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156Y1 -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156Y1
KR200330156Y1 KR20-2003-0018582U KR20030018582U KR200330156Y1 KR 200330156 Y1 KR200330156 Y1 KR 200330156Y1 KR 20030018582 U KR20030018582 U KR 20030018582U KR 200330156 Y1 KR200330156 Y1 KR 200330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lock
rotating shaf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저 밍 유
쳉차오밍
첸첸치엔
Original Assignee
저 밍 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 밍 유 filed Critical 저 밍 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35Electric alarm locks by rotation of key or r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3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by operating the handl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는 문의 안쪽과 바깥쪽 표면에 각각 설치되고 연결된 바깥쪽 잠금부와 안쪽 잠금부를 주요 구성부로 하고, 상기 문 판넬은 안쪽 잠금부의 회전축과 링크된 래치볼트가 장착된 대드볼트와 스프링이 설치되고, 하우징의 바깥쪽 잠금부와 안쪽 잠금부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각각의 핸들이 구비된다. 상기 안쪽 잠금부의 회전축은 제2 회전축의 일측 말단과 연결되고, 바깥쪽 잠금부는 캠형 축 슬리부에 연결된다. 또한 조절장치와 회전링이 설치되므로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캠 형 축 슬리브의 위치 또는 움직임이 조절되어 집 안팎에서 핸들을 회전시켜 열리고 잠그는데 문제가 없다.

Description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DOOR LOCK WITH A CLUTCH HAVING A CAM-STYLED AXLE SLEEVE}
본 고안은 집 안팎에서 회전시켜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전자회로를 조합한 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잠금장치구조는 바깥쪽 잠금부와 안쪽 잠금부가, 문에 대드볼트(DEAD BOLT)와 래치볼트(LATCH BOLT)가 장착된 스프링이 조합되어 문의 안팎에 각각 마주보게 장착된다. 상기 문잠금장치는 게이트, 방문, 또는 잠금이 요구되는 곳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사회가 변화하고 과학 기술이 진보됨과 더불어 문잠금장치의 형상이 변화하고 있다. 시장에 문잠금장치가 다양하게 전시됨에도 불구하고 문잠금장치의 기능과 목적은 거주자의 보안을 위한 것이고 또한, 사용과 작동의 편리성이 문잠금장치 설계시에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시장에서 종래의 전자문잠금장치는 전자장치가 손상을 입거나 정전시를 고려하여 열쇠를 가지고 문을 열수 있는 열쇠구멍을 가진 형상으로 설계된다. 그리고 사용자를 위해 열쇠로 문을 잠그거나 전자장치에 보안코드를 입력하게 설계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잠금장치는 사고(화재경보, 지진 등)에 전자잠금장치의 복호화 또는 수동 래치에 의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사고로 인해 피난을 하는 사람들은 서둘러서 우왕좌왕하게 되고, 피난하는 시간이 지연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의해, 본 고안은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문잠금장치는 종래 잠금장치처럼 복잡함이 없이 서로 다르게 열고 닫는 문잠금장치일 뿐만 아니라 도난방지 기능과 피난시 복잡하지 않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난방지 기능과 피난기능을 갖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문잠금장치는 집 안팎에서 직접 올림에 의해 문을 열거나, 당겨서 핸들을 눌러 열거나, 대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장착된 스프링을 눌러 열어, 편리하게 열고 잠글수 있는 문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해 문에 안쪽 잠금부와 바깥쪽 잠금부가 조립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해 바깥쪽 잠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해 조절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의해 바깥쪽 잠금부를 조립한 후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의해 안쪽 잠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의해 안쪽과 바깥쪽 잠금부가 문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의해 잠금 전에 안쪽과 바깥쪽 잠금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7a는 도7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8은 본 고안에 의해 핸들이 올려졌을 때 바깥쪽 잠금부로부터 안쪽 잠금부와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8a는 도8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8b는 본 고안에 의해 핸들이 올려졌을 때 안쪽 잠금부와 바깥쪽 잠금부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8c는 도8b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9는 본 고안에 의해 핸들이 내려졌을 때 안쪽 잠금부와 바깥쪽 잠금부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10 내지 도12는 본 고안에 의해 핸들이 위 아래로 움직였을 때, 안쪽 잠금부의 내측 스프링과 축 자리(seat)의 움직임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 바깥쪽 잠금부 2 ... 안쪽 잠금부 3 ... 대드볼트
4 ... 래치볼트 5 ... 문 패널 7 ... 조절판넬
10,20 ... 하우징 11 ... 핸들 12 ... 잠금부재
12,32 ... 회전축 14 ... 스프링 16 ... 캠형 축 슬리브17 ... 회전링 18 ... 경보장치
23 ... 교차축 25,84,88 ... 당김로드
24 ... 축시트 27 ... 스프링
71 ... 표시램프 72 ... 푸쉬버튼 80 ...조절장치
81 ... 모터 82 ... 기어 83 ... 받침블록
85 ... 리드 86 ... 시트부재 89 .. 포지션 스트링
121 ... 열쇠구멍 122 .. 잠금코어로드 123 ...돌기편
131 ... 팬 133,162,164,171,172,243,244 ... 돌기
163 ... 결합끝단 173 ... 플랜지 200 ... 하우징
241, 242 ... 연결 암
222 ... 링크부 251 ... 슬롯 281 ... 구멍
282 ... 시트부재 812 ... 스크류 로드 283,831 ... 리세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주로 바깥쪽 잠금부와 안쪽잠금부로 구성되고, 바깥쪽 잠금부는 하우징과 외부로 연결된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회전축과 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장치는 모터, 기어, 받침블록과 전자회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핸들의 일측 말단과 연결 및 링크되고, 스프링과 캠형 축 슬리브의 타측 말단에 연결된다. 상기 축 슬리브는 회전링의 외부에 미끄러지게 부가적으로 형성되고, 축 슬리브를 통해 연장된 축구멍은 회전축과 결합되고 링크된다. 상기 축 슬리브는 결합부의 말단면에 구비되고, 조절장치에 있는 받침블록의 받침에 의해 결합 끝단의 바깥주변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은 스프링 받침대로 인해 고정팬의 두 말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전자회로장치는, 기어를 움직이고 받침블럭(LATTER)의 낮은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움직이는 받침블럭과 링크하고, 앞으로의 움직임 또는 캠형 축 슬리브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터의 동작에 의한 전자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회전링은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돌기를 구비한다. 플랜지는 받침블록을 움직이는 회전링 주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쪽 잠금부는 하우징과 외부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회전축과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위로 연결된 핸들의 일측 말단에 연결되고, 제2 회전축의 타측 말단에 삽입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회전축은 앞으로 움직이는 동안 축 슬리브와 결합된 바깥쪽 잠금부의 축 슬리브의 결합부에 대향한 결합부를 구비한 외부 표면의 시트부재(Sheet member)의 꼬리 말단에 형성되게 연장되며, 상기 시트부재는 회전링의 돌기와 피벗되게 연결된 회전 링의 돌기에 구비되어 일치되는 슬롯의 외부 표면에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제2 회전축이 회전링과 연결된다.
본 고안이 문에 결합될 때, 바깥쪽 잠금부는 문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고, 안쪽 잠금부는 바깥쪽 잠금부의 반대편 문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문 패널은 대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장착된 스프링을 구비하므로, 안쪽 잠금부에서 회전시에 핸들은 대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장착된 스프링의 도어에서 당기고 미는 조절을 할 수 있음으로 문의 열림과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바깥쪽 잠금부가 안쪽 잠금부의 제2 회전축과 결합될 때, 바깥쪽 잠금부 핸들의 회전은 문의 열림과 잠금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대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장착된 스프링과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에 의한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고안에 의한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는 바깥쪽 잠금부(1), 안쪽 잠금부(2), 문 패널(5)에 함께 설치되는 대드볼트(3) 및 래치볼트(4)가 장착된 스프링을 주요 구성부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바깥쪽 잠금부(1)는 하우징(10)과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핸들(11)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은 열쇠를 삽입하기 위한 열쇠구멍(121)이 구비된 잠금부재(12)의 일측면에 연장된다. 열쇠구멍의 뒷면에는 돌기편(123)을 갖는 중간부의 잠금코어로드(122)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회전축(13)과 조절장치(8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핸들(11)은 안쪽의 회전축(13)을 회전시키고, 스프링(14)은, 회전축(13)이 핸들(11)과 결합될 때 정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핸들(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의 정단면과 후단면은 서로 다른 크기의 사각형상이 되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두 개의 단면에 형성된 각 표면에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팬(131)이 구비된다. 보다 큰 크기의 단면의 끝단면은 핸들에 연결되고, 보다 작은 크기의 끝단면은 돌기(133)의 말단면에 구비된다. 상기 말단은 스프링(15)과 캠형 축 슬리브(16)가 미끄러지게 되는 구조이고, 캠형 축 슬리브(16)는 회전링(17)을 구비하여 바깥쪽으로 미끄러지고 캠형 슬리브(16)를 통해 중앙으로 연장된 축 구멍(161) 및 회전축(13)과 결합되고 연결된다. 상기 축구멍(161)은 두 개의 돌기(162,164)를 측면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캠형 축 슬리브(16)는, 상기 캠형 축 슬리브(16)가 앞으로 움직이거나 제 위치에서 조절되게 조절하는 조절장치(80)의 받침을 위해 결합끝단(163)를 갖는 경사진 주변의 바깥부분에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링(17)은 적어도 두 개의 돌기(171,172)와 분리되게 형성된다. 플랜지(173)는 상기 회전링(17)의 주변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팬(131)은 스프링(15), 캠형 축 슬리브(16)와 회전링(17)의 받침을 위해 구비되는 회전축(13)의 양 끝단 사이에 형성되고, 부가하여 바깥쪽 잠금부(1)는 적어도 표시램프(71)와 푸쉬버튼(72)를 갖는 조절판넬(7)과 함께 외부에 구비된다.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장치(80)는 전자회로장치(801), 모터(81), 기어(82), 받침블록(83), 당김로드(84) 및 리드(LID,85)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81) 축은 기어(82)에 의해 결합되게 스크류 로드(screw rod, 812)가 되고, 기어(82)는 하우징(10)의 돌기가 위치한 리세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받침블록(83)에 구비된 리세스(831) 내에 구비되게 소정 돌기(821)의 타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받침블록(83)은 시트부재(86)의 일측말단에 결합되고, 당김로드(88)은 스프링(881)이 끼워지고 타측면에 리미팅블록(87)이 형성되어 받침블록(83)의 포지션 리세스(832) 상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다수의 포지션 스트링(89)를 갖는 리드(85)가 하우징(10) 내에 구비되어, 받침블록(83)이 캠형 축 슬리브(16)의 결합 끝단(163) 상에 정확히 결합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리드(85)에서 연장된 당김 로드(88)는 잠금부재(12)의 돌기편(123)과 결합되어 열쇠는, 캠형 축 슬리브(16)의 결합끝단(163)과 이격되게 캠형 축 슬리브(16)을 앞으로 움직여 받침블록(83)과 링크된 당김로드(88)를 올려서 돌기편(123)을 움직여 잠금부재(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잠금코어로드(122) 상부에 구비되는 전자회로장치(801)가 조절판넬(7)에 형성된 푸쉬버튼(72)의 입력을 통해 또는 모터(81)의 회전으로 인해 사용자의 리모트 조절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캠형 축 슬리브(16)의 결합끝단(163)과 이격되게 축 형상의 슬리브(16)을 앞으로 움직여 받침블록(83)과 링크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잠금부(2)는 바깥쪽 잠금부(1)의 하우징 크기와 부합되게 구비되고, 하우징(20)과 외부로 연결된 핸들(21)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 내에는 교차축(23)과 당김로드(25)와 결합된 대드볼트(3), 축시트(24)과 링크된 회전축(22), 교차축(23)으로 구성된 연결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21)은 안쪽의 회전축(22)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안쪽의 회전축(22)의 일측 말단은 정방형이고, 안쪽의 회전축(22)이 핸들(21)과 연결될 때 스프링(26)이 복원될 수 있는 핸들(21) 궤적 사이에 구비된다. 안쪽의 회전축(22)의 타측 말단은 받침 스프링을 갖는 중앙 축 구멍(221)을 구비한 회전평면 부재이다. 상기 받침 스프링(27)은, 캠형 축 슬리브(16)의 돌기와 결합한 리세스(283)을 구비한 외부 표면의 시트부재(282)의 꼬리 끝단에 형성한 바깥쪽으로 연장된 타측말단의 제2 회전축(28)의 말단과 연결된다. 연장된 형상에서 리세스(283)는 바깥쪽 잠금부(1)에 구비된 회전축(13)의 말단면 상부에 구비된 돌기(133)와 결합되고, 결합된 구멍(281)의 중앙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282)는 회전링의 돌기(171,172)와 피벗되게 연결되어 회전링의 돌기(171,172)에 부합되게 슬롯의 외부표면에 부가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부가하여 안쪽의 회전축(22)의 중앙 회전축 구멍(221)은 안쪽의 당김로드(25)를 움직일 수 있게 링크부(222)의 말단에 부가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222)는 돌기 형상이다. 상기 안쪽의 당김로드(25)는 연장 슬롯(251)의 말단에 형성된다. 상기 축시트(24)는 돌기(243,244)를 구비한 고리 말단부에 두 개의 연결 암(241,24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안쪽 잠금부(2)의 하우징(200)은 스프링(29)과 결합된 결합시트(29)와 축 시트(24)와 근접되게 구비된다. 스프링(291)의 타측 말단은 축시트(24)의 양측 연결암(241)에 구비된 돌기(243)와 결합된다. 안쪽 당김로드(25)의 타측 말단에 형성된 연장슬롯(251)은 축시트(24)의 측면 연결암(242)의 돌기(244)내로 연장된다. 그리고 축시트(24)는 하우징(20)에 형성된 홀(223)과 연결되고, 교차홀(245)은 중앙으로 연장되고, 교차홀(245)은 하우징(20)을 통해 연장되고, 교차홀(245)의 하우징(20)에 있는 말단은 하우징의 바깥 말단이 지시디스크(246)과 연결될 때, 교차축과 연결되고, 상기 지시디스크(246)는 문(5)이 잠겼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과 컬러가 형성된다.
또한, 문(5)이 조립될 때, 대드볼트(3)과 래치볼트(4)가 장착된 스프링이 설치된다. 도6에서 안쪽 잠금부(2)는 문(5)의 안쪽에 설치되고, 이때 바깥쪽 잠금부(1)는 안쪽 잠금부(2)의 반대편에 문(5)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상기 대드볼트(3)는 안쪽 잠금부(2)의 교차축(23)과 연결된 교차홀에 구비되고, 교차홀에 링크된다. 래치볼트(4)가 장착된 스프링은 제2회전축(28)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축에 링크된다. 안쪽 람금부(2)의 핸들(21)의 회전은 대드볼트(3) 및 리치볼트(4)가 장착된 스프링의 문(5)으로 당기거나 밀어지게 조절되어 문(5)의 열림과 담힘의 편리한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7 및 도7a에 도시된 바대로, 바깥쪽 잠금부(1)의 캠형 축 슬리브(16)와 안쪽 잠금부(2)의 제2 회전축(28)은 결합된다. 이 때, 조절장치(80)의 받침블록(83)은 캠형 축 슬리브(16)의 앞쪽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되어 캠형 축 슬리브(16)의 결합 끝단과는 아직 결합되지 않는다. 축 슬리브(16)의 말단면에 형성된 두 개의 돌기(162,164)는 제2 회전축(22)의 시트부재(282)에 형성된 리세스(283)와 결합되고, 안쪽 회전축(22)의 중앙 구멍(221)에 있는 받침블록(27)은 제2 회전축(28)의 일측 말단을 떠 받친다. 이런 상태 하에서 집의 안팎에 문제가 없을 때, 핸들(11,21)을 눌러 문(5)이 열리게 된다. 또는 핸들(11,21)이 올려져 문(5)가 잠기게 된다. 특히 이 동작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도8 내지 도8c에 도시된 대로핸들(11,21)이 올려졌을 때, 제2 회전축(28)이 움직이고 교차축(23)이 회전축과 링크되어 문(5)에서 대드볼트(3)가 당겨지고 그 동안 제2 회전축(28)은, 받침블록(83)이 있는 캠형 축 슬리브(16)의 결합끝단(163)의 경사진 면의 가장 낮은 지점을 회전하여 캠형 축 슬리브(16)을 회전한다. 이 때 임피던스는 없고, 받침블록(83)은 결합끝단(163)의일측 말단에 구비되어 복원이 되게 아랫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핸들(11,21)이 제 위치에서 결합끝단(16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받침블록(83)은 결합끝단(163)의 경사면을 따라 캠형 축 슬리브(16)와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제2 회전축(28)은 캠 형 축 슬리브(16)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문(5)은, 핸들(11)이 하우징의 바깥쪽에서 회전되든 안되든 문제없이 열리지 않는다. 그러나, 안쪽 잠금부(2)의 핸들(21)의 누름으로 문(5)이 열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9에서와 같이 핸들(21)이 위 방향으로 받침블록(83)이 움직이고 회전링(17)의 플랜지(173)을 움직여서 캠형 축 슬리브(16)이 결합되지 않고 제2 회전축(28)과 결합된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올려지고 내려지는 스프링 탄력에 의해 핸들(11,2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에 스프링(291)과 결합된 결합시트(29)와 축시트(24)를 구비한다. 스프링(291)의 타측 말단은 축시트(24)와 결합되어 축시트(24)가 리바운드된 후에 당겨진다. 이렇게 하여 핸들이 올려지고 내려질 때에 핸들(11,21)의 탄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부가하여 잠금부재(12)는 열쇠구멍(121)에 삽입된 열쇠에 의해 캠형 축 슬리브(16)에서 분리되어 위쪽으로 받침블록(83)을 옮겨서, 캠형 축 슬리브(16)가 집 밖에서 문(5)을 열때, 제2 회전축(28)과 결합될 수 있다.
절도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경보장치(18)와 바깥쪽 잠금부(1)의 하우징에 전자회로장치(801)을 구비하고,(도4에 도시) 잠금부재(12)의 잠금코어로드(122)는, 열쇠구멍(121)에 잠금부재(12)를회전하는 열쇠가 삽입되었을 때, 경보장치(18)와 접축하는 접촉부재(124)에 형성되어 낮은 경보를 만들고 정확한 코드가 입력되었을 때 경보를 해제시킬 수 있다.
집으로 들어가기 위해 코드를 입력할 때, 가족이 정해놓은 잘못된 입력 횟수 이상으로 코드가 입력되면, 경보장치(18)가 작동하고, 조절판넬에 구비된 표시램프(71)가 가족들이 메시지를 지울 때가지 연속적으로 오류메세지가 표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대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장착된스프링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안쪽 잠금부의 회전축과 링크되어 안쪽 잠금부의 핸들을 내리면 어떠한 경우라도 문이 열리고, 비상시에 피난을 가기 위해 문이 열리므로 안전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잠긴상태에서, 본 고안의 바깥쪽과 안쪽 잠금부의 회전축은 각각 연결되므로, 외출시에 열쇠로 잠글 필요가 없고, 잠그기 위해 핸들을 올리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경보장치가 부가되므로, 언듀모드(undue mode)에서 원하지 않을 때 문이 열리지 않고, 위협과 금지기능에서 절도의 증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핸들이 올라가고 내려간 후에 핸들을 올리고 내리도록 발생하는 복원력을 감소하기 위해 복원력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핸들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표시램프와 푸쉬버튼 상에 조절판넬을 구비한 바깥쪽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잠겼을 때 정확한 코드를 입력할 수 있고, 잘못된 코드가 입력된다면 가족이 정해 놓은 잘못된 입력 횟수에 도달했을 때, 경보장치를 소정시간 울리게하고표시램프 또한 연속적으로 불법침입 가능성에 오류(Wrong) 메시지를 표시하고 가족에게 경계심을 가지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대드볼트의 상태를 지시하는 서로 다른 패턴, 컬러, 코드가 있는 지시디스크를 안쪽 잠금부에 구비하여 문이 잠겼는지를 가족이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은 사용하기에 안전성과 편리함이 있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를 제공하여 목적에 기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명세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12)

  1. 하우징과 바깥쪽으로 연결된 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는 회전축과 조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장치는 모터, 기어, 받침블록 및 전자회로장치를 포함하고, 회전축의 일측 말단은 핸들에 의해 연결되고, 회전축의 타측 말단은 스프링과 연장된 중앙 축 구멍을 구비하는 캠형 축 슬리브와 뒤로 보이지 않게 뒤로 연결되고, 상기 캠형 축 슬리브는 회전시에 회전축과 링크되고 결합 끝단은 경사면인 상기 캠형 축 슬리브의 외부에 구비되어, 받침블록이 캠형 축 슬리브를 구비하기 위해 결합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캠형 축 슬리브와 결합하고, 상기 전자회로 장치는, 상기 모터 회전에 의한 기어의 움직임과 상기 받침블록의 올라가고 내려가는 전기적인 조절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캠형 축 슬리브를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움직이게 조절하도록 구성된 바깥쪽 잠금부; 및
    하우징과 바깥쪽으로 연결된 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는 연결장치와 연결된 회전축이 각각 구비되며, 회전축의 일측 말단에는 상기 핸들에 의해 연결 및 링크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 말단은, 캠형 축 슬리브와 링크되어 내측으로 움직일 때 바깥쪽 잠금부의 캠형 축 슬리브와 결합된 제2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안쪽 잠금부:를 포함하되,
    문 패널과 바깥쪽 잠금부와 안쪽 잠금부의 연결은 상기 바깥쪽 잠금부가 상기 문 패널의 바깥측면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안쪽 잠금부는 바깥쪽 잠금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문 패널의 내측 표면에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문 패널은 대드볼트및 래치볼트가 장착된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대드볼트는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 및 링크되고, 상기 래치볼트가 장착된 스프링은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 및 링크되어 안쪽 잠금부의 상기 핸들이 회전될 때, 대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상기 도어 패널로 밀리고 당겨져서 상기 문의 잠금이 열리고 닫히게되고, 상기 바깥 잠금부의 캠형 축 슬리브가 안쪽 잠금부의 제2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문 패널이 상기 바깥쪽 잠금부의 핸들을 열거나 닫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잠금부의 캠형 축 슬리브는 회전링에 바깥쪽으로 미끄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은 적어도 두 개의 돌기와 분리되고, 플랜지는 상기 회전링의 주변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캠형 축 슬리브는 다수의 돌기의 말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안쪽 잠금부의 제2회전축은 시트 부재의 꼬리 말단에 형성되게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외부 표면이 앞으로 움직이는 동안 바깥쪽 잠금부의 캠형 축 슬리브와 결합되게 바깥쪽 잠금부의 캠형 축 슬리브의 돌기와 결합되게 반대편에 홈이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재는 회전링의 돌기와 연결되어 피벗동작을 하도록 상기 회전링의 돌기에 구비되는 것과 일치되게 다수의 슬롯의 외부 표면에 구비되어 제2 회전축이 상기 회전링과 링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핸들이 내려지거나 올려진 후의 제위치로 돌아오도록 안쪽과 바깥쪽 잠금부 각각의 핸들과 회전축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잠금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전자회로장치와 연결된 조절판넬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판넬은 표시램프와 푸쉬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코드를 입력하였을 때 열을 수 있고, 경보장치는 위협 또는 기대하지 않은 침입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잠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열쇠구멍의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열쇠구멍의 뒤편으로 접속부재 상에 잠금코어로드가 구비되어 상키 열쇠구멍이 열쇠와 회전할 때, 접촉부재는 상기 경보장치와 접촉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스프링과 포지션닝 스트립(POSITIONING STRIP)을 구비한 리드(LID)를 갖는 당김 로드(ROD)를 구비하고, 상기 당김 로드는 상기 잠금 코어 로드상에 구비된 돌기편과 결합한 일측 말단부와 받침 블록과 연결된 타측말단을 갖고 상기 열쇠구멍이 상기 열쇠와 회전되어 상기 잠금 코어로드의 돌기편이 캠형 축 슬리브의 결합 끝단으로부터 풀려져 위쪽으로 받침블록을 움직여 당김 로드가 움직이므로 상기 캠형 축 슬리브가 안쪽 잠금부의 상기 제2 회전축 과 결합되게 앞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잠금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열쇠구멍의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열쇠구멍의 뒤편으로 접속부재 상에 잠금코어로드가 구비되어 상키 열쇠구멍이 열쇠와 회전할 때, 접촉부재는 상기 경보장치와 접촉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스프링과 포지션닝 스트립(POSITIONING STRIP)을 구비한 리드(LID)를 갖는 당김 로드(ROD)를 구비하고, 상기 당김 로드는 상기 잠금 코어 로드상에 구비된 돌기편과 결합한 일측 말단부와 받침 블록과 연결된 타측말단을 갖고 상기 열쇠구멍이 상기 열쇠와 회전되어 상기 잠금 코어로드의 돌기편이 캠형 축 슬리브의 결합 끝단으로부터 풀려져 위쪽으로 받침블록을 움직여 당김 로드가 움직이므로 상기 캠형 축 슬리브가 안쪽 잠금부의 상기 제2 회전축 과 결합되게 앞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안쪽 잠금부의 상기 회전축 말단은 상기 제2 회전축과 삽입결합되도록 중앙 축 홀을 갖는 회전평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안쪽 잠금부의 상기 회전축 말단은 상기 제2 회전축과 삽입결합되도록 받침 스프링에 구비된 중앙 축 홀의 말단면을 갖는 회전평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안쪽 잠금부의 상기 회전축의 말단은 상기 제2 회전축과 삽입결합되도록 받침 스프링에 구비된 중앙 축 홀의 말단면을 갖는 회전평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안쪽 잠금부의 상기 회전축의 말단은 상기 링크장치와 연결된 링크부의 말단면을 가지며, 링크장치는 안쪽의 당김로드, 축시트(SEAT) 및 대드볼트의 일측말단과 대드볼트의 타측말단과 연결된 상기 축시트와 연결된 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쪽의 당김 로드는 상기 링크부의 일측 말단과 피벗되게 연결되고 상기 축 시트의 타측말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안쪽 잠금부의 상기 회전축의 말단은 상기 링크장치와 연결된 링크부의 말단면을 가지며, 링크장치는 안쪽의 당김로드, 축시트(SEAT) 및 대드볼트의 일측말단과 대드볼트의 타측말단과 연결된 상기 축시트와 연결된 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쪽의 당김 로드는 상기 링크부의 일측 말단과 피벗되게 연결되고 상기 축 시트의 타측말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시트는 암과 연결된 두 개의 측면, 상기 안쪽의 당김로드와 연결된 피벗 형상의 암들중에 하나, 상기 축시트에 근접한 결합시트를 갖으며, 상기 결합시트는 스프링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시트의 암과 연결된 타측은 상기 스프링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쪽과 바깥쪽 잠금부의 핸들의 탄력은 상기 핸들 뒤쪽 위치에 있는 핸들의 복원으로 올려지고 내려져서 감소될 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KR20-2003-0018582U 2002-08-02 2003-06-13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KR2003301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91211955 2002-08-02
TW091211955U TW537343U (en) 2002-08-02 2002-08-02 Clutch locks used in cam wheel slee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156Y1 true KR200330156Y1 (ko) 2003-10-17

Family

ID=2924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582U KR200330156Y1 (ko) 2002-08-02 2003-06-13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099000U (ko)
KR (1) KR200330156Y1 (ko)
BR (1) BR0302381A (ko)
MX (1) MXPA03006870A (ko)
TW (1) TW53734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62A1 (ko) * 2012-04-17 2013-10-24 Yoon Byungman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36394B1 (ko) * 2012-04-17 2013-12-04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405423B1 (ko) * 2012-12-07 2014-06-11 동성산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9603A (zh) * 2015-10-22 2017-05-03 广东金点原子制锁有限公司 一种电子面板锁
CN109138626B (zh) * 2018-09-29 2023-06-23 浙江威欧希科技股份有限公司 带游离保护的半自动电子锁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62A1 (ko) * 2012-04-17 2013-10-24 Yoon Byungman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36394B1 (ko) * 2012-04-17 2013-12-04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US9528299B2 (en) 2012-04-17 2016-12-27 Byungman YOO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405423B1 (ko) * 2012-12-07 2014-06-11 동성산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9000U (ja) 2004-03-18
MXPA03006870A (es) 2005-08-26
BR0302381A (pt) 2004-08-24
TW537343U (en)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070B2 (en) Door lock with a clutch having a cam-styled axle sleeve
US6098433A (en) Lock for safes and other security devices
US20040107747A1 (en) Linkage adapted to be controlled by an inner handle to deactivate a primary dead bolt which is controlled by a knob on a door
TWI605184B (zh) Internal operating device for door lock
KR200330156Y1 (ko) 캠형 축 슬리브를 갖는 클러치가 장착된 문잠금장치
US5460417A (en) Tubular lock assembly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CA2147306A1 (en) Security grill lock assembly
US7339472B2 (en) Self-adjusting cam assembly
CN209742687U (zh) 消防安全疏散门系统
JPH01503318A (ja) 施錠装置
EP1484462B1 (en) Door lock with a clutch having a cam-styled axle sleeve
WO2006033566A3 (en) Basic mechanical automatic door's lock with central gearbox
GB2291928A (en) Tubular lock assembly
KR101021639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501491B1 (ko) 도난방지용 자유회전 도어록 장치
KR2000005380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CA2808699C (en) Self-adjusting cam assembly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JP3296861B2 (ja) 窓用クレセント
JP3548895B2 (ja) 窓用クレセント
JP3296860B2 (ja) 窓用クレセント
TWM534767U (zh) 門鎖用的內側操作裝置
KR200214066Y1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JP2576000B2 (ja) ダイヤル式南京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