(135)을 통해 분사되는 연소가스도 점화되어 넥크(101)와 펀넬의 접촉영역을 가열하게 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넥크(101)와 펀넬의 접촉영역이 융착되면, 연소가스 및 점화가스의 공급이 중단되고 냉각용공기공급부로부터 냉각용공기공급관(127)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용공기가 냉각용공기수용부(131)에 수용된 다음 분사노즐(135)을 통해 넥크(101)와 펀넬의 융착부위에 분사되어 융착부위를 냉각함에 따라 열융착에 의한 융착부위의 형상변경을 억제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에 있어서는, 넥크와 펀넬의 접촉부위를 융착시키기 위해 연소가스가 분사노즐에서 분사되어 넥크와 펀넬의 접촉부위에 화염을 분사하게 될 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본체유니트의 점화가스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인접한 연소가스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가스의 분사방향이 영향을 받아 화염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또한, 연소가스분사노즐이 상호 등각도로 위치되어 있지 않아 연소가스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상호 간섭을 하게 되어 넥크와 펀넬의 접촉부위에 접촉하는 화염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좁게된다. 이에 따라, 융착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염의 간섭을 억제시키고 넥크를 균일하게 가열시켜 융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넥크 3 : 펀넬
11 : 버너 15 : 본체유니트
17 : 연소가스수용부 19 : 연소가스분사유로
21 : 점화가스분사유로 23 : 점화가스공급관
25 : 연소가스공급관 27 : 냉각용공기공급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넥크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넥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와, 외부로부터의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공급받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부분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상기 넥크를 향해 안내하며, 상기 수용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로 형성된 복수의 분사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넥크를 중심으로 대칭 분할된 제1본체유니트 및 제2본체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본체유니트에는 상기 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연소가스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상호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는, 넥크가 융착되는 펀넬이 적치되어 있는 펀넬적치부와, 펀넬적치부(5)에 적치된 펀넬(3)의 상부에는 펀넬(3)의 축선과 동축을 가지고 배치된 넥크(1)를 파지하는 넥크파지부(7)와, 넥크파지부(7)에 의해 파지된 넥크(1)를 펀넬(3)을 향해 승강이송시키는 넥크이송부(9)와, 넥크이송부(9)에 의해 넥크(1)가 펀넬(3)의 자유단부에 접촉하면 접촉부위를 가열시키는 버너(11)를 가진다.
또한, 버너(11)의 일측에는 버너(11)를 통해 넥크(1)와 펀넬(3)의 접촉부위를 융착할 때, 버너(11)를 회전시키는 버너구동부(1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1)의 중앙영역에는 넥크(1)가 수용되어 넥크(1)와 펀넬(3)의 접촉영역이 융착되는 원형상의 융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유니트(15)가 대칭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본체유니트(15)의 내부에는 융착공간의 축선과 동축을 가지고 형성되어 연소가스를 수용하는 부분원호형상의 연소가스수용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소가스수용부(17)의 하부에는 동일한 형상의 냉각용공기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연소가스수용부(17)와 융착공간을 연통하여 넥크(1)와 펀넬(3)의 접촉부위에 연소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연소가스분사유로(19)가 융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유니트(15)의 내벽 연부를 따라 등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융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유니트(15)의 내벽연부에는 연소가스분사유로(19)를 통해 연소가스가 분사될 때, 연소가스를 점화시켜 화염을 형성시키기 위해 점화가스를 분사하는 점화가스분사유로(21)가 배치되어 있다. 각 본체유니트(15)에 형성된 점화가스분사유로(21)는 인접한 연소가스분사유로(19)를 통해 분사되는 연소가스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결국, 양 본체유니트(15)에 형성된 점화가스분사유로(21)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점화가스분사유로(21)와 연소가스수용부(17)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점화가스공급부와 연소가스공급부로부터 점화가스와 연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점화가스공급관(23)과 연소가스공급관(25)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소가스공급관(25)의 하부에는 냉각용공기수용부에 냉각용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용공기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으며, 연소가스의 가열에 의해 융착된 넥크(1)와 펀넬(3)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용공기수용부와 융착공간을 연통하는 냉각용공기분사유로(미도시)가 연소가스분사유로(19)와 동일한 각도로 연소가스분사유로(19)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연소가스분사유로(19)와 냉각용공기분사유로는 상호 등각도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으며, 각도는 넥크(1)의 크기에 의해 조정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의하여, 넥크파지부(7)에 의해 넥크(1)가 파지되면, 넥크이송부(9)는 펀넬적치부(5)에 적치된 펀넬(3)의 자유단부를 향해 넥크(1)를 하강시키게 되며, 넥크(1)를 펀넬(3)의 자유단부에 접촉시킨다.
넥크(1)와 펀넬(3)이 접촉하게 되면, 연소가스공급부와 점화가스공급부로부터 연소가스공급관(25)과 점화가스공급관(23)을 통해 연소가스와 점화가스가 공급되어 연소가스는 연소가스수용부(17)에 수용된 다음 각각의 연소가스분사유로(19)를 통해 분사되며, 점화가스는 점화가스분사유로(21)를 통해 분사되어 연소가스분사유로(19)를 통해 분사되는 연소가스를 점화시키게 된다. 연소가스가 점화되어 넥크(1)와 펀넬(3)의 접촉부위를 가열하게 되면, 버너구동부(13)에 의해 버너(11)가 넥크(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넥크(1)와 펀넬(3)이 융착되면, 연소가스 및 점화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며, 냉각용공기공급부로부터 냉각용공기공급관을 통해 냉각용공기가 냉각용공기수용부에 수용되어 냉각용공기분사유로를 통해 넥크(1)와 펀넬(3)의 융착부위에 분사되어 융착부위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소가스가 본체유니트의 내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를 가지고 형성된 연소가스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됨에 따라 연소가스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화염이 서로 간섭되는 현상이 억제된다.
또한, 각 본체유니트에는 연소가스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연소가스에 분사방향을 향해도록 형성된 점화가스분사유로를 통해 점화가스가 분사됨에 따라 인접한 연소가스분사유로에서 형성된 화염이 분사되는 점화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넥크와 펀넬의 접촉부위에 닿는 화염의 각도가 종래에 비해 넓어지게 되어 넥크가 균일하게 가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화염의 간섭을 억제시키고넥크를 균일하게 가열시켜 융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가 제공된다.

Claims (2)

  1. 넥크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넥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와, 외부로부터의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공급받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부분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연소가스와 냉각용공기를 상기 넥크를 향해 안내하며, 상기 수용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로 형성된 복수의 분사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넥크를 중심으로 대칭 분할된 제1본체유니트 및 제2본체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본체유니트에는 상기 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연소가스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상호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2. 삭제
KR20-1999-0006079U 1999-04-14 1999-04-14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KR200332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079U KR200332071Y1 (ko) 1999-04-14 1999-04-14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079U KR200332071Y1 (ko) 1999-04-14 1999-04-14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503U KR20000019503U (ko) 2000-11-15
KR200332071Y1 true KR200332071Y1 (ko) 2003-11-05

Family

ID=4941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079U KR200332071Y1 (ko) 1999-04-14 1999-04-14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503U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834B1 (ko) 버어너 및 그 버어너에 의한 물질 가열방법
KR200332071Y1 (ko)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버너
CN109465526B (zh) 一种小角度填丝等离子焊接装置及方法
KR19980702147A (ko) 플라즈마 토치
JP5689128B2 (ja) ガラス溶解炉用の燃焼装置及びガラス溶解炉
US4561874A (en) Method for heat sealing a gun mount in a CRT neck
JP2005188844A (ja) 管状火炎バーナ
JP2018146168A (ja) バーナー装置及び加熱処理設備
JPH0435644B2 (ko)
JP3625176B2 (ja) 燃焼装置
KR100397149B1 (ko)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KR200154254Y1 (ko) 냉온풍기의 버너
KR200266513Y1 (ko) 공업용 버너의 토치부 구조
JPH0755000Y2 (ja) 熱処理装置
JP2004294042A (ja) 加熱炉用の燃焼装置
JP3792767B2 (ja) ガラス管加工用バーナ
JPH0536356A (ja) 管球バルブの封止装置および封止方法
JP3657465B2 (ja) アークチューブの製造方法
KR900002596B1 (ko) 브라운관의 밀봉장치
US4111142A (en) Apparatus for heating seams of cans
JP2589218Y2 (ja) 石英ガラス製バーナ
KR100490214B1 (ko) 플라스마 용접기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용접형 벨로우즈제조방법
JPH0268410A (ja) 燃焼装置
JPH09303751A (ja) マッフル炉
KR0186089B1 (ko) 이중온도영역을 갖는 수평확산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