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476B1 - 불연성 경량 벽체 - Google Patents

불연성 경량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476B1
KR101933476B1 KR1020160036224A KR20160036224A KR101933476B1 KR 101933476 B1 KR101933476 B1 KR 101933476B1 KR 1020160036224 A KR1020160036224 A KR 1020160036224A KR 20160036224 A KR20160036224 A KR 20160036224A KR 101933476 B1 KR101933476 B1 KR 10193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ane foam
pair
plywood
assembl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232A (ko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해안종합목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안종합목재(주) filed Critical 해안종합목재(주)
Priority to KR102016003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4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성 경량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공법으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조적공사의 작업높이 규제가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며, 벽체 수직도와 치수 정밀성을 가능하게 하여 기둥의 수직하중의 무게을 벽돌보다 현저히 줄이며 이로 인하여 기둥의 두께가 줄어들어 바닥의 유효변적이 늘어나며 방음, 단열이 우수하며 하자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가변형 불연성 경량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불연성 경량 벽체{Lightweight, non-combustible wall}
본 발명은 불연성 경량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공법으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조적공사의 작업높이 규제가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며, 벽체 수직도와 치수 정밀성을 가능하게 하여 하자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불연성 경량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일상생활 주변에는 각종 기계 설비의 가동과 자동차, 철도, 지하철, 항공기 등 교통수단의 운행, 그리고 중장비를 이용한 각종공사,또는 각종음향기기의 작동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끊임없이 소음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소음 유발원들은 가능한 한 소음이 적게 발생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불가피하게 소음이 발생될 경우 그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건축물은 화재 발생시 일정시간 성능을 유지하고 인명 대피와 보호를 위하여 내화 및 방화 성능을 요구한다. 특히, 사용자가 많거나 노약자들이 많은 집단시설, 공공시설, 양로원, 학원에서 화재발생시 인명구호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생활습관의 변화로 실내에 활동하는 시간이 과거에 비해 증가된 지금 실내 공기질 관리는 밀폐된 실내생활에서 공기환경은 인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빌딩증후군, 화학물질과민증, 새집증후군을 양산하게 되었다.
현재에는 실내환경의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 특히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에 규제를 권고하고 있다. 한편,경량 기포콘크리트 및 세라믹 보드는 친환경적인 무기질 재료로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 VOC가 방출되지 않는 천연 광물질을 주원료로한 무기질 제품이다.
상기 기술한 경량 기포콘크리트는 내구성이 확보되고 콘크리트의 미분쇄 및 슬러리화의 공정을 통하여 자체에 함유하고 있는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산화칼슘의 주성분으로 내구성 및 재활용성능이 확보되어 공동주택 건설폐기물로 발생되는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지구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방음에 대한 필요성은 도로변, 철도변, 공항주변, 작업장, 건설현장, 중장비, 아파트나 사무실과 같은 공동주거시설, 음악당이나 극장과 같은 공연장, 실내스포츠 시설 및 각종 위락시설과 같은 거의 모든 주변 생활환경에 요구되고 있다.
방음방법으로는 흡음 또는 차음 성능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각종 방음재를 사용하여, 방음벽, 방음칸막이, 방음실, 음향처리용 마감재 등과 같은 방음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소음을 흡수하고 그 전파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음소재로서는, 목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일반적인 건축 소재,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수지재, glass wool 또는 암면과 같은 무기질섬유재, 및 금속타공판과 같은 금속재 등 여러 가지 단독 또는 복합한 것들을 들 수 있다.
방음재는 그 사용 장소와 용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우수한 흡차음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내구성 등) 및 열적 특성(불연성, 난연성 등)을 구비하면서도,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판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재들은 상기한 여러 가지 요건들 중 일부의 요건에 부합하지 못하여 방음설비의 구축에 이들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점 들을 내포하고 있다.
목재나 플라스틱 수지로 된 방음재는 열에 약하여 화재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glass wool이나 암면 등은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알루미늄판은 자체의 소음방지성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금속재를 제외한 종래의 방음재는 거의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폐기시 많은 산업폐기물을 발생시키고 있다.
기재(Matrix)로서 glass wool, 암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고 그 표면에 타공박판을 부착하여 공명 원리에 의해 방음효과를 향상시키고 있는 종래의 타공 구조형 방음 벽체도, 상기 기재인 glass wool이나 폴리우레탄 등이 지니는 본질적인 단점으로 인하여 전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화 구조란 건축물이 장시간의 화재 시에도 재료의 형태나 강도 등이 크게 변하지 않고 견디어내어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고, 화재 후 간단한 수선으로 건축물의 재사용이 가능케 하는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내화구조인정 및 관리 기준이 법규화되면서 그 기준이 보다 강화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신축할 때, 건축물의 구조를 지탱하고 내부를 구획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벽체는 대부분이 벽돌을 축조하거나 또는 모르타르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식을 주로 적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경량벽체'라 하여 합판이나 석고보드 등을 이용하여 벽체의 내, 외부를 구성한 후 그 내부에 흡음재 등을 충진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방식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건축물의 외벽체는 벽돌이나, 콘크리트 몰타르를 이용하 여 형성하고, 건축물의 내부에서 건물을 구획하는 내벽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합판이나 석고보드를 활용한 경량벽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경량 벽체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경량이기도 하지만, 건물의 상,하부에 경량 강제로 된 웃막이(METAL RUNNER)와 밑막이(METAL RUNNER)를 설치한 후 웃막이와 밑막이 사이에 경량 강제로 된 샛기둥(METALSTUD)을 설치하고, 이 샛기둥 사이의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방화석고보드를 설치한 후 석고보드 사이에 glasswool이나 암면과 같은 방음 단열재를 충진하여 경량 벽체를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 만 아니라, 차음성이 크게 떨어지며, 특히 열에 견디는 내화성이 약하기 때문에, 최근 부각되고 있는 내화구조의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건식공법으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조적공사의 작업높이 규제가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며, 벽체 수직도와 치수 정밀성을 가능하게 하여 하자의 발생을 줄일 수가 있는 경량벽체로, 합판,MDF,섬유질보드,종이보드,짚보드,마그네슘보드,목재보드,파티클보드(PB) 및 OSB판재을 소재로 하여 단일소재보드와 복합소재로 만거나 제조하는 불연,난연,방염보드을 포함한다.
또한 목재의 칩(chip) 및 목재을 슬라이스로 가공한 단판을 사용하여 만드는 합판에 30중량%의 암모늄 폴리포스테이트(Ammoniumpolyphosphate)와,5중량%의구아니딘설파메이트(Guanidinesulfamate)와, 5중량%의 암모늄 헥사메타포스테이트(Ammonium hexametaphoshate), 및 60중량%의 물로 구성되는 불연성 조성물을 함침하여 불연성 합판을 두장을 재단하고, 제1 합판(110) 상에 어느 한쪽 부분을 제외하고, 가로 및 세로의 아연도금한 Ubar의 지지프레임(210,220), 양면과 가운데와 중간에 목재프레임과 합판프레임의(23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VOC,프롬알데히드의 방출이 최소한 합성수지접착제,멜라민접착제0,5mg/cm2( E0이상급)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접착하여 고정하고, 그 위에 제2 합판(120)을 덮어 접착제로 고정하고, 상기 중간프레임(130)과 세로프레임(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난연시스템폴리올에 불연원료을 합성하여 이소시아네이트(MDI)와 난연우레탄발포폼인 폴리우레탄폼을 발포할 시에 파라포름알데히드, 젤라틴, 메탄올 등으로 되는 난연성 수지조성물을 혼합된 폼재를 합판과 합판사이의 충진재을 발포한 후, 나머지 세로프레임을 고정하여 구성된다.
국내 특허공보 10-2002-0054140호 (2002년07월06일) 국내 특허공보 제10-0438259호 (2004년06월22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0541718호(2005.12.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식공법으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조적공사의 작업높이 규제가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며, 벽체 수직도와 치수 정밀성을 가능하게 하여 하자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후로 이격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불연합판과;
상기 이격 공간의 좌우 양단을 밀폐하는 한 쌍의 측면재와;
상기 한 쌍의 불연합판 및 측면재로 구획되는 구획 공간에 삽입하여 조립되는 판상의 우레탄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폼 모듈은 막대 형상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좌우로 형성되는 한 쌍의 우레탄폼과, 상기 심재의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우레탄폼에 삽입되는 결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우레탄 폼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바와, 상기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바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바는 각 고정홀마다 좌우 대칭되도록 조립되되,
각 고정홀을 기준으로,
좌측에 조립되는 바는 그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우측에 조립되는 바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가 삽입하여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심재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바가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 경량벽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가 있다.
첫째, 벽체의 가변성을 통해 공간 재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둘째, 건식공법으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조적공사의 작업높이 규제가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셋째, 벽체 수직도와 치수 정밀성을 가능하게 하여 하자의 발생을 줄일 수가 있다.
넷째, 벽체의 두께를 줄여 공간면적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다섯째, 자재의 공장제작으로 품질이 균등하다.
여섯째, 방음,단열이 우수하다.
일곱째, 판상의 우레탄폼 모듈을 적용하는 경우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고정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들이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를 복수 개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a의 결속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결속부가 고정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심재에 고정홀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심재가 우레탄폼에 인서트 사출된 우레탄폼 모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우레탄폼 모듈 내에 보강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성능을 테스트한 시험성적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고정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들이 결합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불연성 경량 벽체는 건식공법으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조적공사의 작업높이 규제가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며, 벽체 수직도와 치수 정밀성을 가능하게 하여 하자의 발생을 줄일 수가 있는 경량벽체로서, 합판, MDF, 섬유질보드, 종이보드, 짚보드, 마그네슘보드, 목재보드, 파티클보드(PB) 및 OSB판재을 기본 소재로 하여 제조하는 불연, 난연 내지 방염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100)는 전후로 이격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불연합판(110)과, 상기 이격 공간의 좌우 양단을 밀폐하는 한 쌍의 측면재(130)와, 상기 한 쌍의 측면재(130)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이격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재(150)와, 상기 측면재(130)와 심재(150)로 구획된 구획 공간에 배치된 우레탄폼(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연합판(110)은 합판과 파티클보드(PB) 및 OSB판재을 소재로 사용하는 목재의 칩(chip) 및 목재를 슬라이스로 가공한 단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30중량%의 암모늄 폴리포스테이트(Ammonium polyphosphate)와, 5중량%의 구아니딘설파메이트(Guanidinesulfamate)와, 5중량%의 암모늄 헥사메타포스테이트(Ammonium hexametaphoshate), 및 60중량%의 물로 구성되는 불연성 조성물에 함침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연성 경량 벽체(100)는 측면재(130)와 심재(150)의 두께를 가변시킴으로써, 전체 벽체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연성 경량 벽체(100) 내부에 우레탄폼(160)이 충전되기 때문에 방음성, 단열성 등의 성능이 우수하며,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벽체에 비해 중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3의 시험성적서를 참조하면, 상술한 불연합판을 사용하고 한 쌍의 불연합판 사이에 우레탄폼을 삽입한 구조의 벽체는 준불연재료서의 모든 검사항목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불연성 경량 벽체(100)의 좌우측 단면,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ㄷ'자 단면 구조를 가지는 벽측 고정재(120), 천정측 고정재(121) 및 바닥측 고정재(122)가 결합한다.
각 고정재는 불연성 경량 벽체(100) 단면에 접하는 접촉부(123)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V자홈(124)에 의해 구획되는 절곡부(125)와, 상기 절곡부(125)에 세로 방향으로 상기 V자홈(124)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부(126)와, 각 절개부(126)마다 관통 형성되어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홀(127)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천정측 고정재(121) 및 바닥측 고정재(12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불연합판(110)의 좌우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천정측 고정재(121) 및 바닥측 고정재(122)를 이용하여 복수의 불연합판(110)을 동시에 마감처리할 수 있어 조립 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절곡부(125)를 절개부(126)로 복수 개로 구획하여 조립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를 복수 개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불연성 경량 벽체(100a,100b,100c)를 연결할 경우, 각 불연합판(110a,110b,110c)의 길이를 달리 제작함으로써, 각 경량 벽체간 접촉 면적을 늘려 보다 밀접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불연성 경량 벽체 제조에 사용되는 불연합판(110)은 합판을 불연성 조성물에 함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측면재(130)의 일면에 접착제(129)를 바르고 불연합판(110)의 양단에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심재(150)에도 접착제(129)를 바르고 불연합판(110)의 중앙에 부착한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심재(150)와 측면재(130)의 타면에 접착제(129)를 바르고 다른 불연합판(110)을 부착하여 한 쌍의 불연합판(110)과 심재(150)와 측면재(130)로 구획되는 복수의 구획 공간이 마련된 조립체를 형성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충진 작업용 지그에 상기 조립체를 설치한 다음, 이액형의 우레탄을 상기 복수의 구획 공간에 충전 및 발포하여 우레탄폼(16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우레탄폼(160)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이액형 우레탄을 발포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우레탄에는 파라포름알데히드, 젤라틴, 메탄올 등으로 되는 난연성 수지조성물을 추가함으로써, 차음성과 차열성이 우수한 불연 내지 난연성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도 5d의 우레탄폼(160)과 달리 우레탄폼(160) 내부에 보강사(164)를 삽입할 수 있는데, 이는 벽체의 강도 및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보강사(164)를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액상에 넣은 상태에서 충전 및 발포시키는 방법과, 조립체를 도 5e와 같이 횡으로 눕힌 상태에서 충전될 구획 공간의 바닥에 보강사(164)를 깔고 이액형 우레탄을 충전하게 되면, 발포가 이루어지면서 보강사(164)도 우레탄폼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이후, 내수성 스프레이 작업을 하고, 열풍으로 건조한 다음 냉각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불연성 경량 벽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측 고정재(120), 천정측 고정재(121), 바닥측 고정재(122)를 조립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경량 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a의 결속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결속부가 고정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이액형 우레탄을 구획 공간에 충전한 다음 발포하는 방식이 아닌, 판 형상의 우레탄폼 모듈(170)을 제작하여 불연합판(110) 등과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우레탄폼 모듈(170)은 크게 판상의 우레탄폼(160) 내에 막대 형상의 심재(150)가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심재(150)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홀(15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재(150)를 기준으로 좌우로 우레탄폼(160)이 배치된다. 그리고 우레탄폼 모듈(170)에는 일단은 심재(1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우레탄폼(160) 내에 삽입되는 결속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180)는 상기 우레탄폼(160) 내에 삽입되는 바(183)와, 상기 바(183)에 형성되는 돌기부(185)를 포함하고, 상기 바(183)의 일단에는 나사부(184)가 형성되어 상기 심재(150)의 고정홀(151)에 끼움결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돌기부(185)는 도 8과 같이 원반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우레탄폼의 두께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타원형, 막대형 등의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바(183)는 일단은 심재(15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우레탄폼(160) 내에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185)는 상기 바(183)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발포 및 경화가 완료되면 우레탄폼(160)을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우레탄폼(160)의 강도를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와 같이 우레탄폼 모듈(170)을 사용하게 되면 불연합판(110) 사이의 구획 공간에 직접 우레탄을 충전하는 방식 대신, 미리 판상의 우레탄폼 모듈(170)을 만들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서는 우레탄폼 모듈(170)과 불연합판(110)을 접착제 등으로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대향하는 한 쌍의 바(183)는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심재에 고정홀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심재가 우레탄폼에 인서트 사출된 우레탄폼 모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같이 심재(150)에 다수의 고정홀(151)이 형성되나, 고정홀(151)에 결속부(180)가 체결되지 않는다.
즉, 심재(150)를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는 우레탄폼(160)은 고정홀(151)에 삽입된 연결부(161)를 통해 밀접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결속부(180)가 생략됨으로 인해 제조 단가의 절감 효과와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우레탄폼 모듈 내에 보강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같이 심재(150)에 다수의 고정홀(151)이 형성되나, 고정홀(151)에 고정부(171)가 삽설되고 상기 고정부(171)에는 보강와이어(165)가 양측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보강와이어(165)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12의 (a)와 같이 직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2의 (b)와 같이 나선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우레탄폼(160) 내에 보강와이어(165)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고강도의 우레탄폼 모듈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불연성 경량 벽체 110 : 불연합판
120 : 벽측 고정재 121 : 천정측 고정재
122 : 바닥측 고정재 123 : 접촉부
124 : V자홈 125 : 절곡부
126 : 절개부 127 : 체결홀
129 : 접착제 129a : 피스
130 : 측면재 150 : 심재
151 : 고정홀 160 : 우레탄폼
161 : 연결부 164 : 보강사
165 : 보강와이어 170 : 우레탄폼 모듈
171 : 고정부 180 : 결속부
183 : 바 184 : 나사부
185 : 돌기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전후로 이격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불연합판과;
    상기 이격 공간의 좌우 양단을 밀폐하는 한 쌍의 측면재와;
    상기 한 쌍의 불연합판 및 측면재로 구획되는 구획 공간에 삽입하여 조립되는 판상의 우레탄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폼 모듈은 막대 형상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좌우로 형성되는 한 쌍의 우레탄폼과, 상기 심재의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우레탄폼에 삽입되는 결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우레탄 폼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바와, 상기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바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바는 각 고정홀마다 좌우 대칭되도록 조립되되,
    각 고정홀을 기준으로,
    좌측에 조립되는 바는 그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우측에 조립되는 바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가 삽입하여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심재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바가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경량 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36224A 2016-03-25 2016-03-25 불연성 경량 벽체 KR101933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24A KR101933476B1 (ko) 2016-03-25 2016-03-25 불연성 경량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24A KR101933476B1 (ko) 2016-03-25 2016-03-25 불연성 경량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32A KR20170111232A (ko) 2017-10-12
KR101933476B1 true KR101933476B1 (ko) 2018-12-28

Family

ID=6014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224A KR101933476B1 (ko) 2016-03-25 2016-03-25 불연성 경량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790B1 (ko) * 2020-12-22 2022-12-01 오유상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656Y1 (ko) * 2002-04-18 2002-07-27 내차산업 주식회사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JP2012041687A (ja) * 2010-08-16 2012-03-01 Mitsuboshi Belting Ltd 断熱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499A (ko) * 2002-05-28 2003-12-03 팀버빌 주식회사 스틸벽체 구조
KR20040097546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부일건화 칸막이 벽체용 패널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656Y1 (ko) * 2002-04-18 2002-07-27 내차산업 주식회사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JP2012041687A (ja) * 2010-08-16 2012-03-01 Mitsuboshi Belting Ltd 断熱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32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645B1 (en) Sound-insulating sandwich element
CA2371354C (en) Sound-insulating sandwich element
JP7246749B2 (ja) 間仕切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80096874A (ko) 황토보드로 마감된 칸막이 패널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933476B1 (ko) 불연성 경량 벽체
KR101942919B1 (ko) 불연성 경량 벽체 제조방법
KR20150057577A (ko) 복합단열재패널
JP2017193950A (ja) 耐火構造物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0480772Y1 (ko) 방화문 및 방화벽용 단열패널
RU2235834C1 (ru) Панель дл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и стен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EP0766766A1 (en) Wall element arrangement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0555129B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100519081B1 (ko) 천장용 차음판넬
KR20090037768A (ko) 샌드위치판넬
KR20200042334A (ko) 방화구획을 갖는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200359829Y1 (ko) 방음 패널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RU281373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ных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со встроенным усилительно-монтажным профилем
JP2005030097A (ja) リブフレーム構造体の建設方法及びそのリブフレーム構造体
KR200359827Y1 (ko) 방음벽용 패널
JPH02304144A (ja) 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