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380Y1 -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380Y1
KR200331380Y1 KR20-2003-0018379U KR20030018379U KR200331380Y1 KR 200331380 Y1 KR200331380 Y1 KR 200331380Y1 KR 20030018379 U KR20030018379 U KR 20030018379U KR 200331380 Y1 KR200331380 Y1 KR 200331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anel
polyethylene foam
foam sheet
lamina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일론
주식회사일호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일론, 주식회사일호강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일론
Priority to KR20-2003-0018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패널의 표면 부재인 강판(1)의 내측면에 내열·내화성능이 개선된 폴리에틸렌폼시트(2)와 섬유상의 글라스화이바, 카본화이바 등의 불연재층(3)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패널은 미세하고 균일한 독립기포체로 구성되어 단열성, 흡음성, 내화학성 및 비흡습성이 탁월한 폴리에틸렌폼시트(2)를 무기계 난연제를 다량 함침시켜 개질함으로서 내열·내화성능을 향상시키고, 생리적으로 안전성이 있는 섬유상의 글라스화이바, 카본화이바 등의 불연재층(3)을 적층시킨 구조로서 불연성, 단열성 및 흡음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의 건축용 패널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The structural panel}
본 고안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연성, 단열성 및 흡음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의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패널은 여러 가지 형태가 보급되지만,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구조는 첨부한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측 강판(1) 사이에 단열재층(4)으로 EPS(Expanded Polystyren)를 충진시킨 EPS패널(샌드위치판넬)과 석면, 암면, 유리솜 등의 단열재층(4)를 충진시킨 글라스울패널(Glasswool panel)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용 패널시장에서 EPS패널이 80%, 글라스울패널이 20% 정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PS패널의 경우 화재발생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고 화염에 취약한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사용규제 법안이 마련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대형화재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급증하면서 내화성 패널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런 EPS패널의 대안으로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글라스울패널의 경우 내열성, 내화성,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특성으로 EPS패널의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석면은 이미 오래전부터 그 사용이 금지되거나 규제되고 있는 발암성 물질이며, 암면이나 유리솜의 경우에도 생리적으로는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입자가 수미크론에서 수백미크론으로 쉽게 공기중에 비산하여 호흡기 및 피부에 심한 자극을 일으킨다. 또한 흡습성 구조로 인하여 수분침투시 재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내외측의 표면이 강판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소음 발생시 잔향이 심하고, 내측 강판 표면에서 결로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불연성, 단열성 및 흡음성이 탁월한 다기능성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건축용 패널의 화재예방능력 및 화재시의 유독가스 발생억제를 목적으로 섬유상의 글라스화이바, 카본화이바 등의 불연재층(3)을 채택하고, 동시에 건축물의 보온단열효과 및 방음·흡음효과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폼시트(2)를사용함과 동시에 폴리에틸렌폼시트(2)에 무기계 난연제를 함침시켜 개질시킴으로서 내화성능을 부여하였다. 또한 내측면에 섬유상의 불연재층(3)을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판
2. 폴리에틸렌폼시트
3. 불연재층
4. 단열재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패널은 섬유상의 글라스화이바, 카본화이바 등의 불연재층(3)과 미세하고 균일한 독립기포체로 형성된 폴리에틸렌폼시트(2)를 강판(1)의 한측에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패널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것으로서, 건축용 패널의 표면 부재인 강판(1)의 내측면에 내열·내화성능이 개선된 폴리에틸렌폼시트(2)와 섬유상의 글라스화이바, 카본화이바 등의 불연재층(3)을 적층시킨 건축용 패널로서, 그 상세한 구성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강판(1)의 내측에 적층되는 폴리에틸렌폼시트(2)는 미세하고 균일한 독립기포체로 구성되여 단열성, 흡음성, 내약품성 및 비흡습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성형성이 뛰어나다. 일반적인 폴리에틸렌폼시트(2)는 내열성이 약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무기계 난연제를 다량 첨가하여 개질시켜 내열, 내화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폼시트(2)는 폴리스티렌폼(EPS,Expanded Polystyren)이나 글라스울 등의 단열재층(4)에 비해 비흡습성이 우수하여 재질의 성능이 오래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무기계 난연제로 개질시킨 폴리에틸렌폼시트(2)는 사용용도에 따라서 밀도는 0.025 내지 0.05g/㎠이고, 발포배율은 20 내지 40배율이며, 열전도율이 0.028 내지 0.040㎉/m·hr·℃의 범위의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폼시트(2) 내측에 적층되는 불연재층(3)은 섬유질 형태의 글라스화이바, 카본화이바 등의 불연성 재질로서 내화성능과 흡음성능을 동시에 제공하며, 섬유상의 재질이므로 표면의 색상 및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글라스화이바와 카본화이바는 600℃ 정도의 고온에 견디고 불에 타지 않으며, 흡수성이 없고 화학적 내구성이 있어 부식하거나 마모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판넬의 제조공정은 먼저 폴리에틸렌폼시트(2)와 섬유상의 불연재층(3)을 열융착 또는 접착처리하여 부착하고, 이를 강판(1)의 한측에 열융착한 후 성형롤라에 통과시켜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무기계 난연제로 개질시킨 폴리에틸렌폼시트(2)와 섬유상의 불연재층(3)이 강판(1)에 적층되므로서 불연성, 단열성, 흡음성 등 다양한 기능의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EPS패널의 단점인 화재시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글라스울패널의 경우 흡습성 재질로 기능이 쉽게 저하되고 단열재층이 비산하여 인체에 유해를 끼치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종래의 패널 구조가 내외측이 모두 강판으로 구성되어 실내소음 증가와 결로발생 등의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게된다.

Claims (3)

  1. 섬유질형태의 불연층(3)과 폴리에틸렌폼시트(2)와 강판(1)의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서, 섬유질 형태의 불연재층(3)과 폴리에틸렌폼시트(2)를 상호 접착한 후, 폴리에틸렌폼시트(2)의 한측을 강판(1)에 접착시킨 건축용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섬유질 형태의 불연재층(3)은 글라스화이바 또는 카본 화이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폼시트(2)는 무기계 난연제로 개질시킨 것으로 두께가 3 내지 50mm인 것이고, 밀도가 0.025 내지 0.05 g/㎠이며, 발포배율이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KR20-2003-0018379U 2003-06-09 2003-06-09 건축용 패널 KR200331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79U KR200331380Y1 (ko) 2003-06-09 2003-06-09 건축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379U KR200331380Y1 (ko) 2003-06-09 2003-06-09 건축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380Y1 true KR200331380Y1 (ko) 2003-10-30

Family

ID=4941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379U KR200331380Y1 (ko) 2003-06-09 2003-06-09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3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64B1 (ko) 2010-09-03 2012-11-09 주식회사 모젤디앤에스 흡음재용 외장시트, 그의 제조방법 및 흡음형 방음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64B1 (ko) 2010-09-03 2012-11-09 주식회사 모젤디앤에스 흡음재용 외장시트, 그의 제조방법 및 흡음형 방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359B1 (ko)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방화용 단열패드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20190054891A (ko) 준불연 시트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시트, 이 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준불연 도어
KR101398423B1 (ko)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CN212641796U (zh) 防火性能好的建筑保温墙
KR200331380Y1 (ko) 건축용 패널
KR102073626B1 (ko) 방화문의 구조
KR20150041273A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타입의 단열재 구조물
KR20150070763A (ko) 방화기능을 갖는 실내 도어
CN213510290U (zh) 一种防火贴片和木质防火门
JP2008261196A (ja) 水溶性耐火材料水溶液を用いた耐火・耐熱パネルの製造方法
CN202899332U (zh) 防火保温板
JP2013099864A (ja) 不燃積層材
JP4015144B2 (ja) 不燃断熱フォーム材を用いる断熱構造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JP2006104702A (ja) 高断熱性−耐燃焼性基礎建材
JP3806733B2 (ja) ハニカム材セルにフェノールフォーム充填の不燃サンドイッチ構造体
KR20130077385A (ko) 준 불연 건축용 벽체
KR200168597Y1 (ko) 불연 방음판
KR101177348B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CN211622067U (zh) 一种防火聚氨酯发泡墙板
KR20060052958A (ko) 고내화 무기계 발포체
KR200296022Y1 (ko) 기능성 내·방화 복합패널
TWM588718U (zh) 具有環保防火建築基材
KR20190030663A (ko) 복합 결로(結露)방지 페놀폼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