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468Y1 -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468Y1
KR200328468Y1 KR20-2003-0022174U KR20030022174U KR200328468Y1 KR 200328468 Y1 KR200328468 Y1 KR 200328468Y1 KR 20030022174 U KR20030022174 U KR 20030022174U KR 200328468 Y1 KR200328468 Y1 KR 200328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midsole
insertion hole
sho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순
Original Assignee
우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제순 filed Critical 우제순
Priority to KR20-2003-0022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창과 안창사이에 게재되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몸체 중 발 앞꿈치 접촉부의 소정위치에 접착제로 접착되며, 소정 두께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의 접촉부 부근에 삽입공이 천공됨에 따라 그 부근의 폭이 얇아지기 때문에 신발착용 후 사용자가 걷거나 뛸때에는 접촉부의 휨력이 우수하게되어 발에 느껴지는 피로감이 감소됨은 물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몸체에 접착된 완충부재의 신축력에 의하여 구부러진 몸체의 복구완성도가 높아져 신발의 변형이 방지되고, 신체의 하중은 완충부재가 탄력적으로 흡수분산시켜 발바닥으로 오는 체중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켜 신발 착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MIDDLE LAYER OF SHORE SOLE}
본 고안은 바닥창과 안창사이에 게재되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몸체 중 발 앞꿈치 접촉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소정너비를 가지며 신축성을 갖는 완충부와, 이 완충부의 선단에 소정폭의 접착부가 일체로 성형된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접착부 저면과 삽입공 선단 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도포되어 완충부재와 몸체를 접착시키도록 하는 접착제를 포함함으로써, 완충부재가 탄력적으로 휘거나 복원되어 발의 피로를 저감시킴은 물론, 체중에 의해 발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부재가 흡수 및 분산시켜 발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최하측에 위치되는 바닥창과, 바닥창의 상측에 위치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상측에 위치되는 안창, 그리고 상기 바닥창과 접하여 발을 감싸는 갑피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신발용 중창은 대부분이 소정의 충격을 흡수하는 합성수지재로 쿠션부를 형성한 후, 쿠션부의 상부에 인조피혁이나 비닐지의 커버재를 적층하여 제작하거나 발포 우레탄을 성형 가공하거나 종이를 여러겹 겹친 후 프레스로 압착하여 성형가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여기서, 신발은 사용자가 바닥을 다닐때 발생하는 발의 충격을 완화시켜서 발에 미치는 충격을 줄이고 사용자의 발이 딱딱한 구두 바닥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발에 편안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나, 장기간 사용하면 앞꿈치부위나 뒤꿈치 부위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받아 깔창이 압축되므로 압축된 부위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력이 점차로 저하되어 발에 미치는 충격을 제대로 완화시키지못하여 신발이나 발모양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체중에서 오는 충격이 여과없이 발로 전달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피로감을 더 느끼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가 걸을 때 발생하는 발의 충격을 완화시킴은 물론, 중창의 휨력과 복원력을 강화하여 발 앞꿈치부분이 쉽게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후에는 쉽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 발이 느끼는 피로감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목적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중창의 분해사시도.
ㄹ도2는 본 고안에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중창 102 : 몸체
103 : 삽입공 104 : 완충부재
105 : 완충부 106 : 접촉부
107 : 지압부재 108 : 엠보싱
109 : 통기공 110 : 통기부재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바닥창과 안창사이에 게재되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몸체(102) 중 발 앞꿈치 접촉부의 소정위치에 접착제로 접착되며, 소정 두께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완충부재(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2) 중 발 앞꿈치 접촉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삽입공(103)과; 상기 삽입공(103)에 삽입되도록 완충부재(104)의 저부에서 소정의 너비로 일체와 별개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신축성을 갖는 완충부(10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04)는 라텍스와 스폰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에 대한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신발용 중창(101)의 충격흡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제2실시예를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충격흡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01)의 몸체(102) 중 발 앞꿈치가 접촉하는 부분의 소정영역에는 완충부재가 (104)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바, 상기 완충부재는 라텍스나 스폰지 등과 같이 쿠션이 있으며 신축력도 겸비되어 인체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01)의 몸체(102) 중 발 앞꿈치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소정크기의 삽입공(103)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103)에 삽입되는 완충부(10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03)과 그 모양과 크기가 흡사하며, 완충부(105)의 선단에는 접착부(106)가 형성되는 바, 상기 접착부(106)는 완충부(105)의 선단 연부에서 연계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106)는 완충부의 두께보다는 얇아야 몸체(102)의 상부면에 접착부(106)가 접착되었을 때, 접착부(106)가 발바닥에서 돌기나 이물질로 느껴지지 않게 되어 발이 더욱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104)의 접착부(106) 저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삽입공(103)과 완충부(105)의 형상과 모양이 일치할 수 있도록 완충부(105)를 삽입하면서 접착부를 삽입공(103)의 연부에 접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105)는 신축성을 갖는 라텍스나 스폰지로 성형하여 재질이 갖는 특성을 백분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구조로 중창(101)을 제작한 연후에는 중창(101)을 바닥창(도시하지 않음)위에 끼워넣고 그 위에 안창(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후 걷게 되면 체중이 뒷꿈치부터 실려져서 발에 피로감이 전달되고 체중이 앞쪽으로 기울면서 앞꿈치가 완충부재(104)에 접촉되어지고, 이때, 체중으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완충부(105)가 눌리면서 이완되면서 이완되고 이와 동시에 그 충격이 완충부재(104)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체중이 앞쪽으로 기울더라도 완충부재(104)가 이를 흡수, 분산시켜 발이 피로감을 적게 느낄수 있게 된다.
한편, 발을 떼어 놓을 때에는 앞꿈치와 발가락이 구부러지면서 신발의 바닥창과 중창(101) 그리고 안창이 동시에 구부러지는 바, 여기서, 종래의 중창은 종래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종이 등을 프레스로 압착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재질상에는 약간의 쿠션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우 딱딱한 성질을 갖고 있어 쉽게 구부러지지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중창(1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03)이 넓게 천공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구부러지는 실면적이 매우 적어 쉽게 구부러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공(103)에 삽입된 완충부(105)는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구부러짐과 동시에 사용자가 발을 땅에서 이격시키는 순간부터 구부러지면서 이완된 완충부(105)가 신축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구부러진 몸체(102)가 자연스럽게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2)가 구부러지고 펼쳐지는 일련의 동작에서 완충부재(104)의 신축성에 의해 중창은 항상 동일한 모습으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신발의 모양이 변형되지 않게 되며, 아울러, 신발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발의 모양도 변형되지 않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104)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엠보싱(108)이 형성된 지압부재(107)를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발바닥의 경혈을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지압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나 땀 등이 하향유도될 수 있도록 통기공(109)이 형성된 통기부재(110)를 완충부재(104)의 상부에 접착함으로써 발냄새는 물론 통기성을 원활하게하여 발바닥에 쾌적한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얇으면서도 소정의 신축력과 쿠션력을 갖는 완충부재(104)를 중창(101) 몸체(102)의 발바닥 앞꿈치가 접촉하는 부위에 접착시킴으로써 발바닥이 항상 쿠션있는 양탄자위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완충부재의 접착으로 인하여 앞발꿈치에 느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착지감을 향상하여 보행시의 피로감을 최소화 시킴과 동시에 신축성 있는 완충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중창은 물론 신발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고, 이에 따라 발의 변형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바닥창과 안창사이에 게재되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몸체 중 발 앞꿈치 접촉부의 소정위치에 접착제로 접착되며, 소정 두께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KR20-2003-0022174U 2003-07-10 2003-07-10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KR200328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174U KR200328468Y1 (ko) 2003-07-10 2003-07-10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174U KR200328468Y1 (ko) 2003-07-10 2003-07-10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468Y1 true KR200328468Y1 (ko) 2003-09-29

Family

ID=4941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174U KR200328468Y1 (ko) 2003-07-10 2003-07-10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4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287B1 (ko) * 2017-10-31 2018-05-08 장지성 신발용 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287B1 (ko) * 2017-10-31 2018-05-08 장지성 신발용 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US8266825B2 (en) Shoe sole element
JP2706909B2 (ja) 靴の中敷および靴
US20070151124A1 (en) Woman&#39;s shoe
WO1995028102A1 (en) Insole
US20080301979A1 (en) Insole
WO2010037258A1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US20130133224A1 (en) Shoe Insole
JP6959687B2 (ja) 履物用中敷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KR200401231Y1 (ko)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KR100761897B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314880Y1 (ko) 신발용 중창의 구조
KR200328468Y1 (ko) 신발용 중창의 충격흡수구조
JP2005185675A (ja) 履物
KR200238254Y1 (ko) 충격흡수 신발
JP6829917B1 (ja) 履物の底部材
JPH077504U (ja) 脚力補強部材と脚力補強部材付き履物
JPH02114904A (ja)
KR101220444B1 (ko) 신발창
JP3037474U (ja) 靴の中敷
KR200430873Y1 (ko) 돌기가 구비된 신발 중창
KR200406367Y1 (ko) 신발용 깔창
JP3687061B2 (ja) 履物底
JP3008563U (ja) 靴底およびその靴底を備えた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