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205Y1 -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205Y1
KR200327205Y1 KR20-2003-0017321U KR20030017321U KR200327205Y1 KR 200327205 Y1 KR200327205 Y1 KR 200327205Y1 KR 20030017321 U KR20030017321 U KR 20030017321U KR 200327205 Y1 KR200327205 Y1 KR 200327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main
wire
rotating reel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 웨이
Original Assignee
조세 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 웨이 filed Critical 조세 웨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5Protecting or guiding telephone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idle wheel)을 구비한 집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력으로 회전하는 메인 회전 릴을 구비하고, 그 본체에 직경이 동일하지 않거나 혹은 동일한 직경의 복수개 회전 릴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보관홈을 형성하고, 이를 주축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피동 회전 릴을 구비하고 그 바퀴 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관홈을 형성하여 이를 지축부(支軸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전선을 상, 하선으로 구분하여 메인 회전 릴과 피동 회전 릴의 보관홈에 감고, 장치 중 피동 회전 릴과 메인 회전 릴의 결합을 이용하여 길이가 더욱 긴 전선을 보관하거나 또는 풀어지는 전선의 길이가 더욱 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WIRE WINDING DEVICE HAVING WIRE STORING IDLE WHEELS}
본 고안은 일종의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idle wheel)을 구비한 집선(전선 수납)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더욱 긴 전선을 보관하거나 빼낼 수 있는 집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자가 이전에 고안한 대만 공고 번호 제509447호 '동축 상 이중 릴을 구비한 이어폰 집선함'에 따르면, 이는 비록 매우 실용적이기는 하나, 전선의 상선(上線)(S3)을 더욱 길게 빼내고자 할 때 혹은 보관홈(15)에 길이가 더욱 긴 상선(S3)을 보관하고자 할 때, 대형 회전 릴(10)의 직경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집선함의 체적이 커질 뿐만 아니라, 당겨져 나오거나 혹은 보관되는 상선(S3)의 길이 역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나의 집선 장치에 더욱 많은 양의 전선을 보관하거나 혹은 더욱 긴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본 고안의 연구 과제이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일종의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장치 중에 설치된 피동 회전 릴과 메인 회전 릴의 결합을 이용하여 길이가 더욱 긴 전선을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전선을 더욱 길게 인출할 수 있도록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종의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을 전자 기기의 케이스와 결합시켜 본 고안이 전자 기기의 일부분이 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종의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메인 회전 릴과 피동 회전 릴에 각각 복수개의 보관홈을 설치하여 상, 하선을 보관함으로써 상, 하선 양 끝단의 플러그(소켓)가 대량으로 빼내어 지거나 혹은 본 장치의 용기홈 안으로 수납되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품 입체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전자 기기와 결합시킨 입체 분해도,
도 5a는 본 고안을 전자 기기와 결합시킨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을 전자 기기와 결합시킨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중 피동 롤러를 복수개로 설치한 실시예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중 피동 롤러를 복수개로 설치한 실시예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중 피동 롤러 사이에 슬라이딩 휠을 추가 설치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중 피동 롤러 내부에 스프링 코일을 추가 설치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중 주동 회전 릴과 피동 회전 릴이 각각 두 개의 보관홈을 동시에 구비한 실시예 단면도, 및
도 11은 본 고안을 전자 기기간의 집선기에 실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 케이스 11, 151, 111, 152: 원형 오목홈
12 : 수용홈 13, 13' : 도선구멍(導線孔)
14 : 주축부 15 : 외부 케이스
16 : 지축부(支軸部) 20 : 메인 회전 릴
22 : A회전 릴 23 : 격편(隔片)
24 : B회전 릴 25, 35: 중심구멍
26, 36: 연동(連動) 휠 27 : A보관홈
28 : B보관홈 29, 31: 내부 오목홈
30 : 피동 회전 릴 32 : 전선 보관용 회전 릴
37 : 보관홈 38 : 하부 보관홈
40, 40':탄성 부품 42, 42': 외단(外端)
44 : 내단(內端) 45 : 회전반(回轉盤)
50 : 전동 부품 70 : 전자 기기 케이스
72 : 회로 부품 74 : 플러그
74' : 삽입구멍 85 : 슬라이딩 휠
90, 90': 플러그 95 : 삽입구멍
96 : 전자 기기 121 : 천공
122 : 미끄럼 방지 탭 141, 142, 161, 162: 축단(軸端)
231 : 끼움홈 371 : 격편(隔片)
372 : 끼움홈 451 : 슬라이딩홈
452 : 볼(ball) D1, D2, d1, d2 : 직경
L : 간격 S : 전선
S1 :상선(上線) S2 : 하선(下線)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특징으로 얻는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이 제공하는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로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탄성력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메인 회전 릴(20)의 본체에 각각 A회전 릴(22), B회전 릴(24)을 형성하고, 그 둘의 중심구멍(25)을 주축부(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A, B회전 릴(22), (24)의 바퀴면에 각각 A, B보관홈(27), (28)을 형성한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피동 회전 릴(30)의 본체에 전선 보관용 회전 릴(32)을 형성하고, 그 전선 보관용 회전 릴(32)의 바퀴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관홈(37)을 형성하며, 그 중심구멍(35)을 지축부(支軸部)(1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연결하고, 그 중 지축부(16)와 주축부(14) 사이에 미리 정해 놓은 거리(L)를 띄운다.
전선(S)을 상, 하선(S1), (S2)으로 구분하고, 상선(S1)을 A회전 릴(22) 바퀴면 상의 A보관홈(27) 및 피동 회전 릴(30)에 속한 보관홈(37)에 감고, 하선(下線)(S2)은 B회전 릴(24)에 속하는 B보관홈(28)에 감아 보관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메인 회전 릴(20) 및 피동 회전 릴(30)의 윗부분에 각각 연동 휠(26), (36)을 일체 형성하고, 전동 부품(50)을 복수개의 연동 휠(26), (36)에 연결시켜 메인 회전 릴(20)이 피동 회전 릴(30)을 간접적으로 구동시켜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탄성 부품(40)의 외단(外端)(42)을 메인 회전 릴(20)의 측면 내측 오목홈(29)에 연결하고, 또 다른 내단(內端)(44)은 주축부(14)에 끼움 연결함으로써, 메인 회전 릴(20)이 탄성력을 지니며 회전하도록 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피동 회전 릴(30)의 측면에 내측 오목홈(31)을 설치할 수 있으며, 탄성 부품(40')의 외단을 내측 오목홈(31)의 홈 벽면에 연결 고정시키고, 내단은 지축부(16)에 끼움 연결함으로써, 피동 회전 릴(30)이 주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A회전 릴(22) 및 B회전축(24)은 동일하지 않은 직경(D1), (D2)으로 설계 가능하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A, B회전 릴(22), (24)은 동일한 직경(D1), (D2)으로 설계 가능하다(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그 중 주축부(14) 및 지축부(16)를 내부 케이스(10)에 돌출 설치한다.
외장 케이스(15)를 내부 케이스(10)에 나사로 연결함으로써 메인 회전 릴(20), 피동 회전 릴(30)이 내, 외부 케이스(10), (15)의 내부 수용홈(12)에 수납되도록 하고, 일체로 결합된 내, 외부 케이스(10), (15)의 측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도선구멍(導線孔)(13), (13')을 형성하여, 상선(S1)이 도선구멍(13)으로 도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A, B보관홈(27), (28)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격편(隔片)(23)에 하나의 끼움홈(231)을 설치하여, 하선(S2)이 끼움홈(231)에서 뻗어나와 A보관홈(27)에 수납되도록 하고, 상, 하선(S1), (S2)은 끼움홈(231)에서 하나의 끼움 고정 위치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부차적 특징에 따라, 내부 케이스(10) 하부 위치를 회로 부품(72)을 구비한 전자 기기 케이스(70)(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음)와 결합시키고, 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70)의 바깥쪽으로 하나의 전도성 플러그(74)를 설치하고, 하선(S2)이 내부 케이스(10)에 미리 설치된 천공(121) 및 미끄럼 방지 탭(122)의 구멍을 통과하여 다시 전자 기기 케이스(70) 중으로 삽입되어 회로 부품(72)과 연결되도록 하며, 하선(S2)은 미끄럼 방지 탭(122)이 단단히 붙잡아주며 하나의 고정 제지부(制止部)를 형성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상, 하선(S1), (S2)의 선단을 단자 플러그(90), (90') 또는 소켓과 연결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하선(S2)은 피동 회전 릴(30) 중의 하단 보관홈(38) 및 메인 회전 릴(20)의 B보관홈(28)에 감겨 보관된다(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음).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부품 입체 분해도로서, 그 전선(S)은 각각 A, B보관홈(27),(28)에 감겨지며, A보관홈(27)에 보관되는 전선을 상선(S1)이라 정의하고, B 보관홈(28)에 보관되는 전선을 하선(S2)이라 정의한다. 전선(S)을 끼움홈(231)에 끼워 위치를 고정시켜 하나의 제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 하선(S1), (S2)을 각각 풀어낼 때, 미끄러져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전동 부품(50)은 벨트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연동 휠(26), (36)에 연결하여 메인 회전 릴(20)이 동력을 받아 회전할 때, 피동 회전 릴(30)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한다. 상선(S1)은 피동 회전 릴(30)의 보관홈(37) 및 메인 회전 릴(20)에 속한 A보관홈(27)에 감는다. 메인 회전 릴(20)과 피동 회전 릴(30) 사이에 간격(L)이 띄워져 있으므로(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선(S1)을 대량으로 보관할 수 있고, 간격(L)이 크면 클수록 보관되는 상선(S1)의 수량도 많아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선(S1)의 길이 수량은 대량으로 보관될 수 있다. 하선(S2)은 B보관홈(28)에 감겨 보관되는데, 그 중 상, 하선(S1), (S2)의 전단은 각각 두개의 도선구멍(13), (13')을 관통해 밖으로 나오며, 그 단부는 각종 형식의 전자 기기 플러그(소켓)(90), (9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품(40)은 금속 스프링 코일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외단(42)을 내측 오목홈(29)의 홈 벽면에 끼워 고정시키고, 내단(44)을 주축부(14)에 끼워 고정시키기 때문에 플러그(소켓)(90)를 잡아당길 때, 상선(S1)은 따라서 당겨져 나오게 되고, 메인 회전 릴(20)이 주축부(14)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연동 부품(50)의 전동을 통하여 피동 회전 릴(30)이 지축부(16)를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 때 탄성 부품(40)은 수축 상태가 되며, 상선(S1)이 대량으로 당겨져 나옴으로써, 당겨져 나오는 길이가 대폭으로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하선(S2) 역시 메인 회전 릴(20)의 회전으로 도선구멍(13')으로부터 일정한 길이의 거리만큼 풀어지는데, 다만 풀어지는 하선(S2)의 길이는 상선(S1)이 풀어지는 길이보다 짧다. 이로써 두 개의 플러그(90), (90')는 전원 혹은 각종 전자 기기(96)의 소켓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음). 그밖에 메인 회전 릴(20) 하부에 회전반(回轉盤)(45)을 연결시키고, 그 회전반의 바깥면에 나선 모양의 슬라이딩홈(451)을 구비하여 볼(ball)(452)이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452)은 슬라이딩홈(451)에서 미끄러지듯 움직이며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로써 메인 회전 릴(20)이 잠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효과를 얻는다. 다만 이러한 기술은 종래의 기술로서 본 고안에서 요구되는 특징이 아니므로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플러그(90), (90')를 소켓에서 뽑은 후, 탄성 부품(40)의 선회 작용으로 메인 회전 릴(2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선을 수거하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연동 부품(50)은 피동 회전 릴(30)을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또한 메인 회전 릴(20)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여 상, 하선(S1), (S2)을 각각 A, B보관홈(27),(28) 및 보관홈(37)에 감겨지도록 한다. 이러한 전선의 수납 동작은 길이가 매우 긴 상선(S1)을 내, 외장 케이스(10), (15)의 내부 수용홈(12) 안으로 회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2)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주축부(14)와 메인 회전 릴(20)을 일체로 만들고, 아울러 두 축단(141), (142)을 각각 내, 외부 케이스(10), (15)의 내벽면에 미리 설치한 원형 오목홈(11), (15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피동 회전 릴(30)과 지축부(16)를 일체로 만들고, 아울러 두 축단(161), (162)을 각각 내, 외장 케이스(10), (15)의 내벽면에 미리 설치한 원형 오목홈(111), (1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회전 릴(20) 및 피동 회전 릴(30)이 원형 오목홈(11), (111), (151), (152)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피동 회전 릴(30)의 보관홈(37) 하부에 역시 하부 보관홈(38)을 설치하고, 하부 보관홈(38)과 보관홈(37) 사이에 격편(371)을 설치한다. 상기 격편(371)에는 끼움홈(372)을 설치하여 상선(S1)이 끼움홈(372)을 통과하여 하부 보관홈(38) 안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선(S2)을 보관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선(S1)은 끼움홈(372)의 구역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 하선(S1), (S2) 사이에 서로 움직임이 없도록 한다. 두개의 도선구멍(13), (13')은 각각 내, 외부 케이스(10), (15)의 두 측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선(S1)을 도선구멍(13) 외부로 도출할 수 있고, 하선(S2)은 다른 도선구멍(13')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플러그(90), (90')를 잡아당기거나 혹은 석방함으로써 메인 회전 릴(20)을 정방향 혹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동 회전 릴(30)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동시켜 상, 하선(S1), (S2)이 당겨져 나오거나 혹은 수용홈(12)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내부 케이스(10) 하부 벽면에 전자 기기 케이스(70)를 연결할 수 있는데, 상기 전자 기기 케이스(70)는 충전기로 선택 가능하며, 그 중 내부 수용홈(12)의 바닥면에 천공(121)을 구비하여 미끄럼 방지 탭(122)과 연결하고, 하선(S2)이 미끄럼 방지 탭(122)을 통과하고 나아가 그 전도성 단부가 회로 부품(72)(및 회로판)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 5a는 본 고안을 전자 기기 케이스(70)와 결합시킨 단면도의 하나로서, 상선(S1)을 피동 회전 릴(30)의 보관홈(37) 및 메인 회전 릴(20)에 속한 A보관홈(27)에 감고, 하선(S2)을 B보관홈(28)에 감은 후, 상, 하선(S1), (S2) 사이의 걸림 위치를 끼움홈(231)에서 형성한다. 따라서 상선, 하선(S1), (S2) 사이에 서로 움직임이 없다. 전자 기기 케이스(70)의 플러그(74)를 전원에 삽입하고, 사람의 손으로 단자 플러그(90)를 잡아당기면, 메인 회전 릴(20)이 회전하며 상선(S1)을 각각 보관홈(37) 및 A보관홈(27)에서 풀어져 나오도록 한다. 반대쪽에서 볼 때 B회전 릴(24)의 직경(D2)은 A회전 릴(22)의 직경(D1)보다 작기 때문에 풀어지는 하선(S2)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대량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상선(S1)을 잡아당길 때, 하선(S2) 역시 소량으로 풀어지게 되어 B보관홈(28) 안에서 느슨한(부풀려지는) 상태가 된다(도 5a의 상선(S1) 중 가상선 부분). 미끄럼 방지 탭(122)이 하선(S2)을 단단히 잡아주기 때문에 전자 기기 케이스(70) 내부에 위치한 하선(S2)은 전혀 이동의 염려가 없다. 플러그(90), (74)를 소켓에 끼워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즉 탄성 부품(40)의 회복력에 의하여 메인회전릴(20) 및 피동 회전 릴(30)이 역회전을 하게 되고, 따라서 당겨져 나오는 상선(S1) 및 부풀려진 상태의 하선(S2)이 신속하게 회수되어 단단히 묶이고 아울러 보관홈(37), A보관홈(27) 및 B보관홈(28)에 보관된다.
도 5b는 전자 기기 케이스(70)의 전원 플러그(74)를 동일한 효과를 지니는 삽입구멍(74')으로 실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회전 릴(30)은 두개로 설계가 가능하며, 이를 메인 회전 릴(20)과 삼각형의 위치 배열을 이루도록 하면, 다수개의 피동 회전 릴(30)에 더욱 많은 길이 수량의 상선(S1)을 보관(혹은 석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회전 릴(30)은 세 개로 설계 가능하며, 이를 메인 회전 릴(20)과 정사각형 위치 배열을 이루도록 하면, 이를 이용하여 더욱 많은 길이 수량의 상선(S1)을 보관(혹은 석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피동 회전 릴(30) 사이에 방향을 유도하는 슬라이딩 휠(85)을 설치하여 상선(S1)의 도선(導線) 방향을 유도함으로써 상선(S1)이 정확하게 보관홈(37)에 놓이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회전 릴(30)의 내측 오목홈(31)에 하나의 탄성 부품(40')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그 내단(도시되지 않았음)을 지축부(16)에 고정시키고, 외단(도시되지 않았음)을 내측 오목홈(31)의 벽면에 고정시킴으로써 피동 회전 릴(30) 역시 하나의 탄성력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특징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 연동 휠(26), (36) 및 전동 부품(50)의 설계는 모두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품(40')과 또 다른 탄성 부품(40)의 탄력값이 동일하기만 하면, 상선(S1)이 선을 수거할 때, 메인 회전 릴(20)과 피동 회전 릴(30)의 회전 속도가 일치하게 되고, 상선(S1)은 효과적으로 보관홈(37) 및 A보관홈(27)에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메인 회전 릴(20) 중의 A, B보관홈(27), (28)의 직경(D1), (D2)이 모두 같음(즉 동일한 직경)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피동 회전 릴(30)의 보관홈(37) 하부에 미리 설치된 하부 보관홈(38)과, 전선 보관용 회전 릴(32) 상의 두 개의 전선 보관용 바퀴면의 직경(d1), (d2)이 모두 동일하다. 이를 이용하여 상선(S1)은 보관홈(37), A보관홈(27)에 감겨 보관되고, 하선(S2)은 하부 보관홈(38) 및 B보관홈(28)에 감겨 보관됨으로써 마찬가지로 많은 수의 상, 하선(S1), (S2)을 보관하거나 혹은 석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전원 플러그(90)를 전원 삽입구멍(95)에 삽입 연결하고, 또 다른 플러그(도시되지 않았음)를 전자 기기(96)에 삽입 연결하여 본 고안을 하나의 집선함으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피동 회전 릴(30)을 수용홈(12)에 설치하고, 아울러 메인 회전 릴(20)과 결합시킨 후 두 개의 회전 릴 사이에 일정한 간격(L)을 띄웠다. 따라서 길이가 긴 전선을 수집(혹은 석방)할 수 있으며, 그 특징으로 얻는 효과는 이미 진보성과 참신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에 있어서,
    탄성력을 지니며 회전하는 메인 회전 릴의 본체에 각각 A회전 릴과 B회전 릴을 형성하고, 그 두 회전 릴의 중심구멍을 주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며;
    A, B회전 릴의 바퀴면에 각각 A, B보관홈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피동 회전 릴의 본체에 전선 보관용 회전 릴을 형성하고, 그 전선 보관용 회전 릴의 바퀴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관홈을 형성하며, 그 중심구멍을 지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축부와 주축부 사이를 소정 간격을 띄우며;
    전선을 상, 하선으로 구분하여, 상선을 A회전 릴 바퀴면 상의 A보관홈 및 피동 회전 릴에 속한 보관홈에 감고, 하선을 B회전 릴에 속한 B보관홈에 감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 회전 릴 및 피동 회전 릴의 상측에 각각 연동 휠을 일체 형성하고, 전동 부품을 복수개의 연동 휠에 연결하여 메인 회전 릴이 피동 회전 릴을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간접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부품의 외단을 메인 회전 릴의 측면 내측 오목홈에 연결하고, 다른 내단을 주축부에 끼움 연결하여 메인 회전 릴이 탄성력을 갖추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피동 회전 릴의 측면에 내측 오목홈을 설치하여, 탄성 부품의 외단을 내측 오목홈의 벽면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내단을 축부에 끼움 연결시킴으로써 피동 회전 릴이 주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A회전 릴 및 B회전축의 직경이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A, B회전 릴이 동일한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주축부 및 지축부를 내부 케이스 안에 돌출 설치하고;
    외부 케이스를 내부 케이스에 나사 연결하여, 메인 회전 릴과 피동 회전 릴을 내, 외부 케이스의 내부 수용홈에 수납하며;
    일체형으로 결합된 내, 외부 케이스의 측변에 하나 이상의 도선구멍을 형성하여 상선이 도선구멍을 통과하여 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A, B보관홈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격편에 끼움홈을 구비하여, 하선이 끼움홈으로부터 A보관홈으로 뻗어 들어가도록 하고, 상, 하선이 끼움홈에서 하나의 끼움 고정 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내부 케이스의 하부 위치를 내부에 회로 부품을 구비한 전자 기기 케이스와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자 기기의 케이스는 바깥쪽으로 하나의 전도성 플러그를 설치하여, 하선이 내부 케이스에 미리 설치된 천공 및 미끄럼 방지 탭의 구멍을 통과하여 다시 전자 기기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 회로 부품과 연결되며, 하선은 미끄럼 방지 탭이 단단히 붙잡아주며 하나의 고정 제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 하선의 선단을 단자 플러그 혹은 소켓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선을 피동 회전 릴 중의 하부 보관홈 및 메인 회전 릴의 B보관홈에 감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KR20-2003-0017321U 2003-02-17 2003-06-03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KR2003272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2202473U TW582658U (en) 2003-02-17 2003-02-17 Wire collector with wire storage wheel
TW092202473 2003-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205Y1 true KR200327205Y1 (ko) 2003-09-19

Family

ID=2773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321U KR200327205Y1 (ko) 2003-02-17 2003-06-03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4722B2 (ko)
JP (1) JP3097466U (ko)
KR (1) KR200327205Y1 (ko)
DE (1) DE20308164U1 (ko)
TW (1) TW5826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75A (ko) * 2021-12-30 2023-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894B2 (ja) * 1995-12-18 1997-12-03 ゴールド工業株式会社 物流用リール
DE10343094B4 (de) * 2003-09-18 2012-05-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Regelung der Luftmenge in einer Niveauregel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TWI267731B (en) * 2005-02-01 2006-12-01 Asustek Comp Inc Adapter of notebook PC
CN100414782C (zh) * 2005-02-23 2008-08-2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笔记本电脑的电源转接器组件
CN101168420B (zh) * 2006-10-27 2011-09-2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收线器及应用收线器的电子装置
US20080156922A1 (en) * 2007-01-03 2008-07-03 Vira Manufacturing, Inc. Apparatus for secure display of small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essential signal or power cord
US7918413B2 (en) * 2007-01-09 2011-04-05 Odderson Ib R Holiday lights string storage device and method
US8184777B1 (en) * 2008-01-31 2012-05-22 Kevin B. Larkin Buttset test cable reel
BRMU8802424U2 (pt) * 2008-10-29 2010-06-29 Nunes Vinicius Jose Gomes dispositivo portátil para fornecimento de tomadas contendo extensão elétrica retrátil automática
TWM355376U (en) * 2008-11-25 2009-04-21 Legend Lifestyle Products Corp Electronic scale with automatic rewinding device
US8774443B1 (en) * 2010-05-24 2014-07-08 John C. Anderson Mobile phone headset recoil device
US8387763B2 (en) * 2010-11-22 2013-03-05 Telefonix, Inc. Retractable cord reel
TWI406122B (zh) 2010-12-13 2013-08-21 Ability Entpr Co Ltd 訊號傳輸模組
US9010676B2 (en) * 2011-07-01 2015-04-21 Anthony Paul DiCicco Dispenser for fishing line
DE102011079598B4 (de) * 2011-07-21 2019-10-17 Karl Storz Se & Co. Kg Leitungsreservoir zum Aufnehmen einer elektrischen, optischen oder Fluid-Leitung
US9409747B2 (en) * 2011-07-22 2016-08-09 Nicole Rachelle Grassi Electronic device cover with retractable communication modules
CN103457305A (zh) * 2012-06-04 2013-12-18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充电器及其充电组合
US9327938B2 (en) 2013-02-14 2016-05-03 Haworth, Inc. Cable retractor
EP2813455A1 (de) * 2013-06-11 2014-12-17 Lista Office AG Kabelhalter und Kabelanordnung
CN104853266A (zh) * 2014-02-13 2015-08-1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耳机收纳盒
US9567772B1 (en) * 2015-10-23 2017-02-14 Larry Snell Retractable cable locking device
US10605579B2 (en) * 2017-02-24 2020-03-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motor spring retraction system
CN107006380A (zh) * 2017-05-22 2017-08-04 赵永付 用于高效移动小车中的水管收放装置
CN109921241B (zh) * 2018-02-05 2020-10-09 潘瑜富 带智能全自动收线功能的数据线收纳隐藏集成装置
GB2576720A (en) * 2018-08-28 2020-03-04 Safran Nacelles Lt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US10844638B2 (en) 2018-12-21 2020-11-24 John Harris Sud Retractable cable locking device
USD880281S1 (en) 2018-12-21 2020-04-07 John Harris Sud Retractable cable locking device
WO2020252172A1 (en) 2019-06-14 2020-12-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otorized tape measure
CN210779380U (zh) * 2019-11-18 2020-06-16 张水莲 便携式条形数据线
CN112499408B (zh) * 2020-12-03 2022-04-08 安徽信息工程学院 数据线收纳器
US11388979B2 (en) * 2020-12-09 2022-07-19 Slinger, Llc Apparatus with self-retracting elastomeric support band
US11896100B2 (en) 2020-12-09 2024-02-13 Slinger, Llc Apparatus with self-retracting elastomeric support band
CN113097821B (zh) * 2021-04-06 2022-11-29 深圳思锐科电子有限公司 一种防缠绕连接线
CN114171994B (zh) * 2021-12-03 2024-01-26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智能电网架构的电力现场数据统计采集工具
CN114261853B (zh) * 2021-12-07 2023-12-12 国网新源控股有限公司 一种分布式光纤传感设备3d打印光纤盘绕装置及方法
CN114698294A (zh) * 2022-03-14 2022-07-01 深圳凯升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线监测系统的远程监控终端
CN116014485A (zh) * 2023-02-24 2023-04-25 珠海市钛芯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插座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4153A (en) * 1916-01-12 1921-07-12 Locomobile Company Telephone-cord-take-up device
US5700150A (en) * 1996-03-01 1997-12-23 Morin; Aurele Electrical outlet type extension cord reel with auxiliary outlet
DE19737424C1 (de) * 1997-08-27 1999-04-08 Lothar Mueller Werkzeugkoffer mit mindestens einer Kabelrolle
US6434249B1 (en) * 2001-11-16 2002-08-13 Jose Wei Earphone wire winding box with coaxial and dual wheels
US6715214B1 (en) * 2003-01-21 2004-04-06 Shin-Cheng Lin Retractable tape meas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75A (ko) * 2021-12-30 2023-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KR20230165171A (ko) * 2021-12-30 2023-12-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KR102620300B1 (ko) 2021-12-30 2024-01-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KR102653946B1 (ko) 2021-12-30 2024-04-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308164U1 (de) 2003-07-31
US6874722B2 (en) 2005-04-05
JP3097466U (ja) 2004-01-29
TW582658U (en) 2004-04-01
US20040159734A1 (en)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7205Y1 (ko)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JP3097467U (ja) 同軸複数輪のコードリール
US8284980B2 (en) Low-profile, retractable earbud storage system
US8123552B2 (en) Portable storage device box
US8668160B2 (en) Cable organizer and electronic appliance with same
US20130102186A1 (en) Power strip
US20020074442A1 (en) Wire winding box with increasing area
US810509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40118651A1 (en) Coaxial wire storage wheel
US20050109869A1 (en) Wire winding device with turning wheel
KR200337311Y1 (ko) 신호및 전력용 케이블 권취장치
KR200326721Y1 (ko) 고정단을 구비한 전선 수납용 충전기
CN201213311Y (zh) 收线装置
US7097018B2 (en) Wire-winding device
CN202103284U (zh) 卷线器的收放线结构
US7084607B2 (en) Battery charger having fixed ends for winding and releasing wires
US7682186B2 (en) Computer housing with retracting headphone cable
KR100515506B1 (ko)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장치
CN204280908U (zh) 一种电线收纳盒
CN209442460U (zh) 一种自动收线的卷线器及净食机
KR200327203Y1 (ko) 동축 상 복수개의 회전 릴을 구비한 집선 장치
KR200321350Y1 (ko) 이어폰 및 플러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구조
CN209259420U (zh) 一种具有导气功能的卷线器及净食机
CN219230130U (zh) 一种理疗仪的收纳结构
CN217837969U (zh) 卷线限位结构及卷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