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506B1 -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15506B1 KR100515506B1 KR10-2003-0035540A KR20030035540A KR100515506B1 KR 100515506 B1 KR100515506 B1 KR 100515506B1 KR 20030035540 A KR20030035540 A KR 20030035540A KR 100515506 B1 KR100515506 B1 KR 100515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ll
- mouse
- reel
- sheet
- outer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우스 본체에 연결되는 전선을 각각 대, 소형 회전 릴의 대, 소형 보관홈에 감아 보관하고, 대, 소형 회전 릴을 이용하여 동일한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대, 소형 보관홈에 놓인 내, 외선이 각각 다른 길이의 거리만큼 풀어지거나 혹은 회수되도록 하고, 이로써 전선에서 정의한 내, 외선이 시트 내부에 수집되거나 혹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마우스 본체가 시트와 감합하여 일체를 이룸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우스에 이용되는 집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종의 마우스 전선을 수납 혹은 인출하고 아울러 마우스 본체와 집선 장치를 서로 끼워맞춤 연결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집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우스 집선기에 따르면, 그 전형적인 범례로서 대만 공고 번호 제446903호 '신호선 수납용 마우스'특허안을 들 수 있는데, 상기 특허안은 두 개의 원반형 가이드 부품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돌림으로써 신호선(40)을 마우스 내부의 수용부에서 인출하거나 혹은 수납하게 되는 것으로, 다만 상기 특허안의 신호선(40)은 수용부(25)에 수납될 때 어지럽게 엉킬 수가 있고, 선의 수납 및 인출 기능이 우수하지 못하며, 동시에 상기 특허안은 어떠한 탄성 부품도 이용하지 않아 자동으로 선을 수납할 수 없는 고안이기 때문에 가이드 부품(17), (23)을 사람이 인공적으로 돌려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대만 공고 번호 제519264호 '집선홈을 구비한 마우스' 특허안에 따르면, 상기 특허안의 상, 하 케이스(12), (14)는 중심축(133)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중심축(133)의 바깥 둘레 공간에 집선홈(134)을 형성하여 신호선을 중심축(133)에 감아둘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을 사람이 손으로 잡아 뺄 때, 마우스 본체가 회전하게 되며, 신호선을 사람이 손으로 집선홈에 수납할 때 역시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마우스 본체를 돌려야 한다. 이러한 선의 수납 및 인출은 반드시 두 손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대단히 불편하다.
대만 공고 번호 제444174호 '케이블선 권취기를 구비한 마우스'특허안에 따르면, 상기 특허안은 탄성 부품(25)으로 구동되는 단일한 전선 보관용 휠(23)을 단일한 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 신호선(40)을 당겨 빼내거나 혹은 전선 보관용 휠(23)에 수납할 때, 신호선(40)과 마우스 내부의 회로 구조와 도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선 보관용 휠(23)에 하나의 마찰 접촉되는 전도체(23b)를 설치하여, 전도체(23b)가 전선 보관용 휠923)을 따라 동시에 회전할 때 전도체(23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커버(21)의 내표면에 프린트된 전도성 원형 고리층에 마찰된다. 따라서 전선 보관 휠(23)이 장기간 정방향 회전 혹은 역회전 하게 되면 전도체(23b)가 장기적으로 커버(21) 내표면의 전도층을 마찰하게 되어 전도체(23b)가 마손되어 변형을 초래하거나 혹은 커버(21) 내표면의 전도 고리면층이 마손되어 전도성 접촉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자가 이전에 발명한 대만 공고 번호 제 509447호 '동축 상 이중 릴을 구비한 이어폰 집선함' 특허안은 전선의 전도단과 전자 기기 회로 구조 사이에 발생하는 전도 접촉 불량 문제를 극복하여, 두 개의 크기가 다른 대, 소형 회전 릴을 고안하여, 하나의 신호선을 각각 대, 소형 회전 릴(10), (20)의 바퀴면에 감아 보관하고, 신호선을 대, 소형 회전 릴에서 잡아 빼내거나 혹은 수납할 때, 신호선의 전도단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중간의 전도 부품과 전자 기기 내부의 회로 부품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전도성 연결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하였다.
다만, 상기 특허안은 매우 실용적이긴 하나, 실시예를 넓히기 위해서는 다시 동축 이중 휠의 기술을 마우스의 구조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동일하지 않거나 혹은 동일한 외경의 복수개 회전 릴을 이용하여 그 바퀴면에 마우스의 전선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마우스 전선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대, 소형 회전 릴 및 축부를 독립적인 시트에 장착하여 마우스의 전선이 시트에 수납되거나 혹은 인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시트의 표면에 마우스가 끼워맞추어져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두 개의 외경이 동일하지 않은 회전 릴 및 축부를 마우스 본체의 내부 수용부에 장착하여 전선이 마우스 본체에 수집 혹은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특징이 이루는 효과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우스 본체(50)에는 일정한 길이의 전선(52)이 이어져 있는데, 상기 전선(52)의 외단(外端)을 플러그(소켓)(55)와 연결시킨다.
비교적 큰 외경을 지닌 대형 회전 릴(10) 및 비교적 작은 외경을 지닌 소형 회전 릴(20)의 중심구멍(12)을 단일한 축부(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대, 소형 회전 릴(10), (20)의 바퀴면에 각각 대, 소형 보관홈(15), (25)을 형성하고, 전선(52)을 대, 소형 보관홈(15), (25)에 감아 보관한다.
그 중 대, 소형 보관홈(15), (25)에 보관되는 전선(52)을 내선(521) 및 외선(522)으로 구분한다.
스프링 코일(80)의 저단(底端)(81)을 축부(30)에 연결하고, 외단(外端)(82)을 대형 회전 릴(10)의 측변에 형성된 내측 오목홈(11)의 벽면에 연결시킨다.
시트(40)의 내부에 수용부(42)를 설치하고, 전, 후측에 두개의 도선구멍(導線孔)(43), (44)을 설치하며, 그 중 대, 소형 회전 릴(10), (20) 및 축부(30)를 각각 수용부(42) 안에 설치하여, 축부(30)가 시트(40)의 수용부(42) 벽면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여 하나의 고정축을 형성하며, 내선(521)은 하나의 도선구멍(44)으로부터 인출되고, 외선(522)은 다른 도선구멍(43)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시트(40)의 표면(401)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호형 돌출변(45)을 설치하여, 마우스 본체(50)의 외주 가장자리(51)이 호형 돌출변(45)의 내측 벽면에 걸리도록 하고, 마우스 본체(50)가 시트(40)의 표면(401)에 걸려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대, 소형 회전 릴(10), (20) 사이에 고리형 돌출편(13)을 설치하고, 돌출편(13)에 하나의 오목홈(131)을 구비하여 내선(521)이 오목홈(131)을 통과하여 외선(522)을 형성하며 대형 보관홈(15)에 감을 수 있게 된다. 내, 외선(521), (522) 사이는 오목홈(131)에서 제지부(制止部)를 형성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시트(40) 측변에 위치한 도선구멍(44)의 구멍 바닥 부위에 정지부(頂止部)(431)를 설치한다.
일종의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 장치(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의 구조적 특징은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마우스 본체(50)의 후측에 도선구멍(56)을 설치하고 내부에 수용부(42)를 구비한다.
비교적 큰 외경의 대형 회전 릴(10) 및 비교적 작은 외경의 소형 회전 릴(20)의 중심구멍(12)을 단일한 축부(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축부(30)를 마우스 본체(50)의 수용부(42) 벽면에 고정 연결한다.
대, 소형 회전 릴(10), (20)의 바퀴면에 각각 대, 소형 보관홈(15), (25)을 형성하고, 전선(52)을 대, 소형 보관홈(15), (25)에 감아 보관한다. 그 중 대, 소형 보관홈(15), (25)에 보관되는 전선(52)은 내, 외선(521), (522)으로 구분된다.
스프링 코일(80)의 저단(81)(도시되지 않음)을 축부(30)에 연결하고, 외단(도시되지 않음)을 대형 회전 릴(10) 측변의 내측 오목홈(11) 벽면에 연결하여, 외선(522)이 도선구멍(56)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내선(521)의 전도단(導電端)(57)을 회로판(54)에 연결하고, 그 외선(522)의 외단을 플러그(55)에 연결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대, 소형 회전 릴(10), (20)을 동일한 외경으로 설계하여 외경이 동일한 보관홈(15'), (25')을 형성한다(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술한 주요 특징에 따라, 시트(40)의 측벽면에 USB 포트(49)를 설치한다(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술한 주, 부차적 특징을 달성함에 따라, 실시 시 다음과 같은 탁월한 효과 및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대, 소형 회전 릴(10), (20)은 모두 동일한 축부(30)에 연결되기 때문에 대형 회전 릴(10)이 한 바퀴 회전하면, 소형 회전 릴(20) 역시 한바퀴 회전하게 된다. 대형 회전 릴(10)이 한 바퀴 회전하면, 대형 보관홈(15)에서 인출(혹 회수)되는 외선(522)의 길이는 πx D(π는 원주율, D는 대형 릴의 직경)가 된다. 같은 이치로, 소형 회전 릴(20)이 한 바퀴 돌 때마다, 소형 보관홈(25)에서 풀어져 나오는(혹은 회수되는) 내선(521)의 길이는 πx d(d는 소형 회전 릴의 직경)가 된다. 따라서 대, 소형 회전 릴(10), (20)이 동축 상에서 회전할 때, 이 둘 사이의 감긴 선(혹은 풀어진 선)의 길이비례는 대, 소형 회전 릴(10), (20)의 직경 비례와 같다(즉 D : 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대, 소형 회전 릴(10), (20)의 직경비를 6 : 1로 하였으며, 마우스 본체(50)를 사용자가 잡아당긴다고 가정하고, 외선(522)을 밖으로 빼내면, 플러그(55)에 부착되어 있는 내선(521)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외선(522)을 가령 50cm 만큼 빼내어 마우스 본체(50)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면, 이와 동시에 내선(521)이 소형 보관홈(25) 밖으로 풀어지게 되는데, 8.3cm만큼 도선구멍(44) 바깥으로 풀려나온다. 따라서, 내선(521)의 외단이 연결된 플러그(55)를 전자 기기(90)의 전원 연결 포트(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꽂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우스 본체(50)를 빼내어 위치를 이동시킬 때, 플러그(55)와 시트(40) 사이에 과도한 이동 거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선을 회수할 때에는 대, 소형 회전 릴(10), (20)이 스프링 코일(80)의 수축 작용을 받아 내, 외선(521), (522)을 대, 소형 보관홈(15), (25)에 회수하여 수납하게 되는데, 그 중 플러그(55)의 후측은 정지부(431)에 걸림으로써 플러그(55)가 시트(40) 안에 수납되는 위치 고정 작용을 하게 된다.(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음)
(2)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 돌출변(45)의 내측변에 경사변을 구비한 돌출 리브(rib)(451)를 설치하여 마우스 본체(50)가 위에서 아래로 표면(401)에 끼워맞춤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주변(51)이 돌출 리브(451)에 걸리도록 하여 호형 돌출변(45)이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마우스 본체(50)가 효과적으로 표면(401)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며, 마우스 본체(50)가 시트(40)와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보관과 휴대가 편리하도록 하였다. 사용하고자 할 때, 마우스 본체(50)를 아래에서 위로 시트(40)에서 잡아 빼면, 돌출 리브(451)의 힘이 소실되고, 호형 돌출변(45)은 탄성적으로 위치를 회복하게 된다.
(3)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대, 소형 회전 릴(10), (20)을 마우스 본체(50)의 내부 수용부(42) 안에 설치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독립적인 시트(40)를 배제하고, 외선(522)을 밖으로 잡아당길 때, 대, 소형 회전 릴(10), (20)은 축부(30)를 회전축으로 하여 동축 회전을 하게 된다. 이 때 대, 소형 회전 릴(10),(20)의 두 외경(즉 직경)의 비례치가 증대된다(예를 들어 10 : 1). 비례치가 클수록 내선(521)의 인출되는 선의 길이는 더욱 작아지게 되며, 이로써 내선(521)이 풀어지는 거리의 길이는 매우 짧다. 또한 내선(521)의 전도단(57)을 연결 포트로 만들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 내선(521)이 소형 보관홈(25)에서 풀어질 때 부풀려진 상태가 되며, 절대로 인출되어 수용부(42) 안에서 어지럽게 엉키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음).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환경이 다르거나 혹은 특수한 필요 상황에 따라, 대, 소형 회전 릴(10), (20) 역시 동일한 외경(1 : 1)으로도 설계가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내, 외선(521), (522)을 잡아당길 때, 이 둘의 길이는 같게 된다. 도 7은 시트(40)의 내선(521)을 전자 기기(90)의 전원 소켓에 연결시킨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마우스 본체(50)를 잡아당길 때, 외선(522)이 시트(40)에서 비교적 긴 거리만큼 인출되고, 내선(521)은 매우 짧은 거리만큼 인출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도 2c는 본 발명을 필요에 따라 시트(40)의 측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USB 연결 포트(49)를 설치하여 USB 플러그(491)를 꼽아 쓸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특징이 이루는 효과는 이미 탁월하게 달성되었음을 보여주므로, 출원인은 법에 의거하여 특허를 출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동일하지 않거나 혹은 동일한 외경의 복수개 회전 릴을 이용하여 그 바퀴면에 마우스의 전선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마우스 전선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다.
또한, 대, 소형 회전 릴 및 축부를 독립적인 시트에 장착하여 마우스의 전선이 시트에 수납되거나 혹은 인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시트의 표면에 마우스가 감합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품 입체 분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마우스 본체와 시트를 연결시킨 입체 분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시트 중 호형(弧形) 돌출변의 입체 확대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시트에 USB 포트를 설치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인 시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 소형 회전 릴이 동축으로 회전하는 동작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트 내부 중 대, 소형 회전 릴을 동일한 외경으로 설계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대, 소형 회전 릴을 마우스 본체 내부에 설계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내, 외선을 당겨 빼내는 단면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을 전자 기기에 실시한 평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을 전자 기기에 실시한 평면 동작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형 회전 릴 11 : 내측 오목홈
12 : 중심구멍 13 : 고리형 돌출편
15 : 대형 보관홈 15', 25': 보관홈
20 : 소형 회전 릴 25 : 소형 보관홈
30 : 축부 40 : 시트
42 : 수용부 43, 44, 56 : 도선구멍(導線孔)
45 : 호형(弧形) 돌출변 49 : 연결 포트
50 : 마우스 본체 51 : 외주변(外周邊)
52 : 전선 54 : 회로판
55 : 플러그 57 : 전도단(傳導端)
58 : 플러그 80 : 스프링 코일
81 : 저단(底端) 82 : 외단(外端)
90 : 전자 기기 131: 오목홈
401: 표면 431: 정지부(頂止部)
451: 돌출 리브(rib) 491: 플러그
521: 내선 522: 외선
Claims (7)
-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 장치에 있어서,마우스 본체와 마우스 본체에 이어지는 일정한 길이의 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의 외단은 플러그(소켓)와 연결되고;큰 외경을 지닌 대형 회전 릴 및 작은 외경을 지닌 소형 회전 릴의 중심구멍이 단일한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대, 소형 회전 릴의 바퀴면에 각각 대, 소형 보관홈을 형성하여, 전선이 대, 소형 보관홈에 감겨 보관되며;대, 소형 보관홈에 보관되는 전선은 각각 내선 및 외선으로 구분되고;스프링 코일의 저단은 축부에 연결되고, 외단은 대형 회전 릴의 측변에 있는 내측 오목홈의 벽면에 연결되며;시트는 내부에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전, 후측에 두 개의 도선구멍을 구비하고, 대, 소형 회전 릴 및 축부는 각각 수용부에 설치하여, 축부가 시트의 수용부 벽면에 일체형을 이루어 하나의 고정축을 형성하고, 내선은 하나의 도선구멍으로부터 인출되고, 외선은 또 다른 도선구멍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시트의 표면 측변에 각각 호형 돌출변이 설치되어, 마우스 본체의 외주변이 호형 돌출변의 내측벽면에 걸림으로써, 마우스 본체가 시트의 표면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대, 소형 회전 릴 사이에 고리형 돌출편이 설치되고, 돌출편에 하나의 오목홈을 구비하여, 내선이 오목홈을 통과하여 외선을 형성하며 대형 보관홈에 감길 수 있도록 하고, 내, 외선 사이는 오목홈에서 제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시트 측변에 위치한 도선구멍의 구멍 바닥 부위에 하나의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 장치에 있어서,마우스 본체의 후측에 도선구멍을 설치하고 내부에 수용부를 구비하며;큰 외경의 대형 회전 릴 및 작은 외경의 소형 회전 릴의 중심구멍을 단일한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축부를 마우스 본체의 수용부 벽면에 고정 연결하며;대, 소형 회전 릴의 바퀴면에 각각 대, 소형 보관홈을 형성하여, 전선을 대, 소형 보관홈에 감아 보관하며, 대, 소형 보관홈에 보관되는 전선을 내, 외선으로 구분하고;스프링 코일의 저단을 축부 외단, 대형 회전 릴 측변의 내측 오목홈 벽면에 연결함으로써 외선이 도선구멍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대, 소형 회전 릴을 동일한 외경으로 설계하여 동일한 외경의 보관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시트의 측벽면에 USB 연결 포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U03229560XU CN2611979Y (zh) | 2003-03-19 | 2003-03-19 | 用于鼠标的集线装置 |
CN03229560.X | 2003-03-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2918A KR20040082918A (ko) | 2004-09-30 |
KR100515506B1 true KR100515506B1 (ko) | 2005-09-20 |
Family
ID=3012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5540A KR100515506B1 (ko) | 2003-03-19 | 2003-06-03 |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5506B1 (ko) |
CN (1) | CN2611979Y (ko) |
BR (1) | BR8301944U (ko) |
CA (1) | CA2434817A1 (ko) |
HK (1) | HK1053949A2 (ko) |
MY (1) | MY134368A (ko) |
SG (1) | SG11745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573B1 (ko) * | 2005-07-01 | 2009-07-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코드릴을 내장하고 있는 충전 가능한 무선 마우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5793B1 (ko) * | 2011-09-09 | 2013-03-20 | 전현일 | 컴퓨터 단자 및 상기 컴퓨터 단자의 연결이 가능한 키보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70989A (en) * | 1995-05-05 | 1997-09-23 | Owen; David B. | Communications auxiliary module |
US5684883A (en) * | 1996-11-26 | 1997-11-04 | E Lead Electronic Co., Ltd. | Device for receiving earphone/microphone wire of holdfree hand set |
US6088021A (en) * | 1998-06-03 | 2000-07-11 | Gateway, Inc. | Peripheral input device having a retractable cord |
WO2001015133A1 (en) * | 1999-08-26 | 2001-03-01 | Shape Global Technology, Inc. | Computer mouse with retractable cable |
US6392635B1 (en) * | 2000-01-20 | 2002-05-21 | Robert F. Snyder | Mouse device having retractable cord and connector storage |
US6439490B1 (en) * | 2000-02-28 | 2002-08-27 | Lih-Jiuan Hwang | Wire reeler |
US6371398B1 (en) * | 2000-08-03 | 2002-04-16 | Sheng-Hsin Liao | Positioning device of a wire groove in a wire winding box |
US6434249B1 (en) * | 2001-11-16 | 2002-08-13 | Jose Wei | Earphone wire winding box with coaxial and dual wheels |
-
2003
- 2003-03-19 CN CNU03229560XU patent/CN2611979Y/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6-03 KR KR10-2003-0035540A patent/KR1005155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7-09 CA CA 2434817 patent/CA243481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7-14 SG SG200304076A patent/SG117451A1/en unknown
- 2003-07-23 MY MYPI20032777 patent/MY134368A/en unknown
- 2003-08-07 BR BR8301944U patent/BR8301944U/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8-29 HK HK03106216A patent/HK1053949A2/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573B1 (ko) * | 2005-07-01 | 2009-07-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코드릴을 내장하고 있는 충전 가능한 무선 마우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8301944U (pt) | 2005-04-19 |
KR20040082918A (ko) | 2004-09-30 |
HK1053949A2 (en) | 2003-10-31 |
CA2434817A1 (en) | 2004-09-19 |
SG117451A1 (en) | 2005-12-29 |
CN2611979Y (zh) | 2004-04-14 |
MY134368A (en) | 2007-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27205Y1 (ko) | 전선 보관용 아이들 휠을 구비한 집선 장치 | |
US6942079B2 (en) |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 |
US6059213A (en) | Reel device | |
US6434249B1 (en) | Earphone wire winding box with coaxial and dual wheels | |
US9499373B1 (en) | Cable retraction unit assembly | |
US6474585B2 (en) | Wire winding box with increasing usable area | |
US6439491B1 (en) | Wire winding box | |
US7909281B2 (en) | Wire-winding device having a circuit unit | |
US6056591A (en) | Structure of a wire winding box | |
KR200326721Y1 (ko) | 고정단을 구비한 전선 수납용 충전기 | |
CN201213311Y (zh) | 收线装置 | |
US7490791B1 (en) | Reel structure | |
JP2004272868A (ja) | マウスに用いるコードリール | |
KR100515506B1 (ko) | 마우스에 사용되는 집선장치 | |
US7097018B2 (en) | Wire-winding device | |
KR200326913Y1 (ko) | 보조기판을 구비하는 마우스 | |
KR101147853B1 (ko) |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 |
US20040089760A1 (en) | Cable coiler structure | |
CN209747846U (zh) | 一种伸缩连接线 | |
JP3103040U (ja) | 多機能コードリールの構造 | |
JP3097672U (ja) | 台座を具有するマウスの構造 | |
KR200256948Y1 (ko) | 랜케이블 권취기 | |
CN220766188U (zh) | 一种卷线盘的锁止回卷控制结构 | |
KR200321350Y1 (ko) | 이어폰 및 플러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구조 | |
JPH011951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