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715Y1 - 종이 넘김 용구 - Google Patents

종이 넘김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715Y1
KR200331715Y1 KR20-1999-0008546U KR19990008546U KR200331715Y1 KR 200331715 Y1 KR200331715 Y1 KR 200331715Y1 KR 19990008546 U KR19990008546 U KR 19990008546U KR 200331715 Y1 KR200331715 Y1 KR 200331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tact
elastic
friction member
amplif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011U (ko
Inventor
이병돈
Original Assignee
이병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돈 filed Critical 이병돈
Priority to KR20-1999-0008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715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 넘김 용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종이를 넘길 때 손가락에 침을 묻혀 넘김에 따라 비위생적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 고무골무를 손에 끼우고 책을 넘기는 방법이 있지만, 오랜 작업의 경우 손가락에 무리가 가고 물집이 잡히는 단점이 있으며, 고무골무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필기구의 끝에 덧씌우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뚜껑 때문에 쉽게 벗겨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종이에 대한 접촉 마찰면의 폭을 증가시키면서 그 형상변화로 인해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접촉된 종이를 밀어 넘길 수 있는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와,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식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힘을 가함에 따라 종이와의 접촉 마찰면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종이를 쉽게 넘길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종이 넘김 용구{equipment for turning the paper}
본 고안은 종이 넘김 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보통 손가락으로 책장을 넘기면서 책을 읽는데 있어, 손가락에 침을 묻혀 책장을 넘김에 따라 비위생적이었고, 특히 많은 사람들이 드나드는 도서관의 책은 여러 사람들이 상기와 같이 책장을 넘기게 됨으로써, 책장의 모서리가 더욱 구겨지고 더럽혀져 있어 이와 같은 책을 열람시 더욱 더 비위생적이었다.
한편, 정보습득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에 지하철이나 공공장소에서 독서의 붐이 일고 있는 것은 무척이나 바람직한 사회적 현상이다.
그러나, 그러한 공공장소에서 손가락에 침을 묻혀 책장을 넘기는 모습은 책을 읽는 지성인의 모습에는 걸맞지 않을 뿐 아니라, 그 광경을 바라보는 타인의 눈에도 매우 비위생적으로 보일 것이다.
책장을 넘기기 위한 제 1 종래의 방법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골무(1)를 만들어 손가락에 씌우고 책장을 넘기는 방법이 있는데, 다양한 창작에 의해 골무(1)의 외면에 돌기를 형성한다든가 골무의 일부에 환기공을 형성하여 손가락에 땀이 덜 차게 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형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고무골무(1)에 의한 손가락의 압박감이 문제가 되고, 장시간 사용시 건강의 문제 뿐 아니라, 책장과 접촉하게 되는 손가락의 접촉면이 마찰에 의해 아프고 심지어는 물집이 잡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손가락에 고무 골무를 끼우는 방식보다 좀더 개선된 기술로 고무 골무를 소형으로 만들어서 필기구의 한쪽 끝에 덧씌워서 사용하는 기술이 있다.
도 12 에는 제 2 종래 예로서 고무골무가 덧씌워진 필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소형골무(2)를 제작하여 필기구(3)의 후방부 및 전방부에 씌워서 고무골무를 책장에 마찰시켜서 책장을 넘기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고무골무를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할 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고무골무의 두께로 인한 문제점, 즉, 필기구에 덧씌우는 고무골무를 두껍게 하는 경우 필기구의 기본적인 크기에 따른 필요이상으로 필기구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뚜껑을 열었다가 닫았다가 하는 필기구의 경우, 일반적으로 필기구의 앞부분의 뚜껑을 열어서 후방부에 끼워놓았다가 사용후에는 다시 앞부분에 끼우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고무골무의 부피가 커지면 필기구의 뚜껑을 앞부분에서 열어서 후방부에 끼우는데 문제가 생기게 된다. 즉, 일반적인 필기구의 뚜껑은 필기구 파지부의 외주면에 맞도록 그 내경이 설계되며 필기구를 최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외경의 두께는 일상적으로 대동소이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기존 두께의 필기구에 고무골무만큼의 두께를 더하여 두껍게 한다는 것은 소형화 추세의 필기구 품목에는 실질상 적당하지 않음과 더불어 뚜껑 착용의 문제 때문에 고무골무의 두께를 무한정 두껍게 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해 실제적으로는 손가락에 끼우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고무골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고무 골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고무골무가 책장과 접촉되어 눌릴 때 고무골무에 끼워지는 필기구의 단단한 부분과의 마찰에 의해 오래 견디지 못하고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필기구에 고무골무를 덧씌우다 보니 뚜껑을 필기구의 앞부분에서 열어서 필기구의 후방부에 끼웠다가 다시 필기구의 앞부분을 끼울때 고무골무가 뚜껑과 필기구 후방부사이에 밀착되어 끼워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뚜껑을 필기구의 후방부에서 다시 빼낼 때 뚜껑이 잘 빠지지 않고 고무골무도 같이 벗겨지는 일이 빈번하였다.
또한, 종래의 고무골무가 덧 씌워진 필기구의 경우, 책장과 접촉하는 면이 일반적으로는 점접촉 또는 선(line)접촉을 하게 되므로 책장에 접촉하여 힘을 가할 때 책장이 미끄러지지 않고 넘어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접촉되는 부분이 어느 정도는 길어야 한다. 따라서, 책장에 실제적으로 접촉하는 고무골무의 부분은 얼마되지 않는데 고무골무가 차지하는 부피는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점접촉일 경우에도 접촉면적이 적은 만큼 종이가 미끄러지지 않고 다음장으로 넘어가도록 지속적으로 종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필기구에 힘을 세게 가해야 하므로, 오랜 작업의 경우 역시 손가락에 무리가 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무골무가 덧씌워진 부분을 측면으로 비스듬히 절단하여 종이와의 접촉면을 넓게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접촉면적이 커짐으로 인해 종이에 힘을 전달하는데는 다른 방법보다 유리한 점이 있으나 종이가 미끄러지지 않고 다음장으로 넘어갈 때까지 역시 필기구에 힘을 세게 주고 있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며, 한쪽 측면을 비스듬히 깎았으므로 그 쪽면을 최적으로 종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파지하는 방법이 한가지로 고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종이를 넘길 때 필기구의 파지에 다양함이 없다는 문제점이 내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손가락에 고무골무를 끼워 사용하는 제 1 종래예에서 발생되는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 2 종래예에서 발생되는 고무골무와 책장과의 접촉이 선접촉인 문제점, 뚜껑문제로 인해서 고무골무가 얇아져 찢어지거나 벗겨지는 문제점, 계속적으로 큰 힘을 주어야 함으로 인해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 필기구를 파지하는 방법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의 목적은 책장을 넘기는 부재의 부피는 최소로 하면서도,종이에 접촉하는 탄성 마찰부재의 실제적인 접촉면은 가능한 넓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책장을 넘기는 부재가 뚜껑을 끼우고 빼내는데 있어 하등의 방해요인이 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에 접촉하는 탄성마찰부재의 형태변형에 따라 탄성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그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손가락으로 가해야 하는 힘을 약간이나마 줄이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를 넘기기 위해 손잡이부를 파지할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마찰부재의 다양한 측면에서 종이와 접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종이에 대한 접촉 마찰면의 폭을 증가시키면서 그 형상변화로 인해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접촉된 종이를 밀어 넘길 수 있는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와,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식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를 종이에 접촉한 후 힘을 가함에 따라, 종이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점차로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마찰부재의 형상에 변형이 생기는 만큼 탄성에너지가 축적되어 그로 인한 반발력이 사람이 손으로 손잡이부를 통하여 미는 힘과 합쳐져서 종이를 효과적으로 넘길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고무골무가 씌워진 필기구에서는 종이와의 접촉이 선 접촉으로 되거나 고정된 면적의 접촉면을 가지고 마찰부재와 종이와의 마찰력을 이용해 종이를 넘겼음에 반하여 본 고안에 의한 필기구를 이용하면 힘을 가함에 따라 접촉면이 가변적으로 증가되어 종이와의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킴과 아울러 탄성마찰부재의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쉽게 종이를 넘길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종이에 접촉하여 눌려져서 휘어짐을 통해 종이와의 접촉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고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휨성질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종이에 접촉하는 마찰면이 눌려져서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고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도록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종이에 접촉하는 마찰면이 눌려져서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고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도록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그 수평방향의 최대 외경이 상기 케이스의 외경이하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구형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구형으로 오목하게 라운드 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원추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그 둘레면이 종이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 종이와의 접촉마찰면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개폐식 뚜껑이 제 1 내지 4 실시예의 상기 증폭 마찰부재를 갖는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0 실시예에서 포켓꽂이부는 종이를 접촉하여 밀어 넘기는 탄성 마찰재질의 접촉부를 갖는다.
도 1(a) 내지 1(d)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1실시예,
도 2(a) 및 2(c)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2 실시예,
도 3(a) 및 3(c)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3 실시예,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4 실시예,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5 실시예,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6 실시예,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7 실시예,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8 실시예,
도 9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9 실시예,
도 10(a) 및 10(b)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10 실시예,
도 11 은 제 1 종래예에 따른 책상 넘김 기능을 위한 골무의 사시도,
도 12 는 제 2 종래예에 따른 고무골무가 덧씌워진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 11 : 접촉마찰면
13 : 빈공간 14 : 개공부
20 : 손잡이부 30 : 개폐식 뚜껑
40 : 포켓 꽂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a)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정면도이고, 도 1(b) 는 평면도이고, 도 1(c)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d) 는 도 1(c)의 사용상태에서 종이와의 접촉마찰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탄성 부재(1O)가 설치된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마찰부재(1O)는 탄성을 지니고 있는 재질로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졌다가 외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된다. 즉, 탄성마찰부재(10)가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경우 그 형태변형으로 인해 탄성마찰부재(10)에는 탄성에너지가 축적된다. 그 축적된 탄성에너지는 외력이 가해지는 동안 반작용으로 종이에 가해지게 되고 이렇게 함으로 인해 일단 손가락으로 미는 힘에 의해 축적된 그 탄성력이 종이를 넘기는 방향으로 더해지게 됨으로써 미는 사람이 종이에 처음 접촉할 때에만 힘을 가한 후에는 어느 정도 힘을 빼더라도 그 힘이 종이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마찰부재(10)의 형태 및 크기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으며, 종이에 접촉하여 종이를 넘기기 위해서는 미끄럽지 않을 정도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의 부재임과 아울러, 힘을 받았을 때 종이와 접촉되는 부분이 많아지려면 탄성력이 뛰어난 부재일수록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그 모양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나이프처럼 양면을 갖고 형성되어 휘어지게 할 수 있고, 붓의 끝처럼 생긴 형태로 하여 휘어지게 할 수 있다. 휘어졌을 때 종이와 접촉되는 부분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손잡이부(20)를 파지하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의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기구 파지방법의 폭을 축소되지만 그 접촉하는 면에서 커다란 유익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기구의 파지의 다양함을 위해서는 여러 방향으로 휘어지기 쉽도록 단면이 원형인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종이 넘김 용구를 이용하여 종이를 넘기는 실제적인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1(c) 및 도 1(d) 에서 볼 수 있듯이 종이에 탄성 마찰부재(10)를 접촉하여 힘을 가하면 탄성 마찰 부재(10)가 휘어져 힘을 가할수록 종이에 접촉되는 접촉면(11)이 더 증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 마찰 부재(10)와 종이와의 마찰력이 더 증가하게 되므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밀어도 종이를 쉽게 넘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역시 탄성마찰부재(10)가 휘어지는 동안 그 형태변형으로 인해 탄성력이 축적됨으로써 그 탄성력도 종이를 넘기는 힘으로 작용할 것이다.
상기 종이에 대한 탄성부재(10)의 접촉 마찰면(11)은 힘을 가함에 따라 그 접촉 마찰면(11)의 폭이 점차로 증가하게 되므로 이 탄성부재(10)를 증폭가능 마찰부재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형성된 증폭가능 마찰부재(10)를 휨성질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종이에 접촉하여 눌려져서 휘어짐을 통해 종이와의 접촉 마찰면의 폭이 증가되며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종이를 쉽게 넘길 수 있게 하였다.
도 2(a) 및 도 2(c)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2(a)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정면도이고, 도 2(b) 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c) 는 도 1(b)의 사용상태에서 종이와의 접촉마찰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후측단에 외력에 의해 종이에 접촉하는 마찰면이 눌려져서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도록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쿠션마찰 부재(10)가 설치된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쿠션 마찰부재(10)는 속이 채워지고 자체적으로 쿠션이 있는 재질로 외력이 가해지면 힘을 받은 면이 눌려지고 외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되고 따라서, 그 쿠션에 의해 종이와의 접촉마찰면이 증가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형태변화로 인해 탄성에너지가 축적되면서 그 탄성에너지가 종이를 넘기는데 합세하게 됨으로써 사람이 가해야 하는 힘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그 모양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으며, 힘을 받았을 때 종이와 접촉되는 부분이 많아지려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임과 아울러 쿠션이 뛰어난 부재일수록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종이 넘김 용구를 이용하여 종이를 넘기는 실제적인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2(b) 및 2(c) 에서 볼 수 있듯이 종이에 쿠션 마찰부재(10)를 접촉하여 힘을 가하면 쿠션 마찰 부재(10)가 눌려져 힘을 가할수록 종이에 접촉되는 접촉면(11)이 더 증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쿠션 마찰 부재(10)와 종이와의 마찰력이 더 증가하게 되므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밀어도 종이를 쉽게 넘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종이에 대한 쿠션 마찰부재(10)의 접촉 마찰면(11)은 힘을 가함에 따라 그 접촉 마찰면(11)의 폭이 점차로 증가하게 되므로 이 탄성부재(10)를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형성된 증폭가능 마찰부재(10)를 쿠션 성질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종이에 접촉하여 눌려짐을 통해 종이와의 접촉 마찰면의 폭이 증가되도록 종이를 쉽게 넘길 수 있게 하였다.
도 3(a) 및 도 3(c)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3(a) 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정면도이고, 도 3(b) 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3(c) 는 도 3(b) 의 사용상태에서 종이와의 접촉마찰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외력에 의해 종이에 접촉하는 마찰면이 눌려져서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도록 그 내부에 빈 공간(13)이 형성된 중공형 탄성 마찰부재(10)가 설치된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형 탄성 마찰부재(10)는 속이 비어 있는 탄성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가해지면 빈 공간의 유동성에 의해 접촉부가 눌려져 힘을 받은 면이 눌려지고 외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된다.
역시 이 경우에는 외력으로 인한 형태변화에 의해 탄성에너지가 축적되었다가 이 탄성에너지가 종이를 같이 밀어주게 됨으로써 종이에 가해야 하는 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종이 넘김 용구를 이용하여 종이를 넘기는 실제적인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3(b) 및 3(c) 에서 볼 수 있듯이 종이에 중공형 탄성 마찰부재(10)를 접촉하여 힘을 가하면 중공형 탄성 마찰 부재(10)가 눌려져 힘을 가할수록 종이에 접촉되는 접촉면(11)이 더 증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쿠션 마찰 부재(10)와 종이와의 마찰력이 더 증가하게 되므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밀어도 종이를 쉽게 넘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뚜껑을 끼우는데 그 두께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그 수평방향의 최대 외경이 상기 손잡이부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증폭가능 마찰부재(10)가 설치된다.
즉, 외력에 의해 종이에 접촉하는 접촉 마찰면이 눌려져서 접촉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는 특성을 지님과 아울러 뚜껑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마찰부재의 외경을 손잡이부의 외경내로 하는 것은 뚜껑을 끼우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뚜껑을 끼우는데 고무골무가 방해되었음에 반하여 제 4 실시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는 뚜껑을 끼우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뚜껑을 구비하는 종류의 필기구에 증폭가능 마찰부재의 특성을 통한 종이 넘김 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 있다.
도 5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5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구형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형성된 증폭가능 마찰부재(1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증폭가능 마찰부재(10)의 형태를 원통형, 다각형, 상면과 측면이 90°또는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각도를 지니는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겠지만 제 5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필기구는 증폭가능 마찰부재의 형태가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종이와의 접촉 마찰면의 형태를 원형으로 함으로써 접촉 마찰면의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증폭가능 마찰부재를 종이에 처음 접촉할 때는 그 접촉마찰면의 형태가 점의 형태를 이루지만 점점 힘을 가해 누름에 따라 그 점 형태의 접촉마찰면이 점점 커져 확대된 원형의 접촉면을 갖게 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개시되었던 증폭가능 마찰부재 각각의 특성들을 더 잘 드러나게 할 수 있다.
도 6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6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구형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져 형성된 증폭가능 마찰부재(1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 일측단에 형성되는 증폭가능 마찰부재(10)의 형태가 오목하게 라운드지는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종이와의 접촉 마찰면의 형태를 폐곡선 형태의 접촉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접촉 마찰면의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키고, 종이에 접촉하는 증폭가능 마찰부재의 각도에 있어 평면이나 볼록한 경우나 기타 다른 형태보다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더 큰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는 오목하게 라운드진 부분이 증폭가능 마찰부재(10)의 정중앙에 수평으로 잘라진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증폭가능 마찰부재(10)의 측면에 비스듬히 잘라진 형태로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렇게 함에 따라 손잡이부(20)를 파지하여 종이에 접촉할 때에 손잡이부(20)의 파지각도가 각각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역시 각각의 경우에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의 형태가 변화됨으로 인한 탄성에너지의 축적과정이 진행되고 그 축적된 탄성에너지가 종이를 넘기는데 사용됨으로써 종이를 넘기는데 드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부의 파지를 아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오목하게 라운드지는 증폭가능 마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종이와의 접촉마찰면이 더 증가되고 종이를 밀어 넘기는 힘이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개시되었던 증폭가능 마찰부재 각각의특성들을 더 잘 나타낼 수 있다.
도 7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7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증폭가능 마찰부재(1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증폭가능 마찰부재(10)의 형태가 원추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원추형으로 함으로써 필기구를 파지할 때 종이와의 접촉하는 손잡이부(20)의 각도가 사용하기 편리하게 되며 역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개시되었던 증폭가능 마찰부재 각각의 특성들이 더 잘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도 8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8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그 중앙부에 개공부가 형성된 증폭가능 마찰부재(10)가 설치된다. 손잡이부(2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증폭가능 마찰부재(10)의 형태가 마찰부재의 중앙부에 상측이 열려지고 둘레면을 갖는 개공부를 두고 있는데 이는 마찰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공부의 둘레면이 종이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 종이와의 접촉마찰면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역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개시되었던 증폭가능 마찰부재 각각의 특성들이 더 잘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9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9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식 뚜껑(30)이 종이에 접촉하여 힘을 가함에 따라 그 접촉마찰면의 폭이 증가되어 종이를 넘길 수 있게 하는 증폭 마찰부재(10)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개폐식 뚜껑(30)에 증폭 마찰부재(20)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손잡이부의 앞쪽에 끼웠을 때나 뒤쪽에 끼웠을 때에 상관없이 종이 넘김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에서 개시되었던 증폭가능 마찰부재를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종이 넘김의 기능을 한층 더 나타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넘김 용구의 제 10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꽂이부(40)에 종이를 접촉하여 밀어 넘기는 탄성 마찰재질의 접촉면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보여준다. 포켓 꽂이부(40)는 손잡이부의 일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를 비스듬하게 기울일 경우 포켓 꽂이부(40)의 일부분이 종이를 넘기는데 필요한 접촉마찰부(10)를 제공할 수 있는 부분으로 아주 적절하다.
따라서, 포켓 꽂이부에 탄성 마찰재질의 접촉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하여 포켓 꽂이부에 형성된 마찰재질면이 종이에 잘 접촉되도록 손잡이부를 파지함으로써 종이를 넘길 수 있게 된다.
포겟 꽂이부에 탄성 마찰재질의 접촉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접촉면은 손잡이부를 파지했을 때 마찰재질면이 종이에 잘 접촉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를 여러 각도로 파지할 수 있겠으나 45°정도로 기울려 파지했을 때 그 접촉면이 종이에 접촉될 수 있게 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0(a) 에는 포켓 꽂이부(40)의 측부에 마찰부재가 설치되고 있고, 도 10(b) 에는 포켓 꽂이부(40)의 상단 부에 설치되어 있다.
포켓 꽂이부의 적정위치에 마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종이 넘김 용구를 비스듬히 기울였을 때 종이와의 접촉이 용이하여 종이를 쉽게 넘길 수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8 실시예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각각의 특성을 한층 드러낼 수 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라 몇몇의 실시예들을 보여주고 설명했지만, 전술한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다양한 변경 및 변형들을 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보여주고 설명된 내용들에 한정되기를 원하지 않고 통상의 지식인들에게 자명한 것과 같은 그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들을 포함하기를 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종이에 접촉하여 힘을 가하는 경우, 종이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점차로 증가되어 넓은 접촉면을 갖게 되므로, 종래의 고무골무가 씌워진 필기구에서는 종이에 선 접촉되거나 점접촉 되거나 고정된 면적의 접촉면을 가지고 탄성재질과 종이와의 마찰력에 의해 종이를 넘겼음에 반하여 본 고안에서는 힘을 가함에 따라 접촉면이 가변적으로 증가되어 종이와의 마찰력이 더욱 증가되고, 탄성마찰부재의 형태변화시 축적되는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책장을 넘김에 따라 손쉽게 책장을 넘길 수 있으며, 종이를 넘길 때 필기구의 파지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로 손쉽게 책을 넘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제공하면서 손에 침을 발라 책장을 넘길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위생적인 독서 생활 환경의 제공은 물론 각종 서류 및 서적의 취급에 향상된 효율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종이에 대한 접촉 마찰면의 폭을 증가시키면서 그 형상변화로 인해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접촉된 종이를 밀어 넘길 수 있는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와,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식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종이 넘김 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상기 종이에 접촉하여 눌려져서 휘어짐을 통해 종이와의 접촉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고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휨성질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종이 넘김 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종이에 접촉하는 마찰면이 눌려져서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고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도록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종이 넘김 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종이에 접촉하는 마찰면이 눌려져서 마찰면의 폭이 넓어지고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도록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종이 넘김 용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가능 탄성마찰부재는 구형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거나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종이 넘김 용구.
  6. 삭제
KR20-1999-0008546U 1999-05-18 1999-05-18 종이 넘김 용구 KR200331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46U KR200331715Y1 (ko) 1999-05-18 1999-05-18 종이 넘김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46U KR200331715Y1 (ko) 1999-05-18 1999-05-18 종이 넘김 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97U Division KR20010002210U (ko) 2001-04-17 2001-04-17 종이 넘김 기능이 구비된 책갈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11U KR20000021011U (ko) 2000-12-15
KR200331715Y1 true KR200331715Y1 (ko) 2003-11-01

Family

ID=4933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546U KR200331715Y1 (ko) 1999-05-18 1999-05-18 종이 넘김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7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70Y1 (ko) * 2012-08-30 2014-06-27 구기승 펜대 부착용 쿠션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11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51194A1 (en) Collecting and restoring user environment data using removable storage
US5774944A (en) Band cable easily released from coupling state
US5720062A (en) Combination letter slitter and staple remover
KR200331715Y1 (ko) 종이 넘김 용구
JP2007276312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US6702496B1 (en) Writing pen with a holder
JP5453635B2 (ja)
USD444121S1 (en) Desktop charger
JP5002400B2 (ja) 筆記具保持用補助具
USD527733S1 (en) Memory device with release button for use with cellular telephones
USD527734S1 (en) Memory device for use with cellular telephones
EP1110477A1 (en) Artificial tooth storage box
JP2000255184A (ja) 帳票めくり具
KR200267914Y1 (ko) 휴대용 수첩
CN216781928U (zh) 一种剪刀收纳套
EP1696640B1 (en) Ergonomic clip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182840Y1 (ko) 골무형 볼펜
JPS6243828Y2 (ko)
USD456411S1 (en) Input pen
KR1008442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보드 장치
WO2003029022A1 (en)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KR19990008815U (ko) 접이식 1회용 종이컵
KR200153279Y1 (ko) 탁상용 클립
KR200208791Y1 (ko) 스타일러스펜
JP2005312712A (ja) まつ毛カー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