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395Y1 -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 Google Patents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395Y1
KR200329395Y1 KR20-2003-0019808U KR20030019808U KR200329395Y1 KR 200329395 Y1 KR200329395 Y1 KR 200329395Y1 KR 20030019808 U KR20030019808 U KR 20030019808U KR 200329395 Y1 KR200329395 Y1 KR 200329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needles
outer shell
bedding
pin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이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영 filed Critical 이원영
Priority to KR20-2003-0019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연 소재를 내부에 첨가한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개나, 침대 매트에 인체에 유익한 솔잎을 첨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 시에 솔잎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콜레스테롤 및 노폐물을 제거시켜 혈압을 낮추며, 비만치료의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는 다수 개의 솔잎이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진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감싸지고, 망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쿠션재를 구속하는 제 1 외피와, 상기 제 1 외피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감싸지고, 일 측에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솔잎가루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솔잎의 향기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제 2 외피와, 상기 제 2 외피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감싸져 외관을 이루는 외피 본체 및 상기 외피 본체의 양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내부를 밀폐시키는 마감편으로 이루어진 제 3 외피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A bed-clothes using the pine needles}
본 고안은 천연 소재를 내부에 첨가한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개나, 침대 매트에 인체에 유익한 솔잎을 첨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 시에 솔잎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콜레스테롤 및 노폐물을 제거시켜 혈압을 낮추며, 비만치료의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경우에 따라 보통 하루 중 5 ~ 8시간의 수면을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면을 취할 경우에는 이불이나, 매트, 머리를 괴는 베개 등의 침구를 사용하는 바, 이와 같은 침구는 베개의 경우, 전통적으로 헝겊을 길게 만들어 왕겨, 메밀껍질로 속을 넣고 봉한 뒤, 호청을 만들어 겉을 싼 것이 사용되었으며, 이불은 천연 소재의 솜을 넓게 펴서 헝겊에 덮어 바느질하고, 홑청을 만들어 겉을 싼 것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베갯속이나 이불 속을 스펀지나 쿠션재, 합성수지재의 솜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침대의 경우에는 스프링이나 스펀지, 쿠션재, 합성수지 등이 이용되어 제작된 매트가 침대틀의 상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그 매트 상면에 상기 이불이나, 베개가 놓여져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최근에는 인체의 건강을 고려하여 과학적인 근거에 의한 침구의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침구 속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석 및 마그네트를 내장한 것과, 합성수지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혼합하여 스펀지나 쿠션재 대용으로 사용하는 등 많은 침구가 제안되고,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침구는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들이 고가의 재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 면에서 뒤떨어지기 때문에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솔잎을 베개나 매트 등과 같은 침구에 넣어 쿠션재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 시에 솔잎 향을 느낄 수 있고, 솔잎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콜레스테롤 및 노폐물을 제거하여 혈압을 낮출 수 있으며, 비만치료의 효과도 발생되도록 하는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주요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가 도시된 제작 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제 1 실시 예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제 2 실시 예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제 3 실시 예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재 20 : 제 1 외피
30 : 제 2 외피 32 : 홀부
40 : 제 3 외피 42 : 외피 본체
44 : 마감편 50 : 봉
60 : 베개 70 : 매트
80 : 침대매트 82 : 커버
84 : 침대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는 다수 개의 솔잎이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진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의 둘레면에 축방향으로 감싸지고, 망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쿠션재를 구속하는 제 1 외피와, 상기 제 1 외피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감싸지고, 일 측에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솔잎가루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솔잎의 향기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제 2 외피와, 상기 제 2 외피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감싸져 외관을 이루는 외피 본체 및 상기 외피 본체의 양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내부를 밀폐시키는 마감편으로 이루어진 제 3 외피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주요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 개의 솔잎이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진 쿠션재(10)와, 상기 쿠션재(10)의 둘레면에 감싸지고, 망사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외피(20)와, 상기 제 1 외피(20)의 둘레면에 감싸지고, 일 측에 다수 개의 홀부(32)가 형성되어 솔잎가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솔잎 향기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외피(30)와, 상기 제 2 외피(30)의 둘레면에 감싸지고, 양측 단부가 마감되도록 하여 침구의 외관을 이루는 제 3 외피(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가 도시된 제작 공정도이다.
상기 쿠션재(10)는 솔잎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나란히 배열하여 묶음으로써 이루어지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을 이루도록 1차 묶여진 후에 이렇게 묶여진 다수 개의 솔잎 묶음을 다시 나란히 배열하여 쿠션재(10)를 이룬다.
물론, 솔잎을 묶는 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단축하여 다수 개의 솔잎을 한번에 묶어 쿠션재(10)를 이루어도 무방하며, 선재의 재료를 굵은 묶음으로 제작하는 공지의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외피(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 모양의 섬유재로서, 롤 모양으로 권취된 제 1 외피(20)를 길게 펼쳐서 상기 쿠션재(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고, 한 쌍의 제 1 외피(20)를 서로 대응되게 배치하여 양측 단부를 서로 봉합하는 바, 그 내부에 상기 쿠션재(10)가 개재되도록 하여 솔잎의 묶음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10)를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외피(30)는 그 길이가 짧은 밴드 모양의 섬유재로서, 일 측 단부에 홀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외피(20)를 통과한 솔잎가루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솔잎 향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외피(30)는 쿠션재(10)에 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감싸지는 제 1 외피(20)와 다르게, 상기 제 1 외피(20)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감싸지므로 솔잎가루가 유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쿠션재(10)의 길이에 따라 사용되는 개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밴드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작되는 침구의 용도에 따라 그 길이의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제 3 외피(40)는 통상의 침구의 외피로 사용되는 섬유재로서, 무명이나 비단과 같은 천연섬유가 사용되기도 하고,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섬유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제 2 외피(30)의 둘레면에 감싸지는 외피 본체(42)와, 상기 외피 본체(42)가 결합된 후에 외피 본체(42)의 양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내부가 밀봉되도록 하는 한 쌍의 마감편(44)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제 1 실시 예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제 1 실시 예는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가 베개(60)로 사용된 것으로서, 상기 쿠션재(10)의 길이가 통상의 베개를 이루는 길이로 제작되고, 상기 제 2 외피(30)는 하나의 밴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1인 또는 2인이 머리에 벨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사용한 침구의 제 2 실시 예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제 2 실시 예는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가 매트(70)로 사용된 것으로서, 상기 쿠션재(10)의 길이가 성인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되고, 다수 개의 제 2 외피(30)가 감싸져 하나의 봉(50)을 이룬 후에 다수 개의 봉(50)이 나란히 배열되고, 각각의 봉(50)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바, 상기 봉(50)은 서로 바느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며, 섬유재를 서로 연결하는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로써,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는 사용자가 취침 시에 바닥에 깔고 그 위에누워 잘 수 있도록 하는 매트(70)를 이룬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제 3 실시 예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제 3 실시 예는 상기 제 2 실시 예의 매트(70)의 외측면에 커버(82)가 감싸져 이루어지고, 침대틀(84)의 상면에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침대매트(80)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연소재인 솔잎을 채취하여 그 내부의 수분을 제거토록 건조시킨 후에. 다수 개의 솔잎을 나란히 배열하여 실이나 끈 등으로 묶어 쿠션재(10)를 제작하고, 상기 쿠션재(10)의 둘레면에 제 1 외피(20)를 감싸며, 제 1 외피(20)의 단부를 바느질함으로써, 솔잎으로 이루어지는 봉(5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봉(50)은 그 용도에 따라 길이가 결정되는데, 그 용도가 사용자가 머리에 베는 베개(60)인 경우 1미터 내외로 그 길이를 정하는 것이 보통이고, 바닥에 까는 매트(70)나, 침대에 설치되는 침대매트(80)인 경우에는 그 길이를 2미터 내외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후에, 상기 봉(50)의 둘레면에 제 2 외피(30) 및 제 3 외피(40)가 감싸져 침구를 이루는 바, 제 2 외피(30)는 쿠션재(10)의 길이에 따라 사용되는 개수가 정해지고, 제 3 외피(40)는 제 2 외피(30)의 둘레면에 외피 본체(42)가 결합된 후에 외피 본체(42)의 양측 단부에 마감편(44)이 바느질되어 침구의 제작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는 인체에 유익하면서, 자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솔잎을 사용자가 취침 시에 사용하는 베개, 매트, 침대 등의 침구에 쿠션재로 사용함으로써, 수면 중인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콜레스테롤 및 노폐물을 제거하여 혈압을 낮추며, 비만치료의 효과가 나타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다수 개의 솔잎이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진 쿠션재(10)와;
    상기 쿠션재(10)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감싸지고, 망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쿠션재(10)를 구속하는 제 1 외피(20)와;
    상기 제 1 외피(20)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감싸지고, 일 측에 다수 개의 홀부(32)가 형성되어 솔잎가루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솔잎의 향기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제 2 외피(30)와;
    상기 제 2 외피(30)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감싸져 외관을 이루는 외피 본체(42) 및 상기 외피 본체(42)의 양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내부를 밀폐시키는 마감편(44)으로 이루어진 제 3 외피(40)가 포함된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는 쿠션재(10) 및 제 1 외피(20), 제 3 외피(40)의 길이가 상기 제 2 외피(30) 1개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절단된 베개(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는 쿠션재(10) 및 제 1 외피(20), 제 3 외피(40)의 길이가 다수 개의 제 2 외피(30)가 연결된 길이와 동일하게 절단되어 봉(50)을 이루고, 상기 봉(50) 다수 개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봉(50)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매트(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는 쿠션재(10) 및 제 1 외피(20), 제 3 외피(40)의 길이가 다수 개의 제 2 외피(30)가 연결된 길이와 동일하게 절단되어 봉(50)을 이루고, 상기 봉(50) 다수 개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봉(50)이 서로 결합되어 매트(70)를 이룬 후에, 상기 매트(70)의 외면에 커버(82)가 감싸지고, 침대틀(84)의 상면에 배치된 침대매트(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KR20-2003-0019808U 2003-06-23 2003-06-23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KR200329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08U KR200329395Y1 (ko) 2003-06-23 2003-06-23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08U KR200329395Y1 (ko) 2003-06-23 2003-06-23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395Y1 true KR200329395Y1 (ko) 2003-10-17

Family

ID=4941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808U KR200329395Y1 (ko) 2003-06-23 2003-06-23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3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95B1 (ko) 2007-04-06 2008-07-31 김규동 나무 구슬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95B1 (ko) 2007-04-06 2008-07-31 김규동 나무 구슬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3349A1 (en) Sleep products having adjustable firmness levels and adjustable heights
CN104970620B (zh) 一种柱状丝瓜络健康床垫及其加工方法
CN106333570B (zh) 一种鹅绒蚕丝被的制备方法
KR200329395Y1 (ko) 솔잎을 이용한 건강 침구
KR19990044539A (ko) 매트리스 및 그 내부재의 제조방법
CN104957919B (zh) 一种柱状丝瓜络压缩处理的方法及其片材与床垫
US20070197988A1 (en) CPM pad with fiber filling
KR200329396Y1 (ko) 소나무 환을 이용한 건강 침구
CN104997337A (zh) 一种设有丝瓜海绵功能层的健康环保生物质床垫
DE3524088A1 (de) Zudecke und/oder unterlage
CN102068147A (zh) 一种颗粒垫
KR200390683Y1 (ko) 천연 숯 매트리스
JPS6375158A (ja) 球形の繊維集合体
CN219088798U (zh) 一种方便内部填充的床垫
CN206933854U (zh) 一种山棕丝床垫
JP3137890U (ja) 檜材入りの枕
KR102658000B1 (ko) 숙면을 유도하는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JP3164308U (ja) 消臭性綿入り寝具
KR200334973Y1 (ko) 건강침구
KR101175995B1 (ko) 침구류의 구성방법
CN201036454Y (zh) 一种保健被
KR200386453Y1 (ko) 관솔베개
CN208625049U (zh) 一种多层填充复合保健型记忆海绵床垫
JP2832163B2 (ja) 防ダニふとん
JPH08228904A (ja) ひのき粉を内包した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