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454Y1 - 다기능견출메모지 - Google Patents
다기능견출메모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9454Y1 KR200329454Y1 KR20-2003-0021486U KR20030021486U KR200329454Y1 KR 200329454 Y1 KR200329454 Y1 KR 200329454Y1 KR 20030021486 U KR20030021486 U KR 20030021486U KR 200329454 Y1 KR200329454 Y1 KR 20032945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
- paper
- discharged
- present
- hold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42D5/005—Supports for note-pads
- B42D5/006—Supports for note-pad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메모지 및 포스트잇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기능견출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메모를 하여 한 장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지부재(120)와, 상기 메모지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필요한 곳을 메모 또는 표시하기 위한 견출부재(110)와, 상기 견출부재(110) 및 메모지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측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결착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기능견출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상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메모지 및 포스트잇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기능견출메모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모지나 견출지(또는 포스트잇)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메모지 또는 견출지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적합할 수도 있으나, 점점 사무업무가 복잡하여지고 순간순간을 메모하거나 체크하여야 하기 때문에 메모지에 메모를 한 후 견출지를 이용하여 체크 또는 표시를 하고자 하는 경우 책상위에 있는 견출지를 찾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기능견출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메모지 및 견출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메모를 하면서 바로 체크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견출지를 이용하여 체크하므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견출메모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기능견출메모지는, 사용자가 메모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인쇄되어 있으면서 한 장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지부재(120)와, 상기 메모지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필요한 곳을 메모 또는 표시하기 위한 견출부재(110)와, 상기 견출부재(110) 및 메모지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측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결착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견출부재(110)에서 배출되는 견출지(114)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견출부재(110)에서 배출되는 견출지(114)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메모지부재(120)는 하나 이상의 메모지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결착지지부재(130)는 상기 메모지부재(120) 및 견출부재(110)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부(132) 및 측면부(134)가 추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덮개부(132) 및 측면부(134)는 상기 결착지지부재 (13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기능견출메모지 110 : 견출부재
112 : 배출구멍 114 : 견출지
120 : 메모지부재 122 : 보조메모지부재
130 : 결착지지부재 132 : 덮개부
134 : 측면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기능견출메모지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기능견출메모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100은 포스트잇 또는 견출지(이하, 견출지라고 함) 및 메모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제품이고, 사용자가 메모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인쇄되어 있으면서 한 장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지부재(120)와, 상기 메모지부재 (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필요한 곳을 표시하기 위한 견출부재(110)와, 상기 견출부재(110) 및 메모지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측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결착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견출부재(110)의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견출지 (114)가 교대로 배출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견출지(114)가 배출되도록 상기 견출부재(11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멍 (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견출부재(110)에 놓여져 있는 견출지(114)는 사용자가 한 장씩 잡아당기게 되면 한 장씩 상기 배출구멍(11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부재(120)는 일반적인 메모용지이며, 그 크기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모양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부재(120)에는 노트와 같이 가로로 줄이 인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메모지 형태로 다양한 회사의 상호 또는 로고 등이 인쇄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전혀 인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부재(120)의 하측은 상기 결착지지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통상적으로 포스트잇에 사용하는 방식과 같이 여러번 붙였다 분리하였다 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접착수단이 형성되어 한 장씩 분리되어 사용할 수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다만 상기 메모지부재(120)의 상측면에 상기 접착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수단도 통상적인 메모지에서와 같이 본드를 이용한 방식으로 한 장씩 분리한 후에는 다른 곳에 부착할 수 없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포스트잇과 같이 한 장씩 분리된 후 다른 물체에 수차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결착지지부재(130)에 사용하는 접착수단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본드 또는 풀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결착지지부재(130)를 이용하여 상기 견출부재(110) 및 메모지부재(120)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그 외의 내용은 동일하다.
즉, 상기 결착지지부재(1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134) 및 덮개부(132)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덮개부(132) 및 측면부(134) 부분을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한 도 1의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메모지부재(120)가 서로 다른 크기인 보조메모지부재(122)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또한 상기 견출부재(110)에서도 상기 견출지(114)가 복수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에서는 메모지부재(120) 및 보조메모지부재(122)와 같이 2개로 구분하였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메모지의 크기를 복수개 형성하고 접착수단 부분도 필요한 부분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견출부재(110)에서도 양측이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한쪽에는 포스트잇을 형성하고, 한쪽에는 견출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색상을 달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기 견출부재(110)의 구성이 상하측방향으로 상기 견출지(114)가 이탈되도록 상기 배출구멍(112)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나머지는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견출부재(110)와 메모지부재 (120)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이며, 나머지는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결착지지부재(130)의 덮개 방식이 상하방식이 아니라 측면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그 외에는 모두 동일하다.
상기에 기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몇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에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더라도 상기에 기술한 기술사상과 동일한 경우에는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견출메모지는,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메모지 및 견출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메모를 하면서 바로 체크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견출지를 이용하여 체크하므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8)
- 사용자가 메모를 하여 한 장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지부재(120)와, 상기 메모지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필요한 곳을 메모 또는 표시하기 위한 견출부재(110)와, 상기 견출부재(110) 및 메모지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측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결착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출부재(110)에서 배출되는 견출지(114)는 가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출부재(110)에서 배출되는 견출지(114)는 세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출부재(110)에서 배출되는 견출지(114)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지부재(120)는 하나 이상의 메모지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지지부재(130)는 상기 메모지부재(120) 및 견출부재(110)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부(132) 및 측면부(134)가 추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32) 및 측면부(134)는 상기 결착지지부재 (13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지부재(120)의 일측면에는 포스트잇과 같이 착탈가능하도록 접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견출메모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1486U KR200329454Y1 (ko) | 2003-07-04 | 2003-07-04 | 다기능견출메모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1486U KR200329454Y1 (ko) | 2003-07-04 | 2003-07-04 | 다기능견출메모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9454Y1 true KR200329454Y1 (ko) | 2003-10-10 |
Family
ID=4941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1486U KR200329454Y1 (ko) | 2003-07-04 | 2003-07-04 | 다기능견출메모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9454Y1 (ko) |
-
2003
- 2003-07-04 KR KR20-2003-0021486U patent/KR20032945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407898A3 (en) | Sleeve with corner tabs | |
EP1074398B1 (en) | Self-stick writing note | |
KR20100061327A (ko) | 속지 탈부착 가능한 수첩 | |
KR200329454Y1 (ko) | 다기능견출메모지 | |
KR200413649Y1 (ko) | 메모수첩 | |
JP3120649U (ja) | メモ用紙機能付カレンダー | |
KR200428487Y1 (ko) | 메모용지 수납케이스 | |
KR200270590Y1 (ko) | 메모지 겸용 탁상용 카렌다 | |
JP3198447U (ja) | メモ帳 | |
KR200236314Y1 (ko) | 조합 스티카 | |
KR20070074206A (ko) | 책갈피용 간지부가 구비된 책 | |
KR200186397Y1 (ko) | 메모지의 보관과 광고 기능을 구비한 메모광고판 | |
CN209775910U (zh) | 一种具有标识功能的上光膜 | |
GB2356171A (en) | Document binder clip to group together sheets | |
KR200409141Y1 (ko) | 북마크 기능을 갖는 인쇄용지 | |
JP3077594U (ja) | バインダー用見出しシートabc | |
KR200427836Y1 (ko) | 다기능 절첩식 캘린더 | |
JP3198447U7 (ko) | ||
JP3898708B2 (ja) | ティッシュペーパーボックス | |
KR200366846Y1 (ko) |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 |
KR200427470Y1 (ko) | 다이어리 겸용 탁상 메모 캘린더 | |
KR200184076Y1 (ko) | 다기능 칼라 바인더 | |
JP3123756U (ja) | 用紙スタンド付デスクメモ | |
JP3039958U (ja) | ライティングパッド | |
JP3204479U (ja) | メモ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