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182Y1 -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182Y1
KR200328182Y1 KR20-2003-0016317U KR20030016317U KR200328182Y1 KR 200328182 Y1 KR200328182 Y1 KR 200328182Y1 KR 20030016317 U KR20030016317 U KR 20030016317U KR 200328182 Y1 KR200328182 Y1 KR 200328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illing space
drain pipe
conne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정
Original Assignee
이석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정 filed Critical 이석정
Priority to KR20-2003-0016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1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할 때에, 접속부 틈새를 확장형 튜브와 그 내부의 채움공간에 충진되어서 고형화되는 무기질 채움재로서 밀봉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하는 작업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밀실하고 견고하게 접속시켜 주어서 시공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는 지중에 매립되는 맨홀(10)의 접속통로 (11)를 통하여 배수관(20)을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끼워지는 배수관(20)의 끝단부(21) 외주면 둘레에 부피가 확장되도록 내부에 채움공간(31)이 형성되며 그 채움공간과 연통되는 주입구(32)를 가지는 확장형 튜브 (30)를 설치하고,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주입구(32)를 통하여 채움공간(31) 내에 페이스트 상태의 무기질 채움재(40)를 충진시켜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상기 확장형 튜브(30)가 확장되어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채움공간(31) 내에 충진된 무기질 채움재(40)가 고형화되어서, 접속부 틈새(A)를 효율적으로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Between manhole connecting structure and Drain pipe}
본 고안은 지중에 매립되는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맨홀의 접속통로와 배수관의 끝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효율적으로 밀봉시켜서,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이 접속된 상태에서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수관로의 용도로서 지중에 매립되는 맨홀은 그 맨홀에 형성된 접속통로를 통하여 접속되어서 배관되는 배수관을 점검 또는 보수하기 위한 설비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맨홀은 다양한 규격의 배수관을 접속할 수 있도록 가급적 여유있게 뚫어진 접속통로를 가지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 맨홀의 접속통로를 통하여 배수관을 접속할 때에, 그 맨홀의 접속통로와 배수관의 끝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이하, "접속부 틈새"라 통칭함)를 밀봉시켜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필요성이 있었다.
이전에는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시킬 때에, 맨홀 외부에 위치시킨 고정구 위에 배수관이 걸쳐지도록 하면서 그 배수관의 끝단부를 맨홀의 접속통로에 끼워서 설치한 후에, 접속부 틈새를 시멘트몰탈로 밀봉시켜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함에 있어 그 접속부 틈새에 밀봉된 시멘트몰탈은 경화상태로 일정한 기간동안에 누수를 차단하여 주는 기능을 충실히 발휘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시간이 경과되면서 지중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작용 또는 맨홀 위를 통과하는 차량에 의한 진동을 반복적으로 작용받아서 균열이 형성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아예 파손되어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시킬 때에, 맨홀 외부에 위치시킨 고정구 위에 배수관이 걸쳐지도록 하면서 그 배수관의 끝단부를 맨홀의 접속통로에 끼워서 설치한 후에, 접속부 틈새를 신축성의 기밀패킹으로 밀봉시켜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함에 있어 그 접속부 틈새를 밀봉하여 주는 기밀패킹은 극히 한정된 범위 내에서 탄력성 및 유연성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기밀패킹의 단면적이 접속부 틈새보다 큰 경우에는 그 접속부 틈새에 기밀패킹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와 반대로 기밀패킹의 단면적이 접속부 틈새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접속부 틈새에 기밀패킹이 타이트하게 삽입되지 못하여서 누수가 발생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할 때에, 접속부 틈새를 확장형 튜브와 그 내부의 채움공간에 충진되어서 고형화되는 무기질 채움재로서 밀봉시켜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하는 작업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켜 주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밀실하고 견고하게 접속시켜 주어서 시공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튜브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변형예에 따른 확장형 튜브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튜브의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막이밴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맨홀 11: 접속통로 20: 배수관
21: 끝단부 30: 확장형 튜브 31: 채움공간
32: 주입구 33: 공기배출구 34: 접지돌기
35: 연결띠 40: 무기질 채움재 50: 한쌍의 막이밴드
본 고안도 지중에 매립되는 맨홀(10)의 접속통로(11)를 통하여 배수관(20)을 접속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고안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는 도 1 및 도 2a,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끼워지는 배수관(20)의 끝단부(21) 외주면 둘레에 부피가 확장되도록 내부에 채움공간(31)이 형성되며 그 채움공간과 연통되는 주입구(32)를 가지는 확장형 튜브(30)를 설치하고,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주입구(32)를 통하여 채움공간(31) 내에 페이스트 상태의 무기질 채움재(40)를 충진시켜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상기 확장형 튜브(30)가 확장되어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채움공간(31) 내에 충진된 무기질 채움재(40)가 고형화되어서, 접속부 틈새(A)를 효율적으로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첫째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배수관(20)을 접속시킬 때에, 접속부 틈새(A)를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확장형 튜브(30)를 삽입하여 무기질 채움재(40)를 충진하는 단순작업으로 용이하게 밀봉시킬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배수관(20)을 접속하는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주며, 둘째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배수관(20)을 접속시킬 때에, 맨홀 (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확장형 튜브(30)가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채움공간(31) 내에 무기질 채움재(40)가 충진되어서 고형화 됨으로써, 접속부 틈새(A)를 보다 밀실하고 견고하게 밀봉시켜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예시되어 있는 접속통로(11)가 형성된 맨홀(10)과, 그 맨홀(10)의 접속통로(11)를 통하여 접속되는 배수관(20)은 각각 기성품으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하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확장형 튜브(30)는 탄력성 및 유연성의 소재로 만들어서 내부에 부피가 확장되는 채움공간(31)을 형성하여 두고, 그 외면의 일정위치에 채움공간(31)과 연통되도록 부설되는 주입구(32)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확장형 튜브(30)는 도 2a 및 도 2b의 도시와 같이 맨홀(10)의 외부에 위치시킨 별도의 고임구(B)에 걸쳐지도록 하면서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배수관(20)의 끝단부(21)가 끼워진 상태의 접속부 틈새(A)를 향하여 헐겁게 삽입되며, 이후에 주입구(32)를 통하여 채움공간 (31) 내에 충진되는 무기질 채움재(40)로서 부피가 확장되어서,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접속부 틈새(A)를밀봉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주입구(32)에는 나사결합되는 막이캡(32a)을 갖추어서,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를 충진시킬 때에는 주입구(32)로부터 막이캡 (32a)을 분리하여 개방하고,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를 완전히 충진시킨 후에는 주입구(32)에 막이캡(32a)를 결합시켜서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일정위치에는 채움공간(3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공기배출구(33)를 부설하여서,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채움공간 (31) 내에 무기질 채움재(40)를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배출구(33)에는 나사결합되는 막이캡(33a)을 갖추어서, 상기 확장형 튜브 (30)의 채움공간(31) 내에 무기질 채움재(40)를 완전히 충진시킨 후에는 공기배출구(33)를 막이캡(32a)으로 막아서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확장형 튜브(30)는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직접 맞닿는 외부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지돌기(34)들을 가져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더욱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형 튜브(3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환형링으로서 내부가 빈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확장형 튜브(30)은 도 4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환형링으로서 내부가 빈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는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채움공간(31) 내에 페이스트 상태로 충진된 후에 서서히 고형화되어서, 상기 확장형 튜브(30)가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타이트하게 밀착되어 접속부 틈새 (A)를 밀봉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로는 보다 신속하고 단단하게 경화되는 시멘트몰탈 또는 반죽된 석회 등이 적합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확장형 튜브 (30)의 채움공간(31) 내에 그 채움공간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결되어서 등간격마다 연통구멍(35a)들이 뚫어진 연결띠(35)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를 채움공간(31) 내에 충진시킬때에 확장형 튜브(30)가 폭방향으로 필요이상 확장됨을 단속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띠(35)는 상기 무기질 채움재(40)가 채움공간(31) 내에 충진됨에 따라 확장형 튜브(30)의 부피가 어느 정도 확장되면, 그 확장형 튜브(30)가 폭방향으로는 더 이상 확장되지 못하도록 단속하고 상하방향으로만 확장되도록 유도하여,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띠(35)에 뚫어진 연통구멍(35a)들은 채움공간(31) 내에 무기질 채움재(40)가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 (11)에 배수관(20)의 끝단부(21)를 끼우고 접속부 틈새(A)에 확장형 튜브(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20)의 끝단부(21) 외주면 둘레에 접속부 틈새(A)의 내외측을 막아주도록 한쌍의 막이밴드(50)를 설치하여,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를 채움공간(31) 내에 충진시킬때에 확장형 튜브(30)가 폭방향으로 필요이상 확장됨을 단속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막이밴드 (50)들은 상기 무기질 채움재(40)가 채움공간(31) 내에 충진됨에 따라 확장형 튜브 (30)의 부피가 어느 정도 확장되면, 그 확장형 튜브(30)가 폭방향으로는 더 이상 확장되지 못하도록 단속하고 상하방향으로 만 확장되도록 유도하여,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막이밴드(50)는 도 6b의 도시와 같이 각각 접속부 틈새(A)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원형띠(51)의 절단부 양단에 외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양측의 고정편(52)들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그 양측의 고정편들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53)로서 배수관(20)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융통성있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막이밴드(50)에는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주입구 (32)와 공기배출구(33)가 외부로 노출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54)들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는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시킬 때에, 접속부 틈새를 확장형 튜브와 그 확장형 튜브의 채움공간 내에 충진되어서 고형화되는 무기질 채움재로서 효율적으로 밀봉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맨홀의 접속통로에 배수관을 접속하는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접속부 틈새를 보다 밀실하고 견고하게 밀봉시켜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지중에 매립되는 맨홀(10)의 접속통로(11)를 통하여 배수관(20)을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끼워지는 배수관(20)의 끝단부(21) 외주면 둘레에 부피가 확장되도록 내부에 채움공간(31)이 형성되며 그 채움공간과 연통되는 주입구(32)를 가지는 확장형 튜브(30)를 설치하고,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주입구(32)를 통하여 채움공간(31) 내에 페이스트 상태의 무기질 채움재(40)를 충진시켜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20)의 끝단부(21)에 상기 확장형 튜브(30)가 확장되어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채움공간(31) 내에 충진된 무기질 채움재(40)가 고형화되어서, 접속부 틈새(A)를 효율적으로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일정위치에는 채움공간(3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공기배출구(33)를 부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튜브(30)는 맨홀(10)의 접속통로(11)와 배수관 (20)의 끝단부(21)에 직접 맞닿는 외부 접촉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지돌기 (34)들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튜브(30)의 채움공간(31) 내에 그 채움공간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결되어서 등간격마다 연통구멍(35a)들이 뚫어진 연결띠(35)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를 채움공간(31) 내에 충진시킬때에 확장형 튜브(30)가 폭방향으로 필요이상 확장됨을 단속하여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10)의 접속통로(11)에 배수관(20)의 끝단부(21)를 끼우고 접속부 틈새(A)에 확장형 튜브(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20)의 끝단부(21) 외주면 둘레에 접속부 틈새(A)의 내외측을 막아주도록 한쌍의 막이밴드(50)를 설치하여, 상기 무기질 채움재(40)를 채움공간(31) 내에 충진시킬때에 확장형 튜브(30)가 폭방향으로 필요이상 확장됨을 단속하여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KR20-2003-0016317U 2003-05-26 2003-05-26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KR200328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17U KR200328182Y1 (ko) 2003-05-26 2003-05-26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17U KR200328182Y1 (ko) 2003-05-26 2003-05-26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375A Division KR20040101680A (ko) 2003-05-26 2003-05-26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182Y1 true KR200328182Y1 (ko) 2003-09-26

Family

ID=4941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317U KR200328182Y1 (ko) 2003-05-26 2003-05-26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1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4951C (en) Leadthrough for a conduit
JPH02210122A (ja) パイプとマンホールのシール装置及び方法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101817278B1 (ko)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RU2005119998A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рубного узла в скважину
US7028972B2 (en) Gasket and mandrel assembly for pipe joints
US5979908A (en) Pipe seal for concrete structures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200328182Y1 (ko)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KR100838630B1 (ko)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KR100603514B1 (ko) 맨홀용 지관커넥터
KR20040101680A (ko) 맨홀의 배수관 접속구조
JP2008075328A (ja) 立坑接合部の免震及び止水構造
KR100697333B1 (ko) 도로 및 단지 사면 안정용 압력 네일링 패커
JP2018155019A (ja) トンネル止水構造、トンネル止水方法及びトンネル止水密閉部材
JP2008297749A (ja) 仮締切工法、止水構造体、仮締切構造体
US20050126087A1 (en) Manhole structure, flexible water shut off joint for manhol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manhole structure
KR200412963Y1 (ko) 맨홀용 지관커넥터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KR200424466Y1 (ko)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JPH05263942A (ja) シールパッキン
KR100463940B1 (ko) 상.하수도용콘크리트관
JP4293900B2 (ja) 可動管継手及び管路のコンクリート防護工法
KR20010098027A (ko) 매설관용 접속구
KR20100111219A (ko) 누수 방지를 위한 맨홀과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