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882Y1 -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 Google Patents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882Y1
KR200328882Y1 KR20-2003-0021792U KR20030021792U KR200328882Y1 KR 200328882 Y1 KR200328882 Y1 KR 200328882Y1 KR 20030021792 U KR20030021792 U KR 20030021792U KR 200328882 Y1 KR200328882 Y1 KR 200328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nt
container body
side wal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율
Original Assignee
신기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율 filed Critical 신기율
Priority to KR20-2003-0021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8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4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comprising U-shaped or bifurcated members coacting with containers these members remaining connected with the closure and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pivoted b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용기본체의 연부에 프레스로 다단성형하여 절곡된 걸림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결속후크가 걸착되는 구조를 간소화,단순화시켜 미려함을 더하고 제조비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이 직접 접촉하는 용기본체가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기 때문에 합성수지와 같이 환경호르몬의 발생이 없어 사용시 안전성이 확보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뚜껑에 마련된 결속후크로 용기본체를 밀착결속시키는 식품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고, 상기 결속후크가 걸려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번이상 외부로 절곡된 걸림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A stainless steel vessel having a catched rim}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보관할 수 있는 압착식 뚜껑을 갖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용기본체의 연부에 프레스로 다단성형하여 절곡된 걸림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결속후크가 걸착되는 구조를 간소화,단순화시켜 미려함을 더하고 제조비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이 직접 접촉하는 용기본체가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기 때문에 합성수지와 같이 환경호르몬의 발생이 없어 사용시 안전성이 확보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식품용기는 음식물 등을 담아 보관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식품용기는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담겨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뚜껑은 담겨진 음식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음식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어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는 냉장고에 보관할 경우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뚜껑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된다.
위와 같은 식품용기는 이미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보관될 내용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와 금속 그리고 도기 등 여러 가지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도기(또는 유기)로 제작된 용기는 재질의 특성상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용기의 상측에 도기로 제작된 뚜껑을 단순히 올려놓는 구조이므로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에 대해 완전히 기밀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도기로 제작된 용기에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합성수지재의 뚜껑을 채택함으로써 용기를 밀폐하며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도기로 제조되는 용기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용기와 달리 소성에 의해 제조해야 하는 특성상 크기에서 약간씩의 치수 오차가 발생되고, 반면 그 용기에 채택하는 합성수지재의 뚜껑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모순 때문에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는 결합오차가 야기되어 결합력이 떨어지고 기밀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제로 제작된 용기는 용기와 뚜껑에 각각 별도의 후크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기밀을 유지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좀더 상세히부연 설명하면, 뚜껑에 결속후크를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마련하고, 결속후크와 대응되는 용기본체의 외측면에 결속후크와 동일한 개수의 걸림편들을 용접등에 의해 부착하여 결속후크의 단부를 걸림편에 걸은 후 용기쪽으로 눌러 고정시켰다. 이와 같이, 금속제 밀폐용기는 뚜껑은 물론 용기본체에 각각 결합장치를 마련하여야만 밀폐력을 보장할 수 있었다. 특히, 용기본체에 ㄱ자 또는 ㄷ자로 돌출된 걸림편들을 여러군데 부착해야 하므로 용접등에 의한 고정작업과 함께 용접후 용접부위를 다듬는 마무리작업 등의 여러 공정이 필요하였다. 그래도, 용접부위가 용기와 일체로 성형된 것에 비해 미관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기외측면에 군데군데 걸림편들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용기를 닦을 때도 매우 불편하고 그곳에 때가 많이 끼는 단점도 있었다.
한편, 용기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합성수지재의 용기로, 합성수지로 제작된 용기는 재료의 특성상 금속이나 도기 재질에 비해 쉽게 금형에 넣어 원하는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여 결속후크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종래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스틱재의 밀폐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0)에는 일체로 절곡선회가능하게 결속후크(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결속후크(12)가 착합되도록 용기본체(20)의 외주연 인접부위에 아래를 향해 걸림턱(22)이 ㄱ자단면의 테두리를 이루며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10)의 결속후크(12)를 ㄱ자형의 걸림테두리(22)에 결합시키면 간단하게 뚜껑(10)과 용기본체(20)를 기밀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재는 재료의 특성상 용기에 걸림테두리가 돌출된 형상으로 금형을 제작하고, 액상의 플라스틱수지를 부어서 경화시킴에 의해 쉽게 용기본체의 외주연 근방에 걸림테두리 형상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플라스틱재에서 발암물질 및 환경호르몬이 다량 검출된다는 보도가 잇달음에 따라, 일반인들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음식물을 담거나 보관하는데 있어 플라스틱재질의 용기를 기피하는 현상이 있다.
이에 따라서, 전술한 구조의 금속이나 도기 재질의 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밀폐력이 떨어지거나 사용이 불편하고 미관이 좋지 않아 사용하는데 있어 이용자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본 출원인의 기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235796호에는 "이중밀폐구조 식품용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식품용기에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용기본체의 주연부를 여러번 절곡시켜 이중테두리를 만들고, 그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테두리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압착홈을 형성함으로써 밀착력을 향상하고 있다. 즉, 뚜껑과의 밀폐력을 향상하기 위해 스텐의 용기본체 테두리는 수직절곡한 후 다시 수평절곡하여 그 단부가 말아진 구조를 가지며, 테두리의 수직절곡부를 뚜껑의 압착홈에 끼운 다음 테두리의 수평절곡부가 뚜껑단부에 마련된 수평접촉부와 다시 한번 접촉되어 이중의 밀착력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출원된 본 출원인의 고안은 용기본체와 뚜껑이 압착결합식으로 그 밀폐력이 단순히 탄성에 의해부여되므로 기밀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의 주연부로부터 연장절곡되는 수직절곡부를 수평절곡부와 말이부의 형성후 주연부쪽으로 압착하여 밀착시키는 공정이 더 필요하다. 또한, 이 고안에서 말이부는 용기본체를 들거나 할 때 날카로운 테두리에 의한 손베임 등과 같이 손이 다칠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단순히 말아놓은 것이다. 이러한 중요하지 않은 말이공정 및 전술한 수직절곡부의 압착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밀폐력을 보강하고 제조공정을 조금더 단순화시켜 제조성을 향상하고 기밀성을 증진한 식품용기를 개발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용기본체의 연부에 프레스로 다단성형하여 절곡된 걸림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결속후크가 걸착되는 구조를 간소화,단순화시켜 미려함을 더하고 제조비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이 직접 접촉하는 용기본체가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기 때문에 합성수지와 같이 환경호르몬의 발생이 없어 사용시 안전성이 보장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스틱재 밀폐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스텐밀폐용기의 실시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스텐밀폐용기의 걸림테두리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들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에서 걸림테두리 제작공정의 일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들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에서 걸림테두리 제작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식품용기 60 : 용기본체
62 : 개구 64 : 걸림테두리
64a : 1차절곡부 64b : 2차절곡부
64c : 환형걸림부 66 : 용기측벽
68 : 연장부 70 : 뚜껑
72 : 결속후크 74 : 장착판
80 : 패킹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된 식품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고, 상기 용기본체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번이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테두리 및, 상기 뚜껑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고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상기 뚜껑을 압착시키는 결속후크를 구비하되,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절곡된 1차절곡부와, 상기 1차절곡부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2차절곡부 및,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린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절곡부는 상기 용기측벽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사각통형이고, 상기 뚜껑은 상기 사각통형의 용기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사각판형이다. 상기 걸림부는 환형걸림부 또는 다각단면형걸림부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된 식품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고, 상기 용기본체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번이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테두리 및, 상기 뚜껑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고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상기 뚜껑을 압착시키는 결속후크를 구비하되,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절곡된 1차절곡부와, 상기 1차절곡부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2차절곡부 및,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린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된 외주연부분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용기측벽과 대략 수직하게 만든 다음, 다시 한번 절곡시켜 용기측벽에서 연장된 부분을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상기 1차절곡부로 만드는 동시에 상기 1차절곡부의 단부를 그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2차절곡부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아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된 식품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고, 상기 용기본체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번이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테두리 및, 상기 뚜껑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고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상기 뚜껑을 압착시키는 결속후크를 구비하되,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절곡된 1차절곡부와, 상기 1차절곡부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2차절곡부 및,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린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된 외주연부분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용기측벽과 대략 수직하게 만든 다음, 그 단부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아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고, 다시 한번 절곡시켜 용기측벽에서 연장된 부분을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상기 1차절곡부로 만드는 동시에 상기 1차절곡부의 단부를 그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2차절곡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식품용기(50)는 내용물을 담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용기본체(60)와, 이 용기본체(60)의 개구(62)를 폐쇄하여 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 뚜껑(70)을 구비한다.
용기본체(60)는 상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연장된 걸림테두리(6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테두리(64)는 용기본체(60)의 외주연에서 연장되어 용기본체(60)의 외면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용기본체(60)를 일주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특히, 걸림테두리(64)는 용기본체(60)가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인 점에 비추어 프레스성형에 의한 다단성형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에 따라, 걸림테두리(64)는 다단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즉, 용기측벽(66)의 상단으로부터 직접 연장된 1차절곡부(64a)는 용기측벽(66)과 일정간격 이격하면서 평행하고, 그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2차절곡부(64b)가 구성되며, 이 2차절곡부(64b)의 단부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려 환형의 걸림부(64c)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프레스에 의해 압입성형된 걸림테두리(64)는 단부에 동그랗게 말린 환형걸림부(64c)가 형성되어, 이 부분에 후술할 결속후크(72)가 물려 고정된다.특히, 1차절곡부(64a)가 용기측벽(66)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하여 그 사이가 공간부(66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결속후크(72)의 단부(72a)가 진입되는 공간을 마련하려고 걸림부(64c)를 2차절곡부(64b)로부터 멀리 인출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걸림테두리(64)의 압입성형공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뚜껑(70)은 수지재질로 제조되며, 측면에 일체로 연장되는 장착판(74)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장착판(74)은 뚜껑(70)에서 탄성을 갖고 용기본체(60)를 향하여 절첩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미관상 보기 좋고 손으로 누르기 편리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한편 단부가 곡면으로 처리되어 있다. 장착판(74)에는 용기본체(60)의 걸림테두리(64)와 대응되는 부위에 결속후크(72)가 걸림테두리(64)를 향해 돌출하고 있다. 장착판(74)은 뚜껑(70)의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4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뚜껑(70)은 용기본체(60)의 상단과 대응되는 그 저면부위에 용기본체(60) 상단이 끼워지는 압입홈(76)이 형성되고, 이 압입홈(76) 내부에 패킹부재(80)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뚜껑(70)을 용기본체(60)상에 덮으면 용기측벽(66)과 평행한 걸림테두리(64)의 1차절곡부(64a)가 삽입되면서 안정적으로 밀착되며, 그 접촉부 사이에서 패킹부재(80)가 압축되면서 기밀성이 높게 유지된다. 이때, 뚜껑의 압입홈(76)의 외측저면은 걸림테두리(64)의 2차절곡부(64b)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기밀성이 더욱 배가되는 한편 더 이상 뚜껑(70)이 하강하지 못하도록규제된다.
물론, 뚜껑(70)은 여기에 예시한 합성수지재질 뿐만 아니라 결속후크(72)를 측면에 구비한 것이면 금속재질이나 그 밖의 재질로도 제조사용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뚜껑(70)은 음식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크게 유해하지 않으며, 따라서 뚜껑(70)은 어떤 재질이든 용기본체(60)를 밀폐시켜 기밀성만을 유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본 고안에서는 음식물이 직접 접촉하는 용기본체(60)의 재질을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스틸재질로 제조하는 데에 그 주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특히 용기의 기밀성은 높이되 구조는 간단하게 하여 단순하고 깔끔한 구조의 디자인을 얻는데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스텐밀폐용기의 실시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들로, 용기본체(60,60′)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상화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도 4b에서와 같이 사각통형으로 형상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를 사각통형으로 하면 냉장고에 집어넣을 경우 냉장고의 공간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다각통형으로 형상화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용기본체의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어떠한 형상으로 하든지 그 외주연 근방에 전술한 바와 같은 일체로 연장절곡된 걸림테두리(64,64′)의 구조를 가지면 된다. 물론, 용기본체의 형상이 바뀌면 그와 맞게 뚜껑의 형상 또한 변경해야 한다. 즉, 용기본체가 원통형일 때에는 원판형의 뚜껑이, 사각통형일 때에는 사각판형의 뚜껑이 필요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스텐밀폐용기의 걸림테두리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들이다. 걸림테두리(64)는 앞서 설명한 구조, 즉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단부의 환형걸림부(64c)가 안쪽으로 말려진 구조와, 도 5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환형걸림부(64c′)가 바깥쪽으로 말려 있는 구조가 모두 가능하다. 특히, 환형걸림부(64c′)를 바깥쪽으로 말아 구성할 경우에는 전술한 2차절곡부의 역할도 겸할 수 있어 2차절곡부의 절곡을 생략하여도 된다. 또한, 이 걸림부의 말린 형상은 예시된 원형단면 이외에도 다각단면으로 말리거나 단지 한번 더 절곡되는 형상을 하든 전술한 결속후크의 후크끝단이 걸릴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구조든지 무방하다. 이제, 이 도 5a 및 도 5b에 각각 예시한 단부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린 형상의 걸림테두리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에서 걸림테두리 제작공정의 일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들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걸림테두리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용기본체(60)는 재질의 특성상 다단의 프레스성형공정을 거쳐 그 걸림테두리(64)를 갖게 된다.
이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금형상에서 스테인리스스틸재의 판상소재를 프레스로 압입하여 대략 식품용기의 형상을 만든다.그런 다음, 금형을 교체하고 2차프레싱(pressing)에 의해 도 6b와 같이 용기측벽(66)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된 외주연부분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연장부(68)를 용기측벽(66)과 대략 수직하게 만든다. 그 다음으로, 금형을 교환하여 3차프레싱에 의해 연장부(68)를 다시 한번 절곡시켜 용기측벽(66)과 인접연장된 부분을 용기측벽(66)과 평행하게 1차절곡부(64a)로 만드는 동시에 1차절곡부(64a)의 단부를 그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시켜 2차절곡부(64b)를 형성하여 도 6c와 같은 형상으로 용기를 만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금형을 교체하고 4차프레싱하여 연장부(68)의 단부를 안쪽으로 동그랗게 말아 환형걸림부(64c)가 형성되게 마무리한다. 그 결과,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기본체(60)의 최종적인 형상을 얻게 된다. 물론, 각 단계에서 금형의 형상은 각 단계마다 형성되는 용기형상에 부합되게 교체되며, 특히 4차프레싱에서 금형의 형상을 변경함에 의해서 환형걸림부(64c)가 예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말리게 하거나 아니면 앞서 도 5b에서와 같이 바깥쪽으로 말리게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에서 걸림테두리 제작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들이다.
스테인리스스틸재의 판상소재를 프레스로 압입하여 도 7a에서와 같이 대략 용기본체(60)의 형상을 만든 다음, 금형을 교체하고 2차프레싱에 의해 도 7b와 같이 용기측벽(66)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된 외주연부분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연장부(68)를 용기측벽(66)과 대략 수직하게 만드는 공정은 앞 실시예와 동일하다.그러나, 그 다음으로 절곡된 연장부(68)를 3차프레싱에 의해 안쪽(또는 바깥쪽)으로 말아 도 7c에서와 같은 환형걸림부(64c)를 먼저 형성하고나서, 4차프레싱하여 연장부(68)를 다시 한번 절곡시켜 용기측벽(66)과 인접연장된 부분을 용기측벽(66)과 평행하게 만드는 1차절곡부(64a)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로부터 단부를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시켜 2차절곡부(64b)도 함께 형성하여 도 7d와 같은 최종적인 형상으로 용기를 만드는 공정에 있어서는 앞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어째든, 앞 실시예서와 같이 연장부(68)를 절곡하여 1차절곡부(64a)와 2차절곡부(64b)를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환형걸림부(64c)를 최종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이나,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환형걸림부(64c)를 먼저 만들고 그 후에 연장부(68)를 절곡시켜 1차절곡부(64a)와 2차절곡부(64b)를 형성하여 최종적인 형상을 만드는 제조방법은 결과적으로 동일한 용기본체(60)의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방법은 택하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본 고안의 용기본체(60)의 걸림테두리(64)의 구조는 동일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용기본체의 연부에 프레스로 다단성형하여 절곡된 걸림테두리를 형성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테두리에서 수직절곡된 1차절곡부를 용기본체연부로 밀착시키는 공정이 필요없어 뚜껑의 결속후크가 걸착되는 구조를 간소화,단순화시켜 미려함을 더하고 제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테인리스스틸 식품용기의 특성상 대량생산이 어려웠던 것을 구조 및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대량생산이 용이하게 되었다.
또한, 테두리 단부에 마련된 말이구조로 된 걸림부가 손베임방지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질적으로 뚜껑의 결속후크와 결합되어 식품용기의 밀폐성을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식품용기는 재질이 스테인리스스틸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에 비해 냉장효율이 좋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은 특징들로 인해 본 식품용기는 보관되는 식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를 사각형으로 형상화시킬 경우 냉장고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이 직접 접촉하는 용기본체가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기 때문에 합성수지와 같이 환경호르몬의 발생이 없어 사용상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세척에 있어서도 걸림작용을 하기 위한 돌기 등이 용기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씻기 쉽고 걸리적거리지 않으며 위생적이다.

Claims (6)

  1.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된 식품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고, 상기 용기본체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번이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테두리 및, 상기 뚜껑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고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상기 뚜껑을 압착시키는 결속후크를 구비하되,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절곡된 1차절곡부와, 상기 1차절곡부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2차절곡부 및,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린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절곡부는 상기 용기측벽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사각통형이고, 상기 뚜껑은 상기 사각통형의 용기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사각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환형걸림부 또는 다각단면형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5.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된 식품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고, 상기 용기본체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번이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테두리 및, 상기 뚜껑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고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상기 뚜껑을 압착시키는 결속후크를 구비하되,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절곡된 1차절곡부와, 상기 1차절곡부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2차절곡부 및,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린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된 외주연부분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용기측벽과 대략 수직하게 만든 다음, 다시 한번 절곡시켜 용기측벽에서 연장된 부분을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상기 1차절곡부로 만드는 동시에 상기 1차절곡부의 단부를 그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2차절곡부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아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6.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덮히는 뚜껑으로 구성된 식품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이고, 상기 용기본체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적어도 한번이상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테두리 및, 상기 뚜껑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고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에 상기 뚜껑을 압착시키는 결속후크를 구비하되,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절곡된 1차절곡부와, 상기 1차절곡부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2차절곡부 및, 상기 2차절곡부의 단부에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린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두리는 용기측벽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된 외주연부분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용기측벽과 대략 수직하게 만든 다음, 그 단부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아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고, 다시 한번 절곡시켜 용기측벽에서 연장된 부분을 용기측벽과 평행하게 상기 1차절곡부로 만드는 동시에 상기 1차절곡부의 단부를 그로부터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2차절곡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KR20-2003-0021792U 2003-07-07 2003-07-07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KR200328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92U KR200328882Y1 (ko) 2003-07-07 2003-07-07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92U KR200328882Y1 (ko) 2003-07-07 2003-07-07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882Y1 true KR200328882Y1 (ko) 2003-10-01

Family

ID=4933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792U KR200328882Y1 (ko) 2003-07-07 2003-07-07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8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50B1 (ko) 2006-05-15 2007-06-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물품용기의 밀폐성 개선구조
KR100938999B1 (ko) 2007-10-30 201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속용기
KR200487891Y1 (ko) * 2017-11-17 2018-11-16 박종진 탄성 걸림식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50B1 (ko) 2006-05-15 2007-06-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물품용기의 밀폐성 개선구조
KR100938999B1 (ko) 2007-10-30 201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속용기
KR200487891Y1 (ko) * 2017-11-17 2018-11-16 박종진 탄성 걸림식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KR102623919B1 (ko) 2022-01-28 2024-01-11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296B2 (en) Collapsible food container
US3484015A (en) Insulating food container
US8596492B2 (en) System for aiding the visual matching of containers having diverse openings with corresponding lids
US7621417B2 (en) Container with integral foam gasket
US3337077A (en) Container assembly
WO2016181129A1 (en) Storage container
KR200328882Y1 (ko)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텐밀폐용기
JP2014091540A (ja) 包装用容器
JP5132299B2 (ja) 密閉式椀型食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密閉蓋
KR100999937B1 (ko)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JP4364561B2 (ja) 容器体のスタッキング構造
KR20100125050A (ko) 보관용기
KR200384730Y1 (ko) 밀폐용 접시 용기
KR100641370B1 (ko) 걸림테두리를 갖는 스테인레스 밀폐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22417B1 (ko) 밀폐용기
JP2591603Y2 (ja) 中仕切付食品容器
JP6365878B2 (ja) 閉蓋具付き容器
KR20100012090U (ko)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제 밀폐용기
KR101808728B1 (ko)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뚜껑 제조방법
US11192697B2 (en) Low profile container cover and assembly
JP3116617U (ja) 食品容器の蓋体
JPH0712278Y2 (ja) 気密容器
JPH0712277Y2 (ja) 気密容器
JP3068824U (ja) 取手付き容器
JP2001114318A (ja) ベースと蓋との間に非平面シールを備えた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