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846Y1 -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 Google Patents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846Y1
KR200366846Y1 KR20-2004-0023375U KR20040023375U KR200366846Y1 KR 200366846 Y1 KR200366846 Y1 KR 200366846Y1 KR 20040023375 U KR20040023375 U KR 20040023375U KR 200366846 Y1 KR200366846 Y1 KR 200366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album
photo
connecting piece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2004-0023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lver Salt Photography Or Processing Solution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에 따라 사진이 앨범의 양편 대지를 걸쳐 연장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경우에 사진의 접힘부가 상부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앨범의 접힘부분에 대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진의 접힘부가 들뜨거나 또는 굴곡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사진의 접힘부분에 대하여 이그러짐 없이 명확히 보이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접혀지도록 연결되는 대지와 대지 사이에 사진의 접힘부가 상부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접힘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Album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Seperation Between a Wrapper and The other Wrapper}
본 고안은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된 대지와 대지 사이에 서로 접힘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편이 구비되고, 이 연결편에 접힘홈이 형성되는 개선된 구조에 의하여 사진이 솟아오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첨부하는 제본식 앨범은 다양하며, 종래 가장 전형적인 앨범(10)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면적을 가지는 대지(12,14)가 서로 합착연결되어 접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지(12,14)는 상판(16,18)과 하판(20,22)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여러겹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지(12)와 대지(14)가 서로 펼쳐지게 되면, 대지(12) 상판(16)의 일측단부로부터 더 연장되는 연결편(28)이 대응하는 대지(14)의 하판(22)에 부착되어 상기 대지(12)와 대지(14)간의 연결과 접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판(22)은 상판(18)과 단차를 형성하면서 연장되어 있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연결편(28)이 부착되게 되면, 상판(18)의 표면과 수평으로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지(12)와 대지(14)가 연결되는 연결편(28)에는 접힘선(30)부분이 상부로 솟아오르도록 공간(29)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대지(12) 또는 대지(14)에 독립적으로 사진을 첨부시, 접힘선(30)을 따라 솟아오르는 턱에 사진(32)의 일측면을 밀착시켜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비틀려진 상태로 사진(32)이 첨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대지(12,14)의 표면에는 내측 테두리를 따라 도시되지 아니한 양면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 이 양편 테이프를 이용하여 첨부되는 사진(32)이 대지(12,14)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사진(32)의 사이즈에 따라 양편 대지(12,14)를 걸치면서 부착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대지(12)와 대지(14)간에 접힘이 이루어지는 연결편(28)이 상부로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있어, 예를들어 양편 대지(12,14)를 걸쳐 사진이 첨부되는 경우에는 접힘선(30)에 위치하는 사진(32)의 접힘부(34)가 자연적으로 솟아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접힘부(34)의 부분에 대하여 이미지가 매끄럽게 이어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지와 대지를 서로 연결하면서 접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연결편에 접힘홈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사진의 접힘부가 접힘홈에 삽입되어짐으로써, 그 부분에 대한 들뜸이 없도록 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앨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앨범에서, 대지와 대지가 서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대지와 대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앨범 12,14 : 대지
16,18,38,44,50,52 : 상판 20,22,36,42,56,56 : 하판
28,40,62 : 연결편 30 : 접힘선
32 : 사진 34 : 접힘부
46,64,66 : 연결지 48 : 접힘홈
58,60 : 판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접혀지도록 연결되는 대지와 대지 사이에 사진의 접힘부가 상부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접힘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대지와 대지가 간격을 가지며 그 사이에 대지의 상면과 단차를 이용하여 접힘홈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는 연결되는 대지의 상면과 동일한 두께를 형성하도록 소정길이 만큼 연결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여러겹으로 형성되는 양편 대지의 일측단에 상판과 하판 사이로 인출되는 판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편과; 상기 판지와 판지 사이의 연결편에 사진의 접힘부가 상부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접힘홈을 자연적으로 형성하면서 대지의 상면과 동일한 두께를 형성하도록 양편에 연결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제 1실시예는 대지가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편의 일측부분을 높여 접힘홈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측에 위치하는 대지(12)의 일측단부에는 하판(36)으로부터 더 인출되도록 상판(38)이 겹쳐져 구비되고, 이 상판(38)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편(40)의 일측부분이 부착 연결되며, 타측부분은 대응하는 대지(14) 하판(42)의 상면에 부착되어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대지(12)와 대지(14)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편(40)의 타측부분이 대지(14)의 일측단부로부터 인출되는 하판(42)에 부착되게 되므로 상판(44)과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편(40)의 타측부분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연결지(46)가 더 부착되어져 상기 양편 대지(12,14)의 상면이 수평으로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40)의 양편에 접힘선(30)을 중심으로하여 서로 간격을 가지며 대지(12)와 대지(14)가 연결되어 있어, 그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접힘홈(48)이 자연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양편 대지(12,14)를 서로 접게 되면, 양편 대지(12,14)에 연장되어 부착된 사진(32)도 연결편(40)의 접힘선(30)을 따라 함께 접혀지게 되어 사진(32)의 접힘부(34)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편(40)의 접힘선(30)에는 이를 따라 접힘홈(48)이 형성되어있어서, 사진(32)의 접힘부(34)가 접힘홈(48)에 삽입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사진(32)의 접힘부(34) 부분이 상부로 들뜨지 않게 된다.
예컨데, 상기 대지(12)와 대지(16)가 과도하게 펴지면서 접힘선(30)을 따라 접혀지는 연결편(40)이 솟아오르더라도 연결편(40)의 두께가 매우 얇아 솟은 정도가 미세하여 접힘홈(48)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진(32)의 접힘부(34)가 솟아오르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사진(32)의 접힘부분에 대한 이미지의 이그러짐 없이 정상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사용하고 기타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는 연결편의 일측을 대응하는 대지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높여 접힘홈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실시예 2는 접힘선을 중심으로 연결편의 양편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연결지를 구비시켜 그 사이에 접힘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대지와 대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양편 대지(12,14)의 일측단부에는 상판(50,52)과 하판(54,56) 사이에 구비된 판지(58,60)가 일부 인출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양편 판지(58,60)의 상면에는 연결편(62)이 걸치는 상태로 부착되어 연결되는데, 이때 접힘선(30)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며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편(62)은 반복적인 구조를 이루는 대지(12,14)의 다른 연결편(62)에 부착되어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62)의 양편에는 양편 대지(12,14)의 각 상판(50,52)과 단차를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각 연결지(64,66)가 대지(12)와 대지(14)간에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연결편(62)의 접힘선(30)에는 소정폭을 가지는 접힘홈(68)이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힘홈(68)의 기능은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과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번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기타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대지의 접힘선을 따라 소정의 폭과 가지는 접힘홈을 바로 형성하는 구조도 가능하여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본식 앨범은 대지와 대지가 연결되어 서로 접히게 되는 접힘선을 따라 접힘홈을 형성하여 사진의 접힘부가 상부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을 사용하게 되면, 사진이 앨범의 양편 대지를 걸치도록 부착될 때, 사진의 접힘부가 솟아오르지 않아 사진의 접힘부분에 대하여 이그러짐없이 명확하게 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사진을 부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대지들로 이루어진 앨범에 있어서,
    서로 접혀지도록 연결되는 대지와 대지 사이에 사진의 접힘부가 상부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접힘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지와 대지가 간격을 가지며 그 사이에 대지의 상면과 단차를 이용하여 접힘홈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는 연결되는 대지의 상면과 동일한 두께를 형성하도록 소정길이 만큼 연결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3. 여러겹으로 형성되는 양편 대지의 일측단에 상판과 하판 사이로 인출되는 판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편과; 상기 판지와 판지 사이의 연결편에 사진의 접힘부가 상부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접힘홈을 자연적으로 형성하면서 대지의 상면과 동일한 두께를 형성하도록 양편에 연결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KR20-2004-0023375U 2004-08-16 2004-08-16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KR200366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75U KR200366846Y1 (ko) 2004-08-16 2004-08-16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375U KR200366846Y1 (ko) 2004-08-16 2004-08-16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846Y1 true KR200366846Y1 (ko) 2004-11-06

Family

ID=4935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375U KR200366846Y1 (ko) 2004-08-16 2004-08-16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5359A (en) Display frame
US6354486B1 (en) Expansible document holder
US6871429B2 (en) Greeting card having a removable sticker
US6163998A (en) Backing and support assembly for a decorative element
KR200366846Y1 (ko) 들뜸방지 기능을 구비한 앨범
JP3522365B2 (ja) 情報スライド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85327A1 (en) Folder with removable bookmark
KR20050074264A (ko) 밴드형 파일용 속지
JP2005335356A (ja) 組立額及びそれに関するシート
JP4520617B2 (ja) メモ欄付きアルバム台紙
KR100842323B1 (ko) 앨범
US6206425B1 (en) Filing folder, in particular for lateral files
KR200166186Y1 (ko) 앨범
KR20070074206A (ko) 책갈피용 간지부가 구비된 책
KR102499788B1 (ko) 첨지가 구비된 전적문화재의 포장케이스
KR200168174Y1 (ko) 대지를 2장씩 철하여 된 앨범
KR200370731Y1 (ko) 색인부가 구비된 간지
KR200395712Y1 (ko) 앨범
KR200291340Y1 (ko) 앨범
KR200255159Y1 (ko) 엽서 겸용 인사장
JPH0327815Y2 (ko)
JP4710279B2 (ja) ボトムロック式包装箱
KR200164917Y1 (ko) 앨범용대지
KR200260500Y1 (ko) 앨범
KR940002872Y1 (ko) 바인더 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