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713Y1 -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713Y1
KR200330713Y1 KR20-2003-0024650U KR20030024650U KR200330713Y1 KR 200330713 Y1 KR200330713 Y1 KR 200330713Y1 KR 20030024650 U KR20030024650 U KR 20030024650U KR 200330713 Y1 KR200330713 Y1 KR 200330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rame
projection
projection cub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영스크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스크린(주) filed Critical 주영스크린(주)
Priority to KR20-2003-0024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 (10)과; 그 재질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고 상기 스크린(10)과 접촉면이 거의 선과 일치하도록 스크린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프레임(20)과; 상기 스크린(10)을 스크린 프레임(20)에 접착시키는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와; 상기 스크린 프레임(20)이 장착되는 프레임 하우징(40)과; 상기 프레임 하우징(40)이 장착되는 프로젝션 큐브의 몸체를 이루는 캐비넷(50)으로 구성되어 스크린을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로 스크린 프레임에 고정하여 프로젝션 큐브를 겹쳐 놓을 때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가 거의 화면에 나타나지 않고, 스크린 프레임이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스크린의 경계에서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Structure for assembling screens of multi projection cube system}
본 고안은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을 지지하는 스크린 프레임에 거의 두께가 없는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로 고정하고, 스크린 프레임은 그 재질을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하고 스크린과 접촉면이 거의 선과 일치하도록 스크린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하여 프로젝션 큐브를 2대이상 겹쳐놓았을 때,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광이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에서 스크린 고정구에 의해 차단됨이 없이 스크린 프레임을 투과하도록 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멀티 프로젝션 큐브"란 2대이상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만들어내는 장치를 말한다. 2대이상의 프로젝션 큐브를 겹쳐 놓으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과 스크린(1)의 사이에 그 경계에 의해 화면에 줄(2)이 나타나게 된다.
도2에 종래의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멀티 프로젝션 큐브에서 스크린 결합구조는 스크린(1)을 지지하기 위한 스크린 프레임(3)과, 상기 스크린 프레임(3)에 스크린(1)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 프레임(3)의 4면에 체결되는 4쌍의 강철제 고정구(4a,4b,4c,4d)와, 상기 4쌍의 강철제 고정구(4a,4b,4c,4d)를 상기 스크린 프레임(3)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스크린 결합구조는 프로젝션 큐브를 2대 이상 겹쳐놓으면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제 고정구(4a)의 단부를 절곡하여 스크린(1)을 스크린 프레임(3)에 고정하기 때문에, 스크린(1)과 스크린(1) 사이의 경계에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제 고정구(4a,4b,4c,4d)의 3∼4㎜의 두께에 의한 줄이 나타나게 되어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면이 끊어져서 사람의 눈을 거슬리게 하여 화면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멀티 프로젝션 큐브를 2대이상 구성할 때, 스크린을 스크린 프레임 (3)에 고정시킴에 있어 그 고정수단의 두께가 화면에 나타나지 않게 하면서, 또한 모서리 부근에서 투사광이 투과되게 함으로써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경계라인에 투영되는 화면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로젝션 큐브를 2대이상 겹쳐 놓을 때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에 그 경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을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로 스크린 프레임에 고정하여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 프레임을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광이 스크린과 스크린의 경계에서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2대이상의 프로젝션 큐브를 겹쳐 놓을 때, 스크린과 스크린의 사이에 표시되는 줄을 보이는 설명도,
도2는 종래의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a는 스크린을 스크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종래의 절곡된 강철제 고정구의 단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3b는 2대이상의 프로젝션 큐브를 겹쳐 놓았을 때 종래의 강철제 고정구의 두께에 의해 화면에 나타나는 줄을 보이는 설명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스크린과 스크린 프레임을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a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 스크린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6b는 스크린 프레임을 A-A선을 따라 자른 확대단면도,
도7a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투사광이 스크린에 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는설명도,
도7b는 프로젝터에서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투사광이 상하 스크린 프레임과 만나는 지점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스크린 20: 스크린 프레임
30: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 40: 프레임 하우징
50: 캐비넷 60: 프로젝터
70: 투사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스크린 프레임에 접착시키는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와; 그 재질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하고 스크린과 접촉면이 거의 선과 일치하도록 스크린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프레임이 장착되고 프로젝션 큐브의 몸체를 이루는 캐비넷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크린 프레임은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며, 그 단면이 스크린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경사져 있고, 그 기울기는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기울기보다 작아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광이 스크린과 스크린의 경계에서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는 그 두께 t가 0.25㎜이하의 얇은 두께이어서 프로젝션 큐브를 겹쳐놓을 때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는 내열성이 강한 폴리카보네이트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에 본 고안에 의한 프로젝션 큐브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의한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는 스크린(10)과; 그 재질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고 상기 스크린(10)과 접촉면이 거의 선과 일치하도록 스크린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프레임(20)과; 상기 스크린(10)을 스크린 프레임(20)에 접착시키는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와; 상기 스크린 프레임(20)이 장착되는 프레임 하우징(40)과; 상기 프레임 하우징(40)이 장착되는 프로젝션 큐브의 몸체를 이루는 캐비넷(50)으로 구성된다.
스크린(10)에는 시청자 쪽 표면에 렌티큘러 렌즈(renticular lens)가 형성되고 프로젝터 쪽 면에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10)을 스크린 프레임(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크린(10)을 스크린 프레임(20)에 밀착한 상태에서 스크린(10)과 스크린 프레임(20)의 좌우 측면 및 상하면을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로 부착한다.
도5에 본 고안에 의한 스크린과 스크린 프레임을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크린(10)의 두께는 1∼6㎜이고,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의 두께 t는 0.25㎜이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2대의 프로젝션 큐브를 겹치는 경우, 스크린(10)과 스크린(10)의 경계는 2장의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가 겹치게 되어 2t=0.5㎜의 두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10)과 스크린 프레임(20)은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 (30)와의 접착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며, 스크린(10)의 자체 중량 및 스크린(10)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횡압력에 대해서도 견디는 힘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해 다수의 프로젝션 큐브를 2 ×2, 3 ×3 등으로 겹치는 경우 스크린(10)과 스크린(10) 사이의 경계는 0.5㎜의 두께를 갖게 되어 종래의 강철제 고정구에 의해 스크린을 고정할 때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가 6㎜의 두께로 되는 것보다 스크린(10)과 스크린(10) 사이의 경계의 폭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프레임(20)은 도6b에 도시된 그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10)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되어 그 단부가 스크린(10)과 1㎜의 두께로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에서 발생한 빛이 반사경에 반사되어 스크린(10)에 도달할 때, 스크린(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스크린 프레임(2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1㎜에 불과하다. 그리고, 스크린 프레임(20)에 가려지더라도 스크린 프레임(20)의 재질이 투명 합성수지(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등)로 되어 있어서 80∼90%의 투사광이 스크린(10)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크린(10)과 스크린(10) 사이의 경계에서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이 스크린 프레임(20)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화질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다수의 프로젝션 큐브를 2 ×2, 3 ×3 등으로 겹치는 경우, 스크린(10)과 스크린(10) 사이의 경계는 스크린 프레임(20)과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에 의해 결정된다.
스크린 프레임(20)은 스크린(1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린(10)과 1 ㎜의 두께로 접촉하고 투명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스크린 프레임(20)은 영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스크린(10)과 스크린(10) 사이의 경계에서 영상은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의 두께 t에 의한 영향만을 받게 된다.
그러나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의 두께는 0.25㎜이하로서 스크린 (10)의 경계에서 2장이 겹쳐지더라도 그 두께는 0.5㎜이하이므로 종래의 강철제 고정구로 스크린을 고정할 때의 3∼4㎜의 두께보다 현저하게 경계의 폭이 줄어들게 된다.
스크린 프레임(20)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며, 상부 프레임을 A-A선을 따라 자른 확대단면도인 도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10)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되어 있고, 예를 들어 높이가 80㎜, 그 프로젝터 쪽 밑면은 예를 들면 15㎜이다. 도6b에 상부 프레임의 단면도만 도시되어 있지만, 하부 프레임 및 좌우 프레임의 단면도도 동일하다.
도7a에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빛이 스크린에 도달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은 예를 들면, 폭 1,768㎜, 높이 665㎜이고, 프로젝션 큐브의 깊이는 1,449㎜이다. 프로젝터(60)로부터 스크린(10) 사이의 거리가 1,000㎜라고 할 때, 프로젝터(60)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기울기 a1은 다음식(1)에 의해
........(1)
이다.
스크린 프레임(20)의 경사면의 기울기 a2는 다음식(2)에 의해
.......(2)
이다.
따라서, 프로젝터(60)에서 스크린(10)으로 투사되는 투사광(70)이 상하 스크린 프레임(20)과 만나는 지점을 보면,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0)으로부터 프로젝터 쪽으로 대략 6.7㎜ 되는 점 P에서 만난다.
이렇게 프로젝터(60)에서 투사된 투사광(70)이 상하 스크린 프레임(20)과 만나지만, 스크린 프레임(20)이 투명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됨이 없이 80∼90 %가 스크린(10)에 도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좌우 스크린 프레임(2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프로젝터(60)로부터 좌우로 투사되는 투사광도 차단됨이 없이 80∼90%가 스크린(10)에 도달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크린을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로 스크린 프레임에 고정하여 프로젝션 큐브를 겹쳐 놓을 때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면이 거의 화면에 나타나지 않고, 스크린 프레임이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이 스크린의 경계에서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

  1. 스크린(10)과;
    그 재질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고 상기 스크린(10)과 접촉면이 거의 선과 일치하도록 스크린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프레임(20)과;
    상기 스크린(10)을 스크린 프레임(20)에 접착시키는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와;
    상기 스크린 프레임(20)이 장착되는 프레임 하우징(40)과;
    상기 프레임 하우징(40)이 장착되는 프로젝션 큐브의 몸체를 이루는 캐비넷 (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프레임(20)은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며, 그 단면이 스크린(10)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경사져 있고, 그 기울기는 프로젝터 (60)에서 투사되는 투사광의 기울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또는 점착 시이트)(30)는 그 두께 t가 0.2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KR20-2003-0024650U 2003-07-30 2003-07-30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KR200330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650U KR200330713Y1 (ko) 2003-07-30 2003-07-30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650U KR200330713Y1 (ko) 2003-07-30 2003-07-30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713Y1 true KR200330713Y1 (ko) 2003-10-17

Family

ID=4941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650U KR200330713Y1 (ko) 2003-07-30 2003-07-30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7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41435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DK1014169T3 (da) Bagprojektioonsskærm
US4984871A (en) Optical rear projection screen hanger assembly
JPH05181195A (ja) 大画面映像表示用スクリーン装置と構成方法及びスクリーン接続部材
JP4730434B2 (ja) スクリーン組立体及び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2002072204A (ja) 液晶表示体バックライト構造
EP2262271B9 (en) Frame unit holding polarizer means for video display devices
WO2012035988A1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EP0193088B1 (en) Transmission type screen apparatus
JP5599569B2 (ja) 裸眼立体視ディスプレイ
JP5722004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30713Y1 (ko) 멀티 프로젝션 큐브의 스크린 장착구조
US7295370B2 (en) Projection televi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622498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212953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3678217B2 (ja) 背面投写型スクリーン、背面投写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及び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4219253A (en) Screen
JP2007127950A (ja) 背面型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4053640A5 (ko)
JP2012108271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107832A (ja) 投写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CN113960871B (zh) 投影屏幕及激光投影系统
JP5895040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3804720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及びスクリーンフレーム
JP2007127924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