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335Y1 -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 - Google Patents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335Y1
KR200330335Y1 KR20-2003-0019333U KR20030019333U KR200330335Y1 KR 200330335 Y1 KR200330335 Y1 KR 200330335Y1 KR 20030019333 U KR20030019333 U KR 20030019333U KR 200330335 Y1 KR200330335 Y1 KR 200330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filled
prevention block
fiber mat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학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청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9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움재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며 폐기물인 석분을 새로운 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석분 등과 같은 분상체를 채움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새로운 형식의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소정 크기의 망눈을 가진 철망에 의하여 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 옹벽을 형성하는 돌망태(1)로서, 상기 돌망태(1)의 상기 육면체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벽면 내부에는, 천연섬유로 제조되는 천연섬유매트(2)가 돌망태(1)의 철망에 결속되어 구비되며; 상기 천연섬유매트(2)의 내측면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분상체(4)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방지 블록(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유출방지 블록(5)의 내부 공간에는 분상체(4)가 다짐 상태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Gabion for Retaining Wall using Poweder Materials}
본 고안은 분(粉)상의 채움재를 이용하는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옹벽, 호안 보호구조물 등의 축조에 사용되는 돌망태에 있어서, 돌망태의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재로서 석분, 토사 등의 분상의 재료(분상체)를 이용하므로써 용이하게 채움재를 수급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 등에 옹벽이나 호안의 경사면 보호를 위한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구조로서 돌망태를 이용한 구조 즉, 소위 가비온(Gabion) 공법에 의한 옹벽구조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종래의 가비온 공법에 의하여 계단식으로 축조된 옹벽의 측단면도와, 종래의 가비온 공법에 사용되는 돌망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가비온 공법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을 이용하여 제작한 격자형 돌망태(10)에 소정 크기의 골재를 채우고, 골재가 채워진 상기 돌망태(10)를 계단식 또는 수직하게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였다(도 4a 참조).
돌망태(10)의 채움재로는 지금까지 강자갈이나 석산의 파쇄골재를 사용하여 왔다. 특히, 돌망태(10)는 소정 크기의 망눈을 가지도록 그 규격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채움재로 사용되는 강자갈, 파쇄골재 등도 그 크기가 소정 범위에 드는 것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환경파괴 등의 이유로 최근에는 강자갈의 채취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며, 파쇄골재의 경우에도 석산 개발에 상당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채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강자갈, 파쇄골재 등의 채움재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와 같이 채움재를 확보함에 있어서의 심각한 애로점은 결국 시공비의 증가로 이어진다.
반면에 석산에서 파쇄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의 부산물로서 석분이 생산되고 있는데, 이 석분은 폐기물의 일종으로서 이를 처리하는 것이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폐기물의 일종인 석분 등과 같이 작은 입자의 분상체를 돌망태의 채움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 결과로 본 고안을 개발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돌망태를 이용함에 있어서, 채움재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며 폐기물인 석분을 새로운 자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석분 등과 같은 분상체를 채움재로서 활용하는 새로운 형식의 돌망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로서, 도 1a는 돌망태(1)에 천연섬유매트(2)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1b는 천연섬유매트(2)를 돌망태(1)에 설치한 후에 유출방지 블록(5)을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돌망태(1)에 유출방지 블록(5)을 적층하고 그 내부에 분상체(4)를 충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돌망태를 이루는 철망의 망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는 각각 종래의 가비온 공법에 의하여 계단식으로 축조된 옹벽의 측단면도와, 종래의 가비온 공법에 사용되는 돌망태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돌망태 2 : 천연섬유매트
3 : 뚜껑부 4 : 분상체
5 : 유출방지 블록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소정 크기의 망눈을 가진 철망에 의하여 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 옹벽을 형성하는 돌망태로서, 상기 돌망태의 상기 육면체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벽면 내부에는, 천연섬유로 제조되는 천연섬유매트가 돌망태의 철망에 결속되어 구비되며; 상기 천연섬유매트의 내측면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분상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방지 블록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유출방지 블록의 내부 공간에는 분상체가 다짐 상태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돌망태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유출방지 블록은 소정 높이로 단계적으로 축조되며; 상기 분상체는 상기 유출방지 블록의 단계적인 축조 높이에 맞추어 충진되어 다짐되므로써 돌망태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가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돌망태(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결합도로서 후술할 천연섬유매트 및 유출방지 블록이 모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돌망태(1)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육면체 형상의 돌망태(1)의 상부면은 뚜껑부(3)로 구성되어, 돌망태(1)의 바닥면, 4개의 측면을 세워서 조립하고,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운 후 마지막으로 뚜껑부(3)를 닫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돌망태(1)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돌망태(1)는 위와 같은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앙에는 격벽이 구비되지 아니하였으나, 종래의 돌망태처럼 중앙에 철망으로 이루어진 격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돌망태(1)의 길이(도 1에서 화살표 A 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복수 개의 격벽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돌망태(1)는 아연도금 철선으로 이루어진 철망을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철망의 망눈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철망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돌망태(1)를 이루는 철망의 망눈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돌망태(1)는 위와 같은 크기의 망눈을 가지는 철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의 망눈을 가지는 철망을 이용하여 돌망태(1)를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돌망태와는 달리 채움재로서 석분, 토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이 분상체 등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돌망태(1)의 망눈 크기는 분상체의 크기 보다 크기 때문에 분상체가 돌망태(1)에 담겨질 때 분상체(1)가 돌망태(1)의 망눈을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돌망태(1)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구비하였다.
우선, 돌망태(1)의 벽면 중에서, 이웃하는 돌망태에 마주하는 면이나 배면 토사를 마주하는 면이 아닌 외부에 보이는 면 즉, 외부 노출면에는 돌망태(1)의 내부에 천연섬유로 제작된 천연섬유매트(2)를 설치하여 돌망태(1)의 철망과결속한다(도 1a 참조). 상기 천연섬유매트(2)는 돌망태(1)의 내부에 채워지는 분상체(4)가 돌망태(1)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돌망태(1)를 이용하여 도로변의 옹벽을 시공하였을 때, 옹벽의 표면에 산포되는 식물들의 활착 및 성장이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천연섬유매트(2)로는 야자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연야자섬유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천연섬유매트(2)를 돌망태(1)의 내부에 설치한 후, 그 내측으로는 적벽돌, 점토블록 등과 같이 블록 형태를 가진 유출방지 블록(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도 1b 참조). 상기 유출방지 블록(3)은 그 내측에 채워지는 분상체(4)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천연섬유매트(2)를 돌망태(1)의 외부 노출면을 따라 내측에 설치하고 그 배면에 유출방지 블록(5)을 설치하여 차례로 쌓으면서, 그 안쪽으로는 석분, 토사,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분상체(4)를 적층하게 된다(도 2 참조). 분상체(4)는 상기 유출방지 블록(3)의 높이에 맞추어 약 30cm 높이로 층을 이루어 채우게 되는데, 매층마다 다짐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유출방지 블록(5)의 적층, 분상체(4) 채움 및 다짐의 과정을 반복하여 돌망태(1) 내부를 모두 채우게 된다.
돌망태(1)의 내부가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뚜껑부(3)를 덮어 체결한다. 이때, 뚜껑부(3)가 덮어진 돌망태(1)의 상부면도 외부에 노출될 예정이라면, 뚜껑부(3)를 덮기 전에 천연섬유매트(2)를 설치한 후 뚜껑(3)을 덮는다. 이와 같이 분상체가 채워진 돌망태(1)를 계속 만들어 적층하여 옹벽의 시공을 계속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돌망태(1)의 노출면에 천연섬유매트를 설치하고 그 배면에 유출방지 블록(5)을 적층하여 설치하므로써, 석분, 토사 등의 분상체를 채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상체를 채움재로 사용하므로써, 산업폐기물의 일종인 석분을 옹벽 축조의 자재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망태 공법을 이용한 옹벽의 축조에 있어서, 돌망태의 채움재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강자갈 또는 파쇄골재 등의 소정 크기를 가지는 입상의 채움재를 확보하는데 따르는 재료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소정 크기의 망눈을 가진 철망에 의하여 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 옹벽을 형성하는 돌망태(1)로서,
    상기 돌망태(1)의 상기 육면체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벽면 내부에는, 천연섬유로 제조되는 천연섬유매트(2)가 돌망태(1)의 철망에 결속되어 구비되며;
    상기 천연섬유매트(2)의 내측면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분상체(4)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방지 블록(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된 유출방지 블록(5)의 내부 공간에는 분상체(4)가 다짐 상태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 블록(5)은 소정 높이로 단계적으로 축조되며;
    상기 분상체(4)는 상기 유출방지 블록(5)의 단계적인 축조 높이에 맞추어 충진되어 다짐되므로써 돌망태(1)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KR20-2003-0019333U 2003-06-19 2003-06-19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 KR200330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33U KR200330335Y1 (ko) 2003-06-19 2003-06-19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33U KR200330335Y1 (ko) 2003-06-19 2003-06-19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335Y1 true KR200330335Y1 (ko) 2003-10-17

Family

ID=4941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333U KR200330335Y1 (ko) 2003-06-19 2003-06-19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3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9515A (zh) * 2019-09-17 2022-07-08 托比亚斯·布雷特 构造和用于生成构造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9515A (zh) * 2019-09-17 2022-07-08 托比亚斯·布雷特 构造和用于生成构造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8297C2 (ru) Габион, шумозащитная стена, содержащая габион,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габиона
KR100923428B1 (ko) 폐사탕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 호안 블록
KR200330342Y1 (ko) 채움재로서 폐콘크리트 파쇄골재를 이용하는 사면 보호용돌망태
KR200330335Y1 (ko) 채움재로서 분상체를 이용하는 옹벽용 돌망태
CN105908987A (zh) 一种古迹遗址保护工程用生态加固复合材料及其施工方法
JP4060471B2 (ja) 埋め戻し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0291319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盛土工法
KR100655182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과 그 축조방법
KR20180121464A (ko) 건설자재 및 성토(盛土) 공법
KR200291969Y1 (ko) 옹벽 축조용 콘크리트 블록
CN219430818U (zh) 格宾挡墙墙块及格宾挡墙
KR200327427Y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옹벽용 돌망태
IL120951A (en) A method of creating concrete containers for permanent storage of garbage
JPH10280461A (ja) 地下埋設容器の浮上防止装置
KR100372556B1 (ko) 수해방지용 블록
JP2007224566A (ja) 軽量硬質成形体及び軽量硬質成形体の製造方法
JP5442152B1 (ja) 無機廃棄物用防水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3019707A (ja) 木質土木製品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木質材料又は木質土木製品を用いた施工方法
JP2005090046A (ja) 軽量土及び軽量土を利用した軽量ブロック並びに軽量盛土マット
JP2003286730A (ja) 擁壁構造
KR200330329Y1 (ko) 이중 덮개를 구비한 사면 보호용 매트리스형 돌망태
JPH11303060A (ja) 土間床の沈下防止方法
JPH0756330Y2 (ja) 地盤構築材
JPH038751A (ja) 建設残土廃棄方法並びにソイル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452791B1 (ko) 인조 피복석의 제조용 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