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936Y1 - 건축용조립식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조립식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936Y1
KR200330936Y1 KR20-2003-0022819U KR20030022819U KR200330936Y1 KR 200330936 Y1 KR200330936 Y1 KR 200330936Y1 KR 20030022819 U KR20030022819 U KR 20030022819U KR 200330936 Y1 KR200330936 Y1 KR 200330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astening
building
prefabricat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재옥
Original Assignee
추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재옥 filed Critical 추재옥
Priority to KR20-2003-0022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9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멜라닌폼재로몰드성형된 장방형판넬내부에 형성한 수용공간에 경량기포콘크리트와 혼합한 황토와 맥반석이나 맥섬석입입자를 충진시켜 굳힌후, 상부커버를 끼워 조립한 후 판넬에 형성된 체결요홈에 평판체결대와 평판체결대로 다수개의 판넬을 연결시키고 바닥에 고정시키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 불연재인 판넬케이스 내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굳힌 충진재로 구조강도를 보강한 것으로, 특히 비내력벽에 유효하도록 한 것으로,자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있으며,멜라님폼재에 의해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하고,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완충 및 소음 차단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양측면의 평판체결대(100e)와 하부의 코너체결대(100c)를 통하여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연속적이고 안정되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판넬{the fold up phanel for a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판넬케이스(100)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이곳에 건강기능성 충진재(300)를 충진시킨 후 상부커버(200)를 끼워 조립한 후, 판넬케이스(100) 좌우와 하부테두리에 형성된 체결요홈(100a)에 평판체결대(100e)와 코너체결대(100c)를 이용해 아파트나 일반주택 상가등에 유용하도록한 비내력 칸막이조립벽체로 이용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조립식 건축물의 비내력조립벽체칸막이 부재로 사용되는 건축용조립식 판넬은 외장판넬과 내장판넬 사이에 일정 두께의 스치로폼을 채우고 상하부는 마감판넬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기간이 짧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반면, 단열이 미흡하고 건축물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없으며, 조그만 화기에 쉽게 스치로폼이 녹거나, 유독성 가스를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완충 및 소음 차단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실용신안 등록 제265998호 "조립식 황토 패널"은 외장판넬의 일측에 스치로폼이 부착되고, 상하부에 마감판넬이 부착되는 조립식 패널에 있어서, 상기 스치로폼의 일측에 황토보드를 형성시키고, 상기 황토보드의 내측으로 마감보드를 부착시킨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지만 이 고안 역시 조그만 화기에 쉽게 녹는 스치로폼으로 인해 유독성 가스와 화재에 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87104호의 경우에는 격자구조의 사출물사이에 황토등의 복합소재를 충진후 상하부에 완충패드와 커버를 레벳방식으로 적층한 조립식판넬체가 제안된바 있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하여는 적층격자를 비롯해 상하부의 완충패드나 커버가 사출물로 되어 있어 화재시 취약하다는 점이 지적되는 바이다.
한편,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76575호에서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이나 나사 및 볼트로 조립해 사각틀로 형성한 내부에 발포수지재를 충진한후 그 양방외부방향으로 소정두께만큼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으로,각 단위벽체 마다 수직부재나 수평부재로 틀을 짠후 그 내부벽에 발포수지재를 충진후 그 내부에 발포수지재를 채우는 것으로 되였는데, 이와같은 구조의 종래기술에서는 일일이 현장에서 조립해야 하는 불편과 내부에 발포수지재를 충진하는 것으로 역시 화재시 유독가스의 발생이 우려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42834호의 경우에는 지붕판넬과 벽판넬을 구성함에 있어서, 폐합성수지재로 압출형성한 간격유지부를 갖는 판넬내부에 스츠로폼,황토,돌가루를 내장한 조립판넬의 경우에, 특히 벽판넬의 경우 통기성이 나빠 결로현상의 동반과 더불어 양자 화재에 취약한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현장조립이 용이하며 공기단축을 위한, 비내력벽으로 적용되도록한 건축용 조립식벽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불연성 소재인 고밀도 멜라닌폼재로 조립벽판넬외장체를 단위벽체로 몰드성형하되, 내부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에 원적외선발산이 좋은 황토,맥반석,맥섬석 및 기타 건강기능성소재를 일정비율 혼합 충진재로 굳혀 건강소재벽판넬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부에 공극이 많아 단열과 방음효과를 부여 하도록 하며, 특히 단위벽체로 비내력벽체로도 적용할수 있도록 하며, 습도조절,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완충 및 소음 차단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판넬케이스 100a: 체결요홈
100b: 체결공 100c: 코너체결대
100d,100d': 앵커볼트너트 100e: 평판체결대
100f: 체결요홈육후부 100g: 삽입요부
100h: 삽입돌부 100i: 간격보강보
200: 상부커버 300: 충진재
본 고안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A-A선 단면도이고, 제 4도는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 5도는 본 고안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장방형 형태로 상측면이 개구되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내측양단부에 삽입요부(100g)를 형성하며, 전면과 배면의 양측테와 하단테 내측면 일정부위에 체결요홈육후부(100f)와 그 외측부에는 체결요홈(100a)과 체결공(100b)을 형성하고,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 일정부위에 간격보강보(100i)가 형성되게 고밀도멜라닌폼으로 몰드 형성된 판넬케이스(100)와 상기 판넬케이스(100) 내부에 충진재(300)로 굳힌후 길이방향 양편으로 삽입돌부 (100h)가 형성된 상부커버(200)를 결합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알아보면, 상기 판넬케이스(100)의 재질로 채택된 고밀도멜라닌폼은 국내에서는 생산되지 않고 독일 바스프사에서 생산되는것으로 난연성으로 불연에 가까워 국내에서는 주로 방음용 이나 흡음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판넬케이스(100)의 전면과 배면의 양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양측판넬을 결합을 위한 체결공(100b)이 형성된 다수의 체결요홈(100a)을 형성하고, 상기 판넬케이스(100)의 전면과 배면의 하단부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00b)이 형성된 다수의 체결요홈(100a)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부 판넬케이스(100b)의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간격보강보(100i)를 설치하여 두께방향으로 쏠리는 힘에 의하여 대항하는 힘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상기 판넬케이스에 형성된 체결요홈(100a)의 판넬케이스 내측면에 체결요홈육후부(100f)를 형성하여 판넬케이스(100)에 형성된 체결요홈 (100a)에 앵커볼트너트(100d,100d')를 삽입고정시 체결요홈육후부가 앵커볼트너트 (100d,100d')를 고정지탱 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판넬케이스(100) 내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와 황토,맥반석이나 맥섬석 입자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충진재(300)를 충진해 굳힘으로써, 판넬 자체의 내구성과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충진재체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불연재인 멜라닌폼의 특질에 의해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하며,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다공성으로 단열및 방음효과가 있으며, 습도조절능력이 있도록 하며,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완충 및 소음 차단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상측면이 개구된 상기 판넬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의 상부 내면에 각각 삽입요부(100g)를 형성하고, 상기 판넬케이스(100)의 개구된 상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상부커버(20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삽입돌부(100h)를 형성하여, 상부커버 (200)의 삽입돌부가 상기 판넬케이스(100)의 삽입요부(100g)에 결합되어 상기 판넬케이스(100)내의 충진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공장에서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 1과 같이 완성시킨 후 현장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현장에서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케이스 (100)의 전면과 배면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요홈(100)에 각각의 평판체결대(100e)를 조립한 후 판넬케이스(100)에 형성된 체결요홈(100a)의 체결공 (100b)과 평판체결대(100e)가 일치하는 지점에 앵커볼트너트(100d)를 체결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판넬케이스(100) 측면 체결요홈(100a)에 각각의 평판체결대(100e)를 연속해서 조립하면 좌, 우측으로 연속적인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연속적인 조립을 통하여 벽체를 이루는 판넬케이스(100)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판넬케이스(100)의 전면과 배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요홈(100a)에 코너체결대(100c)를 조립한 후 판넬케이스(100)의 전면과 배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요홈(100a)의 체결공(100b)과 코너체결대 (100c)가 일치하는 지점에 앵커볼트너트(100d')를 체결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하고, 바닥면에 구멍을 뚫어 코너체결대(100c)의 바닥면과 일치하는 지점에 앵커볼트너트(100d')를 체결하여 서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연속적인 조립을 통하여 벽체를 이루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양측면의 평판체결대(100e)와 하부의 코너체결대(100c)를 통하여 일체형을 이루게 되면서 견고하고 안정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판넬케이스(100) 내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와 황토,맥반석이나 맥섬석 입자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충진재(300)를 충진하고, 양측면의 평판체결대(100e)와 하부의 코너체결대(100c)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연속적이고 안정되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판넬케이스(100)는 불연재인 멜라닌폼의 특질에 의해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하며,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다공성으로 단열및 방음효과가 있으며, 습도조절능력이 있도록 있어 보다 안정성이 있으며,내부에 경량기포황토(300)를 충진시키므로서 자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황토자체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있으며,화재시 유독가스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하고,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완충 및 소음 차단기능을 할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장방형 형태로 상측면이 개구되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내측양단부에 삽입요부 (100g)를 형성하며, 전면과 배면의 양측테와 하단테 내측면 일정부위에 체결요홈육후부(100f)와 그 외측부에는 체결요홈(100a)과 체결공(100b)을 형성하고,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 일정부위에 간격보강보(100i)가 형성되게 고밀도멜라닌폼으로 몰드 형성된 판넬케이스(100)와 상기 판넬케이스(100) 내부에 충진재(300)로 굳힌후 길이방향 양편으로 삽입돌부 (100h)가 형성된 상부커버(200)를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판넬케이스(100) 연속조립시 전면과 배면의 양측테의 체결요홈(100a)에 평판체결대(100e)를, 하단테의 체결요홈(100a)에는 코너체결대(100c)를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2003-0022819U 2003-07-15 2003-07-15 건축용조립식판넬 KR200330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19U KR200330936Y1 (ko) 2003-07-15 2003-07-15 건축용조립식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19U KR200330936Y1 (ko) 2003-07-15 2003-07-15 건축용조립식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129A Division KR100582752B1 (ko) 2003-07-15 2003-07-15 건축용조립식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936Y1 true KR200330936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819U KR200330936Y1 (ko) 2003-07-15 2003-07-15 건축용조립식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9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687B1 (ko) * 2022-01-06 2022-08-0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물의 벽체 내벽 시공 방법 및 그 내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687B1 (ko) * 2022-01-06 2022-08-0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물의 벽체 내벽 시공 방법 및 그 내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96874A (ko) 황토보드로 마감된 칸막이 패널 및 이의 설치구조
KR200330936Y1 (ko) 건축용조립식판넬
KR200448768Y1 (ko) 방음벽용 프레임
WO2007082356A1 (en) Thermal insulating composite panel,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building structures from such panels
KR100582752B1 (ko) 건축용조립식판넬
KR100693194B1 (ko)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1163383B1 (ko) 조립식 방음벽
JPH11200521A (ja) 外壁下地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壁構造
KR200426680Y1 (ko) 다층건축물 층간차음판의 차음받침
KR100406241B1 (ko) 실내설치용 조립식 간이벽
KR200459662Y1 (ko) 조립식 황토 패널 구조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0435045B1 (ko) 조립식 건축벽체
JP4013573B2 (ja) 遮音パネルの施工方法
KR20220161820A (ko) 진동 및 소음 차단기능을 가진 조립식 판넬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0311938Y1 (ko) 기포콘크리트 패널 벽체
KR101448857B1 (ko) 외장재를 일체화시킨 벽체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H07102738A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KR200415080Y1 (ko) 다층건축물의 층간차음판
KR200287104Y1 (ko) 건축재용 조립식 판넬
KR101933476B1 (ko) 불연성 경량 벽체
CN220848307U (zh) 超低能耗装配式门窗洞口复合墙板
KR100587926B1 (ko) 조립식 방음벽의 외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