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300B1 -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300B1
KR102620300B1 KR1020210193258A KR20210193258A KR102620300B1 KR 102620300 B1 KR102620300 B1 KR 102620300B1 KR 1020210193258 A KR1020210193258 A KR 1020210193258A KR 20210193258 A KR20210193258 A KR 20210193258A KR 102620300 B1 KR102620300 B1 KR 10262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receiving space
moving
roll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4375A (ko
Inventor
정인식
남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9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0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375A/ko
Priority to KR1020230162594A priority patent/KR102653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는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 사이 거리가 가변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 고정된 고정롤러와, 상기 수용공간의 타 측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롤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내부로 수용되는 와이어링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Wiring length adjuster}
본 발명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부품에 연결되는 와이어링의 여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이다.
와이어링은 차량에 분산되어 있는 전장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최근 차량에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와이어링의 수도 함께 증가되었다.
이때 유지 보수 등을 위해 와이어링이 연결된 상태로 챠랑 내부에서 분리되는 전장부품의 경우에는 이를 위하여 와이어링의 여유길이가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여유길이가 차량의 내부에 같이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다수의 와이어링이 여유길이와 함께 수납되면서 미적 품질이 저하되었으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 발생가능성이 증기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감소되고, 차량 운행 시 간섭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장부품과 연결 및 해제를 위해 형성되는 여유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는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 사이 거리가 가변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 고정된 고정롤러와, 상기 수용공간의 타 측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롤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 측에 접촉되어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말단에 고정된 이동롤러로 형성되어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와의 사이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의 타 측에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이동부가 수용되어 상기 이동롤러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는 설치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롤러가 고정되고, 상기 설치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동홀을 통해 상기 설치부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 말단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링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에 순차적으로 연계되어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링은 일 말단부에는 다른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상기 개방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에 발생되는 하중을 상쇄시키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는 전장부품의 연결 및 해제를 위해 필요한 와이어링의 여유길이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 운행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며, 설치 작업을 용이하에 하여 탑승자의 편의 및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어링의 여부 길이가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여 주변 부품의 조립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바디커버와 설치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도 3의 이동롤러부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이동롤러부가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된 와이어링의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바디커버와 설치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이동롤러부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이동롤러부가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된 와이어링의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바디(100), 사이 거리가 가변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110)에 설치되는 조절부(200) 및 상기 바디(1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20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링(30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일 측에 고정된 고정롤러(210)와, 상기 수용공간(110)의 타 측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롤러부(2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이어링(300) 길이 조절 장치(10)는 차체(1)의 일 측에 고정되어 전장부품(2)으로 전원 등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다른 부품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링(300)의 일부를 내부로 수용하고, 수용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연장시켜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바디(100)는 와이어링(300)의 여유 길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0)과, 수용공간(110)의 내측으로 이동롤러부(220)가 설치되는 설치부(120)와, 수용공간(110)을 덮는 바디커버(130)로 형성되어 와이어링(300)의 여유 공간을 내부로 수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수용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2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수용공간(110)에는 와이어링(300)이 외부에서 수용공간(110)으로 수용되고, 다시 수용공간(110)의 외측으로 연장되 수 있도록 양 측으로 개방구(111)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바디커버(130)가 결합되는 제1체결리브(112)와, 차체(1)에 고정되는 고정부(113)가 형성된다.
이때 개방구(111)는 고정롤러(210)와 이동롤러부(220)에 순차적으로 연계되어 연장될 수 있도록 고정롤러(2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 측면에 형성되고, 이동롤러부(2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 측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체결리브(112)는 바디커버(130)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고정부(113)는 적어도 수용공간(110)의 외측면 양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부(120)는 수용공간(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이동롤러부(2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공간(121)과, 설치공간(121)을 덮는 설치커버(122)로 형성되어 이동롤러부(22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설치공간(121)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롤러부(220)가 소정 범위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와이어링(300)의 길이를 조절시킨다.
이에 따라 설치공간(121)의 내측으로는 이동롤러부(220)의 이동 경로가 되는 이동홀(1211)과, 이동홀(1211)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이동롤러부(2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리브(1212)와, 스프링(221)의 일 측을 고정시키는 설치돌기(1213)가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설치커버(122)가 결합되는 제2체결리브(1214)가 형성된다.
이때 이동홀(1211)은 와이어링(300)이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롤러부(220)가 이동홀(12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며, 제한리브(1212)의 일 측에는 지지단(2222)의 일 측이 지지되면서 스프링(221)의 설치공간(1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정롤러(210)와 이동롤러부(220) 사이의 최대 거리를 제한하여 인장력에 의해 단자(320)에 발생할 수 있는 하중을 최소화한다.
또한 설치돌기(1213)는 설치공간(121)의 일 면에서 돌출되어 스프링(221)의 일 측 내측으로 삽입되어 스프링(221)이 설치공간(1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제2체결리브(1214)는 설치커버(122)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12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커버(122)는 설치공간(121)의 내측으로 이동롤러부(2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동롤러부(220)가 이동 시 와이어링(3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공간(121)의 일 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2체결리브(1214)에 걸림 고정되는 제2체결후크(1221)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바디커버(130)는 수용공간(110)의 내측으로 고정롤러(210) 및 이동롤러부(2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개방된 수용공간(110)을 폐쇄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때 수용공간(110)의 일 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체결리브(112)에 걸림 고정되는 제1체결후크(131)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개방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안착돌기(132)가 형성되어 와이어링(300)의 일 측을 지지하여 고정롤러(210) 및 이동롤러(223)에서 와이어링(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킨다.
조절부(200)는 수용공간(110)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롤러(210)와, 설치부(120)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롤러부(220)로 형성되어 바디(100)에 수용되는 와이어링(300)의 여유 길이를 가변시켜 필요에 따라 바디(10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링(300)의 길이를 가변시킨다.
고정롤러(210)는 고정되어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제1회전중심부(211)와, 제1회전중심부(21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회전부(212)로 형성되어 스프링(221) 신축 시 발생되는 신축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링(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동롤러(223)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221)과, 스프링(221)의 일 측에 지지되고, 이동홀(121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222)와, 이동부(222)의 말단에 형성되는 이동롤러(223)로 형성되어 스프링(221)이 신축에 따라 고정롤러(210)와의 사이 거리가 가변되며 이에 따라 고정롤러(210)와 이동롤러부(220)에 순착적으로 연계된 와이어링(30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따라서 스프링(221)은 설치돌기(1213)가 일 측 내부로 수용되고, 타 측은 이동부(222)에 지지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와이어링(300)을 당기는 경우(인장력이 발생된 경우) 수축되면서 바디(100)의 외부로 와이어링(300)이 길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단자(320)를 전장부품(2)에서 쉽게 분리하도록 하며, 발생된 인장력이 소멸하는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인장되면서 바디(10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링(300)의 일부가 수용공간(110)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이동부(222)는 이동홀(1211)을 통해 설치공간(121)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바디(2221)와, 스프링(221)의 타 측이 지지되는 지지단(2222)으로 형성되어 스프링(221)의 신축에 따라 설치공간(121)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스프링(221)을 설치공간(121)에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단(2222)은 이동바디(2221)의 일 말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일 측면이 제한리브(1212)에 지지되도록 하여 고정롤러(210)와 이동롤러(223) 사이의 최대 거리를 제한하며, 이에 따라 단자(320)가 전장부품(2)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인장력이 연결 부분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단자(320)의 전기적 연결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동롤러(223)는 이동부(222)의 말단에 고정되어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제2회전중심부(2231)와, 제2회전중심부(223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2회전부(2232)로 형성되어 스프링(221)의 신축 시 발생되는 신축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링(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때 제1,2회전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링(300)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고정롤러(210) 및 이동롤러(223)에 와이어링(300)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스프링(221)의 신축력을 전달받아 와이어링(300)을 바디(100)의 내외측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조절부(200)는 고정롤러(210)와 이동롤러(223)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켜 수용공간(110)의 내측에 고정롤러(210) 및 이동롤러(223)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와이어링(300)의 길이 또한 가변시킨다.
구체적으로 조절부(200)는 스프링(221)이 설치공간(121)에 소정의 압축력이 발생된 상태로 초기 설치되어 와이어링(300)이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도록 하되, 와이어링(300)에 인장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동부(222)를 이동시켜 스프링(221)을 압축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롤러(223)와 고정롤러(21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바디(10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링(300)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링(300) 길이 조절 장치(10)는 차체(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스프링(221)이 최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와이어링(300)의 길이를 최대로 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와이어링(300)에 인장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동부(222)를 가압하면서 수용된 와이어링(300)의 일부가 바디(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와이어링(300)이 손상받는 것을 최소화하고, 작압자의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와이어링(300)은 전장부품(2)과 전장부품(2) 사이를 연결시켜 전원 등을 공급하는 와이어(310)와 적어도 와이어(31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와이어(310)와 전장부품(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320)와, 와이어(3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와이어(310)가 일정 길이 이상 수용공간(110)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330)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330)는 개방구(111)의 개방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와이어(310)의 외측에 형성되어 개방구(111)와 단자(320)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221)의 탄성복원력이 지속적으로 단자(320)부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320)와 전장부품(2)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부분에 발생될 수 있는 인장력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링(300) 길이 조절 장치(10)는 바디(100)의 내부로 수용되는 와이어링(300)의 길이를 가변시켜 설치된 상태에서 주변 부품과 와이어링(300)의 여유 길이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계 자유도 및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단자(320)와 전장부품(2)이 연결된 상태에서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바디(10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링(300)의 길이를 증가시켜 작업자가 손쉽게 단자(320)를 분리하도록 하고, 분리된 후에도 탄성복원력에 의해 와이어(310)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여 유지 보수 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 차체 2 전장부품
10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100 바디 110 수용공간
111 개방구 112 제1체결리브
113 고정부
120 설치부 121 설치공간
1211 이동홀 1212 제한리브
1213 설치돌기 1214 제2체결리브
122 설치커버 1221 제2체결후크
130 바디커버 131 제1체결후크
132 안착돌기(개방구에 안착)
200 조절부 210 고정롤러
211 제1회전중심부 212 제1회전부
220 이동롤러부 221 스프링
222 이동부 2221 이동바디
2222 지지단
223 이동롤러 2231 제2회전중심
2232 제2회전부
300 와이어링 310 와이어
320 단자 330 스토퍼

Claims (6)

  1.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
    사이 거리가 가변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 고정된 고정롤러와,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 측에 접촉되어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말단에 고정된 이동롤러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와의 사이 거리가 가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타 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롤러부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의 타 측에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이동부가 수용되어 상기 이동롤러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는 설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롤러가 고정되고, 상기 설치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이동홀을 통해 상기 설치부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 말단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링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이동롤러에 순차적으로 연계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6. 삭제
KR1020210193258A 2021-12-30 2021-12-30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KR10262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58A KR102620300B1 (ko) 2021-12-30 2021-12-30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KR1020230162594A KR102653946B1 (ko) 2021-12-30 2023-11-21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58A KR102620300B1 (ko) 2021-12-30 2021-12-30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2594A Division KR102653946B1 (ko) 2021-12-30 2023-11-21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75A KR20230104375A (ko) 2023-07-10
KR102620300B1 true KR102620300B1 (ko) 2024-01-02

Family

ID=87155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258A KR102620300B1 (ko) 2021-12-30 2021-12-30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KR1020230162594A KR102653946B1 (ko) 2021-12-30 2023-11-21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2594A KR102653946B1 (ko) 2021-12-30 2023-11-21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03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205Y1 (ko) 2003-02-17 2003-09-19 조세 웨이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JP2013055808A (ja) 2011-09-05 2013-03-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余長吸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788A (ko) * 2011-12-21 2013-07-01 윤성훈 케이블 인출입 장치
KR102123982B1 (ko) * 2018-06-04 2020-06-17 주식회사 더웰솔루션랩 리코일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205Y1 (ko) 2003-02-17 2003-09-19 조세 웨이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JP2013055808A (ja) 2011-09-05 2013-03-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余長吸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75A (ko) 2023-07-10
KR102653946B1 (ko) 2024-04-03
KR20230165171A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6965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JP5012063B2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913951B2 (ja) ドア用ワイヤーハーネスの配索方法
KR101457738B1 (ko)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WO2012060094A1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CN103032500B (zh) 拉伸弹簧安装机构
JP2018108005A (ja) スライドドア用の配索構造
WO2015053263A1 (ja) ハーネス屈曲規制部材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US8237053B2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slidable structure
KR102620300B1 (ko) 와이어링 길이 조절 장치
EP1707443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sliding door
US11648879B2 (en) Movement device with closing actuator, luggage compartment with movement device, and vehicle with luggage compartment
JP3832704B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構造
WO2012153436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構造部
WO2007060496A1 (en) A holding arrangement for a wire harness
JP2003032868A (ja) ワイヤハーネス余長吸収装置
JP2007181268A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US20230192013A1 (en) Cable guide and motor vehicle
JP2010213376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4243161B2 (ja) 電線余長吸収装置
GB2611814A (en) Handle assembly
KR10111364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CN113348112A (zh) 配线部件的配置构造
US20200023720A1 (en) Vehicle actuator cable dampener
JP5434556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支持具及び導電経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